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168B1 - 원반형 정보 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원반형 정보 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168B1
KR930012168B1 KR1019900006581A KR900006581A KR930012168B1 KR 930012168 B1 KR930012168 B1 KR 930012168B1 KR 1019900006581 A KR1019900006581 A KR 1019900006581A KR 900006581 A KR900006581 A KR 900006581A KR 930012168 B1 KR930012168 B1 KR 93001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t
information recording
track
recording medium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988A (ko
Inventor
유지 시모테
미쯔오 후꾸다
마사후미 오또따께
고우지 신도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 G01R33/1207Testing individual magnetic storage devices, e.g. records carriers or digital storage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11B7/0037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physical defects, e.g. of recording lay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반형 정보 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상기 제2도의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결함데이타를 도시한 모식도.
제4도는 결함데이타의 크기데이타의 부분을 생성하는 회로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회로의 입력으로 되는 게이트 신호의 타이밍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7도는 버스트결함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8도는 결함종류검출부의 주요부의 블럭도.
제9도∼제12도는 게이트 신호의 타이밍도.
제13도는 어드레스 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중 게이트 발생부의 블럭도.
제14도는 결함치수종류데이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결함종류의 코드를 도시한 도면.
제16도, 제17도는 결함종류판정의 흐름도.
제18도는 결함덩어리로의 분류의 처리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19도는 버스트 결함 서브루틴의 흐름도.
제20도는 결함분리 서브루틴의 흐름도.
제21도는 각도 서브루틴의 흐름도.
제22도는 버스트데이타 서브루틴의 흐름도.
제23도는 검사결과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
제24도∼제26도는 결함데이타의 리스트도.
제27도는 검사결과 얻어지는 버스트결함의 리스트.
제28도는 원반형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위에 존재하는 버스트결함을 도시한 모식도.
제29도는 드롭 아우트펄스를 도시한 파형도.
제30도는 종래의 결함검사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1도는 제30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타이밍도.
제32도는 ISO 규격 광디스크의 정보기록영역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함검사장치 2 : 재생장치
3 : 결함검출회로 4 : 어드레스디코드게이트신호발생회로
5 : 길이카운터 6 : 트랙카운터
7 : 각도카운터 8 : 메모리
9 : 컴퓨터 10, 12 : 재생신호
11 : 회전펄스신호
본 발명은 원반형 정보기록매체, 즉 광디스크, 자기디스크, 광자기디스크등의 결함검사,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위 버스트결함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등의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에서 신호는 나선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형성된 트랙에 기록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직선형으로 신호가 기록되는 자기테이프와는 달리, 인접하는 여러개의 트랙에 걸치는 광범위한 결함, 즉 버스트결함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제28도는 원반형 정보기록매체 및 그 버스트 결함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원반형 정보기록매체(51)에 나선형으로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5트랙에 걸친 결함(52a) 및 2트랙에 걸친 결함(52b)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에서 재생신호를 얻는 경우,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P1∼P7의 7개의 드롭아우트펄스가 검출된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원반형 정보매체의 트랙상의 각각의 결함의 수가 검출될 뿐이고, 덩어리형의 소위 버스트결함이 존재하는가 아닌가, 또 그 수, 위치등은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는 작업원이, 예를 들면 현미경등을 사용해서 눈으로 검사하는 일이 많았다.
이와같은 버스트결함을 검출하는 목적으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화 63-27779호의 발명이 제안되었다. 이 특허 공고공보 소화 63-27779호의 발명은 그 회로도가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또 각 부의 신호의 상태는 제31도의 타이밍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제30도에 있어서, (53)은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에서의 재생신호의 입력단자로서, 상기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드롭아우트 펄스가 제3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드롭아우트펄스 a로서 포함되어 있다. 이 드롭아우트펄스 a는 플립플롭(54)에 입력된다.
플립플롭(54)는 입력단자(53)에서 드롭아우트펄스 a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제3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트상태로 되어 그 출력신호 b는 고레벨로 된다.
카운터(55)는 플립플롭(54)가 세트상태로 되어서 그 고레벨의 출력신호 b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단자(56)에서 입력되는 클럭 CL을 계수하고, 그 결과가 소정수, 구체적으로는 드롭아우트펄스 a의 최초의 펄스발생에서 디스크가 1회전하기까지의 시점보다 약간짧은 시간에 해당하는 수에 도달하면, 계수종료신호를 출력한다. 이 계수종료신호가 부여되는 것에 의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57)은 트리거되어서, 제31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정폭의 회전위치펄스 d를 출력한다. 이 회전 위치펄스 d는 플립플롭(58) 및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9)에 부여된다.
회전위치펄스 d가 부여되는 것에 의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9)에서는 제3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 c가 출력되어 플립플롭(54)의 리세트단자에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플립플롭(54)는 제3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세트되어 카운터(55)의 계수가 정지된다. 또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9)가 출력하는 펄스 c는 카운터(60)에도 부여되고 있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7)이 출력하는 회전위치펄스 d가 고레벨인 기간에 재차 다음의 드롭아우트펄스 a'가 입력단자(53)에 입력되면, 플립플롭(54)는 재차 세트되고 카운터(55)가 계수를 개시해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7)의 출력펄스 d의 하강에 동기해서 플립플롭(58)이 세트되어 제31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호 e가 출력된다. 플립플롭(58)은 신호 d와 신호 b에 의해 그 상태가 결정되고, 신호 d의 하강시에 신호 b가 고레벨이면 세트상태로, 신호 d의 하강시에 신호 b가 저레벨이면 리세트상태로 된다.
