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928B1 -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928B1
KR930010928B1 KR1019910003187A KR910003187A KR930010928B1 KR 930010928 B1 KR930010928 B1 KR 930010928B1 KR 1019910003187 A KR1019910003187 A KR 1019910003187A KR 910003187 A KR910003187 A KR 910003187A KR 930010928 B1 KR930010928 B1 KR 930010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terminal
output terminal
luminance signal
adap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106A (ko
Inventor
에이취. 스트롤 크리스토퍼
비이. 파텔 챈드러칸트
에프. 웨담 웨너
고정완
슈니츨러 레이몬드
윤종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569,029 external-priority patent/US5113262A/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2000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 H04N9/83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involving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7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 H04N9/7976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by spectrum folding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the luminanc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 H04N9/83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using intermediate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8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using frequency multiplication of the reproduced colour signal carrier with another auxiliary reproduced signal, e.g. a pilot signal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의 녹화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 명시된 엔코더의 더 자세한 블럭도이며,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엔코더의 일 부분을 더 자세히 설명한 블럭도이며,
제4도는 가능한 부분에서 지연라인들을 공유하고, 더 효과적으로 구성된 형태인 제3도의 장치를 설명하는 더 자세한 블럭도이며,
제5도는 제3도에서 명시된 소프트 스위치 회로의 더 상세한 블럭도이며,
제6도는 제2도에서 도시된 엔코더의 일 부분인 적응 중첩회로(adaptive folding circuit)의 블럭도이며,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적응 디피커의 영역을 교체할 수 있는 실시예의 상세한 블럭도이며,
제8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의 재생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디코더의 보다 상세한 블럭도이며,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적응 비중첩회로의 일 부분을 더 자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적응 비중첩회로의 또 다른 부분을 더 자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출원은 하기의 발명들이 완성됨과 동시에 삼성전자 주식회사에 공통적으로 소유되거나, 또는 양도의 의무를 조건으로 하여 특허청구된 하기의 발명들에 관련된 것이다.
-1990년 8월 6일, 고 정완외 다수에 의해 특허출원된 AML 일련 번호 제1004호인 "비중첩 비디오신호로부터 중첩반송파와 측파대의 제거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장치"
-1990년 5월 31일, 고 정완외 다수에 의해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07/531,05 7호인 "제어신호 확산기"
-1990년 5월 31일, 고 정완외 다수에 의해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07/531,14 4호인 "별도의 채널을 통과하는 색도 및 휘도신호의 보정 위상관계를 복원하기 위한 장치"
-1990년 5월 31일, Strolle외 다수에 의해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07/531,07 0호인 "보조신호들로 엔코딩된 컬러-언더(color-under) 색도채널".
본 발명은 상기 개선된 시스템에 의하여 녹화된 비디오 카세트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VCR(Video Cassette Recorder)에 재생하는 역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개선된 비디오화질을 제공하는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용 신호처리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VCR은 비디오신호를 여러 방식중 한 방식으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녹화된다. 잘 알려져 있는 VHS 시스템은 수평해상도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주로 열화된 화면을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슈퍼 VHS(S-VHS)로 불리는 개선된 VHS방식은 상기 비디오테이프카세트에 전 대역폭의 비디오신호를 녹화하여 개선된 비디오화질을 출력하므로써 개선된 비디오화질을 발생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카세트에 있어서 양질의 테이프와, 양질의 녹화/재생 장치 및 회로를 요구한다. 그러나 상기 S-VHS시스템은 표준 VHS방식의 VCR과 역 호환할 수 없다. S-VHS방식의 VCR은 S-VHS나 표준 VHS 방식의 VCR에 녹화된 카세트들을 둘다 재싱할 수 있지만, 표준 VCR방식의 VCR은 S-VHS방식의 VCR에 녹화된 비디오을 재생할 수 없다.
4.2MHz의 대역폭으로 한정된 NTSC방식과 같이, 소정의 협대역을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비디오 기술자들의 오래된 목표였다. 보통 프레임과 선속도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역폭의 제한은 수평해상도의 제한으로 변환된다. 어떤 경우에는 채널 대역폭이 3MHz까지 또는 2.5MHz까지 제한되며, 그러인해 비디오의 수평해상도가 떨어지게 된다.
비디오 스펙트럼은 신호 에너지가 매우 작은 홈(hole)들을 가지고 있다고 오랫동안 인식되어져 왔다. NTSC방식의 색도시스템은 색도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이홈들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NTSC방식 시스템에서는, 색도정보는 주파수가 매우 주의깊게 채택된 색도 반송파에 녹화되므로 색도신호가 흑백수상기에 나타날 때는 최소한의 외란이 일어난다. 특히, 색도반송파의 주파수는 복합비디오신호의 휘도 및 색도성분사이의 누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수직적, 수평적, 그리고 시간적으로 인터리빙 (interleaving)된다.
그러한 주파수 홈들이 재생된 비디오의 수평해상도를 증가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수평 정보를 전송하는데도 쓰일 수 있다는 사실은 NTSC방식의 시스템이 채택될 때쯤 인식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의 고주파수평 정보는, NTSC방식의 색도시스템에 색도정보가 인터리빙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저주파 수평정보에 인터리빙된다.
호손(Howson)에 의해 쓰여진 "주파수 비월에 대한 TV대역폭의 감소"를 제목으로 하는 논문에는 아날로그 영역에서 작동되는 시스템의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주파수 인터리빙에 의해서 발생되는 아티펙트(artifact)들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아티펙트가 눈에 거슬리는 도트 크롤 패턴(dot crawl patterns)으로 나타나, 전대역폭의 비디오를 원래의 형태로 정확하게 재생시킬 수 없다.
후에 샘플링 데이타 디지탈 비디오신호 처리기술은 후에, 문제점에 역점을 둔 서브나이키스트 샘플링(때로는 서브샘플링이라고 하는)을 사용함으로써 발전되었다. 이 기술들은 제1비디오 라인의 모든 홀수샘플들을 0값샘플로 바꾼 후, 다음 라인에서는 모두 짝수 샘플을 0값샘플로 바꾸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프레임에서는 상기 패턴이 발전된다.
1982년 1월 1일 웬드랜드(Wendland) 교수외 다수인에 의해 출원된 "Verfahren zum Ubertagen von Fernsehsignalen uber einen genormten bandbreitebegrenzten Ubertragunskanal und Anordnung zum Durchfuhren des Verfahrens"라는 표제의 독일 특허출원 번호 제 82100285.2호에서는 진보된 TV시스템에 적용되는 오프셋 서브 샘플링 및 대역압축의 원리를 개시한다. 이 특허는 또한 상기 명시된 원리들에 따르는 TV시스템들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을 개시한다.
호손 주파수(Howson Frequency) 중첩기술과 서브나이키스트 샘플링기술은 이론적으로는 같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같을지라도 샘플링된 데이타 디지탈시스템은 라인 및 프레임 콤필터링하는 기술들로 인해 개량된 입력 비디오의 재구성이 제공되는데, 이는 호손 시스템(Howson system)과 동시에 개발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서브나이키스트 샘플링기술을 데이타 감소기술과 같이 전체적으로 샘플링된 데이타 디지탈 시스템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은 협대역의 아날로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없다.
1986년 11월 고지마(Kojima)외 다수인에 의하여 IEEE지의 볼륨 CE-32, Vol. 4의 페이지 759-768에 기재된 가전 제품에 대한 보고서인 "대역압축 기술을 기초로 하는 HD-TV수신장치의 개발"이라는 논문에서는, 한 프레임 걸러 한 화소씩 샘플링함으로써 대역폭압축을 얻는 또 다른 데이타 압축설계가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정 비디오(nonmoving image)에서는 잘 수행된다. 동비디오에 있어서, 동벡터(motion vector)가 발생되고 각 화소의 샘플링 실제속도가 상기 동벡터에 따라 적응적(adaptively)으로 변하므로, 상기 화소의 샘플은 평균적으로 한 프레임 걸러서 전송되지만, 그 화소가 동비디오를 나타낼 때는 더 자주 전송된다.
