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641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641B1
KR930011641B1 KR1019910001763A KR910001763A KR930011641B1 KR 930011641 B1 KR930011641 B1 KR 930011641B1 KR 1019910001763 A KR1019910001763 A KR 1019910001763A KR 910001763 A KR910001763 A KR 910001763A KR 930011641 B1 KR930011641 B1 KR 93001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ue
film
claws
camera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002A (ko
Inventor
쇼우지 가이하라
쇼우스게 하라구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53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62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3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29231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02Moving film strip by pull on end thereof
    • G03B1/04Pull exerted by take-up spool
    • G03B1/12Pull exerted by take-up spool rotated by motor, e.g. sp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56Threading; Loop forming
    • G03B1/58Threading; Loop forming automat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의 필름구동장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카메라의 스푸울 부근을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스푸울의 확대 측면도.
제4도는 동스푸울의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필름을 적소에 세트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스푸울의 클로오부의 확대 사시도.
제8a도 및 제8b도는 스푸울의 클로오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몸체 2 : 모우터
3 : 권상용기어트레인 4 : 스푸울
4a, 4b : 클로오(clow) 5 : 필름가이드
6 : 로울러 7 : 인덱스마아크
본 발명은 그 위에 필름을 감기 위해 설치된 권취스푸울(take-up spool)을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필름로우딩형 카메라에는 스프로킷에 의해 필름을 급송하는 스프로킷 구동방식, 및 필름을 감아올리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필름을 스푸울과 스프로킷의 양쪽으로 구동하고, 그후 스프로킷에 의한 구동을 해제하고 스푸울만으로 구동하는 스푸울/스프로킷 구동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스프로킷 구동방식에 있어서는, 마찰에 의한 필름을 스프로킷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파우워로스가 발생하고 기구도 복합하게 된다. 한편, 스푸울/스프로킷 구동방식에 있어서는 구동단계의 도중에서 스프로킷에 의한 구동을 해제하도록 하기 때문에 원웨이기구 등이 필요하게 되어 기구적으로도 복잡하게 된다.
이들 방법들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푸울 구동방식의 구동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스푸울상에 클로오(claw)를 가지고 이 클로오는 필름 속에 형성된 구멍과 걸어맞추어지게 배치되어 스푸울 단독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푸울 구동방식의 구동장치는 스푸울에 설치된 클로오로 필름의 구멍을 걸어맞추어서 필름을 카아트리지(cartridge)로부터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장진시에 필름의 구멍의 위상에 스푸울에 형성된 클로오의 위상을 맞추어 세트할 필요가 있고, 필름의 선단부가 스푸울 클로오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벗어난 경우에는 공구동(empty driving)하여, 자동필름 로우딩작용 (loading action)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실하게 자동필름로우딩을 행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는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이동된 다른 위치에서 필름권취스푸울상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클로오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1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1도에서 (1)은 카메라의 몸체, (2)는 필름을 급송하기 위한 모우터이며, 모우터(2)의 축단부에는 피니언기어(2a)가 끼워져 있다. (3)은 필름권상용기어트레인으로 도시하지 않은 유성기어기구에 의해 모우터(2)의 일방향회전을 전달한다. (4)는 필름을 그 위에 권취하기 위한 스푸울로, 그 위에는 상하플랜지(4c) 및 (4d)가 형성되고, 이들은 필름의 위,아래쪽에 약간의 마아진을 남겨둔 상태에서 필름의 폭보다 더 큰 거리가 떨어져 있다. 스푸울(4)의 하단부에는 기어(4e)가 형성되어 기어트레인(3)과 결합되며, 이 기어트레인에 의해 기어(4e)가 회전된다. 제2도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오(claw)(4a) 및 (4b)는 스푸울(4)의 원주면에 형성되어 필름 F의 구멍(P)를 걸어맞춘다. 클로오(4a)(4b)는 대략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클로오(4a)(4b)의 폭이 그것의 앞단부(스푸울의 방사상 방향으로)에서 "ℓ"이고 그것의 뿌리부에서 "m"이라고 가정하면, 그것의 측면형상은 필름(F)의 각 구멍(P)의 폭 "n"에 대하여 다음 관계를 만족하도록 테이퍼지게 된다.
ℓ < m < n
클로오(4a) 및 (4b)의 각각에 있어서, 스푸울(4)의 축방향능선(ridgelines)에 상당하는 부분(4f)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둥글게 되어 있다. 스푸울(4)의 축방향에서 각 클로오(4a) 및 (4b)의 양쪽측면부는 제8a도에 도시한 오목형상이나,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형상의 어느 하나로 되어 있다.