최초의 드롭아우트에서 디스크가 3회전한 시점에서 드롭아우트가 없어지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9)의 출력펄스 c에 의해 플립플롭(54)가 리세트상태를 계속하고, 플립플롭(58)은 신호 d의 하강과 신호 b의 저레벨에 의해 리세트된다. 플립플롭(58)의 하강에 의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1)에서 제31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드롭아우트 종료신호 f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9)의 출력펄스 c는 카운터(60)에 입력된다. 카운터(60)은 출력펄스 c의 수, 즉 드롭아우트가 있는 연속트랙수를 계수한다. 카운터(60)의 계수값은 게이트회로(66)에 부여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1)의 출력신호는 트리거신호로서 게이트회로(66)에 부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드롭아우트종료신호 f가 출력되면 드롭아우트가 있는 연속트랙수가 게이트회로(66)에서 출력된다.
이 실시예에서 게이트회로(66)은 연속트랙수 자체가 아니라 수의 정도를 출력한다. 게이트회로(66)은 수를 3레벨로 분류하고, 3레벨에 대응해서 단자(66a), (66b) 또는 (66c)에서 신호를 출력한다. 드롭아우트 종료신호 f는 지연회로(68)을 거쳐서 카운터(60)으로 리세트신호로서 부여된다.
이와 같이 일본국 특허 공고공보 소화 63-27779호의 발명에서는 드롭아우트의 발생에 의해 회전위치펄스 d를 생성하고, 이것에 대응해서 드롭아우트펄스 a가 존재하면 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일련의 결함이 덩어리현상으로 집합하고 있는 소위 버스트결합의 존재가 검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공고공보 소화 62-27779호의 발명에서는 동일 트랙상에 여러개의 결함이 어는 정도의 간격을 두고 존재하는 경우, 상기한 구성의 회로에서 동일 트랙상의 결함은 1개 밖에 검출할 수 없으므로, 여러조의 회로를 준비하던가 또는 드롭아우트검출의 타이밍을 조금씩 어긋나게 해서 여러번의 검사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또, 버스트의 크기, 즉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둘레방향의 길이도 검출할 수 없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64-72087호는 자기 디스크의 드롭아우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검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드롭아우트의 각도(둘레방향 위치) 및 지름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들의 위치를 기억하며, 이 기억한 위치정보에 따라서 현미경등의 검사기기에 대향시킨 자기디스크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 버스트결함이라도 단위드롭아우트(데이터 1비트분)마다 자기디스크의 위치를 제어하게 되어 검사효율이 나쁘다.
또, 결함은 물리적 결함과 데이터의 결함이 있고, 이들의 종류는 결함검출후의 처리에 관계하므로 그 식별, 기억이 필요하지만 상술한 2개의 간행물에는 그와 같은 요구에 따르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하 광디스크의 기록포맷을 ISO규격인 5.25인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원반형 정보기록매체(51)에는 나선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트랙이 형성되어 있다.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안둘레쪽에서 차례로 여러개의 트랙단위로 PEP제어트랙(51A), SFP제어트랙(51B), SFP사용자영역(51C), SFP제어트랙(51D)로 구획되어 있다. 각각의 제어트랙은 원방형 정보기록매체(51)의 데이터신호의 기록 재생조건등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SFP사용자영역(51C)는 사용자가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원반형 정보기록매체(51)은 PEP제어트랙(51A)이외의 부분의 각 트랙이 방사형상으로 구획되어서 섹터를 구성하고 있다. 각 섹터는 각각 트랙 및 섹터의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헤더부(50A)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부(50B)로 구성되어 있다. 단, SFP제어트랙(51B), (51D)의 데이터부(50B)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반형 정보기록매체(51)의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SFP사용자영역(51C)의 데이터부(50B)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공장에서의 검사단계에서는 미기록상태이다. 또한, SFP사용자영역(51C)의 데이터부(50B)의 선두측에는 플래그부(50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맷의 원반형 정보기록매체(51)에서는 각 부분에서 결함의 종류 또는 그 검사의 방법이 다르다. 예를 들면 SFP사용자영역(51C)의 데이터부(50B)는 기록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여기에는 데이터결함이 있을 수 없고 물리적 결함뿐이다. 이것에 대해서 SFP사용자영역(51C)의 헤더부(50A)에서는 2종류의 결함이 있을 수 있고, 또 데이터 결함의 경우는 검사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결함이 어느 영역의 것인가의 종류식별도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는 SFP사용자영역에 대해서 헤더부(50A)와 데이터부(50B)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교대로 존재하므로, 전체 트랙에 걸친 헤더부(50)만의 검사와 동데이타부(50B)만의 검사를 합해서 2회 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검사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개별적으로 검출한 1비티의 결함을 그 위치정보에 따라서 결함 덩어리로 모아서 취급하도록 결함 또는 결함 덩어리의 종류를 검지하고 결함, 결함덩어리의 종류, 위치 및 치수의 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서 결함검출을 위한 재생이 1회로 끝나고, 또 그 후의 현미경 검사등에서의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결함검사장치에서는 원반형의 정보 기록매체에서의 재생신호에 의해 결함을 검출하는 수단, 검출된 결함의 종류를 검출하는 수단, 검출된 결함의 지름방향위치 및 둘레방향위치를 검출하는 수단, 검출된 위치에 따라서 결함을 결함덩어리로 나누는 수단, 결함덩어리의 지름방향치수 및 둘레방향치수를 산출하는 수단, 검출된 결함 또는 결함덩어리의 종류, 위치 및 치수를 거억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검사대상의 정보기록매체를 재생장치에 걸어서 재생신호를 얻는다. 재생신호에 따라 결함을 검출하고 동시에 그 종류, 지름방향위치 및 둘레방향위치를 검출한다. 다음에 이들의 검출위치에 따라 접근해 있는 결함을 결함덩어리로서 모으고, 또 그 지름방향, 둘레방향의 치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들 결함, 결함덩어리의 종류, 위치, 치수를 기억한다. 이 기억내용을 사용해서 현미경을 갖고 검사를 실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에서, (2)는 재생장치로서, 도시하지 않은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여 재생신호(10) 및 회전펄스(11)을 출력한다. 재생신호(10)은 결함검출회로(3) 및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 신호발생회로(4)에, 회전펄스(11)은 트랙카운터(6) 및 각도카운터(7)에 부여된다.