1989년 5월 16일 파로우드자(Faroudja)에게 발생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831,463호는 비디오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 비디오신호는 자기테이프와 같이 제한된 대역폭 채널을 통해 비디오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소정의 대역폭을 가진다. 상기 특허에 명시된 장치에서, 비디오신호 전처리기(preprocessor)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디오신호 스펙트럼내에서 스펙트럼으로 작동하는 영역간에 스펙트럼의 홈을 발생하기 위한 콤필터를 포함한다.
중첩회로는 상기 비디오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소정의 선택적 중첩주파수에 중첩하므로 상기 중첩된 고주파성분은 상기 비디오신호내에 미리 형성된 스펙트럼의 홈에 위치한다. 그런 후 저역통과 필터는 상기 중첩된 비디오신호를 필터링하며, 비디오신호의 대역폭은 상기 원 비디오신호 대역폭의 약 1/2이 된다.
더우기 이 특허는, 제한된 대역폭 채널로부터 중첩된 신호를 받는 후처리기(pos t processor)를 명시하고 있다. 상기 후처리기는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비중첩 주파수에 비중첩 회로를 포함한다. 그런 후 콤필터는 상기 비중첩처리에서 발생되는 엘리어스성분(alias component)을 제거하기 위해서 비중첩신호를 처리한다. 이 콤필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신호는 대역폭과 정보량에 있어서 원 비디오신호에 거의 가깝다.
호손(Howson)의 논문과 파로우드자(Faroudja)의 특허는 둘다 중첩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중첩시스템이 개선된 VCR과 혼합된다면 있어서는 안되는 아티펙트들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VCR에 재생시킬 수 있는 카세트를 만들 수는 없다.
이는 근본적으로 이전에 카세트 상에 녹화된 저주파 성분내에 존재하는 중첩 고주파성분의 크기 때문이다. 중첩된 고주파성분의 크기는 매우 커서 비디오에 과도한 아티펙트들을 발생시키는데, 이 비디오는 중첩 고주파수성분이 적절하게 제거되지 않은 비디오신호로부터 발생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VCR에 의해 녹화되는 비디오신호보다 더 넓은 대역폭의 비디오신호를 표준 품질카세트상에 녹화할 수있는 개선된 비디오녹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개선된 비디오 녹화시스템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VCR(현재 사용되고 있는 VCR이 이러한 카세트에 녹화된 전대역폭의 신호를 재생시킬 수는 없을지라도)과는 역 호환성을 유지하지만, 양질의 자기 테이프나 녹화/재생 장치는 특별히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개선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녹화된 표준품질의 카세트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VCR에 눈에 띄는 아티펙트를 발생시키지 않고서도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전대역폭 비디오신호는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를 통하여 전송되며, 이 엔코더는 감쇠된 진폭의 고주파성분이 중첩되어 있는 저주파성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엔코더의 출력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은 비디오 카세트에 녹화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VCR에 의해 재생될 때, 감쇠된 진폭의 중첩 고주파성분은 회복될 수 있고 전대역폭 비디오신호는 재생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VCR에 재생될 때, 고주파성분은 충분히 낮은 레벨에 있으므로 어떠한 간섭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호손(Howson)은 역 호환성과는 관련이 없는 대신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필터를 포함한다. 이 필터는 채널을 통하여 중첩된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저주파 휘도성분으로부터 발생되는 누화 효과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휘도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증가시킨다.
호손(Howson)에 의해 개시된 시스템을 포함하기 위해 수정된 VHS방식의 VCR에 의해 녹화된 비디오카세트가 만약 표준 VHS방식의 VCR에 재생된다면, 제거되지 않은 프리엠퍼사이즈(pre-emphasized)된 고주파성분의 간섭은 파로우드자(Faro udja)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 더 나쁜 비디오를 발생할 것이다.
파로우드자(Faroudja) 특허는 그 발명의 하나의 목적에 대한 언급 이외에, 이전에 존재하던 녹화매체 및 장치와의 역 호환성에 대한 어떠한 토론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한, 역 호환성을 이루기 위한 어떠한 장치나 처리에 대한 가르침도 없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파로우자(Faroudja) 특허에 의한 시스템은, 휘도 주파수에 중첩된 휘도 고주파수의 높은 레벨 때문에 역 호환성이 없다.
도면에서는 등화용 지연기들이 단순화할 목적으로 생략되었다. 비디오신호처리기 설계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그러한 지연기들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지연들은 처리통로에서 수행되는 다른 처리과정으로 인하여 다른 통로상의 다른 지연들에 영향을 받는 화소들을 배열하는 시간을 적절히 조절한다.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그러한 지연들이 어떠한 곳에 필요한지, 각 지연들이 어느 정도 길어야할 지를 알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지연들에 대하여 아래에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도면에서는 그외에도 여러필터들이 수평, 수직, 시간방향으로 필터링하는데 쓰인다. 이 필터들은 특성에 따라 고역필터 및 저역필터 둘다 갖는다. 비디오신호 처리기 설계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그러한 필터들이 잘 알려진 콤필터 설계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지연라인들의 지연주기와 탭(tap)들의 수 및 탭들의 무게 (weight)를 적절히 선택하는 방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설계가 다른 이유들에 중요하지 않다면 콤필터의 자세한 설계는 아래에서 언급하지 않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의 녹화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1도에서 입력단자(5)는 비디오 신호의 공급원(명시되지 않았음)과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NTSC 복합 비디오신호, 입력단자(5)는 엔코더(10)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엔코더(10)의 제1출력단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VCR에 있는 것과 동일하게 휘도 녹화회로(20)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휘도 녹화회로(20)의 출력단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VCR에 있는 것과 동일하게 표준 테이프 이송장치의 녹화 헤드(40)와 결합되어 있다. 엔코더(10)의 제2출력단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VCR에 있는 것과 동일하게 색도 녹화회로(30)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색도 녹화회로(30)의 출력단자는 또한, 상기 녹화헤드(4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녹화헤드(40)는 표준 비디오카세트의 자기 녹화테이프(명시되지 않았음)에 입력되는 신호를 기록한다.
회로동작에 있어서 엔코더(10)는 표준 전대역폭의 NTSC방식의 신호를 입력하여 휘도신호(Lr)을 발생한다. 이 신호는 현재 사용되는 VCR에 의해 발생되는 표준휘도 신호와 같이 감쇠된 대역폭을 갖는다.
상기 휘도신호(Lr)는 복합신호이고, 이는 감쇠된 진폭의 고주파성분이 저주파 성분에 중첩된 신호이다 이렇게 하여 상기 휘도신호(Lr)는 카세트에 녹화될 수 있는 축소된 대역폭내에, 전대역 NTSC방식이 신호로부터 발생되는 모든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신호는 표준품질이 카세트와 녹화 및 재생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상기 녹화된 카세트의 신호가 후에 표준 VCR에서 재생된다면, 중첩된 고주파수신호의 감소된 진폭이 있어서는 안되는 아티펙트를 발생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휘도 녹화회로(20)는 상기 감쇠된 대역폭의 휘도신호가 표준 VCR에 녹화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휘도신호(Lr)를 녹화한다. 예를 들면 VHS 방식의 VCR에 있어서 이 신호는 변조된 FM 신호이고 주파수의 대역은 약 1.4-5.9MHz이다.
엔코더(10)는 또한 색도 녹화회로(30)에 입력되는 복합 신호(C+Mr)를 발생한다. 이 복합신호(C+Mr)는 하나의 성분으로 표준 색도신호(C)와 또 다른 성분의 동작 표시 신호(Mr)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표시 신호성분은 재생처리기간 동안 비중첩 휘도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처리방법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색도녹화회로 (30)는 표준 VCR에 녹화되는 색도신호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복합신호(C+Mr)를 녹화한다. 이 신호는 VHS방식의 VCR에서 약 629KNz로 변조된다. 이 색도신호는 상기휘도신호(위에서 설명한)와 혼합되고 카세트의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된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명시된 엔코더(10)의 더 자세한 블럭도이다.
