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778B1 -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778B1
KR100230778B1 KR1019970000169A KR19970000169A KR100230778B1 KR 100230778 B1 KR100230778 B1 KR 100230778B1 KR 1019970000169 A KR1019970000169 A KR 1019970000169A KR 19970000169 A KR19970000169 A KR 19970000169A KR 100230778 B1 KR100230778 B1 KR 10023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gear
brake
emergency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280A (ko
Inventor
이경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77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1Brakes for tapes or tape r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16D43/2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50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mechanical linkage, e.g. clutch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딩/언로딩시에 특정릴에서 테이프를 풀어주고, 되감아주는 릴 브레이크 구조에서 만약 풀어줄 테이프가 없는 비상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구속된 타측릴의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타측릴에서 테이프가 풀리고, 되감기도록 한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본 발명은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딩/언로딩시에 특정릴에서 테이프를 풀어주고, 되감아주는 릴 브레이크 구조에서 만약 풀어줄 테이프가 없는 비상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구속된 타측릴의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타측릴에서 테이프가 풀리고, 되감기도록 한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브이씨알 테이프 주행계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중 1은 헤드드럼, 2는 공급릴, 3은 권취릴, 4는 백 텐션 포스트, 5, 6은 로딩 포스트, 7은 캡스턴 샤프트, 8은 핀치 로러를 각각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브이씨알의 테이프 주행계에서는 로딩 포스트(5)(6)가 카세트 테이프(T)를 인출하여 헤드드럼(1)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감기도록 함으로써 테이프(T)를 로딩시키게 된다.
이때, 테이프(T)는 공급릴(2) 및 권취릴(3) 중 테이프(T)의 장력이 적게 걸리는 쪽이나, 아니면 양쪽 모두에서 풀려나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브이씨알의 테이프 주행계에서는 테이프(T)가 풀려나오는 쪽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과거에 녹화한 후 이젝트하였던 테이프가 있다면, 그 테이프를 다시 로딩하였을 경우에 지난번에 녹화된 바로 다음부분부터 정확하게 테이프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테이프의 언로딩 하기 전의 위치와, 언로딩하였다가 다시 로딩할 경우의 테이프의 위치가 서로 달라 테이프의 위치 재현성이 불량하여 사용자에게 녹화 또는 재생 동작의 신뢰성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딩/언로딩시에 특정릴에서 테이프를 풀어주고, 되감아주는 릴 브레이크 구조에서 만약 풀어줄 테이프가 없는 비상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구속된 타측릴의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타측릴에서 테이프가 풀리고, 되감기도록 한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데크의 평면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언로딩 모드시의 상태도로서,
도3은 정상 상태(NORMAL CASE)인 경우.
도4는 비상 상태(EMERGENCY CASE)인 경우.
도5 및 도6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한 로딩 구간에서의 상태도로서,
도5는 정상 상태(NORMAL CASE)인 경우.
도6은 비상 상태(EMERGENCY CASE)인 경우.
도7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한 고속 모드에서의 상태도.
도8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스톱 모드에서의 상태도.
도9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녹화 또는 재생 모드에서의 상태도.
도10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한 각 모드별 시퀀스 챠트(SEQUENCE CHART).
도11a 내지 11f는 본 발명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11a는 작동 플레이트,
11b는 콘트롤 레버,
11c는 이머젼시 퓨셔, 이머젼시 레버, 이머젼시 기어, 래칫 레버.