결함검출회로(3)은 재생장치(2)에서 부여되는 재생신호(10)에 포함되는 드롭아우트펄스를 검출해서 메모리(8) 및 길이카운터(5)에 부여한다.
어드레스 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회로(4)는 재생장치(2)에서 부여되는 재생신호(10)에 포함되어 있는 어드레스신호에 따라서 각 트랙의 기준위치를 검출하여 트랙어드레스를 트랙카운터(6)에 부여함과 동시에 게이트신호를 생성해서 각도카운터(7)에 부여한다.
길이카운터(5)는 결함검출회로(3)에서 부여되는 결함신호의 길이를 계수하여 메모리(8)에 기억시킨다. 트랙카운터(6)은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회로(4)에서 부여되는 트랙어드레스에 따라서 현재의 재생신호(10)이 기억되어 있는 트랙위치(어드레스)를 검출하고 있다.
또한, 트랙에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원반형 정보기록매체를 재생하는 경우는 재생장치(2)에서 부여되는 회전펄스(11)에 따라서 현재의 재생신호(10)이 기록되어 있는 트랙위치(어드레스)를 검출한다.
각도카운터(7)은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회로(4)에서 부여되는 게이트신호에 따라서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기준위치에서의 회전각도를 계수하고 있다. 즉, 각도카운터(7)은 현재의 재생신호(10)의 기준 위치에서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고 있다.
또한 트랙에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원반형 정보기록매체를 재생하는 경우는 재생장치(2)에서 부여되는 회전펄스(11)에 따라서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기준 위치에서의 회전각도가 계수된다.
메모리(8)은 상기한 결함검출회로(3), 길이카운터(5), 트랙카운터(6), 각도카운터(7)의 검출결과를 기억한다.
또한, 결함검출회로(3), 어드레스디코더 게이트신호 발생회로(4), 길이카운터(5), 트랙카운터(6), 각도카운터(7), 메모리(8)로 결함검사장치(1)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회로구성에서는 재생신호(10)에 드롭아우트 펄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길이 카운터(5)에 의해 그 길이가 카운트되고, 트랙카운터(6)에 의해 트랙, 즉 디스크의 지름방향위치가 검출되고, 각도 카운터(7)에 의해 디스크의 기준위치에서의 각도가 검출된다.
이상의 검출결과는 메모리(8)에 기억되고, 컴퓨터(9)에 의해 처리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반형 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2도에서 제1도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에 있어서, 재생신호(12)는 사용자영역결함검출부(14), 제어트랙영역 데이터 에러검출부(15) 및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 에러검출부(16)에 부여된다.
사용자영역결함검출부(14)는 재생장치(2)에서 부여되는 재생신호(12)에서 SFP사용자영역(51C)의 데이터부(50B)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해서 결함종류검출부(17) 및 크기정보검출부(18)에 부여한다.
제어트랙영역데이타에러검출부(15)는 재생장치(2)에서 부여되는 재생신호(12)에서 PEP제어트랙(51A)의 전체, SFP제어트랙(51B), (51D)의 데이타부(50B)에 기록되어 있는 제어데이타에 포함되는 에러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결함종류검출부(17) 및 크기정보검출부(18)에 부여한다.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은 재생장치(2)에서 부여된 재생신호(12)에 포함되는 SFP제어트랙(51B), (51D) 및 SFP사용자영역(51C) 각각의 헤더부(50A)에서 재생된 어드레스신호를 디코드해서 트랙상의 영역을 특정하고, 그 결과를 트랙위치정보검출부(19) 및 각도 섹터위치정도검출부(20)에 출력함과 동시에 각 정보기록영역에 따라 게이트신호를 생성해서 결함종류검출부(17) 및 크기정보검출부(18)에 출력한다.
또,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은 각각의 헤더부(50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에 포함된 에러의 검출도 실행하고, 그 결과를 결함종류검출부(17) 및 크기정보검출부(18)에 부여한다.
결함종류검출부(17)은 사용자영역결함검출부(14), 제어트랙 영역데이타 에러검출부(15) 및 어드레스 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에서 부여되는 결함검출의 결과 및 게이트신호에서 각각이 어떠한 종류의 결함(에러)인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메모리(8)에 기억시킨다.
크기정보검출부(18)은 결함종류검출부(17)과 마찬가지로 부여된 결함검출의 결과에서 각각의 결함(에러)의 크기를 검출하여 메모리(8)에 기억시킨다. 트랙위치정보검출부(19)는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에서 부여되는 어드레스디코드의 결과에서 결함(에러)이 존재하는 트랙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8)에 기억시킨다.
각도 섹터위치정보검출부(20)은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 에러검출부(16)에서 부여되는 어드레스디코드의 결과에서 결함(에러)가 존재하는 원반형정보기록매체상의 기준위치에서의 각도 및 섹터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8)에 기억시킨다.
메모리(8)은 상기한 결함종류검출부(17), 크기정보검출부(18), 트랙위치정보검출부(19) 및 각도섹터위치정보검출부(20)의 검출결과를 기억한다.
또한, 사용자영역결함검출부(14), 제어트랙 영역데이타 에러검출부(15),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 결함종류검출부(17), 크기정보검출부(18), 트랙위치정보검출부(19), 각도 섹터위치정보검출부(20) 및 메모리(8)로 결함검사장치(1)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회로구성에서는 재생신호(12)에 결함(에러)에 기인하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것이 SFP 사용자영역(51C)의 데이타부(50B)의 결함에 기인하는 것이라면 사용자영역결함검출부(14)에 의해, SFP 제어트랙(51B), (51D)의 데이타부(50B) 및 PEP 제어트랙(51A)의 에러에 기인하는 것이라면 제어트랙 영역데이타 에러검출부(15)에 의해, 각 트랙(51B), (51C), (51D)의 헤더부 (50A)의 에러에 기인하는 것이라면 어드레스 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에 의해 각각 검출되며, 또 결함종류검출부(17)에 의해 결함(에러)의 종류가, 크기 정보검출부(18)에 의해 그 크기가 각각 검출되어서 메모리(8)에 기억된다. 메모리(8)의 기억내용은 컴퓨터(9)에 의해 처리된다.
