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51Y1 -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51Y1
KR940001851Y1 KR2019890001069U KR890001069U KR940001851Y1 KR 940001851 Y1 KR940001851 Y1 KR 940001851Y1 KR 2019890001069 U KR2019890001069 U KR 2019890001069U KR 890001069 U KR890001069 U KR 890001069U KR 940001851 Y1 KR940001851 Y1 KR 940001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riving
reel
brake
driv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932U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01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851Y1/ko
Publication of KR900014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제1도는 종래 데크의 릴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제3도는 PLAY 모드시의 상태도.
제4도는 EJECT 모드시의 상태도.
제5도는 FF/REW 모드시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7 : 강브레이크레버 8 : 스프링
9 : 약브레이크레버 12 : 제1구동레버
13 : 제2구동레버 14 : 가이드공
15 : 가이드핀 16 : 구동핀
17 : 로딩링 18 : 슈풀리 릴
19 : 테이크업릴 20 : 후크부
22 : 걸림벤딩부
본 고안은 VCR이나 캠코더(VCR이 내장된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기기에 설치되는 데크 메카니즘(Deck Mechanism)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기의 작동모드(Mode)에 따라 릴(Reel)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역할을하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데크메카니즘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종래장치는 슈풀리 릴(Shoe Pully Reel) (18)과 테이크업 릴(Take-up Reel) (19)의 일측에 설치된 강브레이크레버(1)와 테이프업 릴의 일측에 설치된 약브레이크레버(3)와, 각 강브레이크레버 사이에 결합되어 브레이크레버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2)과, 기기의 작동모드에 따라 회전하는 캠(5)에 연동하면서 강브레이크레버와 약브레이크에버를 구동시켜주는 구동줄(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종래장치에서 강브레이크레버(1)와 약브레이크레버(3)는 스프링(2)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항상 각 릴(18)(19)의 측면에 밀착되려는 힘을 가지게 되며, 캠(5)은 로딩모터(Loading Motor) (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줄(4)을 당기거나 밀어 스프링(2)의 힘에 대항하는 힘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기기가 PLAY 모드로 작동할때에는 구동줄(4)이 강브레이크(1)의 일측(도면상 우측)끝부분을 당겨 각 강브레이크가 각 릴(18)(19)의 원주면에서 떨어지게 함과 동시에 약브레이크레버(3)를 테이크업 릴(19)에 접속시켜 테이크업릴이 약간의 탄력을 받으면서 회전될 수 있게 하고, FF/REW 모드시에는 모든 브레이크레버가 각 릴에서 떨어지게 하여 각 릴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하여 준다.
또 EJECT 모드시에는 캠(5)의 회전에 따라 구동줄(4)과 강브레이크레버의 일측 끝부분이 당김상태로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2)의 힘에 의해 강브레이크레버가 각 릴의 원주면에 밀착되어 릴의 회전을 구석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이 캠과 구동줄을 통해 각 레버에 전달되므로 동력전달 경로가 길고 부품수의 증가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며, 동력전단 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장치기 차지하는 면적이커져 데크의 소형화가 어려운 등의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캠과 구동줄을 이용하여 레버를 구동시키는 종래장치와는 달리 로딩링(Losding Ring)을 이용하여 레버를 구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본고안 브레이크장치에는 기기의 작동모드에 따라 회전운동을하는 로딩링과, 상기 로딩링의 회전운동에 따라 연동하는 2개의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구동에 따라 릴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해제시키는 복수개의 브레이크 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장치는 기기의 작동모드에 따라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로딩링(17)과, 상기 로딩링에 회전위치에 따라 로딩링과 연동하는 제1구동레버(12)와, 상기 제1구동레버에 연결되어 제1구동레버와 연동하는 제2구동레버(12)와, 상기 제1구동레버에 연결되는 제1구동레버와 연동하는 제2구동레버(13)와, 상기 제1구동레버의 구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슈풀리 릴(18)과 태이크 업릴(19)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해제시키는 한쌍의 강브레이크레버(6)(7)와, 상기 제2구동레버의 구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면서 테이크업릴의 원주면에 접속하거나 원주면으로부터 이탈하는 약브레이크(9)등으로 구성된다.
로딩링(15)에는 구동핀(16)이 고정되어 있고 제1구동레버(12)는 로딩링의 내측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로딩링(17)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구동핀(16)이 제1구동레버(12)와 접속하면서 제1구동레버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구동레버(12)의 끝단에는 후크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제1구동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1)과 제1구동레버의 회전위치제어를 위한 스토퍼(21)가 설치되어 있다.
제2구동레버(13)는 제1구동레버(12)와 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구동레버(13)에는 가이드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공에는 가이드핀(15)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1구동레버(12)의 회전시 제2구동레버(13)는 가이드핀(15)에 안내되면서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 강브레이크레버(6)(7) 사이에는 강브레이크 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8)이 연결되어 있으며, 한쌍의 강브레이크레버중 일측의 강브레이크 레버에는 걸림벤딩브(2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밴딩부(22)는 상기 제1구동레버(12)에 형성된 후크부(20)에 접속하여 있다.
따라서 강브레이크레버(6)(7)는 제1구동레버(12)의 회전운동에 따라 연동하게 된다.
상기 약브레이크레버(9)의 일측에는 약브레이크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약브레이크레버의 일측 끝부분은 상기 제2구동레버(13)의 끝단에 걸려있다.
따라서 약브레이크레버는 제2구동레버(13)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장치의 모드별 작동을 설명한다.
