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6577A - 고강도 부직포용 열결합성 섬유 - Google Patents

고강도 부직포용 열결합성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6577A
KR930016577A KR1019930000375A KR930000375A KR930016577A KR 930016577 A KR930016577 A KR 930016577A KR 1019930000375 A KR1019930000375 A KR 1019930000375A KR 930000375 A KR930000375 A KR 930000375A KR 930016577 A KR930016577 A KR 930016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flow rate
melt flow
fiber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9966B1 (ko
Inventor
케이. 굽타 라케쉬
이. 말로리 제임스
다케우찌 쿠니히꼬
Original Assignee
헤르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르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헤르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3001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5 내지 30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제1성분 적어도 하나, 및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제2성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결합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강도 부직포용 열결합성 섬유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37)

  1. 약 0.5 내지 3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및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섬유 또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상기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3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3.0중량% 및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3.0중량% 포함하는 섬유 또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상기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3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10.0중량% 및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10.0중량% 포함하는 섬유 또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0.5 내지 3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리프로필렌이 약 1 내지 25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약 60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폴리프로필렌이 약 20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섬유 또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약 0.5 내지 5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약 2 내지 5중량%, 약 10 내지 20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약 70 내지 85중량%, 및 약 300 내지 6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약 10 내지 28중량% 포함하는 섬유 또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인 섬유 또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섬유.
  8. 약 0.5 내지 30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제1성분 적어도 하나, 및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제2성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성분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평균 용융 유량이 약 5 내지 40인 폴리프로필렌 섬유.
  9. 평균 용융 유량이 약 5 내지 40이고, 약 20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3.0%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10.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이고, 약 20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3.0%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약 5 내지 40의 평균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12. 제로(0) 전단 점도가 적어도 약 2.0×104포이즈이고, 점탄성 계수가 적어도 약 1.50인 폴리프로필렌 섬유.
  13.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5.0인 열 결합성 폴리프로필렌 섬유.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직을 가지며, 상기 섬유가 루테늄 사산화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착색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15. 광범위한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방사 구금을 통해 용융 방사시켜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상기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급냉시켜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5.0인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수득함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의 방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약 0.5 내지 3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및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속도가 약 30 내지 200m/분인 방법.
  18. 광범위한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방사 구금을 통해 약 30 내지 200m/분의 방사 속도로 용융 방사시켜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상기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급냉시킴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의 방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급냉된 필라멘트가 적어도 약 4.5의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를 갖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약 0.5 내지 3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및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방법.
  21. 광범위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평규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방사 구금을 통해 용융 방사시켜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상기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인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수득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급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공정 전체를 통해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로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열결합성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속도가 약 30 내지 200m/분인 방법.
  23. 광범위한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방사 구금을 통해 용융 방사시켜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상기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인 급냉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직을 유지하도록 하는 조건하에서 급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공정 전체를 통해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로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열결합성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속도가 약 30 내지 약 200m/분인 방법.
  25. 제18항 내지 제2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가 약 250% 이상의 신율을 갖는 방법.
  26. 제18항 내지 제2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3.0% 함유하는 방법.
  27. 광범위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3.0%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방사 구금을 통해 약 30 내지 200m/분의 방사 속도로 용융 방사시켜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상기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급냉시켜 약 5 내지 40의 평균 용융 유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수득함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의 방사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인 방법.
  29. 약5 내지 40의 평균 용융 유량을 가지며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3.0% 함유하는 함께 열결합된 폴리프로필렌 섬유들을 포함하는 부직포.
  30. 평균 유동학적 다분산 지수가 적어도 약 4.5이고 약 60 내지 1000의 용융 유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을 적어도 약 3.0% 함유하는 함께 열결합된 폴리프로필렌 섬유들을 포함하는 부직포.
  31. 함께 열결합된, 제1, 8, 9, 10, 13 및 14항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섬유들을 포함하는 부직포.
  32. 제15, 18, 21, 23, 25 및 27항중 어느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결합성 섬유.
  33. 적어도 하나의 흡수층, 및 제29, 30 및 31항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또는 제32항에 청구된 섬유를 포함하는 열결합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품.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불투과성 외층, 부직포 내층 및 흡수성 중간층을 갖는 기저귀를 포함하는 제품.
  3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직을 갖는 섬유.
  36. 제15항 내지 제2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이플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필라멘트를 권축시키고 절단시킴을 또한 포함하는 방법.
  37. 제15항 내지 제28항 및 제3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또는 상기 섬유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직을 가지며 루테늄 사산화물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착색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00375A 1992-01-13 1993-01-13 고강도 부직포용 열결합성 섬유 KR100219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877292A 1992-01-13 1992-01-13
US818,772 1992-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577A true KR930016577A (ko) 1993-08-26
KR100219966B1 KR100219966B1 (ko) 1999-10-01

Family

ID=2522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375A KR100219966B1 (ko) 1992-01-13 1993-01-13 고강도 부직포용 열결합성 섬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19966B1 (ko)
ZA (1) ZA932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498B1 (ko) 2013-01-25 2014-07-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고신율 폴리올레핀 섬유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9966B1 (ko) 1999-10-01
ZA93223B (en) 199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735A (en) Process of making high thermal bonding strength fiber
US5654088A (en) Thermally bondable fiber for high strength non-woven fabrics
US6797655B2 (en) Meltblown web
DE69731290T2 (de) Spontan abbaubare fasern
CA1280580C (en) Soft water-permeable polyolefins nonwovens having opaque characteristics
CA2165627C (en) Process for producing fibers for high strength non-woven materials, and the resulting fibers and non-wovens
EP0279511A2 (en) Thermally bonded nonwoven fabric
JPS61179246A (ja) ポリエチレンとポリプロピレンとのブレンド
JPS62191509A (ja) 溶融紡糸組成物用の冷却調節剤としての枝分れポリオレフイン
MXPA04001019A (es) Telas no tejidas unidas por hilatura a partir de polimero recuperado y fabricacion de las mismas.
KR960007849A (ko) 용융접착성 복합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퓨즈 직물 또는 표면재
DK1279754T3 (da) Smeltespundne fibre af randomiseret med metallocen katalyseret propylen-alfa-olefin-copolymer
KR930016577A (ko) 고강도 부직포용 열결합성 섬유
JP2872543B2 (ja) 熱接着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910004459B1 (ko) 부직포용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JPS5512832A (en) Production of hollow crimped fiber
US20040058609A1 (en) Meltblown web
KR101059495B1 (ko) 숭고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폴리락트산계 복합섬유의제조방법
JPS61132620A (ja) 編物用ポリエステルステ−プル繊維
JPH03234819A (ja) 軽量海島複合型ポリエステル繊維
JPH01111016A (ja) ポリエチレン系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251612A (ja) 熱接着性複合繊維
JPH0457953A (ja) 微生物分解性不織布
JPH03241054A (ja) 高伸度不織布
KR970010732B1 (ko)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