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481B1 -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의 동기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의 동기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481B1
KR930011481B1 KR1019900017147A KR900017147A KR930011481B1 KR 930011481 B1 KR930011481 B1 KR 930011481B1 KR 1019900017147 A KR1019900017147 A KR 1019900017147A KR 900017147 A KR900017147 A KR 900017147A KR 930011481 B1 KR930011481 B1 KR 93001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divided
inputting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088A (ko
Inventor
이정행
신흥규
이준성
김시종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481B1/ko
Publication of KR92000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의 동기제어회로
제1도는 필드 시작신호와 색부반송파의 위상 관계를 도시한 타이밍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제어회로의 상세한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동기제어회로에 대한 표본화 클럭신호와 색부반송파의 관계를 도시한 타이밍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제어회로에 대한 타이밍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제4도 동기제어회로에 대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1분주회로 22 : 리세트 신호발생회로
23 : 제2분주회로 24 : 위상비교회로
25 : 제1동기래치 26 : 제2동기래치
27 : 위상동기루우프회로 27a : 위상동기루우프
27b : 제3분주회로
본 발명은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의 동기제어를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호 전송중에 발생하는 동기신호 변화에 대해 위상을 비교함으로써 동기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동기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서는 동기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특정 전송로를 이용하고 데이타를 감축하여 전송하는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는 동기신호 구간에 삽입된 데이타 복구를 위해 동기안정화 문제가 상당히 중요시된다. 즉, 영상데이타 감축을 위해 일정한 영역의 신호구간, 즉, 동기신호구간을 제외하고 전송하며, 수신측에서는 제외되었던 동기 신호를 원래의 신호구간에 추가하여 원래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동기 신호의 제어가 필요하다. 이 경우, 비디오 신호에서의 색부반송파, 라인 필드, 프레임 등의 동기가 정확해야 함으로 데이타 감축방식에서는 이들의 처리를 위해 동기제어회로를 사용하여 각 신호를 동기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동기제어회로로는 수시로 변하는 전송상태에서 전송시 발생하는 제어동기신호를 안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 감축기법을 이용하는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한 제어동기신호를 항상 안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동기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은 설명을 목적으로 비디오 신호에서의 표본화 클럭(fs)은 예를들어 10.73MHz이고 색부반송파 주파수(fsc)는 3.58MHz라 한다. 그리고 1프레임을 2필드로 구성하면 1프레임은 통상적으로 525라인이므로 1필드의 간격은 262.5라인이 된다. 한편, 색부반송파를 결정할때는 주사선 주파수의 1/2의 정수배로 택할 수 있으므로, fsc=1/2×455×fh로 된다. 여기서, fh는 라인 주파수이다. 즉, 주사선 1개에는 455/2=227.5개의 색부반송파(fsc)가 들어가고 1필드 동안에는 227.5×262.5=59,718.75개가 들어가게 된다. 이 필드 신호에 대해 색부반송파의 위상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표본화 클럭에서 발생하는 지터(PCM 펄스열에서 펄스가 정위치로부터 시간적으로 벗어나 앞뒤에 있는 현상)가 93ns 이상이 될때에는 위상(1)만이 안정하나 93ns 이하의 경우 위상(2) 및 (4)도 안정하다. 따라서, 비디오 신호에 있어 매필드마다 위상이 90°만큼씩 변동하기 때문에 기준 표본화 클럭신호(fs)와 색부반송파(fsc)의 위상관계가 항상 일정하여야 한다. 즉, 정수배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227.5×262.5×4=238.875사이클/4필드 관계를 갖도록 기준신호를 만든다.
또한, 입력신호가 끊겼다가 다시 입력될때(예를들면 스위치 온/오프시)항상 같은 위상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 아니라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번 다른 위상형태로 나타난다. 이 경우 처음에 불안정한 관계가 설정되면 계속해서 같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초기 설정시 안정상태의 위상을 갖는 것만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상제어회로는 제1분주 회로(21), 리세트 신호발생회로(22), 제2분주회로(23), 위상비교회로(24), 제1동기래치(25), 제2동기래치(26) 및 위상 동기루우프회로(27)를 포함한다. 필드시작신호(fs)는 제1분주회로(21) 및 리세트 신호발생회로(22)에 공급되며, 제1분주회로(21)에서는 상기 필드시작신호(fs)를 입력하여 기설정된 분주 바람직하게는 4분주하게 출력한다. 제1분주회로는 4비트 2진 카운터가 이용된다. 3.58MHz의 색부반송파는 제2분주회로(23)를 통해 2분주되어 출력된다. 상기 위상 비교기(24)에서는 상기 제1분주회로(21)를 통해 출력되는 4분주된 필드시작신호와 상기 제2분주회로(23)를 통해 출력되는 2분주된 색부반송파 신호를 입력하여 위상이 비교되며, 동일한 경우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나 동일하지 않은 경우, 신호를 리세트 신호발생회로(22)로 출력한다. 이 경우, 리세트 신호발생기(22)는 또한 상기 필드시작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1분주회로(21)가 다음 필드(예를들면 1필드는 17.7ms이다)에서 프레임시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주회로를 리세트시킨다. 따라서 90°만큼의 위상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안정된 동작을 이룰 수 있다.
