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269B1 -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269B1
KR930012269B1 KR1019930002722A KR930002722A KR930012269B1 KR 930012269 B1 KR930012269 B1 KR 930012269B1 KR 1019930002722 A KR1019930002722 A KR 1019930002722A KR 930002722 A KR930002722 A KR 930002722A KR 930012269 B1 KR930012269 B1 KR 93001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opening
housing
reintroduction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오 고야마
Original Assignee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성형성장치의 일예로서의 레이저빔프린터의 한 구체예 및 그에 부설된 소터와 커버체를 폐쇄위치로 하고, 보조받이체를 제2의 위치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2도는 제1의 레이저빔프린터에 있어서의 경로전환수단 및 그 근방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경로전환수단에 있어서의 전환 안내판이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 및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레이저빔프린터 및 소터와 커버체를 개방위치로 하고, 보조받이체를 제1의 위치로 한 상태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의 레이저빔프린터의 제2의 구체예 및 그것에 부설된 보조유닛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장치하우징 4 : 하부하우징
6 : 개폐하우징 18 : 회전드럼
24 : 현상장치 26 : 전사용코로나방전기
32 : 전사구역 38 : 광학유닛
56 : 반송수단 77 : 개구(도입개구)
103 : 송출개구 104 : 받이부
108 : 보조받이체 110 : 커버체
146 : 안내벽 160 : 소터
184 : 경로전환수단 208 : 공급수단
210 : 보조유닛체
본원 발명은 레이저빔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의 레이저빔프린터는 장치하우징과 회전드럼과 같은 상담지수단(image bearing means)과, 상담지수단의 감광체 표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성형성수단과 전사구역에 배치된 전사수단과 시트부재를 상기 전사구역을 통해서 반송하는 반송경로를 규정하는 반송수단과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된 시트부재를 받아들이는 받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빔프린터에서는 시트 부재가 전사구역을 통해서 반송되면, 이 전사구역에서 전사수단의 작용에 의해 상담지수단의 감광체 표면에 형성된 화상이 시트부재에 전사되고, 이와 같이 화상이 형성된 시트부재가 받이부에 배출된다. 한편, 근래에 시트부재의 한쪽면에 겹치게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레이저빔프린터에서는 시트부재의 한쪽면에 겹치게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한 요망을 만족해야 할 신규한 화상형성장치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통상의 화상형성외에 중첩화상형성도 수행할 수 있는 개량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더욱 상세하게 상술한다.
[제1의 구체예]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1의 구체예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의 레이저빔프린터를 나타내는 제1도에서 도시한 레이저빔프린터는 거의 직육면체 형상의 장치하우징(2)을 구비하며, 장치하우징(2)은 하부하우징(4)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제1도에 나타낸 위치)의 사이를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된 개폐하우징(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의 거의 중앙부에는 프로세스유닛(14)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프로세스유닛(14)은 하우징(2)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닛틀(16)을 구비하며, 그 유닛틀(16)에 상담지수단(image bearing means)인 회전드럼(18)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럼(18)의 주위표면에는 정전사진 감광체가 배치되어 있다. 화살표(20)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드럼(18)의 주위에는 대전용코로나방전기(22), 현상장치(24), 전사수단을 구성하는 전사용근로나방전기(26) 및 크리닝장치(28)가 배치되며, 대전용코로나방전기(22), 현상장치(24) 및 크리닝장치(28)가 상기 유닛틀(16)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대전용코로나방전기(22)는 회전드럼(18)위의 감광체를 특정극성으로 대전한다. 상기 현상장치(24)는 자기브러시기구(30)를 구비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한다. 또한, 전사구역(32)에 배치된 전사용코로나방전기(2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되는 시트부재의 뒷면에 코로나방전을 실시한다. 상기 크리닝장치(28)는 감광체표면에 작용하는 탄성블레이드(34)를 구비하며, 감광체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해서 토너회수실(36)에 회수한다.