제3a도 및 b도는 메모리(8)에 기억되는 결함데이타의 내용을 도시한 모식도로서, 하나하나의결함(에러)에 대해서 이 결함데이타가 메모리(8)에 기억된다.
결함데이타는 48비트 구성이고, PEP 제어트랙(51A) 이외에 관해서는 각각 16비트의 크기데이타, 각도섹터데이타 및 트랙데이타로 구성된다.
크기데이타는 결함종류검출부(17) 및 크기정보검출부(18)의 검출결과이고, 각도섹터데이타는 각도섹터 위치정보검출부(20)의 검출결과이고, 트랙데이타는 트랙위치정보검출부(19)의 검출결과이다.
크기데이타는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트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MSB(최상위비트)측의 4비트(제C∼제F비트) 및 LSB(최하위비트)측의 4비트 (제0∼제3비트)의 합계 8비트를 사인비트로 하고, 이들에게 결함종류검출부(17)에 의해 검출된 결함(에러)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며, 다른 8비트에 크기정보검출부(18)에 의해 검출된 크기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제4도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함데이타의 크기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도시한 회로도로서, 제2도에 도시한 블럭도의 결함종류검출부(17)과 크기정보검출부(18)을 합친 구성이다. 이 회로의 각 입력은 사용자 영역결함검출부(14), 제어트랙영역 데이타에러검출부(15) 및 어드레스 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의 출력이고, 출력은 결함데이타의 16비트의 크기데이타이다. 이중의 제0∼제3 및 제C∼제F비트이 합계 8비트가 사인비트이다.
제5도는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에서 출력되어 상기 제4도에 도시한 회로의 입력으로 되는 게이트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제5a도는 SFP 사용자영역(51C)의 1섹터의 재생신호를 도시하고 있으며, 헤더부(50A), 플래그부(50C), 데이터부(50B) 및 버퍼영역의 순으로 재생된다. 그리고, 헤더부(50A)에 대응해서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부 게이트신호가, 플래그부(50C)에 대응해서 제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그부 게이트 신호가, 데이터부(50B)에 대응해서 제5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부 게이트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또, 제5e도는 원반형 정보기록매체(51)의 지름방향의 재생신호를 도시하고 있으며, PEP 제어트랙(51A)(PEP), SFP 제어트랙(51B)(C/D), SFP 사용자영역(51C)(USER), SFP 제어트랙(51D)(C/D)의 순으로 재생된다. 그리고 SFP 사용자영역(51C)가 재생되는 동안만 제5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롭아우트/제어데이타가 고레벨로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검사대상의 광디스크(도시하지 않음)는 재상장치(광디스크드리이브)(2)에 장착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아날로그의 재생신호는 결함치수정보검출(23) 및 A/D 변환기(24)에 입력된다. 결함치수정검출부(23)은 결함의 치수를 검출해서 이것을 결함종류검출부(17)에 부여한다. A/D 변환기는 입력된 아날로그재생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이 재생데이타는 제어트랙에러검출부(25) 및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에 입력된다. 제어트랙에러검출부(25)는 PEP 제어트랙(51A)의 전체, SFP 제어트랙(51B), (51D)의 데이터부(50B)에 기록되어 있는 제어데이타에 포함되는 에러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결함종류검출부(17)에 부여한다.
결합종류검출부(17)은 결합치수검출부(23), 제어트랙에러검출부(25) 및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에서 부여되는 결합검출의 결과 및 게이트 신호에서 결함의 치수, 종류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메모리(8)에 기억시킨다.
컴퓨터(9)는 메모리(8)에 기억된 결합, 에러의 데이터를 리드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결함덩어리를 검출하고, 또 검출 대상인 광디스크의 현미경에 의한 검사를 위한 X-Y 스테이지의 위치제어등을 실행한다.
결함치수검출부(23), A/D변환기(24), 제어트랙에러검출부(25),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 결함종류검출부(17), 트랙위치정보검출부(19), 각도섹터위치정보검출부(20), 메모리(8), 컴퓨터(9)로 본 발명의 결함검사장치(1)이 구성된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결함 치수정보검출부(23)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도는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위에 존재하는 버스트 결함의 확대모식도이다.
디스크(28)은 도면상에서 아래쪽이 회전중심, 위쪽이 바깥가장자리부이다. 이 디시크(28)에는 다수의 트랙 T가 형성되어 있고, 제7도에는 1예로서 제11트랙 T11∼ 제21트랙 T21이 도시되어 있다.
(27)은 버스트결함으로서, 이 예에서는 디스크(28)의 제13트랙 T13에서 제20트랙 T20까지 걸쳐 있다.
따라서 횡단트랙수는 8, 트랙중심은 제17트랙 T17로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재생장치(2)에 의해 제20트랙 T20이 재생되고 있다고 하면, 도면에서 사선을 부가한 결함부분의 둘레방향 길이정보가 결함치수정보검출부(23)에서 얻어진다. 결함치수정보검출부(23)은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결함에 기인하는 신호를 검출해서 드롭아우트펄스를 얻는 드롭아우트펄스 발생회로(23a)와 각 드롭아우트 펄스의 길이를 클럭수로서 계수하는 카운터(23b)를 구비하고 있다.
카운터(23b)의 계수값은 결함의 둘레방향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결함종류검출부(17)의 선택회로(17a)(제8도)에 비트 0, 1, 2∼A, B로서 부여된다.