11d는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
11e는 원 웨이 클러치, 11f는 구동플레이트, 센터록 기어, 연동 플레이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메인 베이스 12 : 공급릴
13 : 권취릴 14 : 캡스턴 모터
15 : 컨버젼 기어 16 : 드라이브 기어
17 : 벨트 18 : 아이들 기어
21 : 로딩 모터 22 : 전달 기어
23 : 모드 기어 24 : 캠 기어
24a : 캠 프로파일 25 : 작동 플레이트
25a : 구동핀 25b : 절곡부
25c, 25d : 작동핀 25e : 절곡부
26 : 콘트롤 레버 26a : 구동핀
27 : 이머젼시 푸셔 28 : 이머젼시 레버
28a : 스프링 걸이 28b : 절곡부
29 : 이머젼시 기어 29a : 돌기부
30 : 래칫 레버 31 :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
31a, 31b : 밀판 32 : 토글 스프링
33 : 공급릴측 래칫 브레이크 41 : 연동 플레이트
42 : 구동 플레이트 42a : 원웨이클러치 리미터
42b : 래칫브레이크 푸셔 43 : 센터록 기어
44 : 클러치록 기어 45 : 토션 스프링
46 : 소프트 브레이크 47 : 인장 스프링
48 : 원 웨이 클러치 48a : 마찰부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 베이스와, 메인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급릴 및 귄취릴과, 상기 메인 베이스의 후방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공급릴 및 권취릴의 회전동력원이 되는 캡스턴 모터와, 상기 캡스턴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컨버젼 기어와, 상기 컨버젼 기어의 동력을 전달받는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컨버젼 기어의 동력을 드라이브 기어로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캡스턴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공급릴 및 권취릴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후방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모드 변환의 구동원이 되는 로딩 모터와, 상기 로딩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 및 모드 기어와, 상기 모드 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소정 형상의 캠 프로파일이 형성된 캠 기어로 구성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 플레이트와, 상기 캠 기어에 의해 회동되는 콘트롤 레버와, 상기 콘트롤 레버에 의해 회동되는 이머젼시 푸셔와, 상기 이머젼시 푸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푸셔에 의해 회동되는 이머젼시 레버와, 상기 이머젼시 레버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컨버젼스 기어와 연결 또는 이탈되는 이머젼시 기어와, 상기 이머젼시 레버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레버와 같이 회전되는 래칫 레버와, 상기 래칫 레버의 회전에 의해 권취릴을 구속시키는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와, 상기 공급릴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 레버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공급릴을 구속시키는 공급릴측 래칫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브이씨알 데크의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데크는 메인 베이스(11)의 상면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급릴(12) 및 권취릴(13)과, 상기 메인 베이스(11)의 후방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공급릴(12) 및 권취릴(13)의 회전동력원이 되는 캡스턴모터(14)와, 상기 캡스턴 모터(14)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컨버젼 기어(15)와, 상기 컨버젼 기어(15)의 동력을 전달받는 드라이브 기어(16)와, 상기 컨버젼 기어(15)의 동력을 드라이브 기어(16)로 전달하는 벨트(17)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16)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캡스턴 모터(1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공급릴(12) 및 권취릴(13)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1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베이스(11)의 후방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모드 변환의 구동원이 되는 로딩 모터(21)와, 상기 로딩 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22) 및 모드 기어(23)와, 상기 모드 기어(23)에 의해 회전되는 소정 형상의 캠 프로파일(24a)이 형성된 캠 기어(24)와, 상기 캠 기어(24)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 플레이트(25)와, 상기 캠 기어(24)에 의해 회동되는 콘트롤 레버(26)와, 상기 콘트롤 레버(26)에 의해 회동되는 이머젼시 푸셔(27)와, 상기 이머젼시 푸셔(2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푸셔(27)에 의해 회동되는 이머젼시 레버(28)와, 상기 이머젼시 레버(28)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레버(28)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컨버젼스 기어(15)와 연결 또는 이탈되는 이머젼시 기어(29)와, 상기 이머젼시 레버(28)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레버(28)와 같이 회전되는 래칫 레버(30)와, 상기 래칫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권취릴(13)을 구속시키는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에는 래칫 브레이크(31)가 권취릴(13)에서 이탈되었을 때, 래칫 브레이크(31)를 일정한 위치로 지지하는 토글 스프링(32)이 탄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급릴(12)에는 콘트롤 레버(26)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공급릴(12)을 구속시키는 공급릴측 래칫 브레이크(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11a 내지 도11f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플레이트(25)의 하부에는 작동 플레이트(25)에 의해 회동되는 연동 플레이트(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41)의 일측에는 연동 플레이트의 회동에 연동되는 구동 플레이트(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42)의 하단부에는 구동 플레이트(42)의 회동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를 구속하는 센터록 