제2도에서 입력단자(105)는 제1도의 입력단자(5)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105)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2)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A/D변환기(102)의 출력단자는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입력단자, 동신호 분리부(106)의 입력단자, 색도신호 분리부(114)의 입력단자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출력단자는 적응 중첩회로(108)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적응 중첩회로(108)의 출력단자는 제1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이하 제1D/A변환기라함)(110)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D/A변환기(110)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115)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출력단자(115)는 휘도녹화회로(20 : 제1도의)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동신호 분리부(106)의 출력단자는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제어 입력단자와 색도/동신호 혼합회로(116)의 동신호 입력단자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색도신호 분리부(114)의 출력단자는 색도/동신호 혼합회로 (116)의 색도신호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색도/동신호 혼합회로(116)의 출력단자는 제2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이하 제2 D/A변환기 라함)(118)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D/A변환기(118)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125)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출력단자(125)는 제1도의 색도 녹화회로(30)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회로동작에 있어서, 제2도의 엔코더는 먼저 입력단자(105)는 복합비디오신호를 A/D변환기(102)를 사용하여 샘플링된 데이타 멀티비트 디지탈 복합비디오신호(V)로 변환한다. 이 샘플링 주파수는 아래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선택된다. 예를 들면, NTSC 방식의 신호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주파수는 약 10MHz가 선택된다. 상기 변환된 신호(V)는 휘도성분(L)을 추출하는 적응 휘도 분리부(104)와, 동작 표시신호(M)를 추출하는 동신호 분리부(106) 및 색도 신호성분(C)를 추출하는 색도신호 분리부(114)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 추출된 휘도신호(L)는 적응 중첩회로(108)에 의해 더 처리된다. 이 회로(108)는 휘도신호(L)의 감쇠된 고주파성분을 저주파성분에 중첩한 후 발생되는 신호를 필터링한다. 그러므로, 전대역폭 휘도신호(L)내의 모든 정보는 약 2.5MHz의 대역폭을 가지는 중첩된 휘도신호(Lf)에 존재한다. 적응 중첩회로(108)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중첩 휘도신호(Lf)는 제1D/A변환기(110)에서 아날로그 그 휘도신호(Lr)로 변환되며, 이 변환된 신호는 제1도의 휘도 녹화회로(20)에 의하여 비디오 카세트에 녹화될 수 있는 형태이다.
상기 추출된 동작 표시 신호(M) 및 추출된 색도신호(C)는 색도/동신호 혼합회로(116)에서 복합신호(C+M)으로 혼합된다. 색도/동신호 혼합회로(116)로도 사용될 수 있는 색도/보조신호 혼합회로는 1990년 5월 31일 발명가 스트롤(Strolle)외 다수인에 의해 출원된 "보조신호로 엔코딩된 크로마 언더 채널"이라는 표제의 동시 계속 특허출원번호 제07/513,070호에 더 자세히 명시되어 있다. 상기 복합신호(C+M)는 제2D/ A변환기 (118)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C+Mr)로 변환된다. 이 신호는 제1도의 색도 녹화회로(30)에 의해 비디오 카세트에 녹화될 수 있는 형태이다.
비디오신호 처리 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것과 같이 프레임 콤 저역통과필터(시간 저역통과 필터)는 공간해상도의 손실없이 휘도성분을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동이 있을 때는 프레임 콤 저역통과필터에 의해 추출된 휘도신호에 아티펙트가 생긴다. 또한 라인콤 저역통과필터(수직콤 저역통과필터)는 이동이 있을지라도 휘도성분을 추출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라인 콤 저역통과필터에 의해 추출된 휘도신호에서는 다이 아고날 해상도(diagonal resolution)가 감소된다.
프레임 콤 저역필터링에 의해 휘도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디오의 영역에 이동이 있을 경우에는 라인 콤 저역필터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엔코더(10)의 일 부분을 더 자세히 설명한 블럭도이다.
제3도에서 입력단자(205)는 제2도의 A/D변환기(102)의 출력단자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단자(205)는 수직 고역통과 필터(202)의 입력단자와, 시간 고역통과 필터(204)의 입력단자와, 수평 대역통과 필터(206)의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이 입력단자(205)는 다시 감산기(208, 210)의 피감수 입력단자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 수직고역통과 필터(202)의 출력단자는 수평고역통과 필터(212)의 입력단자와 결합되며, 상기 수평 고역 통과 필터(212)의 출력단자는 감산기(208)의 감수입력단자와 결합한다. 상기 감산기(208)의 출력단자는 소프트 스위치(214)의 제1데이타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소프트 스위치(214)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215)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출력단자(216)는 제2도의 적응 중첩회로(108)의 입력단자와 결하되어 있다. 상기 시간 고역 통과 필터(204)의 출력단자는 수평 고역통과 필터(216)의 입력단자와 감산기(218)의 피감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고역 통과 필터(215)의 출력단자는 감산기(210, 218)의 감수 입력단자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감산기(210)의 출력단자는 소프트 스위치(214)의 제2 데이타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상기 감산기(218)의 출력단자는 다시 진폭검출기(220)의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이 진폭 검출기(220)의 출력단자는 신호 확산기(222)의 입력단자에 결합되며, 이 신호 확산기(222)의 출력단자는 출력 단자(225)와 소프트 스위치(214)의 제어 신호 입력단자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출력단자(225)는 제2도의 색도/동신호 혼합회로(116)의 동신호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 대역 통과 필터(206)의 출력단자는 색도신호 복조기(224)의 입력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색도신호 복조기(224)의 출력단자는 누화방지 처리부(226)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누화방지 처리부(226)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235)와 결합되어 있다. 이 출력단자(235)는 제2도의 색도/동신호 혼합회로(116)의 색도신호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회로동작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 고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HVhp)는 직렬적으로 결합된 수직 및 수평고역통과 필터(202, 212)에 의해 발생된다. 이 신호는 모든 공간상세 정보(spatial detail information) 이외에도 복합비디오신호(V)에 있는 모든 색도신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공간적으로 도출된 휘도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감산기(208)를 통하여 복합비디오신호로부터 감산된다.
공간적으로 도출되는 휘도신호 Ls는 감산기(208)에 의해 발생되므로, 휘도성분만 포함하고 있으며 다이아고날 해상도는 저하된다. 시간적 및 수평적으로 고역통과 필터링된 신호(HThp)는 직렬로 연결된 시간 및 수평 고역통과 필터(204, 216)에 의해 발생되며, 이 신호는 모든 시간 상세 정보이외의 복합비디오신호(V)에 있는 모든 색도 신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정보는 감산기(210)에 의해 복합비디오신호로부터 감산되어 시간적으로 도출되는 휘도신호(Lr)를 발생한다. 시간적으로 도출되는 휘도신호 (Lr)는 감산기(210)에 의해 발생되므로, 이 신호는 전 공간 해상도에서 휘도성분만 포함하고 있으나 감소된 시간 해상도를 갖는다. 시간 고역통과필터(204)에서 발생되는 시간 고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Thp)는, 수평저주파에서 동정보를 포함하고 휘도고주파에서는 색도정보를 포함한다. 이리하여 수평 고역 통과필터(216)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시간 고역통과 필터링된 신호(Thp)로부터 감산되어, 시간 쌍극의 동작 표시 신호인 수평 저역 통과 필터링되고 고역통과 필터링된 신호(HlpThp)를 형성한다.
이 신호는 비디오에 있는 이동신호의 진폭(이동이 빠를수록 상기 신호가 더 커진다) 및 비디오의 동부분대비의 함수로 변한다. 이 신호는 움직이는 신호의 배경에 대하여 큰 대비를 가지는 대상의 에지에서 가장 큰 진폭을 갖는다. 배경과 움직이는 대상이 가까이 밀집되어 있을 때 이 동신호는 약해진다. 이외에도 소프트에지를 가지는 빠른 동대상도 약한 동신호를 가진다. 빠른 동신호에 대상과 큰 대비를 이룰지라도 상기 동신호는 보통 동에지의 몇몇 화소들 내에서만이 강하다. 동신호에서 이러한 변수의 효과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 진폭 검출기(220)는 감산기(218)로부터 발생되는 동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며, 화소에 이동이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단일 비트신호를 발생한다. 명시되어 있는 진폭검출기(220)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멀티플렉서는 입력된 동신호의 사인비트에 응답하는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가진다. 상기 동신호 (HlpThp)는 멀티플렉서의 제1입력단자 및 산술 니케이터 회로(negator circuit)의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상기 산술 니케이터 회로의 출력단자는 상기 멀티플렉서의 제2입력단자와 결합되며,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자는 동신호의 진폭(절대값)을 발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사인비트가 정(positive)인 동신호를 나타내는 로직 '0'이라면 동신호를 출력단자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는 제1입력단자와 결합되고, 상기 사인비트가부(negative)인 동신호를 나타내는 로직 '1'이라면 동신호의 산술적 부의값(정의값 신호가 될 수도 있다)을 출력단자로 출력행하는 멀티플렉서는 제2입력단자와 결합된다.