제9도는 SFP 사용자영역(51C)의 1섹터분의 데이터 포맷(a) 및 게이트신호, 에러신호(b)∼(h)를 예시하고 있다.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의 게이트발생부(제13도)는 이 입력으로부터 각종 게이트신호를 발생한다.
제9b도는 제어트랙(51B), (51D)의 게이트신호로서 SFP 사용자영역(51C) 재생시에는 "L"로 되어 있다. 이 게이트신호는 제8도에 도시한 결함종류검출부(17)의 선택회로(17a), (17b), (17c)에 부여된다. 제9c도에 도시한 헤더게이트는 헤더영역을 재생하고 있는 동안 "H"로 되고, 이것은 결함종류검출부(17)에 비트 F로서 입력된다. 제9d도에 도시한 플래그 게이트는 데이터영역의 앞부분에서만 "L"레벨로 된다. 이 게이트신호는 결함종류검출부(17)에 비트 E로서 부여된다. 제9e, f도는 제어트랙에서의 데이타 에러 및 제어트랙에서의 데이타영역의 SYNC, RESYNC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고,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의 에러가 없는 경우는 "L" 그대로이다. 이들 신호는 제어트랙에러 데이타검출부(25)에서 출력된다. 양 에러신호는 결함종류검출부(17)에 비트 D, C로서 부여된다.
또 SFP 사용자영역(51C)에서 그 데이터영역에 결함이 있었던 경우는 제9g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타이밍에서, 또 플래그영역부에 결함신호 0, 1, 2,… A, B가 있었던 경우는 제9h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그 타이밍에서 펄스가 나타난다. 이들 치수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트 0∼B로서 결함종류검출부(17)에 입력된다.
제10도는 다른 에러발생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헤더 영역의 패리티 체크영역 PA에서 CRC(Cyclic Reduducy Check)의 에러를 나타내는 신호가 얻어지면 CRC1, CRC2, CRC3 또는 SM 에러를 나타내는 펄스가 얻어지고 각각 결함종류검출부(17)의 비트 3, 2, 1, 0에 부여된다. 이 헤더영역의 에러는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의 헤더에러검출부에 의해 검출된다.
제11도는 제어트랙에 데이터에러가 있었던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제이게이트신호는 제1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레벨로 되어 있다. 제어트랙에러검출부(25)는 SFP 제어트랙(51B) 또는 (51D)에 에러가 있으면 이것을 검출해서 제11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을 결함종류검출부(17)의 비트 D에 부여한다. 플래그영역에 결함이 있는 경우(제11h도)는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또 데이타영역에 결함이 있는 경우(제11g도)는 2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고레벨로 된다.
제12도는 같은 SFP 제어트랙의 SYNC, RESYNC에서 에러가 있었던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이 경우는 SYNC 및 RESYNC의 영역에서 고레벨의 신호가 나타나는 것 이외에는 제11도의 경우와 같다.
제13도는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중 게이트발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A/D 변화기(24)의 출력인 디지털의 재생데이타는 이 게이트발생부의 섹터마크(SM) 검출부(16a) 및 어드레스마크(AM) 검출부(16b)에 부여되고, 섹터마크검출부(16a)는 SFP 사용자영역(51C), SFP 제어영역(51B), (51D)의 헤더영역에 있는 섹터마크를 검출하고, 검출이 되지 않거나 섹터마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SM 에러신호를 발생한다. 이것은 제8도,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 0으로서 선택회로(17b)에 부여된다. SM 검출부(16a)가 섹터마크 SM을 검출하면, 이것에 의해 섹터카운터(16C)를 리세트하고, 이것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클럭계수를 시작한다. 계수값은 게이트발생부(16d)에 입력되고, 게이트발생부(16d)는 이 계수값에 따라 헤더 게이트신호, 플래그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게이트 신호는 선택회로(16e)에 부여된다.
한편, 어드레스 마크검출부(16b)가 출력한 어드레스 마크는 어드레스복조부(16f)에 입력되고, 여기에서 어드레스데이타가 얻어져서 결함종류검출부(17)에 부여된다. 또 어드레스는 CRC 체크부(16h)에서 그 체크가 실행된다. 그 체크의 결과 에러가 존재하면 CRC 에러신호(CRC 1,2,3)이 출력되어서 결함종류검출부(17)에 부여된다. 게이트발생부(16g)는 그 어드레스마크에서 제어영역(51B), (51D)인가, 사용자영역(51C)인가를 조사하고, 전자의 경우는 "H"로 되는 제어트랙 게이트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이 선택회로(16e)를 거쳐서 결함종류검출부(17)에 입력된다. 선택회로(16e)에는 검출대상의 광디스크가 포맷된 것인가 아닌가(미포맷인가)를 나타내는 신호가 부여되고, 이것에 의해 헤더게이트신호, 플래그게이트신호, 제어트랙게이트신호를 선택출력한다.
결함종류검출부(17)은 결함치수검출부(23), 제어트랙에러검출부(25) 및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에서의 입력에 따라서 16비트의 결함치수, 종류의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 16비트의 데이타는 각도, 섹터 위치정보검출부(20)에서의 각도, 섹터로 표시하는 16비트의 데이터 및 트랙위치정보검출부(19)에서의 트랙을 나타내는 16비트의 데이타와 함께 메모리(8)에 기억된다.
제14도는 이 기억데이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4a도는 SFP 사용자영역(51C)에 결함이 있는 미포맷디스크의 예를 나타내고, 상술한 바와 같이 LSB즉 0, 1, 2,…A, B의 12비트의 결함치수의 데이타가 입력되고, MSB측 4비트 C, D, E, F는 모두 0으로 되어 있다.
