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7450A -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7450A
KR930017450A KR1019920001448A KR920001448A KR930017450A KR 930017450 A KR930017450 A KR 930017450A KR 1019920001448 A KR1019920001448 A KR 1019920001448A KR 920001448 A KR920001448 A KR 920001448A KR 930017450 A KR930017450 A KR 93001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muse
adder
nt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40246B1 (ko
Inventor
이창준
정석윤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0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246B1/ko
Priority to JP5014704A priority patent/JP2619192B2/ja
Publication of KR93001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USE(Multiple Sub-Nyquist Sampling Encoding) 방식 영상신호를 NTSC방식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MUSE바식 영상신호를 줌업모드 및 와이어모드 각각에 해당하는 주사선수로 변환처리하는 주사선수변환부(22)와, 상기 주사선수변환부 (22)로부터 제공되고 상기 2가지 모드의 주사선수 변환처리된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드를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24) 및, 상기 선택부(24)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휘도신호 및 상기 색차신호들의 주파수를 상기 NTSC방식 영상신호의 주파수로 변환처리하는 주파수 변환부(26)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수직내삽처리된 휘도 및 색신호의 공간적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변환처리후에 발생할 수 있는 색신호의 어긋남 및 전원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신호변환장치를 채용한 MUSE/NTSC방식이 신호변환 시스템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신호변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줌업모드 주사선수 변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와이드모드 주서선 수 변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줌업모드 주사선수 변환회로의 블럭도.

Claims (9)

1125 Line/Frame, 2:1인터레이스의 MUES방식 영상신호를 표준 NTSC방식 영상신호로 변환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수필드 휘도신호와 두가지의 기수필드 색차신호들은 각각 1차 수직 LPF 처리되게 하고, 우수필드 휘도신호는 2차수직 LPF 처리되게 하고, 두가지의 우수필드 색차신호들 중 적색차신호는 1차 수직 LPF 처리되게 하며, 청색차신호는 입력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2라인당 1라인을 솎아냄으로써 525 Line/Frame, 2:1인터레이스의 NTSC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수필드 휘도신호와 상기 우수필드 휘도신호는 3차 수직 LPF 처리되게 하고, 상기 기수필드 색차신호들과 상기 우수필드 색차신호들은 1차 수직 LPF 처리되게하여, 3라인당 1라인을 솎아냄으로소 375 Line/Frame, 2:1인터레이스의 NTSC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1125 Line/Frame, 2:1인터레이스의 MUSE방식 영상신호를 NTSC방식 영상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MUSE방식 영상신호를 줌업모드 및 와이드모드 각각에 해당하는 주사선수로 변환처리하는 주사선수 변환부(22)와, 상기 주자선수변환부(22)로부터 제공되고 상기 2가지 모드의 주사선수 변환처리된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들을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24) 및, 상기 선택부(24)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휘도신호 및 상기 색차신호들의 주파수를 상기 NTSC 방식 영상신호의 주파수로 변환처리하는 주파수변환부(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UES/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수변환부(22)는, 입력되는 MUSE 영상신호들을 1차 내지 3차까지 1라인의 주사기간을 지연시키는 라인지연수단(81)과, 상기 라인지연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MUSE 영상신호들의 프레임간 오프셋-서브샘플링처리로 인한 1라인 건너 1화소씩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서브샘플 보정수단(89)과, 상기 서브샘플보정수단(89)으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MUSE 영상신호들을 가산하는 제1가산기(90)와, 제1제어신호(EF) 및 제2제어신호(ZU&(YY+EF&CC)에 의해 상기 라인지연수단(81) 및 상기 제1가산기(9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MUSE 영상신호들을 선택하는 제1선택수단(97)과,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MUSE 영상신호들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선택수단(98)과, 상기 서브셈플 보정수단(89) 및 상기 제1선택수단(97)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MUSE 영상신호를 각각 2배로 증대시키는 제1 및 제2승산기(100, 102)와, 상기 제1선택수단(97) 및 상기 제1승산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신호들을 가산하는 제2가산기(101)와, 상기 서브샘플 보정수단(89) 및 제2선택수단(98)의 출력신호들을 가산하는 제3가산기(104)와, 상기 제3가산기(104) 및 상기 제2승산기(102)의 출력신호들을 가산하는 제4가산기(106)와, 상기 제2가산기(100) 및 상기 제4가산기(106)의 출력신호들을 가산하는 제5가산기(110)와, 상기 제4가산기(106)의 출력신호를 각각 1/2배 및 1/4배로 만드는 제3 및 제4승산기(112, 114)와, 상기 제5가산기(110)의 출력신호를 각각 1/4배 및 1/8배로 만드는 제5 및 제6승산기(116, 118)와, 상기 제2가산기(101)의 출력신호를 각각 1/3배 및 1/4배로 만드는 제7 및 제8승산기(120, 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USE/NTSC방식 신호변환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24)는 제3제어신호(ZU&EF)에 의해 제3 및 제4승산기(112, 114)의 출력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5멀티플렉서(124)와, 제4제어신호(ZU)에 의해 제5 및 제6승산기(116, 118)의 출력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6멀티플렉서(126)와, 상기 제3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7 및 제8승산기(120, 122)의 출력신호들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7멀티플렉서(1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USE/NTSC방식 신호변환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변환부(26)는 제5 및 제7멀티플렉서(124, 128)의 출력신호들을 각각 시간축상에서 2배로 늘리는 제1 및 제2시간축 신장기(130, 132)와, 제5제어신호(RY)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시간축신장기(130, 132)의 출력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8멀티플렉서(134)와, 제6멀티플렉서(126)의 출력신호를 받아들여 NTSC휘도신호를 출력하는 제1필드메모리(136)와, 제8멀티플렉서(134)의 출력신호를 순차로 받아들여 저장하는 제2필드메모리(138)와, 상기 제2필드메모리 (138)의 출력신호를 NTSC적색차신호와 NTSC청색차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USE/NTSC방식 신호변환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지연수단(81)은 순차로 접속된 제1 내지 제3라인메모리들(76, 78, 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USE/NTSC방식 신호변환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샘플 보정수단(89)은 입력단(76)에 접속된 제1서브샘플보정기(82)와, 상기 제1 내지 제3라인메모리(76, 78, 80) 각각의 출력단에 차례로 접속된 제2내지 제4서브샘플 보정기(84, 86, 88)로 구성되는 것을 MUSE/NTSC방식 신호변환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수단(97)은 상기 제1제어신호(EF)에 의해 제2 및 제4서브샘플 보정기(84, 88)의 출력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92)와,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2서브샘플 보정기(84)의 출력신호와 로우상태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94)와,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가산기(90)의 출력신호와 상기 로우상태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3멀티플렉서(96)로 구성되는 것을 MUSE/NTSC방식 신호변환장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선택수단(98)은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멀티플렉서(92, 94)의 출력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4멀티플렉서(9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USE/NTSC방식 신호변환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01448A 1992-01-31 1992-01-31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KR0140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1448A KR0140246B1 (ko) 1992-01-31 1992-01-31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JP5014704A JP2619192B2 (ja) 1992-01-31 1993-02-01 Muse/ntsc方式の信号変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1448A KR0140246B1 (ko) 1992-01-31 1992-01-31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50A true KR930017450A (ko) 1993-08-30
KR0140246B1 KR0140246B1 (ko) 1998-06-15