상기 하우징(2)내의 상부, 즉, 프로세스유닛(14)의 윗쪽에는 광학유닛(38)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광학유닛(38)은 상자모양의 유닛하우징(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40)내에는 레이저광원(도시생략), 소정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다면경(42), 제1의 결상렌즈(44), 제2의 결상렌즈(46), 제1의 반사경(48), 제2의 반사경(50) 및 원통형렌즈(5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광원(도시생략)은 예를 들면 컴퓨터에서 출력된 화상정보에 따른 레이저광을 화전다면경(42)를 향해서 조사한다. 상기 회전다면경(42)으로 반사된 레이저광은 제1도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결상렌즈(44) 및 제2의 결상렌즈(46)를 지나서 제1의 반사경(48)에 이르고, 상기 제1의 반사경(48) 및 제2의 반사경(50)에서 반사된 후 다시 원통형렌즈(52)를 지나서 투사구역(54)에서 회전드럼(18)의 표면에 투사된다.
상기 하우징(2)내의 하부, 즉, 프로세스유닛(14)의 아래쪽에는 전체를 번호(56)로 나타내는 반송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반송수단(56)은 한 쌍의 반송롤러(58), 안내판(60), 안내판(62), 한 쌍의 정착롤러(64), 안내고리(66) 및 한쪽의 반송롤러(68)을 구비하며, 이들에 의해 기록지와 같은 시트부재를 반송하는 반송경로(69)의 주요부를 규정한다. 구체예에서는 반송경로(69)의 상류 단부는 둘로 분기되어 있으며, 그 분기된 한쪽은 직선모양으로 제1도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뻗으며, 그 상류단부에는 수동공급수단(70)이 배치되어 있으며, 또 분기된 다른쪽은 만곡되어 아래쪽으로 뻗으며, 그 상류단부, 즉, 상세하게는 반송수단(56)의 아래쪽이며, 장치하우징(2)내의 저부에는 자동공급수단(72)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수동공급수단(70)은 제1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제4도에 나타내는 공급위치와 윗쪽으로 선회시킨 제1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수납위치의 사이를 선회 가능한 테이블(7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테이블(74)의 선단 양측부에는 돌기부(75)(제1도에서 한쪽만을 표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75)가 핀(76)을 통해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테이블(74)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한다. 상기 수동공급수단(70)을 이용할 때에는 테이블(74)은 상기 공급위치에 위치 결정되며, 시트부재는 테이블(74)위에 위치 결정한 후 개구(77)(후술하는 "도입개구"로서도 작용한다)를 통해서 장치하우징(2)내에 도입되고, 안내판(78)의 하면과 하부하우징(4)의 벽(80)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돌조(82)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를 지나서 한 쌍의 반송롤러(58)에 인도된다. 그리고 도시한 자동공급수단(72)은 시트부재가 적층상태로 장전되는 카세트(8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84)는 하우징(2), 즉, 상세하게는 하부하우징(4)의 제1도에 있어서 좌측면에 형성된 개구(86)를 통해서 하우징(2)의 저부에 규정된 카세트 받이부(8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받이부(8)의 윗쪽에는 공급롤러(9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롤러(90)가 화살표(9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카세트(84)내의 시트부재가 1매씩 송출되며, 이렇게 송출된 시트부내는 하부하우징(4)의 벽(94)에 형성된 안내돌조(96) 및 벽(80)에 형성된 안내돌조(82)의 안내되어서 반송롤러(58)에 인도된다. 그리고, 반송경로(69)의 하류단부도 둘로 분기되어 있으며, 이것에 관련해서 개폐하우징(6)의 일부, 개폐부(98)가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의 위치(제4도에 나타낸 위치)와 제1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제2의 위치의 사이를 핀(99)을 통해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개폐부(98)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한 쌍의 반송롤러(68)에 의해서 공급되는 시트부재는 다시 윗쪽으로 반송되어, 개폐부(98)와 개폐하우징(6)의 벽(100)의 사이를 지나서 한 쌍의 배출롤러(102)에 인도되며, 이 배출롤러(102)의 작용에 의해 하우징(2)의 한쪽 단부(제1도에서 좌단부)의 상단부에 규정된 송출개구(103)를 통해서 하우징(2)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개폐부(98)가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한 쌍의 반송롤러(68)의 의해 송급되는 시트부재는 윗쪽으로 반송되는 일없이 직접하우징(2) 밖으로 배출되고, 개폐부(98)의 내면(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 윗면)에 받아들여 진다. 