제14b도는 포맷디스크의 SFP 플래그경역에 결함이 있는 경우의 데이타로서 MSB측 4비트의 데이타가 "0100"으로 되어 있다. 즉, 이 결함에는 플래그게이트가 "H"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14c도는 SFP 헤더영역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MSB측 4비트 "1000"으로 되고, LSB측 4비트는 SM 에러, CRC 1, 2, 3에 각각에 따라서 0, 1, 2, 3 각각이 "1"로 된다. 중간의 8비트는 이 에러의 경우 무의미하고 또 2번재의 16비트는 각도가 아니라 섹터로 되어 있다.
제14d도는 제어트랙의 데이타에러로서, 이 경우 MSB측 4비트는 "0010"으로 된다. 제14e도는 SYNC, RESYNC 에러로서, MSB측 4비트가 "0001"로 되고, SYNC 에러와 RESYNC 에러 각각이 LSB측 2비트로 식별된다. 이들의 경우도 최초의 16비트중 다른 부분의 데이타는 무의미하다.
제15도는 상술한 MSB측 4비트, LSB측 비트의 코드를 정리한 것이다.
다음에 컴퓨터(9)에 의한 데이타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6도, 제17도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결함치수, 종류데이타를 리드한 경우의 결함종류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컴퓨터(9)는 결함데이타를 리드하고,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치수데이타부분을 MSB측에서부터 순차 조사하다. 제F비트가 "1"이면 헤더에러의 서브루틴(제17도)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제F비트가 "0"이고 제E비트가 "1"이면 플래그영역 결함으로 판정하고, 제E비트가 "0"이고, 제D비트가 "1"이면 제어트랙데이타에러라고 판단하고, 제D비트가 "0"이고, 제C비트가 "0"이면 사용자영역결함 또는 미포맷 디스크의 결함이라고 판단하고, 제C비트가 "1"이고, 제0비트가 "1"이면 SYNC 에러라고 판단하고, 제0비트가 "0"이고, 제1비트가 "1"이면 RESYNC 에러라고 판단한다.
헤더에러서브루틴에서는 제0비트가 "1"이면 SM 에러라고 판단하고, 제0비트가 "0"이고 제1비트가 "1"이면 CRC1 에러라고 판단하고, 제1비트가 "0"이고, 제2비트가 "1"이면 CRC2 에러라고 판단하고, 제2비트가 "0"이고, 제3비트가 "1"이면 CRC3 에러라고 판단한다. 컴퓨터(9)는 결함데이타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함의 종류를 판단한다.
다음에 결함데이타에서 결함덩어리로 분류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8도는 그 메인루틴의 흐름도, 제19도∼제22도는 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
메모리(8)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함치수, 종류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다. 제24도는 이 기억정보의 1예를 나타내고, 그 치수(SIZE), 트랙번호(TRACK), 각도(ANGLE)를 나타내고 있다. No.는 정렬번호, CLASS는 치수에 따라서 3단계의 크기로 S, M, L로서 나타낸 것(여기에서는 M), R은 트랙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컴퓨터(9)는 이와 같은 데이타를 리드해서 우선 트랙의 순서(큰 값에서 작은 값의 순)로 결함데이타를 분류한 다음, 파라미터 I를 "1-로 초기화한다(스텝 S1, S2). I는 분류된 결함데이타의 번호이다. 제25도는 분류후의 데이터리스트이다.
[I]를 I번째의 결함데이타가 존재하는 트랙의 번호로 하면 [I+1]-[I]가 "0"이면, 동일 트랙상에 다른 결함 데이타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1"이면, 인접하는 트랙에 결함데이타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이하이면 불연속트랙위에 결함데이타가 존재하는 것, 즉 적어도 트랙 1에 이상은 사이가 떨어져서 2개의 결함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텝 S3에서 [I+1]-[I]를 산출하여 결함은 분류한다)스텝 S3, S4, S5, S6).
컴퓨터(9)는 스텝 S3의 결과 "0" 또는 "-1"인 경우는 모두 그 횟수를 계수하고(스텝 S7,S8), "-2" 이하인 경우는 그때까지 스텝 S5, S8로 연속결함이 검출되고 있으므로, 그 중심의 트랙번호를 기억한다(스텝 S9).
제25도에서 I=1인 경우, [I+1]-[I]는 17133-18411
Figure kpo00001
-2로서 [I]=18411의 트랙의 결함은 불연속트랙상의 결함으로 간주된다.
I=2인 경우는 17132-17133=-1이므로, 연속트랙상의 결함으로 간주된다. 이 상태는 I=20까지 계속된다.
I=21에서는 11954-17114
Figure kpo00002
-2이므로 22번째의 결함은 그것까지의 것과는 불연속의 트랙의 결함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제2∼21번째의 결함이 1개의 결함덩어리로서 인식된다. 스텝 S9에서는 제2번째∼제21번째의 트랙의 중심이 11 또는 12로서 구해져서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22, 23번째 트랙의 결함도 결함덩어리로서 인식된다.
또, 이 예에서는 [I+1]-[I]=0에 해당하는 결함은 없다.
이상의 처리를 컴퓨터(9)는 파라미터 I를 "1"씩 증분하면서 전체 결함데이타에 대해서 실행한다(스텝S10,S11).
다음에 컴퓨터(9)는 파라미터 J를 "1"에 초기화하고 (스텝 S12), 트랙[J](J번째의 트랙)가 연속결함의 중심인가 아닌가를 상술한 스텝 S9에서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에 따라서 판정한다(스텝 S13). "YES"인 경우는 제19도에 도시한 버스트결함 서브루틴(스텝 S14)의 처리가 실행된 다음, "NO"인 경우는 직접 스텝 S15로 처리가 진행된다.
버스트결함서부루틴은, 상세한 것은 다음에 기술하지만 제19도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처리로서, 단적으로는 결함데이타를 갖는 트랙이 연속되어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연속결함트랙의 상, 하한 및 중심트랙과 연속수를 검출한다. 컴퓨터(9)는 이 처리를 파라미터 J를 "1"씩 증분하면서 실행하고(스텝 S16), 종료한 경우는 결함분리 서브루틴을 실행한다(스텝 S17).