기어(4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42)의 일측에는 고속모드시에 권취릴(13)을 구속시키는 클러치록 기어(44)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일정방향으로 구동 플레이트(42)를 탄지하는 토션스프링(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릴(12)측에는 공급릴(12)을 부드럽게 구속하는 소프트 브레이크(46)가 구비되어 있고, 이 소프트 브레이크(46)에는 상기 공급릴측 래칫 브레이크(32)와 연결되는 인장스프링(47)이 탄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취릴(13)측에는 권취릴(13)의 정역회전시 일정한 부하를 주는 원 웨이 클러치(48)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동 플레이트(25)의 좌측단부에는 상기 캠 기어(24)의 캠 프로파일(24a)에 끼워지는 구동핀(25a)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좌측 하단부에는 공급릴(12)과 접촉되는 소프트 브레이크(33)를 공급릴(12)에서 이탈시키는 절곡부(2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하부에는 연동 플레이트(41)를 회동시키는 2개의 작동핀(25c)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우측에는 이머젼시 레버(28)를 회전시키는 작동핀(25d)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를 권취릴(13)에서 이탈시키는 절곡부(25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레버(26)에는 캠 기어(24)의 캠 프로파일(24a)에 끼워지는 구동핀(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머젼시 레버(28)에는 스프링 걸이(28a)와, 절곡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머젼시 기어(29)에는 돌기부(29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에는 양측으로 밀판(31a)(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 웨이 클러치(48)에는 마찰부(48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42)에는 원 웨이 클러치(4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원웨이클러치 리미터(42a)와, 고속모드에서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를 권취릴(13)에서 이탈시키는 래칫브레이크 푸셔(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정상상태의 카세트 테이프를 장착시킨 경우에는 테이프가 언로딩된 상태에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엔드 센서에 의해 공급측의 테이프 상태를 판단하여 공급릴(12)에서 테이프가 풀릴 수 있는 조건이 되면 곧바로 캡스턴 모터(14)를 정회전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캡스턴 모터(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아이들 기어(18)는 공급릴(12)에서 이탈되는 것이며, 로딩시 공급릴(12)에서 테이프가 풀려나올 때 아이들 기어(18)가 부하가 작용되지 않게 된다.
상기 캠스턴 모터(14)의 회전으로 인해 컨버젼 기어(15)와 연결된 이머젼시 기어(2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머젼시 기어(29)상의 돌기(29a)가 래칫 레버(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때 래칫 레버(30)는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에 아무런 작용을 하지 못하여 래칫 브레이크(31)는 권취릴(13)과 계속해서 연결된 상태이다.
언로딩 상태에서 로딩 구간으로 넘어가는 동작중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24)의 회전으로 캠 기어의 프로화일(24a)에 의해 연동되는 콘트롤 레버(2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머젼시 푸셔(27)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이머젼시 레버(2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이머젼시 레버(28)의 상면에 설치된 이머젼시 기어(29)가 컨버젼 기어(15)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이 로딩구간 내에는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가 권취릴(13)에서 이탈되지 않고, 계속해서 권취릴(13)을 구속하여 권취측에서 테이프가 풀려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감기/되감기 모드로 전환되면 구동 플레이트(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구동 플레이트(42)상의 래칫 브레이크 푸셔(42b)가 귄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를 밀어내어 권취릴(13)을 해제하게 됨으로써 공급릴(12) 및 권취릴(13) 양쪽릴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밀려나온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를 토글 스프링(32)이 소정의 위치로 지지하게 되는 바, 이러한 토글 스프링(32)은 큰 변위에 대해서는 반대방향으로 더욱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지지만, 고속 모드에서 필요한 스트로크에는 완전히 넘어가지 않는 위치로 설계되어 토션 스프링 정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 모드가 되면, 구동 플레이트(42)가 토션 스프링(45)의 복원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를 규제하던 래칫 브레이크 퓨셔(42b)가 뒤로 물러나 래칫 브레이크(31)가 권취릴(13)을 다시 구속하게 된다. 이때,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31)의 복원력은 토글 스프링(32)으로부터 나온다.
한편, 콘트롤 레버(26)는 스톱 모드로 모드가 진행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머젼시 푸셔(27)를 더 이상 밀어줄 수 없게 되어 이머젼시 기어(29)가 컨버젼 기어(15)와 연결되는 바, 우측으로 이동되는 작동 플레이트(25)상의 작동핀(25d)이 이머젼시 레버(28)의 절곡부(28b)를 밀어냄으로써 이머젼시 레버(2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머젼시 기어(29)를 컨버젼 기어(15)에서 이탈시킨다. 이는 상기 이머젼시 기어(29)가 컨버젼 기어(15)와 연결된 상태에서 캡스턴 모터(14)가 회전되면 이머젼시 기어(29)와 래칫 레버(30) 등이 불필요하게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9에서와 같은 재생모드에서는, 다시 래칫 브레이크(31)를 권취릴(13)에서 이탈시켜야 하는데, 이는 작동 플레이트(25)가 재생모드로 되면서 우측으로 움직이는 스크로크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즉, 작동 플레이트상(25)의 절곡부(25e)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래칫 브레이크(31)상의 밀판(31b)을 밀어내어 래칫 브레이크(31)를 권취릴(13)에서 이탈시키도록 한다.