이 진폭신호는 명시되어 있는 비교회로에 입력되며, 상기 비교회로는 상기 진폭신호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한다. 만약 진폭신호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비교회로는 로직 '1'신호를 출력단자로 발생시킨다. 만약 진폭신호가 임계값보다 적으면, 상기 비교회로는 로직 '0'신호를 출력단자로 발생시킨다. 이 비교회로의 출력은 이동이 있을 때는 로직 '1'이고 이동이 없을 때는 로직 '0'인 단일 비트신호이다.
이 단일 비트의 동신호는 신호확산기(222)에 의해 수직 및 수평적으로 확산된다. 또 상기 신호는 신호확산기(222)에 의해 시간, 수직, 수평적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일 비트의 동 신호를 확산하는 장치는 1990년 5월 31일, 고 정완외 다수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번호 제07/531,057호인 "제어신호 확산기"에 명시되어 있다. 신호 확산기(222)에 의해 발생되는 확산 동신호(M)는 멀티 비트 디지탈 신호이며, 이 신호의 값은 움직이는 영역(로직 '1'의 값을 갖는 단일비트 바이레벨 신호로 표현되는)의 최대값에서부터 움직이는 영역을 에워싸는 영역의 '0'값 신호까지 수직 및 수평방향(그리고 임의로, 시간적으로)으로 점점 감소한다.
이 동신호(M)은 비디오신호 V를 적응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엔코더의 다른 부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명시된 것처럼, 이동이 없는 영역에서의 휘도신호 L은 오히려 시간적으로 도출된 신호(Lr)이다; 그러나 이동이 있는 영역에서의 휘도신호 L은 오히려 공간적으로 도출된 신호(Ls)이다.
소프트 스위치회로(214)는 동신호(M)의 값에 응답하는 두 입력신호(Lr)와 (Ls)에 비하여 연속적으로 변한다. 만약 동신호(M)값이 이동이 없거나 이동의 낮은 레벨(low level)을 나타내는 '0'이나 거의 '0'에 가까우면, 소프트 스위치회로(214)는 완전한 Lr인 출력신호 L을 발생한다. 만약 동신호(M)값이 이동의 높은 레벨(hig level)을 나타내는 최대값이나 거의 최대값에 가까우면, 소프트 스위치회로(214)는 완전한 (Ls)인 출력신호 L을 발생한다. 동신호(M)의 중간값들에서의 출력신호는 입력신호 Lr와 Ls각각에 다소 비례한다. 소프트 스위치회로(214)의 회로작동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변조된 색도 성분(C)는 수평 고역통과 필터(206)를 이용하여 명시된 방법으로 복합비디오신호(V)로 부터 추출된다. 색도신호는 색도신호 복조기(224)에 의해 베이스밴드로 복조된다. 베이스밴드 복조신호는 누화방지 처리부(226)에 의해 인접한 트랙누화가 감소되도록 처리된다. 예를 들면 누화방지 처리부(226)는 수직 저역통과 필터이며, 투-탭 라인콤 저역통과 필터로 수행된다.
제3도는 NTSC비디오신호의 처리를 위해 예비적으로 적용가능한 엔코더(10)의 일부를 설명한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PAL방식, SECAM방식 또는 어떠한 표준방식의 비디오신호의 처리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기 엔코더(10)의 구성방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3도에서 수직 고역 통과 필터(202) 및 시간 고역 통과 필터(204)는 둘다 복합비디오신호(V)에 응답한다. 그들은 콤필터들로 수행되기 때문에 지연라인들을 공유한다.
제4도는 가능한 부분에서 지연라인들을 공유하고, 더 효과적으로 구성된 형태인 제3도의 장치를 설명하는 더 자세한 블럭도이다.
제4a도에서는 제3도에 있는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은 같은 참조번호를 쓰고, 다음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제4a도 및 제4b도에서 입력단자(305)는 A/D변환기(102 : 제2의)의 출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제4a도에서 입력단자(305)는 감산기(314)의 감수 입력단자와 가중 감산기(316)의 피감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이 감산기(316)의 입력에는 1/2이 가중되며, 입력단자(305)에는 1H지연장치(310)가 결합되어 있고, 이 1H지연장치 (310)와 1F-1H지연장치(312)는 직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1H지연장치(310)는 입력단자(305)에 인가된 한 수평 주사주기(1H)와 동일한 시간의 주기 지연된 신호를 출력단자에 발생한다. 1F-1H지연장치(312)는 입력단자에 인가된 한 수평 주사주기가 작은 한 프레임 주사주기와 동일한 시간의 주기 지연된 신호를 출력단자에 발생한다. 1F-1H지연장치(312)의 출력단자는 입력이 -1/2로 가중되는 가중감산기(316)의 감수입력단자와 결합한다. 1H지연장치, 1F-1H지연장치(310, 212)들과 가중감산기 (316)의 혼합은 명시된 설계인 투-탭 프레임 고역통과 콤필터로 시간 고역통과 필터 (204)를 형성한다.
1H지연장치(310)의 출력단자는 감산기(314)의 피감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1H지연장치(310)와 감산기(314)의 혼합은 명시된 설계인 투-탭 라인 콤필터로서 수직 고역통과 필터(202)를 형성한다. 감산기(218)의 출력단자는 정류기(220)와, 수평확산기(318)와, 수직확산기(320)와 직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들은 신호확산기(222)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위에 명시된 것과 같이 작동한다.
제4a도의 나머지 부분은 제3도의 일부에서 설명된 것과 같고, 제3도가 타이밍의 정확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에 명시되어 있다. 수평 고역 통과 필터들(212, 216)은 약 2MHz에서 브레이크 주파수를 각각 갖는 표준 디지탈 고역통과 필터들이다. 15-탭 수평콤 고역 통과 필터가 적절하며 1.75MHz에서 -6dB의 응답특성을 출력한다.
제4b도는 제3도에서 설명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 또 다른 블럭도이다. 제4b도에서 제4a도와 동일한 구성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며 더 이상 자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제4b도에서는 입력단자(305)에서 감산기(314)의 감수 입력단자와 1/2의 가중치가 주어지는 가중감산기(316)의 피감수 입력단자와, 직렬로 결합되어 있는 1H지연장치(310)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1H지연장치(310)의 출력단자는 상기 감산기(314)의 피감수 입력단자와, 감산기(208)의 피감수 입력단자와, 감산기(210)의 피감수 입력단자와, 1F-1H지연장치(312)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1H지연장치(310)와 감산기(314)의 혼합은 명시된 설계인 투-탭 라인 콤필터로 신호(Vhp)를 발생하는 수직 고역 통과 필터(202)를 형성한다. 상기 1F-1H지연장치 (312)의 출력단자와 1/2의 가중치가 주어지는 가중감산기(316)의 감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1H지연장치(310) 및 1F-1H지연장치(312)와 가중감산기(316)의 혼합은 명시된 설계인 투-탭프레임 고역 통과 필터로 신호(Thp)를 발생하는 시간 고역 통과 필터(204)를 형성한다. 상기 가중감산기(316)의 출력단자는 수평 고역 통과 필터(216)의 출력단자와 감산기(218)의 피감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수평 고역 통과 필터(216)의 출력단자는 1H지연장치(27)의 입력단자와 감산기(218)의 감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1H지연장치(27)의 출력단자는 감산기(210)의 감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제4b도의 나머지 부분은 제3도 및 제4a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동작에 있어서, 제4b도의 실시예는 제4a도의 실시예와는 타이밍이 다르다. 제4a도에서는 입력단자(305)의 화소는 "현재 화소(current pexel)"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현재 화소는 수평 고역 통과 필터(212, 216)에서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고역통과 필터링된 화소로서, 감산기(208, 210)에서 감산되어 시간 및 공간적으로 지역통과 필터링된 화소신호(Ls, LT)를 각각 형성한다. 그 외에도 상기 현재 화소는 1H지연장치(310)에 의하여 시간에 따라 변이된 화소에서 감산된 화소로서, 수직 고역 통과 필터링된 화소신호(Vhp)를 형성한다.