제1도를 참조해서 상기 레이저빔프린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드럼(18)이 화살표(20)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사이에 대전용 코로나방전기(22)가 회전드럼(18)의 감광체를 대전하고, 이어서 투사구역(54)에서 광학유닛(38)의 레이저광원(도시생략)으로 부터의 레이저광이 감광체상에 투사되며, 감광체 표면에 화상정보에 대응해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런 후에 현상장치(24)의 자기브러시기구(30)가 감광체상의 정전잠상에 토너처리를 하여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고, 이렇게 해서 대전용 코로나방전기(22), 광학유닛(38) 및 현상장치(24)로 이루어지는 화상 형성수단의 작용에 의해 회전드럼(18)위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수동공급수단(70) 또는 자동공급수단(72)에서 반송경로(69)에 공급되는 시트부재가 전사구역(32)에서 감광체에 접촉되어 전사용 코로나방전기(26)의 작용에 의해 감광체 위의 토너상이 시트부재에 전사된다. 상기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부재는 회전드럼(18)에서 박리되어 한 쌍의 장착롤러(64)에 반송되고, 그 장착롤러(64)의 작용에 의해서 토너상이 시트부재의 표면에 정착된다. 상기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부재는 한쌍의 반송롤러(68)에 반송되어 개폐부(98)가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대로 개폐부(98)위에 배출된다. 상기 시트부재가 상기 개폐부(98)위에 배출될 때에는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된 면을 위로해서 배출된다. 이에 대해, 개폐부(98)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반송롤러(68)에 반송된 시트부재는 개폐부(98)와 벽(100)의 사이를 지나서 더욱 윗쪽으로 반송되어 한 쌍의 배출롤러(102)의 작용에 의해 개폐하우징(6)에 설치된 받이부(104)를 향해서 배출된다.
시트부재가 이와 같이 배출될 때에는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된 면을 아래로 하여 배출된다. 한편, 회전드럼(18)은 다시 회전을 계속하여 크리닝장치(28)의 작용에 의해 감광체 상에 잔류하는 토너가 제거된다. 제1도와 함께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해서 도시한 레이저빔프린터는 다시, 송출개구(103)에서 송출된 시트부재를 선택적으로 반송경로(69)를 통해서 재차 반송시키기 위한 재도입 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재도입 반송수단은 장치하우징(2) 밖으로 송출개구(103)로부터 송출된 시트부재를 도입개구로써 작용하는 개구(77)에 인도하는 재도입 반송경로를 규정하고 구체예에 있어서 장치하우징(2)의 타난부(제1도와 제4도에서 우단부)의 상단부에 배치된 공급롤러기구(106)를 구비하며, 또 받이부(104)에 장착된 보조받이체(108) 및 장치하우징(2)에 장착된 커버체(110)를 포함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받이부(104)는 상기 벽(100) 및 그 벽(100)의 하단부에서 제1도와 제4도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향해서 윗쪽으로 경사지게 뻗는 경사벽(112)에 의해 규정되고, 경사벽(112)에 의해 규정된 받이면은 장치하우징(2)와 상기 한쪽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서 거의 45도 윗쪽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으며, 보조받이체(108)는 상기 받이부(104)의 상단부(제1도 및 제4도에서 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보조받이체(108)는 받이플레이트(114)를 구비하며, 이 받이플레이트(114)의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돌출부(116)(제1도 및 제4도에서 한쪽만 표시)가 핀(118)을 통해서 경사벽(112)의 산단부에 화살표(120) 및 (122)(제4도)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보조받이체(108)는 제4도에 나타낸 제1의 위치와 제1도에 나타낸 제2의 위치의 사이를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제1의 위치까지 선회하면 받이플레이트(114)에 형성된 1쌍의 지지안내돌조(124)가 개폐하우징(6)의 윗벽(125)에 맞닿으므로서 화살표(120)로 나타내는 방향의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또 제2의 위치까지 선회하면 플레이트(114)가 경사벽(112)의 일부에 맞닿으므로서 화살표(112)로 나타내는 방향의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받이체(108)는 받이부(104)의 시트부재 배출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그 한쪽면(제4도에서 좌측면)은 경사벽(112)의 타단부에서 다시 제4도에서 우측을 향해서 윗쪽에 직선형상으로 경사지게 뻗어 상기 도입 반송경로를 차단한다. 한편,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받이체(108)는 받이부(104)의 상단부 윗쪽에 위치하고, 그 다른면 특히 지지안내돌조(124)의 안내면(124a)는 경사벽(112)의 윗쪽에서 제1에서 우측을 향해서 윗쪽으로 직선형상으로 경사지게 뻗어, 상기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에 있어서의 한쪽 즉, 아래쪽을 규정한다. 