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732B1 -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732B1
KR970010732B1 KR1019940030046A KR19940030046A KR970010732B1 KR 970010732 B1 KR970010732 B1 KR 970010732B1 KR 1019940030046 A KR1019940030046 A KR 1019940030046A KR 19940030046 A KR19940030046 A KR 19940030046A KR 970010732 B1 KR970010732 B1 KR 97001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component
polyester
viscosity
composit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광
여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이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이웅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4003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732B1/ko

Links

Landscapes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a), (b), (c), (d)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가능한 복합섬유의 확대 횡단면도
본 발명은 섬유축방향으로 나일론 6성분과 폴리에스테르성분이 연속되어 있는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 6성분과 폴리에스테르성분을 사용하여 2성분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경우에 두 폴리머간의 큰 용융점도차이(250∼1000포아즈)로 인하여 방사할 때 구금홀 중에서 유동속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소위 슬로 홀(slow hole)현상이라는 방사불량을 초래하였다.
상기 슬로 홀의 원인은 폴리머의 용융점도 불량으로 말미암아 정상적인 필라멘트의 형성이 불가능하게 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된 2성분 복함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은 두 폴리머간의 용융점도차이를 200포아즈 이하가 되도록 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나일론 6의 용융점도는 표 1과 같이 나일론 6의 상대점도에 비례하며 또 방사블록의 온도에 반비례한다.
표 l (포아즈)
또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점도도 표 2와 같이 방사블럭의 온도에 반비례한다.
표2 (포아즈)
또 나일론 6과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점도는 표 3파 같이 용융체류시간에 반비례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의 경우에 그 변화폭이 크므로 체류시간을 길게하면 양자의 용융점도차이는 감소한다.
표3 (포아즈)
위 표 1∼표 3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나일론 6과 폴리에스테르간의 용융점도차이를 200포아즈 이하가 되게하기 위하여 방사블럭의 온도는 적어도 290℃가 되게 하고, 나일론 6은 상대점도가 2.6이상이 것을 사용하고, 동시에 용융체류시간은 적어도 18분이 되게하여 제조한 두 폴리머간의 용융점도차가 20포아즈 이하인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방사팩의 불량율과 슬로 홀 발생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방사조업성도 85%이상으로 향상되었다.
(실시예 1∼3 및 비교에 l, 2)
다음표의 고유점도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반복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다음표의 상대점도를 갖는 나일론 6칩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압출기의 온도는 295℃, 압출기내의 체류시간을 18분으로 하여 용융방사하고 1, 400m/분의 속도로 인취한 후 3.2배로 연신하였다.
연신사의 단면도 제1도(a)와 같다.
※ 단면균일도; ◎ : 우수, ○ : 양호, × : 불량

Claims (2)

  1. 나일론 6 성분과 폴리에스테르성분으로 구성된 2성분 복합섬유에 있어서, 나일론 6 성분은 상대점도가 2.60이상이고, 폴리에스테르성분은 고유점도가 0.6이하이며, 양 성분간의 용융점도차가 200포아즈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섬유.
  2. 나일론 6성분과 폴리에스테르 성분으로 2성분 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대점도가 2.60이상인 나일론 성분을 사용하여, 용융온도를 290℃ 이상으로 하고, 용융체류시간을 적어도 18분이 되게 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2성분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19940030046A 1994-11-16 1994-11-16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97001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046A KR970010732B1 (ko) 1994-11-16 1994-11-16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046A KR970010732B1 (ko) 1994-11-16 1994-11-16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732B1 true KR970010732B1 (ko) 1997-06-30

Family

ID=1939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046A KR970010732B1 (ko) 1994-11-16 1994-11-16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73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92116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en fasern mit hoher zugfestigkeit und hohem modul.
GB2337227A (en) Fibre,film and its production
DE69716092D1 (de) Lyocellfaser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MY118846A (en) Process for processing polymer mixtures to filaments
IE39548B1 (en) Crimped yarns their production
GB1063286A (en) Composite filaments
KR970010732B1 (ko) 2성분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WO2002050350A1 (fr) Procede pour produire un fil constitue de fibres melangees contenant du polyester
GB1292388A (en) Hollow filaments
KR100427088B1 (ko) 폴리에스터 삼각단면사의 제조방법
KR880011380A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방사하여 사(yarns)를 제조하는 방법
KR960037883A (ko) 자발 고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GB1165312A (en) Helically Crimped and Crimpable Composite Staple Fiber
KR100222519B1 (ko) 초극세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GB1157433A (en) Polyester Fibres
KR100315510B1 (ko) 이형단면 열가소성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900003324B1 (ko) 합성섬유용 방사구금
KR950001653B1 (ko) 자발 고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JPS5438916A (en) Production of special multifilament yarn
JPS5584416A (en) Polyester fiber of fine denier and its production
KR970043430A (ko) 폴리에스터 태세복합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960010920A (ko) 고강력 저수축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KR960037884A (ko) 이섬도, 이형단면을 갖는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용 방사구금장치
JPH05106117A (ja) 複合繊維の紡糸方法
KR20010028163A (ko)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중공사 제조방법, 그 방사노즐 및 그로부터 제조된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중공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