그러나, 제4b도에서는 현재 화소가 1H지연장치(310)의 출력단자에서 얻어진다. 수평 고역 통과 필터(212, 216)에서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고역 통과 필터링된 화소에서 감산된 화소로서,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저역 통과 필터링된 화소신호(Ls, LT)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1H지연장치(310)에 의한 지연을 상기 현재화소와 같게하기 위하여서는 1H지연장치(217)가 수평 고역 통과 필터(216)에서 발생되고 시간적으로 고역통과 필터링된 신호(HThp)의 신호통로(signal patht)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 외에도 상기 현재 화소는 1H지연장치(310)에 의하여 시간에 따라 변이된 화소에서 감산된 화소로서, 수직 고역 통과 필터링된 화소신호(Vhp)를 형성한다.
제5도는 제3도에서 도시된 소프트 스위치회로(214)의 더 상세한 블럭도이다.
제5도에서 입력단자(405)는 감산기(210 : 제3도의)의 출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입력단자(405)는 곱셈기(404)의 제1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곱셈기(404)의 출력단자는 가산기(412)의 제1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가산기(412)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435)와 결합되어 있다. 출력단자(435)는 적응 중첩회로(108 : 제2도의)와 결합되어 있다.
입력단자(415)는 감산기(208 : 제3도의)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 (415)는 곱셈기(408)의 제1입력단자에 연결된다. 곱셈기(408)의 출력단자는 가산기 (412)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425)는 신호확산기(222 : 제3도의)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425)는 룩-업 테이블(410)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룩-업 테이블(410)의 제1출력단자는 곱셈기(404)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되며, 룩-업테이블(410)의 제2출력단자는 곱셈기(408)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동작에 있어서, 곱셈기(404)는 상기 시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 LT를 비례계수(Scaling factor)K로 곱하며, 곱셈기(408)는 상기 공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 Ls를 비례계수 1-K로 곱한다. 가산기(412)는 휘도신호 L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두개의 곱하여진 신호들을 합산한다.
입력단자(425)로부터의 확산 동신호 M은 룩-업테이블(410)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룩-업 테이블(410)은 동신호 M의 값과 관련된 두개의 비례계수를 발생한다. 제1비례계수 K는 휘도신호 L내에 존재하여야 할 상기 시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 Lr의 비율이다. 제2비례계수 1-K는 휘도신호 L내에 존재하여할 상기 공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 Ls의 비율이다.
K와 1-K의 합은 1이다. 기능 K(M)은 M이 0이거나 거의 0(이동의 로울레벨)일때, 그러한 것이 선택되며, K는 1(시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 전체)이며 1-K는 0(공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가 없는)이며; 그리고 M이 최대값이거나 거의 최대값(이동의 하이레벨)일때, K는 0(시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가 없는)이며 1-K는 1(공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 전체)이다. 기능 L(M)은 연속적이며 아마도 선형이거나 비선형적이다. 동신호 M의 값이 0에서부터 최대값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 LT의 비율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공간적으로 추출된 휘도신호 Ls의 비율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룩-업 테이블(410)은 그것의 어드레스 입력단자드에 연결된 입력단자(425)를 갖는 다중비트 롬(ROM)으로써 알려진 방식으로 수행될 것이다. 그것(룩업-룩-업 테이블)의 데이타 출력단자들의 제1서브세트(subset)는 곱셈기(404)의 K신호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제2서브세트는 곱셈기(408)의 1-K신호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동작에 있어서, 상기 ROM의 저장위치들은 동신호 M이 상이한 저장위치를 호출할 수 있는 각각의 분리된 값이 있는 어드레스 입력단자들에게 상기 신호 M에 의해 호출된다. 각각의 저장위치는 그 위치를 호출하는 M 값에 상응하는 K값으로 미리 프로그램된(데이타 출력단자들의 제1서브세트에 연결된) 제1영역과, 동신호 M의 값에 상응하는 1-K 값으로 미리 프로그램된(데이타 출력단자들의 제2서브세트에 연결된)제 2영역을 갖는다.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엔코더의 일부분인 적응 중첩회로의 블럭도이다.
제6도에 있어서, 입력단자(505)는 적응휘도 신호 분리부(104)(제2도의)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505)는 수평 고역 통과 필터(HPF)(502)의 입력단자, 수평 저역 통과 필터(LPF)(512)의 입력단자, 그 입력신호가 1/2로 반감된 반감가산기(522)의 제1입력단자 및 소프트 스위치(508)의 출력단자는 변조기(518)의 데이타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변조기(518)의 출력단자는 그 입력신호가 1/2로 반감된 반감가산기(522)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반감가산기(522)의 출력단자는 저역 통과 필터(LPF)(510)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저역 통과 필터(510)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515)에 연결된다. 출력단자(515)는 제1D/A변환기(110 : 제2도의)에 연결된다.
수평 고역 통과 필터(502)의 출력단자는 레벨검출기(504)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레벨검출기(504)의 출력단자는 소프트 스위치(508)의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수평 저역 통과 필터(512)의 출력단자는 소프트 스위치(508)의 제2데이타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525)는 주파수 ff를 갖는 중첩반송파의 소오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입력단자(525)는 변조기(518)의 클럭신호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휘도신호 중첩시스템에 있어서, 휘도고 주파수들은 동일한 진폭 또는 그 이상에서 휘도 저 주파수들과 중첩된다. 이들 중첩된 고휘도 주파수들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VCR상에서 재생될 때, 매우 결점이 될만한 아티펙트(artifact)들이 재생된 비디오 상에 존재하게 될 것이다.
수평 고역 통과 필터(502), 레벨검출기(504), 수평 저역 통과 필터(512) 및 소프트 스위치(508)의 조합은 아티펙트들은 제거하기 위한 레벨에 대해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VCR상에서는 재생될 정도의 휘도 고주파수들의 진폭을 감쇠시키는 적응 디키퍼(depeaker)(506)를 형성하며, 상기 아티펙트들은 비수용성 비디오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적응 디피커(506)는 디피크된 휘도신호 LD를 발생시킨다. 적응 디피커(506)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수평 고역 통과 필터(502)는 고주파수 휘도성분을 추출한다. 휘도 주파수들의 레벨은 레벨검출기(504)에서 검출된다. 레벨검출기(504)는 고주파수 휘도신호의 최대진폭 값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포락선 검출기로써 알려진 방식으로 동작한다. 소프트 스위치(508)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비례계수를 발생 시키기 위한 룩-업 테이블, 스케일된 데이타 신호들을 합하기 위한 가산기 및 각 데이타 신호를 스케일(scale)하기 위한 곱셈기들을 포함하는, 소프트 스위치회로(214)(제3도의)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 저역 통과 필터(512)는 휘도 고주파수들이 휘도 저주파수들과 관련하여 감쇄되는 곳에서 신호를 발생시킨다. 휘도 고주파수들의 레벨이, 레벨 검출기(504)에 의해 검출되는 것과 같이, 0 또는 거의 0 일때 고주파수들은 감쇄 되어져야 할 필요가 없으며, 소프트 스위치(508)로부터의 출력신호 LD는 여과되지 않은 휘도신호 L을 이송하는 입력단자(505)로부터 완성된다.