한편, 콘트롤 레버(2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머젼시 푸셔(27)를 밀어줌으로써 이머젼시 기어(29)가 컨버젼 기어(15)에서 이탈되는 바, 작동 플레이트(25)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작동핀(25d)이 이머젼시 레버(28)의 절곡부(28b)를 밀어내는 동작으로 이머젼시 기어(29)를 컨버젼 기어(15)에서 이탈시킬 수도 있다.
테이프의 언로딩은 로딩모드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다음에는 비정상적인 상태 즉, 테이프가 공급릴(12)측에서 완전히 풀려나간 상태에서 카세트 테이프를 장착시킨 경우에 대한 각각의 모드별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언로딩 상태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가 로딩되기 전에 톱/엔트 센서가 공급측의 테이프 감김 상태를 체크하여 테이프가 모두 권취릴(13)에 감겨 있어 투명부분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캡스턴 모터(14)를 역회전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취릴(13)을 구속하고 있는 아이들 기어(18)를 권취릴(13)에서 이탈시킨다. 이는 공급릴(12)에 로딩을 실시하기 위한 테이프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권취릴(13)측에서 테이프를 끌고 나오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캡스턴 모터(14)가 역회전하게 되면, 컨버젼 기어(15)와 연결되어 있는 이머젼시 기어(2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머젼시 기어(29)상의 돌기(29a)가 래칫 레버(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래칫 레버(30)는 래칫 브레이크(31)상의 밀판(31a)을 밀어내 래칫 브레이크(31)를 귄취릴(13)에서 이탈시킨다.
이때, 이머젼시 기어(29)는 계속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이머젼시 기어(29)의 돌기(29a)가 1회전시마다 래칫 레버(30)를 타격하게 됨으로써 래칫 브레이크(31)가 권취릴(31)을 완전히 해제시키지 못하고, 해제/구속하는 동작이 반복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래칫 브레이크(31)를 탄지하는 토글 스프링(32)이 단 한 번의 래칫 레버(30)의 타격으로 래칫 브레이크(31)가 권취릴(13)에서 이탈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6은 비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로딩구간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콘트롤 레버(2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머젼시 기어(29)는 컨버젼 기어(15)로부터, 이탈되며 래칫 브레이크(31)는 권취릴(13)에서 계속해서 이탈되어 있는 상태로서, 권취릴(13)측에서 로딩을 위한 테이프가 풀려나오게 된다.
그리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감기/되감기 모드에서는 작동 플레이트(25)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작동 플레이트(25)상의 작동핀(25d)이 래칫 브레이크(31)를 권취릴(13)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바, 이때 구동 플레이트(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래칫 브레이크 푸셔(42b)가 래칫 브레이크(31)를 권취릴(13)을 구속시키지 못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따라서 정상상태에서의 고속모드와 동일한 조건이 된다.
한편, 스톱 모드는 도8에서와 같이, 정상상태의 스톱 모드와 동일하며, 재생모드도 도9와 같이, 정상상태의 재생모드와 동일하다.
도10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한 각 모드별 시퀀스 챠트(SEQUENCE CHART)로서, 상기의 설명에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의 언로딩시에는 테이프의 로딩시의 순서의 역순으로 동작된다.
