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02A - 카메라 및 필름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필름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02A
KR920000002A KR1019910001763A KR910001763A KR920000002A KR 920000002 A KR920000002 A KR 920000002A KR 1019910001763 A KR1019910001763 A KR 1019910001763A KR 910001763 A KR910001763 A KR 910001763A KR 920000002 A KR920000002 A KR 920000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ue
film
axial direction
width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641B1 (ko
Inventor
쇼우지 가이하라
쇼우스게 하라구찌
Original Assignee
야마지 게이조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53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162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3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29231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지 게이조,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지 게이조
Publication of KR92000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02Moving film strip by pull on end thereof
    • G03B1/04Pull exerted by take-up spool
    • G03B1/12Pull exerted by take-up spool rotated by motor, e.g. sp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56Threading; Loop forming
    • G03B1/58Threading; Loop forming automat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및 필름권취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의 필름구동장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카메라의 수푸울부근을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스푸울의 확대측면도.

Claims (27)

  1. 그위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한 스푸울과, 상기 필름의 관통구멍에 걸어 맞추기 위하여 상기 스푸울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클로오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오는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각 클로오의 폭이 "m"이라하고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폭이 "n"이라고 하면, m 〈 n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각클로오의 폭이 그것의 뿌리부에서 "m"이라하고,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그것의 앞단부에서 “ℓ"이라하며,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폭이 "n"라하면, ℓ〈 m 〈 n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클로오의 폭이 그것의 앞단부에서 "ℓ"이라하고,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폭이 "n"이라하면,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의 서로서로로부터 이동 배치되는 양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필름감김부의 직경이 "D"라하고, 상기 스푸울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에 의하여 형성된 위상각을 "β"라고하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 필름의 선단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클로오에 의해 최초로 걸어 맞추어진 관통구멍까지의 거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에 의해 형성된 위상각을 90°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상기 스푸울에 대하여 눌러붙이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스프링힘이 가해진 필름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은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와 상기 필름가이드 푸싱부는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백커버의 크로우징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스푸울을 강제적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푸울둘레에 감아 자동필름 로우딩 작용을 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그위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한 스푸울과, 상기 필름의 관통구멍에 걸어 맞추기 위하여 상기 스푸울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클로오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오는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각 클로오의 폭이 "m"이라 하고,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폭이 "n"이라고 하면, m 〈 n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각클로오의 폭이 그것의 뿌리부에서 "m"이라하고,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그것을 앞단부에서 "ℓ"이라하며,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폭이 "n"이라하면, ℓ 〈 m 〈 n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각 클로오의 폭이 그것의 앞단부에서 "ℓ"이라하고,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폭이 "n"이라고 하면,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의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배치되는 량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 필름감김부의 직경이 "D"라하고, 상기 스푸울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에 의하여 형성된 위상각을 "β"라고 하면, 다음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πD(1-) 〉 필름의 선단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클로오에 의해 최초로 걸어 맞추어진 관통구멍까지의 거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에 의해 형성된 위상각을 90°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17. 그위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한 스푸울과, 상기 피름의 관통구멍을 걸어 맞추기 위하여 상기 스푸울위에 형성된 클로오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오는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그것의 앞단부의 폭이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그것의 뿌리부의 폭보다 더작게 형성되고, 상기 뿌리부의 폭이 상기 관통구멍의 폭보다 더작게 형성되도록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오가 상기 관통구멍과 접하는 상기 클로오의 2개에지의 각각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로오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상기 스푸울에 대하여 눌러붙이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스프링힘이 가해진 필름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은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와 상기 필름가이드의 푸싱부는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백커버의 크로우징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스푸울을 강제적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푸울둘레에 감아 자동필름로우딩 작용을 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3. 그위에 필름을 권취하기 위한 스풀울과, 상기 필름의 관통구멍을 걸어맞추기 위하여 상기 스푸울위에 형성된 클로오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오는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그것의 앞단부의 폭이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그것이 뿌리부의 폭보다 더작게 형성되고, 상기 뿌리부의 폭이 상기 관통구멍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되도록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오가 상기 관통구멍과 접하는 상기 클로오의 2개 에지의 각각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로오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상기 스푸울에 대하여 눌러붙이기를 위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스프링힘이 가해진 필름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권취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은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클로오와 상기 필름가이드의 푸싱부는 상기 스푸울의 축방향으로 서로서로로부터 이동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권취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01763A 1990-02-01 1991-02-01 카메라 KR930011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539 1990-02-01
JP2253990A JP2716235B2 (ja) 1990-02-01 1990-02-01 カメラ
JP2-23793 1990-02-02
JP2023793A JPH03229231A (ja) 1990-02-02 1990-02-02 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002A true KR920000002A (ko) 1992-01-10
KR930011641B1 KR930011641B1 (ko) 1993-12-16

Family

ID=2635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763A KR930011641B1 (ko) 1990-02-01 1991-02-01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40225B1 (ko)
KR (1) KR930011641B1 (ko)
DE (1) DE6910893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1158T2 (de) * 1995-09-13 2002-09-05 Fuji Photo Film Co Ltd Fotografische Filmrol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855A (en) * 1979-05-24 1981-06-30 Nippon Kogaku K.K. Film take-up spool
JPS5852526U (ja) * 1981-10-07 1983-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のフィルム巻取装置
SU1099305A1 (ru) * 1983-02-01 1984-06-23 Белорус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Зубчатый барабан
US4726674A (en) * 1986-05-23 1988-02-23 Beattie Systems, Inc. Film magazine pin regis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641B1 (ko) 1993-12-16
DE69108939D1 (de) 1995-05-24
EP0440225A2 (en) 1991-08-07
EP0440225A3 (en) 1991-09-11
DE69108939T2 (de) 1995-09-21
EP0440225B1 (en)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5761A (en) Locking mechanism for retractable tape
KR890015061A (ko) 필름 카세트
KR910008481A (ko) 필름 카세트
JPS623064B2 (ko)
FR2403585A1 (fr) Appareil de visionnement d'images notamment de photographies
KR920000002A (ko) 카메라 및 필름권취장치
KR930003517B1 (ko) 전회전북
DE3213599C2 (de) Magnetische Aufnahme- und/oder Wiedergabevorrichtung
US4913474A (en) Device for knotting a flexible tie
DE2317590A1 (de) Vorrichtung zum erfassen des anfangs eines films
KR910014747A (ko) 필름 카세트
JPH05193838A (ja) 金属線材巻取り用スプール
FR2703037B1 (fr) Dispositif d'enroulement à commande manuelle d'un élément enroulable autour d'un arbre ou d'un tambour.
US4826096A (en) Gasket wrapping apparatus
US5520348A (en) Apparatus for detaching and reattaching a photographic film to a film cartridge
JPH0231576Y2 (ko)
JPH0425694Y2 (ko)
US3837596A (en) Self-threading take-up spool device
KR960011915A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KR910017228A (ko) 필름 카세트
JP2852567B2 (ja) 消防ホース巻取装置
JPS56149954A (en) Winder for roll screen or the like
CA2196762A1 (en) Device for automatic closing of cut-off throttle at hose reels
JPS5848434Y2 (ja) 二重掛けワイヤ駆動機構におけるワイヤ折り曲げ端を掛止するためのワイヤガイド
FR2711632B1 (fr) Dispositif permettant l'enroulement à spires jointives d'un câble sur un tambo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