휘도 고주파수들의 레벨이 증가할 때, 휘도 고주파수들은 감쇄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여과되지 않은 휘도신호 L의 비율은 소프트 스위치(508)로부터의 출력신호 LD에서 감소하며, 저역여과된 휘도 신호의 비율은 증가한다. 휘도 고주파수들의 레벨이 최대값이거나 거의 최대값일때, 고주파수들은 최대값 정도에 대해 감쇄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소프트 스위치(508)로부터의 출력신호 LD는 수평 저역 통과 필터(512)로부터 완성된다. K 및 1-K의 값들은 (제5도에 도시, 그리고 상응하는 텍스트에 논의된 바와 같은) 상술된 디피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다.
디피킹된 휘도신호 LD는 그후 변조기(518)에서 주파수 ff를 갖는 중첩반송파에 대해 변조된다. 중첩주파수는 시간적인, 수직 및 수평방향에서의 중첩반송파의 베이스밴드(baseband) 휘도신호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 하기 위해 선택된다.
중첩반송파는 최대 수직주파수의 1/2, 시간 및 수직 차원내에서 최대시간 주파수[즉, 소위 푸키누키홀(Fukinuki hole)]의 1/2, 수평방향에서의 약 5MHz에 적절하게 놓여진다. 이것은 휘도신호의 중첩반송파와 수직 및 시간 저주파수 성분들 사이의 공간적 거리를 최대화 한다.
변조기(518)는 표준 정사각 곱셈기(standard four guadrant multiplier)일 것이다. 또는 만일 샘플링 주파수가 적절히 선택된다면, +1, -1형 변조기일 것이다. +1, -1형 변조기는 산술적으로 부정적인 교대의 샘플(교대로 +,-인 샘플)에 의한 샘플링 주파수의 1/2과 동일한 주파수에 의해서 샘플링 신호를 변조한다.
예를 들면, 만일 샘플링 주파수가 약 10MHz에서 선택된다면, 그러므로써, 중첩주파수는 수직 및 시간적인 DC로부터 수직 및 시간, 공간적인 거리에 관련된 위의 표준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선택되는 실제 주파수를 갖는 약 5MHz일 것이다. 출력신호는 샘플링 주파수의 1/2의 성분과, 입력신호내에 포함된 공간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샘플링 주파수의 1/2 근처를 중심으로하는 상, 하 측파대를 포함한다.
데이타 입, 출력단자 및 클럭 입력단자를 갖는 그러한 변조기는 상기 변조기의 데이타 입력단자에 연결된 제1데이타 입력단자를 갖는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산술적인 니게이터(negator)는 또한 변조기의 데이타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산술적인 니게이터의 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의 제2데이타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멀티플렉서의 출력단자는 변조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샘플링 클럭수의 1/2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중첩 클럭신호는, 멀티플렉서의 제어 입력단자에 연결된 변조기의 클럭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이 신호는 샘플링 주파수에서 논리 '1'값과 논리 '0'값사이에서 교대로 변하며, 샘플링 클럭신호에 연결된 플립플립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중첩신호가 논리 '1'신호일 때 멀티플렉서는 변조기의 입력단자로부터 난-니게이트된(non-negated) 신호를 그것의 출력단자에 접속시킨다. 중첩 클럭신호가 논리 '0'일때 멀티플렉서는 산술적인 니게이터로부터 니게이트된 신호를 그것의 출력단자에 연결한다. 이 방식에 있어서, 변조된 신호가 재생된다. 변조된 신호의 하측파대는 4.2MHz 대역폭의 디피크된 휘도신호의 공간적인 신호를 포함하지만, 주파수로 반전된다. 즉, 디피크된 휘도신호는 중첩주파수 부근에서 중첩된다.
저역 디피크된 베이스 밴드 휘도주파수는 5MHz의 부근으로 중첩되며, 4.2MHz의 고역 디피크의 베이스 밴드 휘도주파수는 예를 들면, 800KHz의 부근으로 중첩된다. 중첩되고 디피크된 휘도신호는 반감된 가산기(522)에서 베이스밴드 휘도신호와 합성된다. 이 합성신호는 협 대역 채널을 통과하진 못하는 신호의 전체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좁은 통과대역을 갖는 저역 통과 필터(LPF)(510)에 의해 저역통과 여과된다. VCR에 대해서는, 저역 통과 필터(LPF)(510)의 통과대역은 약 2.5MHz 일것이다. 수평 고역 통과 필터(502) 및 수평 저역 통과 필터(512)는 양쪽 모두 동일한 휘도신호 L에 대응하며,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고역 통과 필터(202) 및 시간 고역 통과 필터(204)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공통지연선 성분을 공유할 것이다.
비디오신호 처리기 설계의 분야에서 숙련된 하나는 지연선 성분을 공유하는 그러한 필터들을 설계하기 위한 방법이하에 존재할 것이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적응 디피커(506)의 영역을 교체할 수 있는 실시예의 더 상세한 블럭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입력단자(605)는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 (제2도의)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605)는 가산기(606)의 제1입력단자와 직렬연결된 단일픽쎌(Pixel)주기 1p지연장치(602) 및 (604)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1p지연장치 (602)의 출력단자는 곱셈기(612)의 제1입력단자에 연결된다. 곱셈기 (612)의 출력단자는 가산기(610)의 제1입력단자에 연결된다. 가산기(610)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 (615)에 연결된다. 출력단자(615)는 변조기(518)(제6도)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1p지연장치(604)의 출력단자는 가산기(606)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가산기(606)의 출력단자는 곱셈기(608)의 제1입력단자에 연결된다. 곱셈기(608)의 출력단자는 가산기(610)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625)는 레벨검출기(504)(제6도)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625)는 룩-업 테이블(614)(상술된 바와 같은 ROM으로 구현될 수 있는)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룩-업 테이블(614)의 제1, 제2출력단자는 곱셈기(608)과, (612)의 제2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제7도에 도시된 적응 디피커(506)의 영역의 동작은 소프트 스위치(508)와 수평 저역 통과 필터(512)사이의 공동으로 제6도에 도시된 그것과는 다르다. 디피커에 있어서, 입력신호에서의 고주파수들의 레벨은 출력신호에서 더 낮다.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은 출력신호 LD내에서 여과되지 않은 휘도신호와 저역통과 여과된 휘도신호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행하여 진다. 제7도에 있어서, 수평의 수평 저역 통과 필터(512)와 소프트 스위치(508)는 가산기(606)와 (610)을 공유한다. 표준 3단 저역통과 콤필터(Standard three tap law pass comb filter)에 있어서, 직렬연결된 지연장치의 입력.출력단 각각은 1/4의 비중을 수신하며, 중간단은 저역통과 여과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그것들이 더해지기 전에 1/2의 비중을 수신한다.
디피커의 경우에 있어서, 중간단 신호의 여과되지 않은 입력신호로 표현되고, 저역통과 여과된 신호를 합성하는데 대해 적절히 지연되는 저역통과 여과된 신호에 더해진다. 이들 세 동작들은 동일한 스케일링(scaling)과 합성성분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가산기(606)는 직렬연결된 지연장치들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합한다.(입력과 출력단의 각각이 합하여 진후 1/4로 반감되는지, 또는 1/4로 반감된후 합하여 지든지의 차이는 없다.)이 합은 룩-업 테이블(614)로부터의 비례계수 K1을 수신하는 곱셈기(608)에 의해 가중된다. 중간단은 룩-업 테이블(614)로부터의 비례계수 K2를 수신하는 곱셈기 (612)에 의해 가중된다. 이들 비례계수들은 제5도에 도시된 소프트 스위치와 같이, 1-K1과 동일한 K2에 의해 관련되지 않는다.
반면에, 휘도 고주파수의 "0" 또는 로우레벨이 레벨검출기(504)(제6도)에 의해 검출되어질때, 여과되진 않은 휘도신호가 요구된다. 이런 경우에, 비례계수 K1은 "0"이고 비례계수 K2는 "1"이다. 비례화된(scaled)신호들의 합은, 가산기(610)에 의해서 발생되며, 이런 경우에 있어서, 여과되지 않은 휘도신호(L)이다. 휘도 고주파들의 최대값 또는 거의 최대값이 레벨검출기(504)에 의해서 검출되어질때, 저역통과 여과된 휘도신고가 요구된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비례계수 K1은 1/4이며 비례계수 K2는 1/2이다. 휘도 고주파수들의 레벨이 "0"부터 최대값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비례계수 K1는 "1"부터 1/2까지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비례계수 K2는 "0"부터 1/4까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이런 방식에 있어서, 적응 피커(peaker)의 출력신호는 여과되지 않은 신호와 위도 고주파수들의 레벨에 응답하여 연속적이고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저역통과 여과된 휘도신호의 비율을 갖는다.