이상과 같이 비정상상태에서 카세트 테이프가 안착된 경우에 로딩이 완료된 후에는 정상상태의 로딩완료후의 동작과 동일하게 실시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로 언로딩이 실시되면, 정상상태의 카세트 테이프로 복귀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는 로딩/언로딩시에 특정릴에서 테이프를 풀어주고, 되감아주는 릴 브레이크 구조에서 만약 풀어줄 테이프가 없는 비상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구속된 타측릴의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타측릴에서 테이프가 풀리고, 되감기도록 하여 테이프가 파손되거나, 모드의 불량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메인 베이스와, 메인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급릴 및 권취릴과, 상기 메인 베이스의 후방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공급릴 및 권취릴의 회전 동력원이 되는 캡스턴 모터와, 상기 캡스턴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컨버젼 기어와, 상기 컨버젼 기어의 동력을 전달받는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컨버젼 기어의 동력을 드라이브 기어로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캡스턴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공급릴 및 권취릴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후방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모드 변환의 구동원이 되는 로딩 모터와, 상기 로딩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 및 모드 기어와, 상기 모드 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소정 형상의 캠 프로파일이 형성된 캠 기어로 구성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작동 플레이트와, 상기 캠 기어에 의해 회동되는 콘트롤 레버와, 상기 콘트롤 레버에 의해 회동되는 이머젼시 푸셔와, 상기 이머젼시 푸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푸셔에 의해 회동되는 이머젼시 레버와, 상기 이머젼시 레버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컨버젼스 기어와 연결 또는 이탈되는 이머젼시 기어와, 상기 이머젼시 레버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머젼시 레버와 같이 회전되는 래칫 레버와, 상기 래칫 레버의 회전에 의해 권취릴을 구속시키는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와, 상기 공급릴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 레버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공급릴을 구속시키는 공급릴측 래칫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측에는 상기 콘트롤 레버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공급릴을 구속시키는 공급릴측 래칫 브레이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측에는 공급릴을 구속하는 소프트 브레이크가 구비되고, 상기 소프트 브레이크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릴측 래칫 브레이크와 연결하여 탄력지지설치되는 인장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측에는 권취릴의 정역회전시 일정한 부하를 주는 원 웨이 클러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 웨이 클러치에는 권취릴에 부하를 주는 마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작동 플레이트에 의해 회동되는 연동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동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연동 플레이트에 의해 연동되는 구동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하단부에는 구동 플레이트의 회동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를 구속하는 센터록 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플레이트는 좌측에는 상기 캠 기어의 캠 프로파일에 끼워지는 구동핀이 돌출형성되고, 좌측 하단부에는 공급릴과 접촉되는 소프트 브레이크를 공급릴에서 이탈시키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중앙하부에는 연동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2개의 작동핀이 돌출형성되고, 우측에는 이머젼시 레버를 회전시키는 작동핀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를 권취릴에서 이탈시키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고속모드시에 권취릴을 구속시키는 클러치록 기어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일정방향으로 구동 플레이트를 탄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는 원 웨이 클러치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원 웨이 클러치 리미터와, 고속모드에서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를 권취릴에서 이탈시키는 래칫 브레이크 푸셔가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레버에는 캠 기어의 캠 프로파일에 끼워지는 구동핀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레버에는 스프링 걸이와,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기어의 상면에는 상기 래칫 레버를 회전시키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측 래칫 브레이크의 양측에는 래칫 레버와, 작동 플레이트의 절곡부에 의해 규제되는 밀판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KR1019970000169A 1997-01-07 1997-01-07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KR10023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169A KR100230778B1 (ko) 1997-01-07 1997-01-07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169A KR100230778B1 (ko) 1997-01-07 1997-01-07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80A KR19980065280A (ko) 1998-10-15
KR100230778B1 true KR100230778B1 (ko) 1999-11-15

Family

ID=1949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169A KR100230778B1 (ko) 1997-01-07 1997-01-07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7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80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2994A (en) Video tape recorder
EP0087952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P0396018B1 (en) Magnetic tape back ten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US4754347A (en) Brake mechanism for magnetic tape reel mounts in a video tape recorder
KR100230778B1 (ko) 브이씨알 데크메카니즘의 릴 브레이크 장치
JP2546565B2 (ja) テープレコーダー用ブレーキ駆動装置
US3918660A (en) Brake mechanism for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342335B2 (ko)
JPS58147835A (ja) 磁気テ−プ装置
KR100231389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
KR013975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브레이크장치
JP304879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35304Y2 (ko)
JPS6325538Y2 (ko)
JPH0531701Y2 (ko)
JP2542345Y2 (ja) テープ駆動機のテープ弛み解消装置
KR0137422Y1 (ko) 비디오기록재생장치의 공급릴 브레이크장치
KR016523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브레이크 장치
JP260772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372761A (ja) 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3491542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
KR940001851Y1 (ko) 로딩링을 이용한 데크의 릴 브레이크장치
JP271939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88016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944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