그리고, 커버체(110)는 장치하우징(2)의 상기 타단부(제1도와 제4도에서 우단부)의 상단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커버체(110)는 플레이트형이며, 제1도에서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부가 약간 구부러져 있다. 상기 커버체(110)의 기부 양단부에는 돌기부(126)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돌기부(126)가 핀(128)을 통해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제2도 참조). 또한, 커버체(110)의 자유단부에는 정지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부(130)의 선단부에서 또 파지돌출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파지돌출부(123)를 손으로 파지하는 것에 의해서, 이 커버체(110)를 화살표(132) 및 (136)(제4도)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체(110)를 화살표(134)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선회시켜서, 제4도에 나타낸 개방위치에 위치 결정하면 레이저빔프린터에 인접해서 소터(후술함)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체(110)윗면이 소터의 일부에 맞닿으므로서 화살표(134)로 나타내는 방향의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한편, 커버체(110)를 화살표(136)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선회시켜서 제1도에 나타내는 폐쇄위치에 위치 결정하면 커버체(110)의 정지부(130)가 개폐하우징(6)의 윗벽(138)에 맞닿으므로 화살표(136)으로 나타내는 방향의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이러한 폐쇄위치에 있어서는 커버체(110)는 받이부(104)의 윗쪽을 덮어서, 먼지 등이 받이부(104)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공급롤러기구(106)는 구동롤러(140)과 그 구동롤러(140)와 협동해서 시트부재를 하류측으로 공급하는 종동롤러(1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롤러(140)는 장치하우징(2)의 상기 타단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개폐하우징(6)의 윗벽(125)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약간 윗쪽으로 돌출 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140)는 클러치수단 등을 통해서 레이저빔프린터의 구동원에 구동 연결되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종동롤러(142)는 커버체(110)의 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롤러(142)가 이와 같이 장착되어 있는 것과 관련해서 커버체(110)의 기부는 산 모양으로 약간 윗쪽으로 돌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돌출 하므로서 생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종동롤러(14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커버체(110)가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종동롤러(142)는 그 구동롤러(140)의 윗쪽에 위치해서 이것과 협동해서 공급롤러기구(106)는 공급상태가 된다. 한편, 커버체(110)를 상기 개방위치로 하면, 종동롤러(142)는 구동롤러(140)으로부터 윗쪽으로 간격이 벌어져서 종동롤러(142)와 구동롤러(140)의 사이가 해방되어 공급롤러기구(106)는 비공급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공급롤러기구(106)에 관련해서 커버체(110)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구동롤러(140)을 회전시키는 클러치수단(도시생략)이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치하우징(2)의 윗쪽에 있어서 한쪽단부(제1도에서 좌단부)에서 타단부(제1도에서 우단부)까지 거의 수평으로 뻗는 재도입 반송경로의 상류측부는 그 한쪽(하측)이 보조받이체(108) 특히 지지 안내돌기(124), 위벽(125) 및 구동롤러(140)에 의해 규정되며, 그 다른쪽(윗쪽)이 커버체(110) 및 종동롤러(142)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도시한 재도입반송수단은 또 개폐하우징(6)의 타단부(제1도와 제4도에서 우단부)에 존재하는 벽(144)과 그 외측에 배치된 안내벽(14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내벽(146)의 양측단부에는 안내돌조(148)(제1도와 제4도에서 한쪽만 표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내돌조(148)가 벽(144)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벽(146)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144)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으로 그 상하방향의 거의 중앙부까지 뻗어 있다.
