KR940000004B1 -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04B1
KR940000004B1 KR1019910005730A KR910005730A KR940000004B1 KR 940000004 B1 KR940000004 B1 KR 940000004B1 KR 1019910005730 A KR1019910005730 A KR 1019910005730A KR 910005730 A KR910005730 A KR 910005730A KR 940000004 B1 KR940000004 B1 KR 94000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olenic acid
liver
oil
liver diseas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344A (ko
Inventor
여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방랜드
이순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방랜드, 이순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방랜드
Priority to KR101991000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004B1/ko
Publication of KR92001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본 발명은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α-리놀렌산을 함유한 아마씨나 들깨를 이용하여 간장질환의 원인이 되는 간장의 지방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의약 조성물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간질환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질환으로는 간염, 간경화, 간경변 또는 간암 등이 있다. 이러한 간장질환의 원인으로는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나 과다한 흡연이나 알콜 섭치로 인한 간세포의 파괴, 스트레스에 의한 저항력의 감소,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간기능의 저하를 들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 원인이 어디에 있든 상관없이 간질환의 초기나 간기능 저하시에는 간장에 불필요한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 축적된 지방으로 인하여 저항력이나 간장 활성이 떨어지게 되어 결국 간장해를 악화시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는 간 지방의 제거 내지 감소가 필수적인 것이다.
종래, 간지방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의약품이 개발된 바 있으나, 대체로 가격이 비싸고 부작용이 수반되는 경우가 있어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큰 효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주변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그 원료를 구할 수 있고 또한 전혀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간지방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마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 재배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식물의 하나로서 주로 섬유나 유지제품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아마씨의 성분은 아마의 산지나 종류에 따라 약간 다르나, 약 40%의 지질과 35%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높은 영양원일 뿐 아니라 가용성 섬유질 또는 리그닌, 리그난 같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지질성분의 약 50-60%는 n-3 지방산 계열인 α-리놀렌산( I )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Figure kpo00001
α-리놀렌산은 필수지방산으로서 사람의 혈액중에 있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으며(Adam et al, J. Lipid Res., 1986), 그 자체가 n-6 지방산인 아라키돈산의 아이코사노이드 생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n-3 계열 지방산인 아이코사펜타노산이나 도코사헥사노산으로 전환된 다음 아라키돈산의 아이코사노이드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여 (呂)등., Biochim. Biophys. Acta, 1989).
Figure kpo00002
본 발명자는 α-리놀렌산이 인체에 해로운 n-6 지방산을 치환 제거시킬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간지방의 제거 내지 감소 실험에 성공하므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α-리놀렌산은 아마씨유뿐 아니라 들깨유에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아마씨유나 들깨유로부터 고농도의 α-리놀렌산을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러나, α-리놀렌산의 순도나 농도는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는데, 그 이유는 아마씨유나 들깨유 중의 다른 성분들도 인체에 전혀 해를 미치지 않기 때문에 α-리놀렌산의 함량은 단순히 제품의 상품성에만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마씨나 들깨를 약간 볶아 통상의 방법으로 압축하여 기름을 얻은 다음 여과하여 불순물을 걸러내고 냉각시켜 α-리놀렌산의 융점인 -15℃ 부근에서 액체 상태인 기름만을 분리 획득한다. 융점을 이용한 분리 정제 방법을 계속하면 더욱 순수한 α-리놀렌산을 얻을 수 있으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α-리놀렌산의 순도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아마씨유나 들깨유를 직접 간지방 제거용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얻어진 α-리놀렌산 함유 용액에 제약상 허용가능한 통상적인 보존제, 산화 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가하여 차광용기에 밀봉 보관한다. 이때 사용되는 산화 방지제로는 제약상 허용되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나, 특히 비타민 E가 적합하다. 비타민 E는 산화 방지 작용외에 그 자체 간의 영양소로 역활을 하기 때문이다. 아마씨유나 들깨유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서로 혼합한 복합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위와같이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시럽제 형태로 복용할 수도 있으나, 고농도의 α-리놀렌산 용액을 연질 캅셀에 충진하여 복용할 수도 있다. 복용량은 환자의 간질환 정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그 자체 부작용이 전혀 없기 때문에 통상적 용량을 초과한다 하여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일반적으로 α-리놀렌산을 기준으로 성인은 1일 약 10g 내지 20g 복용하면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복용량이 너우 적으면 효과가 없고 다량 복용하면 흡수가 되지 못하고 배설될 우려가 많다.
들깨유에는 통상 50~70%의 α-리놀렌산이 함유되어 있고, 아마겨유에는 40~60%의 α-리놀렌산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들깨유나 아마씨유를 간지방 제거용으로 직접 복용하는 경우에는 들깨유는 약 5~10m1씩 6∼8시간마다 복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아마씨유는 약 8-l2ml씩 6~8시간마다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환자의 기름 흡수 능력에 따라 적절히 복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들깨유나 아마씨유에 포함된 α-리놀렌산이 간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즉, 다량의 α-리놀렌산과 단백질, 가용성 섬유질, 리그닌, 리그난 등이 함유된 아마씨를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간장조직의 지방대사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실험하였다.
[실험 1]
피숴-344 계통 흰쥐 42마리와 BALB/C 계통 생쥐 54마리와 한배의 재래종 토끼 30마리를 각각 2그룹으로 나누어 제 1그룹은 대조용으로서 n-6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많이 함유된 옥수수유를, 제 2그룹은 α-리놀렌산이 많이 함유된 아마씨유를 10%씩 첨가한 사료를 제조하여 각각 3주간 급여시켰다. 사용된 옥수수유와 아마씨유의 지방산 조성은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3
3주 사육후 제1 그룹과 제 2 그룹에 속하는 각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간조직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0.9%의 소금물에 침지시키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간장 혈관내에 0.9% 소금물을 주입시켜 간장내 혈액을 제거하였다. 간장을 클로로포름/메탄올(2 : 1v/v) 용액에서 균질화하여 하층에 존재하는 클로로포름층을 수거하여 질소 가스에서 휘발시킨 후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간장조직에 존재하는 총지질의 양을 정량하여 다음표 2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2]
Figure kpo00004
* 수치는 각 그룹당 실험동물의 평균치와 표준 오차를 기재한 것이고
간장조직의 총지질량이 P<0.01에서 유의성이 인정된다.
상기 표 2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옥수수유 그룹(그룹 I)와 아마씨유 그룹(그룹 II)의 각 동물들의 체중이나 간장 조직의 중량은 특별한 변화를 인정할 수 없으나 간장 조직내 총지질의 함량은 아마씨유를 복용시킨 동물그룹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흰쥐의 경우는 28.1%, 생쥐의 경우는 21.8%, 토끼는 40.5% 만큼 옥수수유를 복용시킨 동물그룹보다 간지질이 감소된 것이다.
이상의 실험으로부터 α-리놀렌산을 포함한 들깨유나 아마씨유는 간장의 지질을 감소시켜 지나친 지질축적으로 인한 각종 간질환의 예방과 치료제로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 제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실시예 1]
O 아마씨유(α-리놀렌산 80% 함유) 50ml
O 들깨유(α-리놀렌산 85% 함유) 50ml
O 비타민 E 적당량
상기 원료성분을 혼합하여 총 용적을 100ml로 한다음 차광용기에 밀봉 보관한다.
[제조실시예 2]
O 아마씨유(α-리놀렌산 80% 함유) 1.0ml
O 비타민 E 적당량
원료성분들을 혼합하여 젤라틴 캅셀에 충진시킨다.
[제조실시예 3]
O 들깨유(α-리놀렌산 85% 함유) 100ml
O 비타민 E 적당량
상기 원료성분들을 혼합하여 차광용기에 밀봉 보관한다.