이 결합분리서브루틴은 제20도에 흐름도를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다음에 기술하지만, 단적으로 동일 트랙상의 결함을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둘레방향의 각도에 따라 분리하는 처리이다. 즉, 동일 트랙위에 여러개의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그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기존 위치에서의 각도에 의해 1개의 버스트결함을 구성하는가 격리된 결함인가를 검출한다.
컴퓨터(9)는 이 스텝 S17의 결함분리서브루틴의 처리가 종료되면, 결과를 예를 들면 CRT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로 출력한다(스텝 S18).
제19도는 버스트결함서브루틴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우선 컴퓨터(9)는 파라미터 M을 J로 초기 설정하고(스템 S20), [M+1]-[M]이 "-2"보다 작아질때까지 파라미터 M을 "1"씩 증분해가고(스텝 S22), [M+1]-[M]이 "-2"보다 작아지면(스텝 S21), 트랙번호[M]의 트랙을 연속결함트랙의 하한, 즉 최고안둘레트랙으로 한다(스텝 S23).
이 처리는 연속결함, 즉 결함덩어리의 중심에서 순차적으로 트랙번호를 조사해가고, 트랙번호가 2이상 떨어져 있으면 그곳이 결함덩어리의 끝이라고 판정하는 것이다. 번호 2∼21의 결함덩어리에서는, 예를 들어 M=J=12로 하면 [13]-[12]=17122-17123에서 차례로 M을 증분해가고, [22]-[21]=11954-17114
Figure kpo00003
-2로 되므로 M=21을 이 결함덩어리의 최고 안둘레트랙으로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컴퓨터(9)는 파라미터 L을 J로 초기 설정하고(스텝 S24), [L-1]-[L]이 "2"보다 커질때까지 파라미터 L을 "1"씩 증분해가고(스텝 S26), [L-1]-[L]이 "2"보다 커지면(스텝 S25), 트랙번호[L]의 트랙을 연속결함트랙의 상한, 즉 결함덩어리의 최고 바깥둘레트랙으로 한다(스텝 S27).
그리고, 최후에 컴퓨터(9)는 연속결함트랙의 상, 하한 및 중심의 트랙을 기억하고, 또 상, 하한을 사용해서 연속트랙수를 산출기억한다(스텝 S28).
제25도의 예에서는 L=12에서 연산을 하고 L=2로 된 곳에서 [1]-[2]=18411-17133
Figure kpo00004
2로 되어 L=2번째의 트랙을 최고 바깥둘레트랙으로 하는 것이다.
제20도는 결함분리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
우선 컴퓨터(9)는 파라미터 K를 "1"로 초기화하고(스텝 S31), 1번째의 버스트결함(결함덩어리)의 각 트랙의 데이타를 기억하고(스텝 S32), 각도 서브루틴의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3).
각도서브루틴은 제21도에 그 흐름도를 도시하고, 또 다음에 기술하지만, 단적으로는 동일 트랙상에서의 여러개의 결함이 1개의 버스트결함을 구성하는 결함인가 또는 상호 격리된 결함인가는 판정하기 위한 루틴이다.
이 스텝 S33의 각도서브루틴의 처리에 의해 동일 트랙상의 여러개의 결함이 1군의 버스트결함인가, 다른 버스트 결함인가를 판명하므로, 컴퓨터(9)는 파라미터 K를 "1'씩 증분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버스트결합에 대해서 상술한 처리를 실행한 다음(스텝 S35), 리턴한다.
제21도는 각도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
우선 컴퓨터(9)는 동일 결함덩어리, 즉 제 K번째의 버스트결함의 각도(ANGLE)의 순서로 분류한다(스텝 S40). 제26도는 각도의 순서로 분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에 파라미터 N을 "1"로 초기화하고(스텝 S41), 결함분리서브루틴의 스텝 S32에서 처리대상으로 되어 있는 버스트결함에서의 번호 N의 결함의 각도 [N]에 대해서 [N]-[N+1]
Figure kpo00005
0.3°인 사이는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둘레방향으로 연속하는 결함으로 하여 그 결함수를 계수하고(스텝 S42,S43), [N]-[N+1]이 0.3°보다 커지면 번호 N의 결함과 N+1의 결함이 다른 것이라고 하여 버스트데이타서브루틴(스텝 S44)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26도의 예에서는 둘레방향으로 2개의 결함덩어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컴퓨터(9)는 이상의 처리를 파라미터 N이 버스트 결함수에 도달할 때까지 파라미터 N을 계속 "1"씩 증분하여 실행하고(스텝 S45,S46), 파라미터 N이 버스트결함수에 도달한 경우에 리턴한다.
제22도는 버스트데이타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 이 서브루틴에서는 컴퓨터(9)가 버스트데이타의 각도중심, 트랙중심, 연속수, 폭방향치수의 최대값을 기억해서 리턴한다. 각도중심, 폭방향치수는 스텝 S43의 계수결과에 따라서 산출된다.
이상에 의해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에 따라서 컴퓨터(9)는 버스트결함을 검출한다.
제23도에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버스트결함검사의 결과를 나타내고, 검사대상의 원반형 정보기록매체(광디스크) 및 그 정보기록면위에 존재하는 버스트결함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제27도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버스트결함의 리스트이다.