구체예에서도 또 수동공급수단(70)에 있어서의 테이블(74)가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74)의 윗면(제1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제4도 나타낸 상태에서 윗면)에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쌍의 안내돌조(150)(제1도와 제4도에서 한쪽만을 표시)가 설치되어 있고, 또 그 선단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접합편(15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블(74)이 상기 공급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접합편(152)가 하부하우징(4)의 벽(80)의 외면에 맞닿으므로 상기 공급위치를 넘는 아래쪽으로의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이러한 공급위치에 있을 때에는 1쌍의 안내돌조(150)의 한쪽의 시트부재를 인도하기 위한 안내수단으로서 작용하고, 테이블(74)을 위헤 위치 결정된 시트부재는 안내돌조(150)를 따라 개구(77)를 통해서 장치하우징(2)내에 도입된다. 한편 테이블(74)을 윗쪽으로 선회시켜서 상기 수납위치로 하면, 1쌍의 안내돌조(150)가 개폐하우징(6)의 벽(144)의 외면에 맞닿으므로 상기 수납위치를 넘는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또한 도시 생략 되었으나, 테이블(74), 즉 예를 들면 안내돌조(150) 및 벽(144)의 어느 한쪽에 영구자석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에 상기 영구자석에 흡착되는 철편을 설치하고, 상기 수납위치로 하면 철편이 영구자석에 자기적으로 흡착되어 테이블(74)이 상기 수납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치하우징(2)의 제1도에 있어서, 오른쪽에서 상하방향으로 거의 수직으로 뻗는 재도입 반송경로의 하류측부는 그 한쪽(제1도에서 좌측)이 벽(144)에 의해서 규정되고, 그 다른쪽(제1도에서 우측)이 안내벽(146) 및 테이블(74)에 의해서 규정되고, 이러한 하류측부를 통해서 반송되는 시트부재의 양측가장자리는 안내벽(146)에 형성된 1쌍의 안내돌조(148) 및 테이블(74)에 형성된 1쌍의 안내돌조(150)를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구체예에서는 재도입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된 시트부재를 개구(77)를 통해서 하우징(2)내에 도입하기 위해 도입설편(15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입설편(154)은 하부하우징(4)의 벽(8)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벽(80)의 외면으로부터 제1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도입설편(154)에 관련해서 테이블(74)의 선단부에는 수용오목부(156)가 형성되어 있다(제1도).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74)이 상기 공급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입설편(154)는 수용오목부(156)내에 위치해서 테이블(74) 위를 이동하는 시트부재를 개구(77)에 인도한다. 한편, 테이블(74)을 상기 수납위치로 하면, 도입설편(154)는 상기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해서 재도입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되어온 시트부재를 개구(77)로 인도한다. 상기 레이저빔프린터의 제1도와 제4도에 있어서 오른쪽에는 소터(160)가 배치되며, 재도입반송 경로를 통해서 반송되는 시트부재가 소터(160) 또는 하우징(2)의 다른 면의 상하방향 중간부(벽 144과 벽 80의 사이)에 규정된 개구(77)에 선택적으로 인도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와 함께 제2도를 참조해서 도시한 소터(160)은 저벽(162) 및 저벽(162)에서 윗쪽으로 뻗는 1쌍의 측벽(164)(제1도에서 한쪽만을 표시)로 이루어진 지지틀체(16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틀체(166)는 도시 생략된 지지기구에 의해서 제1도에 나타낸 위치로 유지된다. 1쌍의 측벽(164)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빈트레이(168)가 배치되어 있다. 빈트레이(168)의 일단부(제1도에서 좌단부)는 지시기둥(17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면, 또한 그 타단부는 지지부재(172)의 지지돌출부(174)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빈트레이(168)의 일단부에는 또 도시 생략된 승강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기구는 복수개의 빈트레이 (168)의 일단부를 차례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소터(160), 즉, 지지틀체(166)의 제1도에서 좌측면에는 도입개구(176)가 규정되어 있다. 상기 도입개구(176)는 공급롤러기구(106)에 거의 대향해서 위치하고, 상기 도입개구(176)를 통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입된 시트부재는 한 쌍의 안내판(178), 한 쌍의 도입롤러(180) 및 한 쌍의 안내판(182)에 의해 규정된 도입경로를 지나서 복수개의 빈트레이(168)의 어딘가에 받아들여진다. 장치하우징(2)의 제1도에서 상기 타단부 상단에는 시트부재의 공급방향을 전환하는 경로 전환수단(184)이 설치되어 있다. 주로 제2도, 제3(a)도 및 제3(b)도를 참조해서 경로전환수단(184)은 원호모양의 전환안내판(18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환안내판(186)의 양단부에는 지지플레이트(18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88)의 일단부가 장치하우징(2)내에 설치된 단축(190)을 통해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관련해서 상부 개폐하우징(6)의 벽(144)의 상단부에는 가늘고 긴 개구(192)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192)를 통해서 지지플레이트(188)가 필요한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환안내판(186)은 제3(b)도에 나타내는 제1위치(제1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제2도에서 나타내는 위치)와, 제3(b)도에 나타내는 제2의 위치(제1도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제4도에서 나타내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되며, 이러한 전환은 예를 들면 전자솔레노이드를 작동 제어하므로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전환안내판(186)은 벽(125)의 윗쪽으로 돌출되어 소터(160)의 도입개구(176)를 차단하여 공급롤러기구(106)의 작용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부재를 아래쪽으로 만곡시켜서 벽(144)과 안내벽(146)의 사이에 인도한다.