Claims (5)

  1. 유효성분으로서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가진 α-리놀렌산 또는 그를 함유한 들깨 및/ 또는 아마씨나 그 추출액을 함유하는 간장 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Figure kpo00005
  2. 제1항에 있어서, 간장질한이 간지질에 기인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E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그 제형이 현탁액제 또는 캅셀제 형태로 제조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캅셀제가 연질 캅셀제인 조성물.
KR1019910005730A 1991-04-10 1991-04-10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KR94000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5730A KR940000004B1 (ko) 1991-04-10 1991-04-10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5730A KR940000004B1 (ko) 1991-04-10 1991-04-10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344A KR920019344A (ko) 1992-11-19
KR940000004B1 true KR940000004B1 (ko) 1994-01-05

Family

ID=1931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730A KR940000004B1 (ko) 1991-04-10 1991-04-10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543A (ko) 2021-12-07 2023-06-14 안창균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344A (ko) 199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7056B1 (en) Essential fatty acid compositions
KR0126286B1 (ko) 지방산 조성물
DE69630195T2 (de) Verwendung eines ausgleichenden zusatzstoffes für omega-6 und omega-3 ungesättigte fettsäure
DE69935995T3 (de) Polyungesättigen fettsäuren nährungsergänzung
JPH0832230B2 (ja) 食品組成物
WO201109727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docosahexaenoic acid and n-acetyl lcystenine
EP1317264B1 (de) Kombination von liponsäure und konjuensäuren zur behandlung diabetischer störungen
CN103156198A (zh) 一种鱼油软胶囊及其制备方法
JPH08225453A (ja) リポプロテイン(a)低下剤及び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医薬
WO2014017243A1 (ja) 睡眠の質改善剤
JP5843169B2 (ja) フルクトース吸収阻害剤
AU2008301694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Sesamin-Class Compound(s) and Arachidonic Acid Class Compound(s)
EP313528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ripheral neuropathy
KR100828069B1 (ko) 푸코잔틴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98749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or degenerative brain disease
US20080268039A1 (en) Loquat compositions
DE3739700A1 (de) Alpha-linolensaeure (18:3,omega 3) und/oder deren derivate enthaltende formulierungen,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anwendung in ernaehrung und medizin
KR940000004B1 (ko) α-리놀렌산을 이용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
KR20180002158A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06727915B (zh) 一种稳定高效提高记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167849B2 (ja) 植物の果実から抽出した果実油、その抽出方法、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CN1679593A (zh) 一种含有α-亚麻酸游离酸、大豆磷脂和维生素E的复合制剂
JP3616950B2 (ja) 柑橘系由来の栄養組成物
US9408803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lignan-class compounds
US3894153A (en) Method of medical treatment of asth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