상술된 것에 있어서, 3단 저역통과 콤필터의 응답특성은 단순히 증가된 코사인 (cosin)이었다. 상이한 비례계수들은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에 대해 상이한 응답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614)의 ROM구성으로 미리 프로그램 되어질 수 있다. 더우기, "0"에서 데드밴드(deadband)의 폭과 최대값 휘도 고주파수 레벨들, 그리고 휘도 고주파수들의 레벨에 응답하는 저역통과 여과된 휘도신호 및 여과되지 않은 신호의 비율에서 연속적인 변화의 특성등은 변화되어질 것이다.
상술된 장치들은 결점이 될만한 아티펙트 없이 표준 VCR상에서 재생되어질 표준 비디오 카세트상의 전대역폭 비디오신호를 녹화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장치들은 휘도 저주파수들로 중첩된 휘도 고주파수들을 추출하기 위해, 그리고 그러한 기존의 녹화된 비디오 카세트의 재생상에 전 대역폭 비디오신호를 재발생 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질 것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의 재생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재생헤드(50)는 표준 VCR의 표준 테이프 전송(도시되지 않음)과 합체된다. 재생헤드(50)는 휘도 신호재생부(60)의 각 입력단자 및 색도 신호재생부(80)에 연결된다. 휘도 신호재생부(60)의 출력단자는 디코더(70)의 제1입력단자에 연결되며, 색도 신호재생부(80)의 출력단자는 디코더(70)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디코더(70)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15)에 연결된다. 출력단자(15)는 활용 회로부 (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비디오 카세트상에 이전에 녹화된 비디오을 재발생시키기 위한 TV수상기, 또는 수퍼-VHS, VCR에서와 같은 Y-C출력 잭등에 연결된다.
동작에 있어서, 재생헤드(50)는 그것의 신호를 기지의 방식으로도 휘도 신호재생부(60)와 색도 신호재생부(80)의 양측 모두에 공급한다.
기존의 녹화된 중첩 휘도신호는 약 1.4 내지 5.9MHz에서 주파수들의 대역을 점유하며, 기존의 녹화된 색도 플러스(plus) 이동신호는 약 629Khz에서 주파수들의 1MHz 대역을 점유한다.
휘도 신호재생부(60)는 재생 중첩 휘도신호(Lpb)를 발생시키기 위해 일반적인 방식으로 중첩 휘도신호를 처리한다. 색도 신호재생부(80)는 재생 색도 플러스 이동신호(C+Mpb)를 발생시키기 위해 색도 플러스 이동신호를 처리한다. 이들 신호들은 색도신호로부터 이동신호를 추출하는 디코더(70)에 의해 처리되며, 그것은 중첩 고주파수 휘도신호 성분을 비중첩하고 전 대역폭 휘도신호를 재구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재구성된 전 대역폭 휘도신호 및 색도신호들은 출력단자(15)에서 복합 비디오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디코더(70)의 보다 상세한 블럭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입력단자(805)는 휘도 신호재생부(60)(제8도)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805)는 클램핑 회로(802)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클램핑 회로 (802)의 출력단자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이하 A/D 라 칭함)(804)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A/D 변환기(804)의 출력단자는 타임 베이스 보정회로 (TBC : 이하 TBC라 칭함)(806)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TBC(806)의 출력단자는 적응 비중첩 회로 (808)의 데이타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적응 비중첩 회로(808)의 출력단자는 복합 비디오신호 발생부(810)의 제1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복합 비디오신호 발생부(810)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815)에 연결된다. 출력단자(815)는 활용회로분(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카세트상에 기존의 녹화된 비디오을 재발생시키기 위해 TV수상기 또는 Y-C출력 잭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단자(825)는 색도 신호재생부(80)(제8도의)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825)는 클램핑 회로(812)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클램핑 회로(812)의 출력단자는 A/D 변환기(814)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A/D 변환기(814)의 출력단자는 TBC(816)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TBC(816)의 출력단자는 색도/동신호 분리부 (818)의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색도/동신호 분리부(818)의 출력단자는 복합 비디오신호 발생부(810)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색도/동신호 분리부(818)의 제2출력단자는 적응 비중첩 회로(808)의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동작에 있어서, 제9도에 있는 상부의 구성요소들은 카세트상의 기존에 기록된 감쇠된 대역폭 휘도신호로부터 전 대역폭 휘도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동작한다. 클램핑 회로(802)는 복원된 휘도신호의 블랙레벨(black level)을 A/D 변환기(804) 내에 있는 예정된 디지탈 값에 클램프시키기 위해 기지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면, 블랙레벨은 "0"에서부터 "255"까지의 동적 범위를 갖는 A/D에 대한 16의 디지탈 신호에 클램프 될 수 있다.
A/D 변환기(804)는 재생 중첩 휘도신호를 나타내는 샘플된 다중 비트 디지탈 신호를 발생시킨다. TBC(806)는 테이프 메커니즘에서 지터(jitter)에 의해 야기되는 어떠한 타이밍 불일치들 또는 불일치의 어떠한 다른 소오스를 보정하기 위해 동작이며, 복원된 중첩 휘도신호 Lf*(여기서 *는 테이프상에 기존에 녹화된 것으로서 동일한 신호를 나타내는 재생신호를 표시한다)를 발생시킨다.
제9도에서의 하부 구성요소들은 테이프상에 기존에 기록된 색도 플러스 이동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동작한다. 색도 플러스 이동신호는 양방향 신호이다. 그러므로 이 신호의 "0"볼트(OV)는 클램핑 회로(812)에서 "255"로부터 "128"의 디지탈 신호에 클램프 된다. A/D 변환기(814)는 색도 플러스 이동신호를 나타내는 샘플린 다중 비트 디지탈 신호를 발생시키며, TBC(816)는 이 신호에서 어떠한 타이밍 불일치를 보정하기 위해 동작하며 복원된 색도 플러스 이동신호 C+M*을 발생시킨다.
녹화시에 색도신호와 휘도신호는 위상동기내에 있게 된다. 그러나, 그들은 녹화회로부(제1도에 도시된)내에서 두개의 분리 독립된 경로를 통과하여 카세트상에 주파수 분할 다중 송신된다. 이 분리처리는 두개의 분리된 TBC(806) 및 (816)내에서 보상되지 않은 두개의 신호들간에 위상 불일치를 야기시킬 것이다.
고정완 이외의 다수인에 의해 1990년 5월 31일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07/531, 144의, "분리된 통로를 통과하는 색도 및 휘도신호의 위상 보정관계를 복원하기 위한 장치"에서는 색도 및 휘도신호들간의 적절한 위상관계를 복원하기 위한 장치가 상세히 기술된다.
색도/동신호 분리부(818)는 적응 비중첩 회로(808)의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복원된 동신호 M*, 그리고 복합 비디오신호 발생부(810)의 색도신호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색도신호 C*을 발생시키기 위해 복원된 색도 플러스 동신호 C+M*을 처리한다.
전술한 특허출원 AML 1017은 색도/동신호 분리부(818)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는 색도/보조신호 분리부를 상세히 기술하며, 이 회로부는 여기에서 더이상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적응 비중첩 회로부(808)은 기존에 휘도 저주파수들과 중첩된 휘도 고주파수들은 비중첩 시키며, 전 대역 폭 휘도신호 L*을 복원한다.