한편,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전환안내판(186)은 벽(125)의 아래쪽으로 후퇴하고, 이러한 후퇴를 허용하기 위해 벽(144)에는 전환안내판(186)에 형성된 안내돌출부(186a)를 받아들이는 개구(194)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롤러 기구(106)의 작용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부재에 실질적으로 작용하는 일없이 이 시트부재의 소터(160)에의 공급을 허용한다. 이러한 레이저빔프린터에 있어서 시트부재의 한쪽면에 중첩해서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받이체(108)가 제2의 위치에 커버체(110)가 폐쇄위치에 또한 테이블(74)이 수납위치에 그리고 전환 안내판(186)이 솔레노이드 작용에 따라 제1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한쌍의 배출 롤러(102)의 작용에 의해서 송출개구(103)에서 송출된 시트부재는 재도입 반송경로, 즉, 상세하게는 한쪽이 보조받이체(108), 위벽(125) 및 벽(144)에 의해 규정되며, 다른쪽이 커버체(110), 전환 안내판(186), 안내벽(146), 테이블(74) 및 도입설편(154)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재도입반송경로를 지나서 송급롤러기구(105)의 작용을 받아 도입개구로서 작용하는 개구(77)를 통해서 하우징(2)내에 도입된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출개구(103)에서 송출되는 시트부재는 화상이 형성된 한쪽면을 아래로 해서 배출되고, 이러한 시트부재가 재도입 반송경로를 통해서 개구(77)에서 도입되었을 때에는 화상이 형성된 상기 한쪽면을 위로해서 도입되고, 이와 같이 도입된 시트부재가 다시 반송경로(69)를 통해서 반송된다. 상기 시트부재가 이와 같이 재반송되면, 전사구역(32)에서 회전드럼(18)의 감광체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이 시트부재의 상기 한쪽면에 전사되며, 이렇게 시트부재의 화상이 형성된 상기 한쪽면에 겹치게 화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겹치게 화상이 형성된 시트부재는 다시 상기한 바와 같이 송출개구(103)를 통해서 장치하우징(2) 밖으로 송출된다. 상기 전환 안내판(186)은 시트부재가 재도입반송경로를 통해서 장치하우징(2)내에 도입된 후 전자 솔레노이드작용에 따라 상기 제2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송출된 시트부재는 보조받이체(108)와 커버체(110)의 사이를 지나서 소터(160)에 공급되어 필요한대로 분류된다. 한편, 시트부재의 한쪽면에 중첩되게 화상을 형성함이 없이 직접소터(160)으로 공급될 때에는 보조받이체(108)가 제2의 위치에 커버체(110)가 폐쇄 위치에 그리고 전환안내판(186)이 제2의 취에 위치 결정된다. 이때에는 송출개구(103)에서 송출된 시트부재는 전환안내판(186)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만곡되는 일없이, 보조받이체(108)와 커버체(110)의 사이를 지나서 직접소터(160)에 인도된다. 또한, 시트부재를 받이부(104)에 받아들여졌을 때에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받이체(108)가 제1의 위치에 또한 커버체(110)가 개방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때에는 송출개구(103)에서 송출된 시트부재는 공급롤러기구(106)에 인도되는 일이 없고, 받이부(104)에 배출된 후 경사벽(112)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받이부(104)위체 필요한 대로 받아들여진다.