한편, 4분주된 필드시작신호는 제1동기래치(25)에 입력되며, 제1동기래치(25)는 다른 한편으로 색부반송파를 입력받아 동기시키며, 이 동기신호를 상기 제2동기래치(26)로 출력한다. 제2동기래치(26)는 또한편으로 상기 색부반송파를 통해 제3분주회로(27b)에서 바람직하게는 4분주(42.923MHz/4=10.73MHz)한 위상동기 루우프회로(27)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 안정화된 프레임 시작신호를 출력한다.
3.58MHz의 색부반송파와, 기설정된 4필드기준신호의 위상비교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부반송파 신호의 위상이 (5) 및 (6)의 두파형이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색부반송파를 제2분주회로(23)이 통과시키면, 각기 위상(5a), (5b), (6a) 및 (6b)와 같은 파형이 얻어진다. 위상(5)의 경우에는 2분주된 (5a) 및 (5b) 신호가 필드시작신호의 상승단 좌우에서 동일한 값을 가지나, 위상(6)의 경우 2분주된 (6a) 및 (6b) 신호가 전술한 필드시작신호의 상승단 좌우에서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즉, 위상(5)의 2분주된 (5a) 및 (5b)는 안정된 상태이며, 위상(6)의 2분주된 (6a) 및 (6b)는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불안정한 상태의 경우 1필드 만큼 지연시켜줌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제 전술한 위상비교회로 동작을 제4도 및 제5a 및 5b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드시작신호는 제1분주회로인 4비트 2진 카운터(21)에서 4분주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트 신호발생회로(22), 위상비교회로(24) 및 제1동기래치(25)에 입력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3.58MHz 색부반송파는 제1동기래치(25) 및 위상동기 루우프 회로(27)에 공급되는 한편, 제2분주회로인 D 플립플럽(23)을 통해 2분주되어 위상비교회로(24)에 공급된다.
상기 4비트 2진 카운터(21)로부터의 4분주 신호는 위상비교회로(24) 내부의 D 플립플럽(I4) 및 (I5)의 클럭단자에 입력되는데, D 플립플럽(I4)의 클럭단자(CLK)에는 지연회로(I1,I2,R1,I3)를 통해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B) 20ns 지연된 신호가 입력되며, D 플립플럽(I5)의 클럭단자(CLK)에는 지연되지 않은 제5a도의 (A)와 같은 신호가 입력된다. 한편, 상기 D 플립플럽(I4) 및 (I5)의 입력(D)에는 상기 제2분주회로(23)로부터의 3.58MHz의 색부반송파가 2분주 되어 입력된다. D 플립플럽(I4)의 입력(D)에는 2분주된 색부반송파가 제5a도의 신호(C)와 같이 입력되며, D 플립플럽(I5)의 입력(D)에는 상기 신호가 지연회로(I7, R2, R3, I9)에 의해 20ns 지연되어 제5a도의 신호(D)와 같이 입력된다. 이 때문에 4필드 시작신호 즉, 제1분주기(21)의 신호의 상승단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의(예를들면 40ns) 윈도우(window)가 형성된다. 즉, 상승단 전후 위상의 검출범위가 결정된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필드시작신호의 상승단 좌우에서 동일한 값을 갖게 되는 안정된 상태의 경우, D 플립플럽(I4) 및 (I5)은 서로 다른 값을 출력시키므로 배타적 논리합(I6)의 출력은 "H"가 되고 NAND 게이트(I10)는 "L"을 출력하며, 이것은 리세트 신호 발생회로(22)의 D 플립플럽(I11)에서 다시 1필드 지연된 값과 비교되어 제1분주회로인 4비트 2진 카운터(21)의 리세트 단자를 "H"로 유지한다.