이들 클로오(4a) 및 (4b)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로오(4a)는 카메라에 필름(F)를 적소에 세트한 때, 구멍(P)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클로오(4b)는 클로오(4a)로부터 α만큼 약간 상방으로 이동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동량 α는 대략(n-ℓ)/2만큼 설정된다. 다시 말해서, 필름선단부(FL)의 구멍의 위상이 클로오(4a)의 회전위상으로부터 상방으로 벗어나서, 클로오(4a)가 구멍(P)에 걸어맞추어지지 못하게 하는 위치에 필름(F)가 세트될 때, 다른 하나의 클로오(4b)가 필름의 선단부(FL)의 구멍(P)을 걸어맞추게 된다. 더 나아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푸울(4)의 회전방향에서, 클로오(4b)는 클로오(4a)와 겹치지 않도록 작은각 β만큼 지연된 위치에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 각도 β는 90° 근방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자동필름로우딩시 필름 조임으로 인한 필름의 어떤 뜨는 상태(buoyant state)를 흡수할 수 있도록 가능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푸울(4)의 권치직경이 D라고 가정할 때, 다음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Figure kpo00001
>"필름선단부(FL)의 끝에서 클로오(4a)에 의해 최초로 걸어맞추어진 구멍(P)까지의 거리"
상기 조건에 있어서, D(1-β/360)는 대략 필름권취에 의하여 필름이 타이트하게 감겨질 때 일어나는 필름의 뜨는 상태에 대한 흡수 가능한 각도에 해당한다.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 필름(F)의 선단부(FL)는 클로오(4b) 위를 올라타게 된다. 그와 같은 상태하에서, 필름은 느슨하게 감겨진다. 더 나아가,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 클로오(4b)의 위치에 클로오(4a)보다 더 높게 세트되고, 편차각 β가 비교적 작게 세트되므로, 클로오(4a) 대신에 클로오(4b)에 의하여 필름이 걸어맞추어진 상태는 필름감김 공정에서 거의 역효과를 야기하지 않는다.
다음에 (5)는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의 백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필름가이드이다. 필름가이드(5)의 선단에는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운반되는 로울러(6)가 배치되어 클로오(4b)의 윗부분에서 필름을 스푸울(4)에 눌러 붙인다.
인덱스마아크(7)는 카메라 몸체(1)의 스푸울실의 오른쪽 위에 설치되어, 필름선단부(FL)를 세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의 자동필름로우딩동작을 설명한다. 카메라의 백커버를 열고, 카메라 몸체(1)의 카아트리지실 내부에 필름카아트리지를 놓는다. 필름선단부(FL)의 선단을 인덱스마아크(7)를 참조하여 세트한 후, 백커버를 닫는다. 그 다음에 필름의 선단부를 로울러(6)와 스푸울(4) 사이에 삽입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 제어회로는 모우터(2)를 구동하여, 필름의 권취방향으로 기어트레인 (3)에 의하여 스푸울(4)은 회전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오(4a)가 필름의 구멍을 걸어맞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클로오(4a)는 필름(F)이 스푸울(4) 둘레에 감기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필름(F)의 선단부(FL)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P)이 클로오(4a)에 의해 걸어맞추어질 수 없는 상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세트된 경우에, 다른 하나의 클로오(4b)는 필름이 스푸울(4) 둘레에 감기게 할 수 있다. 클로오(4a) 또는 (4b)의 어느 하나에 의해 구멍(P)이 걸어맞추어지는 경우에, 이것에 의해 필름은 팽팽하게 장력을 받게 된다. 그 다음 클로오(4a)(4b)의 언더컷면(Undercut face)은 클로오(4a) 또는 (4b)의 폭 m까지 어느 정도 장력이 수용 및 분산되게 한다. 둥글게 된 클로오(4a) 또는 (4b)의 능선은 필름의 구멍(P)이 손상될 가능성을 줄이며,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 제어회로는 모우터(2)가 통상 필름의 3개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주어진 각도까지 회전한 후에 모우터(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자동필름로우딩은 정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의 클로오가 그 위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하여 배치된 스푸울의 외주원주면상에 설치되고,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하나의 클로오의 위치는 다른 하나의 클로오의 위치보다 약간 이동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필름의 구멍이 클로오 중의 하나에 의하여 더 확실하게 걸어맞추어질 수 있게 하여, 자동필름로우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스푸울의 원주면에 설치된 클로오는 그들의 앞단부에서 더 작은 폭(스푸울의 방사방향으로)을 가지고 그들의 뿌리부에서 더 큰 폭을 가진다. 이외에도, 각 클로오의 구멍 수용면의 두 측면의 각각의 능선은 아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필름의 구멍이 클로오에 의하여 더 쉽게 걸어맞추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필름의 구멍이 클로오에 의하여 걸어맞추어질 때 필름이 손상될 가능성을 줄이게 된다. 따라서, 더 확실하게 자동필름로우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필름카아트리지로부터 필름(F)을 그 위에 권취하는 스푸울(4)과; 그리고 필름(F)의 구멍(P)을 걸어맞추기 위하여 상기 스푸울(4) 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클로오(4a,4b)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로오(4a,4b)는 상기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 적소에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고, 상기 각 클로오(4a,4b)의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의 폭은 그것의 뿌리부에서 "m"으로 그것의 앞단부에서 "ℓ"로 표시되고 또한 상기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의 구멍(P)의 폭이 "n"로 표시될 때, 다음 관계 : ℓ<m<n가 만족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4a,4b)가 상기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 적소에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는 정도가
    Figure kpo00002
    로 표시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4)의 필름권취부의 직경이 "D"로 표시되고 상기 스푸울(4)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4a,4b)에 의해 한정된 위상각이 "β"로 표시될 때, 다음조건 :
    Figure kpo00003
    >필름(F)의 선단부(FL)의 끝에서 상기 클로오에 의해 최초로 걸어맞추어진 구멍(P)까지의 거리, 이 만족되는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4)에 대하여 상기 필름(F)을 밀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필름가이드(5,6)를 포함하는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4)은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모우터(2)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4a,4b)와 상기 필름가이드(5,6)의 푸싱부(6)는 상기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 적소에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는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백커버의 폐쇄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스푸울(4)이 강제적으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필름(F)을 상기 스푸울(4) 둘레에 감기 위하여 자동필름로우딩작용을 실행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4)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 (4a,4b)에 의하면 한정된 위상각(β)은 90도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는 카메라.