[제2의 구체예]
다음에 제5도를 참조해서 레이저빔프린터의 제2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현편상 제1의 구체예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번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2의 구체예에서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하우징(2)의 우단부에도 보조롤러기구(200)가 배치되어 있다. 동시에 보조롤러기구(200)는 구동롤러(202)와 구동롤러(202)와 협동하는 종동롤러(20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롤러(202)는 장치하우징(2)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레이저빔프린터의 구 동원(도시생략)에 클러치수단 등을 통해서 구동 연결되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상기 구동롤러(202)는 개폐하우징(6)의 벽(144)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제5도에 있어서 약간 오른쪽으로 돌출 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롤러(204)는 벽(144)의 외면에 설치된 1쌍의 지지돌출부(206)(한쪽만 표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롤러기구(202)는 벽(144)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배치되며, 도입개구로서 작용하는 개구(77)를 향해서 아래쪽으로 반송되는 시트부재를 구동롤러(202)와 종동롤러(204) 사이에 몰려서 다시 하류측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2의 구체예에서는 레이저빔프린터의 제5도에 있어서 오른쪽에는 소터(26)과 공급수단(208)을 구비한 보조유닛체(210)가 배치되며, 이러한 보조유닛체(210)의 일부가 재도입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시한 보조유닛체(21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1쌍의 지지기판(212)(한쪽만을 표시)를 가지고, 이러한 지지기판(212)의 하부에 공급수단(208)이 배치되고, 또한 그들의 상부에 소터(16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지지기판(212)의 제5도에 있어서 좌단부에는 보조유닛틀(210)의 좌측면을 규정하는 벽(2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벽(214)의 하부에 송출개구(216)이 규정되고 또한 그 상부에 도입개구(176)가 규정되어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벽(214)은 장치하우징(2)의 벽(144)에 대항해서 상하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이러한 벽(214)이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를 규정한다. 또한 공급수단(208)은 받이부(21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세트(220) 및 받이부(218)의 윗쪽에 배치된 공급롤러(2220 구비하며, 공급롤러(222)의 작용에 의해 카세트(220)에서 송출된 시트부재는 안내판(224) 사이를 지나고 송출개구(216)에서 하우징(2)의 개구(77)를 지나서 반송경로에 공급된다.
제2의 구체예에서는 다시 제1의 구체예에 있어서의 도입 설편 대신에 안내판(224)의 한쪽(224a)(하측의 안내판)의 선단부를 개구(77)를 통해서 장치하우징(2)내에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공급수단(208)에서 공급된 시트부재는 이 안내판(224a)에 안내되어 개구(77)를 통해서 확실하게 장치하우징내에 도입되고, 또한 재도입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되는 시트부재는 이 안내판(224a)의 선단부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개구(77)에 확실하게 인도되어 개구(77)를 통해서 반송경로에 공급된다. 이러한 제2의 구체예의 기타의 구성은 제1의 구체예와 실질상 동일하다. 이러한 제2의 구체예에서도 송출개구(103)에서 송출된 시트부재를 개구(77)에 인도하는 재도입 반송경로는 장치하우징(2) 외부에 설치되고, 그 한쪽은 보조받이체(108), 벽(125) 및 벽(144)에 의해 규정되며, 그 다른쪽은 커버체(110), 전환안내판(186), 보조유닛체(210)의 벽(214) 및 안내판(224a)의 일부에 의해서 규정되고, 이 재도입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되는 시트부재는 공급롤러기구(106) 및 보조롤러기구(200)의 작용을 받아 제1의 구체예와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다른 화상형성장치를 레이저빔프린터에 적용해서 설명했으나 본원 발명은 이들의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없이 여러 가지 변형 내지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시트부재를 반송하는 반송경로(69)와, 상기 반송경로(69)를 통해서 반송되는 동안 화상이 형성된 시트부재를 받아들이는 받이부(104)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장치하우징(2)에는 상기 반송경로(69)를 통해서 반송된 시트부재를 반송하기 위한 송출개구(103)와, 시트부재를 상기 장치하우징(2) 내에 도입해서 상기 반송경로(69)에 송급하기 위한 도입개구(77)가 규정되어 있으며, 상기한 송출개구(103)와 상기 도입개구(77)의 사이에는 상기 송출개구(103)를 통해서 송출된 시트부재를 선택적으로 상기 도입개구(77)에 반송하는 재도입 반송수단(184), (144), (146), (148), (186)이 배치되고, 상기 재도입반송수단은 그 장치 하우징(2)의 밖으로 상기 송출개구(103)으로부터 송출된 시트부재를 상기 도입개구(77)에 인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송출개구(103)는 상기 장치하우징(2)의 한쪽단부의 상단부에 규정되고, 상기한 도입개구(77)는 상기 장치하우징(2)의 다른쪽 단부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규정되어 있으며, 상기 재도입 반송수단에 의해서 규정되는 재도입 반송경로는 상기 장치하우징(2)의 윗쪽에서 그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를 향해서 뻗고, 상기 장치하우징(2)의 다른쪽 면 바깥쪽에서 아래쪽을 향해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하우징(2)의 그 다른쪽 면을 상기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에 있어서의 한쪽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하우징(2)의 상기 도입개구(77)의 근방에는 수동용 테이블(74)이 장착되고, 상기 테이블(74)은 그 도입개구(77)로부터 바깥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뻗는 공급위치와 상기 장치하우징(2)의 그 다른쪽면을 따라 거의 수직으로 뻗는 수납위치의 사이를 선회 가능하며, 상기 수납위치에 있을 때에 그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에 있어서의 다른쪽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하우징(2)의 그 다른 면 바깥쪽에는 상기 도입개구(77)에 시트부재를 공급하는 공급수단(208) 및 상기 송출개구(103)로부터 송출된 시트부재를 받아들여서 분류하는 소터(160)를 