제3도는 PLAY 모드시의 상태도로서, 로딩링(17)에 고정된 구동핀(16)은 제1구동레버(12)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제1구동레버(12)는 스프링(11)의 힘에 의해 스토퍼(21)에 걸릴때 까지 당겨져 있게되고 제1구동레버(12)의 후크부(20)는 강브레이크레버(6)의 걸림밴딩부(22)와 접속하면서 걸림밴딩부에 힘을 가하여 강브레이크(6)(7)는 슈풀리 릴(18)과 테이크업 릴(19)의 원주면에서 떨어져 있게 되며, 약브레이크(9)는 스프링(10)의 힘에 의해 당겨져 테이크업릴(19)의 원주면에 접속하여 있게된다.
따라서 각릴의 회전에 따라 테이프는 주행을 하게되며, 약브레이크레버는 테이크업 릴(19)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테이프의 안정된 주행을 가능하게 하여준다.
상기한 상태에서 기기가 FF/REW 모드가되면 제5도와 같이 로딩링(17)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핀(16)이 제1구동레버(12)에 접속하게 되고 구동핀이 제1구동레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약간더 회전함에 따라 제1구동레버(12)가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강브레이크레버(6)(7)은 각 릴(18)(19)의 원주면에서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제1구동레버(12)의 회전에 따라 제2구동레버(13)가 가이드핀(15)에 안내되면서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약브레이크레버(9)를 당겨주게되므로 약브레이크레버(9)도 테이크업릴(19)의 원주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기기의 EJECT 또는 STOP가 되면 제4도와 같이 로딩링(17)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구동핀(16)이 제1구동레버(12)에 힘을 가하게되고 이힘에 의해 제1구동레버(12)가 회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후크부(20)의 반경(r1, r2)차이에 의해 후크부가 걸림밴딩부(22)와의 접속상태에서 이탈하게되며, 따라서 강브레이크레버(6)(7)는 인장되어 있는 스프링(8)의 힘에 의해 당겨지면서 각 릴(18)(19)의 원주면에 밀착되어 각릴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제1구동레버(12)의 회전에 따라 제2구동레버(13)는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더욱 당겨지고 제2구동레버(13)의 끝부분에 걸려있는 약브레이크레버(9)가 함께 당겨져 약브레이크레버(9)는 테이크업릴(19)의 원주면에서 더욱 멀리 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 브레이크 레버들이 각릴의 일측에 위치한 로딩링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조이어서 동력전달 경로가 단순화되고 이에따라 부품수가 감소되고 작동이 확실해지며, 브레이크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면적이 작아져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기의 작동모드에 따라 회전하는 로딩링(17)과, 슈풀리릴(18)과 테이크업릴(19)의 일측에 설치된 한쌍의 강브레이크레버(6)(7)와, 상기 강브레이크레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강브레이크에 각 릴 원주면 방향으로의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8)과, 상기 테이크업릴의 일측에 설치된 약브레이크레버(9)와, 상기 로딩링과 강브레이크 레버사이에 설치되어 로딩링의 구동력을 강브레이크레버에 전달하여주는 제1구동레버(12)와, 상기 제1구동레버에 연결되어 제1구동레버의 구동력을 약브레이크레버에 전달하여주는 제2구동레버(13)를 구비하여서된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딩링(17)에 구동핀(16)을 고정하고 제1구동레버(12)의 일측을 구동핀(16)의 회전경로상에 위치시켜 구동핀의 이동에 따라 제1구동레버가 구동되게한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구동레버(12)에 후크부(20)를 형성하고 강브레이크레버(6)에 걸림밴딩부(22)를 형성하여 상기 후크부가 걸림밴딩부에 접속함에 따라 강브레이크레버가 구동되게한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브에이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구동레버(13)에 가이드공(14)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핀(15)을 삽입하여 제1구동레버의 구동시 제2구동레버가 직선운동을 하도록한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브레이크장치.
KR2019890001069U 1989-01-31 1989-01-31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KR940001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069U KR940001851Y1 (ko) 1989-01-31 1989-01-31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1069U KR940001851Y1 (ko) 1989-01-31 1989-01-31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932U KR900014932U (ko) 1990-08-02
KR940001851Y1 true KR940001851Y1 (ko) 1994-03-25

Family

ID=1928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069U KR940001851Y1 (ko) 1989-01-31 1989-01-31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8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932U (ko) 199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2496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685009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recorder
CA2015431C (en) Magnetic tape back ten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US4492994A (en) Video tape recorder
US4214283A (en) Drive mechanism for cassette tape recorders
US6449118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93000922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브레이크 구동장치
US4566048A (en) Tape cassette adapter
KR940001851Y1 (ko)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KR930004448B1 (ko) 자기기록테이프를 이용하는 기록 및 재생기의 브레이크 구동장치
US3426976A (en) Tape transport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KR920010839B1 (ko) 릴 및 테이프 제동장치
KR910005777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정지장치
KR013975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브레이크장치
KR940006878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권취릴 브레이크
US5726833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having a resilient body for reduced head base drive force
KR940005798Y1 (ko) Vcr의 브레이크 구동장치
KR100230778B1 (ko)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JPS61258365A (ja) テ−プロ−デイング装置
JPS6215877Y2 (ko)
JPS588016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00005636Y1 (ko) 브이 씨 알의 릴 테이블 구동장치
KR016523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브레이크 장치
JPH07111798B2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デツキメカニズム
KR910001760Y1 (ko) Vtr감이측 릴의 텐션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