Family

ID=1932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448A KR0140246B1 (ko) 1992-01-31 1992-01-31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19192B2 (ko)
KR (1) KR01402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076B2 (ja) * 1989-11-06 1997-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方式変換器
JPH0488796A (ja) * 1990-07-31 1992-03-23 Mitsubishi Electric Corp Edtv対応muse―ntscコンバータ
JPH04110069U (ja) * 1991-03-06 1992-09-24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高品位テレビ受像機の垂直偏向装置
JPH04298180A (ja) * 1991-03-27 1992-10-21 Sanyo Electric Co Ltd 高画質tv信号/tv信号コンバ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86330A (ja) 1994-03-25
KR0140246B1 (ko) 1998-06-15
JP2619192B2 (ja) 199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548B1 (ko) 칼라 텔레비젼 표시 장치
US4733300A (en) Contour signal correction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
KR940008910B1 (ko) 비월-비비월 주사 변환 장치
JPS62128683A (ja) 画像信号変換装置
JPH03165190A (ja) 動き情報を動き情報信号に変換する装置
JPH02299377A (ja) 映像信号の方式変換装置
US5128750A (en) Television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into a television signal for display by a standard television receiver
KR930017450A (ko)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KR100480569B1 (ko) 다기능 비디오 디코더
JPH048085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変換装置
JP3612760B2 (ja) 映像信号処理方法
KR0175459B1 (ko) 공통 중간 포멧의 형태를 갖는 에이치.261 영상 코덱을 아이티유-알 601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장치
JP2633428B2 (ja) 色信号の線順次内挿装置
JP4109328B2 (ja) ビデオ信号符号化装置
JP2938092B2 (ja) 高精細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H02285897A (ja) エレビジョン方式変換装置
JPH03243083A (ja) Muse/edtv方式変換装置
JPH04306997A (ja) 動き適応型共用yc分離回路
JPH024607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366291A (ja) テレビジヨン方式変換装置
JPH04167880A (ja) Muse/edtv方式変換装置
JPH04234277A (ja) テレビジョン信号方式変換装置
JPH02294190A (ja) テレビジョン方式変換器
JPH04255193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3149983A (ja) テレビジョン方式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