구비한 보조 유닛체(210)가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유닛체(210)의 일부가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에 있어서의 다른쪽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형성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하우징(2)의 그 타단 상단부에는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되는 경로 전환수단(184)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로전환수단(184)는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송출개구(103)으로부터 송출된 시트부재를 상기 도입개구(77)를 향해서 인도하고,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송출개구(103)으로부터 송출된 시트부재를 소터(160)에의 공급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하우징(2)의 그 타단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송출개구(103)를 통해서 송출된 시트부재를 다시 하류측에 공급하기 위한 송급롤러기구(10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하우징(2)의 타단부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상기 도입개구(77)를 향해서 공급되는 시트부재를 다시 하류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롤러기구(2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받이부(104)에는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보조받이부(108)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받이체(108)는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재도입 반송경로를 차단해서 상기 송출개구(103)으로부터 송출된 시트부재를 받아들이는 보조받이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에 있어서의 한쪽을 규정해서 상기 송출개구(103)으로부터 송출된 시트부재를 상기 도입개구(77)를 향해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하우징(2)에는 그 윗쪽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그 윗쪽을 덮는 폐쇄위치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커버체(1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체는(110)는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보조받이체(108)의 이 제1의 위치에의 위치결정을 허용하고,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재도입 반송경로의 일부에 있어서의 다른쪽을 규정해서 상기 송출개구(103)으로부터 송출된 시트부재를 상기 도입개구(77)을 향해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30002722A 1987-11-30 1993-02-26 화상 형성장치 KR930012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300079 1987-11-30
JP62300079A JPH0721661B2 (ja) 1987-11-30 1987-11-30 画像形成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797A Division KR930006449B1 (ko) 1987-11-10 1988-11-1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269B1 true KR930012269B1 (ko) 1993-12-28

Family

ID=1788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722A KR930012269B1 (ko) 1987-11-30 1993-02-26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1661B2 (ko)
KR (1) KR9300122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8B2 (ja) * 1985-08-29 1994-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手差し可能な両面又は多重画像形成装置
JPS6256232A (ja) * 1985-09-02 1987-03-11 Canon Inc 紙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42668A (ja) 1989-06-05
JPH0721661B2 (ja) 199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449B1 (ko) 화상형성장치
EP0110398B1 (e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US4702587A (en) Shell-type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US74963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rontal discharge of print medium
US5038228A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of printer having scanner unit
JPS5926745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5485244A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with freely openable upper and lower housings
US4705394A (en) Multi-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534322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862441A (en) Image-forming machine
KR930012269B1 (ko) 화상 형성장치
US506200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07258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cess unit which enables a recording sheet jammed in a coveyor path to be easily removed without damage to a photosensitive device.
US5867754A (en) Image-forming machine with detachable developing device
KR930012268B1 (ko) 화상 형성장치
JPH1118432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51438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67272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930012270B1 (ko) 화상 형성장치
JPH05232845A (ja) 現像剤のリサイクル装置
JPS5937558A (ja) 電子写真複写機
JPS62123488A (ja) 静電複写機
JPH01237564A (ja) 画像形成装置
JPH0943953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659574A (ja) トナー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