제23도중의 "*"는 버스트결함을, 숫자는 섹터번호를 나타내고, 제27도중의 "SIZE(max)"는 버스트결함의 폭방향 최대치수를, "TRACK(center)"는 버스트결함의 중심의 트랙번호를, "TRACK(center)"는 버스트결함이 기치는 트랙수를, "ANGLE(center)"는 상술한 바와 같인 기준에서 버스트결함의 중심의 각도를, "R"은 중심에서의 거리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결함의 검사가 1회의 재생으로 가능하다. 또, 다수의 1비트 결함을 결함덩어리로 모을 수 있다. 또 결함덩어리의 크기, 위치를 기억하고 있으므로 그후의 현미경등에 의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나선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신호가 기록된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신호에 포함된 결함에 기인하는 신호를 드롭아우트펄스로서 검출하는 결함검출회로(3)을 마련한 원반형 정보 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함검출회로(3)에서 출력되는 드롭아우트펄스의 길이를 검출하는 길이카운터(5), 상기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지름방향에서의 신호재생 위치를 검출하는 트랙카운터(6), 상기 원반형 정보 기록매체의 둘레방향에서의 신호재생 위치를 검출하는 각도카운터(7), 상기 각각의 카운터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드롭아우트펄스가 검출된 트랙의 연속성을 검출하는 수단, 동일 트랙에서 재생된 드롭아우트펄스의 연속성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양 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원반형 정보 기록매체상에 존재하는 덩어리형상의 결함을 검출하는 수단을 마련한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2.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각각의 검출결과를 기억하는 기억수단(8)을 포함하는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3.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트랙에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원반형 정보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장치(2)에서 부여되는 회전펄스(11)에 따라서 현재의 재생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위치를 검출하는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4. 여러개의 정보기록영역이 나선형 또는 동심원형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는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에서 얻어진 재생신호에서 상기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 및 에러를 검사하는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에서 상기 각 정보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 신호에서 상기 각 정보기록영역 각각의 결함 및 에러를 검출하는 결함검출부(14,15,16), 상기 검출된 결함 및 에러의 종류를 검출하는 수단(17), 상기 검출된 결함 및 에러의 종류를 검출하는 수단(18), 상기 검출된 결함 및 에러가 존재하는 트랙위치를 검출하는 수단(19), 상기 검출된 결함 및 에러가 존재하는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둘레방향위치를 검출하는 수단(20), 상기 각 수단의 검출결과를 기억하는 기억수단(8) 및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따라서 상기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상의 결함 및 에러를 검출하는 수단을 마련한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5. 특허 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검출부는 사용자영역결함검출부(14), 제어트랙 영역데이타에러검출부(15)와 어드레스디코드 게이트신호 발생헤더에러검출부(16)을 포함하는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6. 특허 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결함데이타는 48비트로 구성된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7. 특허 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데이타는 각각 16비트의 크기데이타, 각도 섹터데이타 및 트랙데이타로 구성되는 원반형 정보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
  8. 원반형의 정보기록매체에서의 재생신호로 결함을 검출하는 수단(23,25,16), 검출된 결함의 종류를 검출하는 수단(17), 검출된 결함의 지름방향위치 및 둘레방향위치를 검출하는 수단, 검출된 위치에 따라서 결함을 결함덩어리로 나누는 수단, 결함덩어리의 지름방향치수 및 둘레방향치수를 산출하는 수단, 검출된 결함 또는 결함덩어리의 종류, 위치 및 치수를 기억하는 수단(8)을 마련한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9. 특허 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로 결함을 검출하는 수단은 드롭아우트 펄스를 발생하는 드롭아우트펄스발생회로(23a)와 각각의 상기 드롭아우트펄스의 길이를 클럭수로서 계수하는 카운터(23b)를 구비한 원반형 정보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10. 특허 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또 재생장치(2)에서의 재생신호인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4)를 포함하는 원반형 정보 기록매체의 결함검사장치.
KR1019900006581A 1989-05-11 1990-05-10 원반형 정보 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 KR930012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91189 1989-05-11
JP1-117911 1989-05-11
JP12930489 1989-05-23
JP1-129304 1989-05-23
JP2102031A JP2531293B2 (ja) 1989-05-11 1990-04-17 円盤状情報記録媒体の欠陥検査装置
JP2-102031 1990-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988A KR900018988A (ko) 1990-12-22
KR930012168B1 true KR930012168B1 (ko) 1993-12-24

Family

ID=2645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581A KR930012168B1 (ko) 1989-05-11 1990-05-10 원반형 정보 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31293B2 (ko)
KR (1) KR930012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4419A1 (en) * 1999-07-15 2001-07-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scanning a recording disc for defects, and recording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disc-shape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31293B2 (ja) 1996-09-04
KR900018988A (ko) 1990-12-22
JPH0373440A (ja) 199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2677A (en) Defect inspecting apparatus for disc-shaped information recording media
US51212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error rate of magnetic recording disk drives having a amplitude sampling data detection
KR100717102B1 (ko) Bca 데이터 재생 방법
US4145683A (en) Single track audio-digital recorder and circuit for use therein having error correction
US70321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efective areas on a disk surface of a disk drive based on defect density
CA12515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recorded information segments on a record medium
US20050283700A1 (en) Digital error mapping circuit and method
US4609949A (en) Magnetic disc reproducing apparatus
US4292684A (en) Format for digital tape recorder
US4907181A (en) Tes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digital video tape recorder/reproducer
US4479146A (en) Vertical code verifier
US4496993A (en) Rotary recording medium
JPS6363169A (ja) 交代記録方法
KR930012168B1 (ko) 원반형 정보 기록 매체의 결함검사장치
KR100282089B1 (ko) 광학정보 매체의 에러 형태를 신호로 알리는 방법 및 장치
US4750180A (en) Error correcting method for a digital time series
JPS59178607A (ja) デイジタルデイスクの再生装置
JP2684172B2 (ja) 欠陥ビット長を評価条件とする磁気ディスク検査方法
JPH07249271A (ja) Cd−rom記録検査方法
JPH0437344Y2 (ko)
JPS61264559A (ja) 光デイスク
JPS59110012A (ja) Pcm信号記録方式
JPH0233772A (ja) 情報記録方式
Leimkueller Computer evidence analysis and recovery of magnetic storage media data
JPH03198236A (ja) 光ディスク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