  9. 상기 필름카아트리지로부터 필름(F)를 그 위에 권취하는 스푸울(4)과; 그리고 필름(F)의 구멍(P)을 걸어맞추기 위하여 상기 스푸울(4) 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클로오(4a,4b)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로오(4a,4b)는 상기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 적소에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고, 상기 클로오(4a,4b)는 상기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의 그것의 뿌리부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의 그것의 앞단부의 폭을 가지고 또한 상기 구멍(P)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 상기 뿌리부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오(4a,4b)가 상기 구멍(P)과 접촉하는 상기 클로오(4a,4b)의 2개의 에지의 각각은 아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로오(4a,4b)는 사다리꼴형상인 카메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4)에 대하여 상기 필름(F)을 밀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필름가이드(5,6)을 포함하는 카메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4)은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모우터(2)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오와 상기 필름가이드(5,6)의 푸싱부(6)는 상기 스푸울(4)의 축방향으로 적소에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는 카메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백커버의 폐쇄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스푸울 (4)이 강제적으로 회전되게하여 상기 필름(F)를 상기 스푸울(4) 둘레에 감기 위하여 자동필름로우딩작용을 실행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KR1019910001763A 1990-02-01 1991-02-01 카메라 KR930011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539 1990-02-01
JP2253990A JP2716235B2 (ja) 1990-02-01 1990-02-01 カメラ
JP2-23793 1990-02-02
JP2023793A JPH03229231A (ja) 1990-02-02 1990-02-02 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002A KR920000002A (ko) 1992-01-10
KR930011641B1 true KR930011641B1 (ko) 1993-12-16

Family

ID=2635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763A KR930011641B1 (ko) 1990-02-01 1991-02-01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40225B1 (ko)
KR (1) KR930011641B1 (ko)
DE (1) DE6910893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1158T2 (de) * 1995-09-13 2002-09-05 Fuji Photo Film Co Ltd Fotografische Filmrol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855A (en) * 1979-05-24 1981-06-30 Nippon Kogaku K.K. Film take-up spool
JPS5852526U (ja) * 1981-10-07 1983-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のフィルム巻取装置
SU1099305A1 (ru) * 1983-02-01 1984-06-23 Белорус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Зубчатый барабан
US4726674A (en) * 1986-05-23 1988-02-23 Beattie Systems, Inc. Film magazine pin regis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8939D1 (de) 1995-05-24
KR920000002A (ko) 1992-01-10
EP0440225A2 (en) 1991-08-07
EP0440225A3 (en) 1991-09-11
DE69108939T2 (de) 1995-09-21
EP0440225B1 (en)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5616A (en) Automatic loading camera with claw spool
KR930011641B1 (ko) 카메라
US4378965A (en) Sprocket wheel for photographic camera
US4474443A (en) Film feeding device for camera
JPH0267535A (ja) カメラ及びフィルム送り装置
EP0712027B1 (en) Apparatus for detaching and reattaching a photographic film to a film cartridge
US3384319A (en) Film winding device
JPH0267534A (ja) カメラのフイルム給送装置
US4084170A (en) Focal plane shutter
CN1084915C (zh) 盒带录象机的导带装置
JP2716235B2 (ja) カメラ
US5465129A (en) Spring driven film transport system
US3994577A (en) Cartridge for audio-visual projectors
JPS61114950A (ja) シ−ト巻取装置
US4609163A (en) Automatic film winding device
US4113368A (en) Automatic lower loop restorer mechanism
CA1153235A (en) Automatic film threading mechanism
JPH0245856Y2 (ko)
JPH03229231A (ja) カメラ
JPS586864A (ja) フイルムなどの自動繰出し装置
KR940001214Y1 (ko) 소형비디오테이프카세트용어댑터의테이프텐션장치
KR920000440Y1 (ko)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KR930003548B1 (ko) 카메라용 셔터 개폐장치
JPS62255949A (ja) フイルム処理装置
KR940001851Y1 (ko)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