불안정 동작시에는 D 플립플럽(I4) 및 (I5)이 같은 값을 출력시키므로 배타적 논리합(I6)의 출력은 "L"가 되고 NAND 게이트(I10)는 "H"를 출력한다. 리세트 신호발생회로(220의 D 플립플럽(I11)의 입력이 "H"를 가지므로 NAND 게이트(I12)는 1필드동안 "L"를 유지한 다음 필드신호가 D 플립플럽(I11)에 입력될때 리세트되어 4비트 2진 카운터(21)는 새로이 계수를 개시한다. 따라서 90°의 위상 이동이 발생하며 안정된 범위로 전환된다. 여기서 D 플립플럽(I11)은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비교 검출후에는 항상 "H"가 되도록 리세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기제어회로는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 위상비교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색부반송파 동기 주파수 위상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안정된 위상을 취하여 비교 검출함으로써 동기를 안정화할 수 있는 등의 커다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필드시작신호 및 색부반송파 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를 디지틀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탈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드시작신호(fs)를 입력하여 계수함으로써 기설정된 수만큼 분주하는 제1분주회로(21)와; 상기 색부반송파 신호(fsc)를 입력하여 기설정된 수만큼 분주하는 제2분주회로(23)와; 상기 제1분주회로(21)로부터의 분주된 필드시작신호와 상기 제2의 분주회로(23)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제1분주회로로부터의 신호의 상승단 전후의 기설정된 범위사이에서 상기 제2분주회로(23)의 신호가 다른 값을 갖는 경우, 불일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비교회로(24)와; 상기 위상비교회로(24)로부터의 상기 불일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1분주회로(21)를 리세트시키는 리세트신호발생회로(22)와; 상기 제1분주회로(21)로부터의 상기 분주된 필드시작신호와 상기 색부반송파신호를 입력하여 색부반송파 동기를 수행하는 제1동기래치(25)와; 상기 색부반송파신호를 입력하여 표본화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동기루우프회로(27)와; 상기 제1동기래치(25)로부터의 상기 색부반송파동기신호와 상기 위상동기루우프회로(27)로부터의 상기 표본화 주파수 신호를 입력하여 위상 안정화된 프레임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제2동기래치(26)를 포함하는 동기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비교회로가; 상기 제1분주회로(21)로부터의 상기 분주된 필드시작신호를 입력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지연하는 제1지연수단(I1,I2,R1,I3)과; 상기 제2분주회로(23)로부터의 상기 분주된 색부반송파 신호를 입력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제2지연수단(I7,R2,I8,I9)과; 상기 제1지연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분주된 필드시작신호와 상기 분주된 색부반송파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분주된 필드시작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분주된 색부반송파 신호를 발생하는 제1플립플럽수단(I4)와; 상기 분주된 필드시작신호와 상기 제2지연수단으로부터의 분주된 색부반송파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분주된 필드시작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분주된 색부반송파 신호를 발생하는 제2플립플럽수단(I5)와; 상기 제1플립플럽 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플립플럽의 출력신호가 다른 경우에만 상기 불일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I6,I10)을 포함하는 동기제어회로.
KR1019900017147A 1990-10-25 1990-10-25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의 동기제어회로 KR93001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147A KR930011481B1 (ko) 1990-10-25 1990-10-25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의 동기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147A KR930011481B1 (ko) 1990-10-25 1990-10-25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의 동기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088A KR920009088A (ko) 1992-05-28
KR930011481B1 true KR930011481B1 (ko) 1993-12-08

Family

ID=1930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147A KR930011481B1 (ko) 1990-10-25 1990-10-25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의 동기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228A (ko) * 2000-09-14 2002-03-20 구자명 정수기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088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9966B1 (en) Phase detector with ternary output
KR970004440B1 (ko) 신호 위상 정합 회로
US39821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iphase signals
US4600943A (en) Sampling pulse generator
US4390985A (en) Device for the synchronization of digital data transmitted in packets
US20040095170A1 (en) Synchronization circuit
US40598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digital divider chain with a low frequency pulse train
EP0290851B1 (en) Synchronizing clock signal generator
US4827490A (en) Method of synchronizing two binary trains
JPS581785B2 (ja) 陰極線管の表示装置
KR930011481B1 (ko)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에서의 동기제어회로
US6404833B1 (en) Digital phase synchronizing apparatus
JP2917522B2 (ja) クロック同期方法および回路
KR100265309B1 (ko) 2상 변조 디지탈 신호로부터의 클럭 신호 발생 방법 및 그 장치
US3983495A (en) Digital waveform generator
US4775989A (en) Timing phase detector circuit
US6680992B1 (en) Clock identification and reproduction circuit
JP2702257B2 (ja) ビット位相同期回路
KR19980070455A (ko) 디지탈데이터의 전송클럭 변환회로
JPS613545A (ja) 標本化回路
JPH07170584A (ja) クロック切替回路
KR900002636B1 (ko) 디지탈 교환기의 송신클럭동기장치
KR930011482B1 (ko) 디지틀 비디오 광 전송장치의 동기시간 안정화를 위한 위상동기 루우프 회로
JPH09135238A (ja) データ処理装置
JPS5819056A (ja) クロツク再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