이 전 대역폭 신호 L*은 복합 비디오신호 발생부(810)의 휘도신호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복합 비디오신호 발생부(810)는 표준 복합 비디오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휘도신호 L*과 색도신호 C*을 결합시키고자 기지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신호는 신호와 같은 것을 활용하는 어떤 장비, 예를 들면 TV수상기에 의해서 사용되어질 것이다.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적응 비중첩 회로(808)의 일부분을 더 자세히 나타내는 블럭도로써, 입력단자(905)는 제9도의 타임베이스 보정회로(80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입력단자(905)는 고역통과 필터(HPF; 904)의 입력단자와 가산기(902)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가산기(902)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 (915)에 연결되며, 비중첩 휘도신호(Luf)를 출력하여 제11도(이하에 설명됨)에 도시된 적응 비중첩 회로의 잔부(殘部)에 공급한다.
상기 고역통과필터(904)의 출력단자는 변조기(906)의 일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복조기(906)의 출력단자는 수직 저역통과필터(LPF; 908)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수직 저역통과필터(908)의 출력단자는 상기 가산기(902)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입력단자(925)는 도시되지 않은 비중첩 반송신호원(fuf)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시에 변조기(906)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된다.
동작을 살펴보면, 입력신호(Lf*)는 제한된 밴드폭의 중첩 휘도신호이며, 고역통과필터(HPF)(904)는 색도정보를 포함하는 중첩 휘도신호보다 낮은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광대역 휘도신호가 약 5MHz의 중첩반송신호 주변에서 레코딩회로에 의해 중첩될 때, 약 4.2MHz의 최고 주파수 휘도신호는 약 800KHz에 중첩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역통과필터(904)의 브레이크 주파수는 바람직하게는 약 750KHz 정도이다. 그러면, 이 고역통과필터링된 신호는 약 5MHz[여기서, 실제의 주파수는 제6도의 변조기(518)의 설명에서 상기한 범위에 의거하여 선택된다]의 비중첩 주파수 주변에서 상기 변조기(906)에 의해서 중첩이 해제된다. 제6도의 변조기 (518)의 경우에서와 같이, 변조기(906)는 4각형 승산기(four quadrant multiplier)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구성되거나,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의 주파수(본 실시예에서는 10MHz)를 클럭신호로 사용하는 +1/-1 방식의 변조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변조기(906)로부터의 변조신호는 수직 저역통과필터(908)에 의하여 필터링되며, 이 수직 저역통과필터(908)에 의해 수행된 처리는 평균화(averaging)라고 설명될 수도 있으며, 그 결과신호의 신호/잡음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 신호는 가산기 (902)에서 입력단자(905)로부터의 중첩 휘도신호 Lf*에 가산된다. 비중첩 결과신호 (Luf)는 시간, 수직 및 수평 DC신호를 중심으로 하는 풀(full) 대역폭 휘도신호와; 최대 시간측 주파수의 절반과 최대 수직주파수의 절반주파수 및 약 5MHz의 수평주파수의 비중첩 반송신호를 중심으로 하는 풀 대역폭 휘도신호의 비디오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 휘도신호의 비디오는 제거되어야만 한다.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적응 비중첩 회로(808)의 또다른 부분을 더 자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1도에서, 입력단자(1005)는 제10도의 가산기(90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단자(1005)는 시간 저역통과필터(1004) 및 적응 공간 저역통과필터 (1006)의 각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시간 저역통과필터(1004)의 출력단자는 소프트 스위치(soft switch; 1008)의 제1데이타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적응 공간 저역통과필터(1006)의 출력단자는 소프트 스위치(1008)의 제2데이타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소프트 스위치(1008)의 출력단자는 적응 피킹회로(1010)의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적응 피킹회로(peaking circuit; 1010)의 출력단자는 출력단자(1015)에 접속되며, 이 출력단자(1015)는 제9도의 복합 비디오신호 발생부(810)의 휘도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적응 공간저역필터(1006)의 출력단자는 소프트 스위치(1008)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되며, 입력단자(1025)는 제9도의 색도/동신호 분리부(818)의 동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입력단자(1025)는 소프트 스위치(1008)의 제어신호 입력단자에 연결된다.
중첩반송신호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비중첩반송 주파수는 시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기준대역(baseband)의 휘도신호와 휘도비디오신호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레코드된 휘도신호의 공간적 특성은 비중첩 휘도신호와 비디오신호의 공간적 모양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레코드된 휘도신호의 상기 공간적 특성은 비디오신호를 적응적으로 필터링 출력하고 폴 대역폭 비중첩 휘도신호를 남기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동량의 레벨이 낮을 때 비중첩, 휘도신호는 시간측 저역주파수(시간적으로 직류에 가깝다)에 존재하며, 휘도비디오신호는 시간적으로 직류인 신호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선택된 비중첩반송신호의 시간적 방향으로 근접한다. 동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비디오는 비중첩 휘도신호와 시간적으로 중첩될 것이며, 이 비디오는 공간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적응 공간 저역통과필터(1006)는 비중첩 휘도신호(Luf)를 적응적으로 공간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휘도비디오신호로부터 비중첩 휘도신호를 적응적으로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작동을 한다.
1990년 8월, 고정완등에 의하여 출원된, "중첩반송신호와 비충첩 비디오신호의 측파대를 소거하는 개량된 장치"에 대한 AML 연구소의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 AML10 04호는 제11도의 적응 공간 저역통과필터(1006)와 같이 사용될 수 있는 적응 공간저역필터를 더 상세히 개시하고 있다.
상기 소프트 스위치(1008)는 비중첩 휘도신호에 포함될 시간적으로 분리되고 적응적으로 공간적으로 분리된 비중첩 풀 대역폭 휘도신호의 비율을 재생된 동제어신호 (M*)에 따라 제어한다. 상기 동량의 레벨이 제로(zero)이거나 거의 제로일 때, 상기 소프트 스위치(1008)의 출력은 완전히 상기 시간 저역통과필터(1004)의 출력과 같다. 상기 동량의 진폭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상기 시간 저역통과필터(1004)로부터 입력의 비율은 감소하며, 상기 적응 공간 저역통과필터(1006)로부터의 입력의 비율은 증가한다. 비교적 높은 레벨의 동량이 존재할 경우, 상기 소프트 스위치(1008)의 출력은 상기 적응 공간 저역통과필터(1006)의 출력과 같다.
상기 소프트 스위치(1008)의 출력은 디피킹(depeaking)휘도신호(LD*)이다. (이 신호는 역호환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휘도성분의 고주파신호를 감쇄하도록 피크처리되지 않은 디피크신호이다.) 이 신호는 적응 피킹회로(1010)에서 적응적으로 피크처리된다. 제6도 또는 제7도의 적응 디피킹회로(506)는 휘도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제로 또는 거의 제로일 때 디피킹을 제공하지 않도록 동작되며, 상기 고주파 성분이 비교적 높은 레벨일 때 최대 패킹을 제공하였다. 이에 반해서, 디피크휘도신호의 고주파성분의 레벨이 제로 또는 거의 제로일 때 디피킹처리가 수행되지 않았으며, 피킹처리가 필요치 않다. 상기 디피킹휘도신호의 고주파성분의 레벨이 더 높을 때, 다소의 디피킹 처리가 수행되었으며, 다소의 피킹 처리를 필요로 한다.
피킹처리 회로에 있어서, 특정 신호의 고주파부분의 량은 다른 특정 신호에 다시 가산된다. 이 경우, 피킹회로는 상기 감쇄전에 원 레벨을 복구하기 위해, 감쇄된 휘도 고주파를 부스트(boost)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적응 피킹회로(1010)는 제6도 및 제7도의 적응 디피킹 회로(506)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적응 피킹회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 고역통과필터(502)는 수평 저역통과필터(512)를 대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휘도 고주파 검출용 수평 고역통과필터(502)의 주파수 특성을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의 주파수 특성과 다를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저역통과필터(512)는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502)의 출력단자는 소프트 스위치(508)의 제2입력단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7도에 도시된 회로는 위 기능을 수행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제7도는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인 수평콤필터와 소프트 스위치(508)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제7도의 도시에서, 곱셈기(608, 612)에 공급되는 상기 룩업테이블 (614)로부터 출력되는 비례계수들(scaling factor; K1, K2)은 상기 수평 곰필터가 저역통과필터로 동작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상기 룩업테이블(614)은 상기 수평 콤필터가 고역통과필터로 동작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증가하는 코사인 주파수응답을 보이는 표준 3단고역통과필터(three tap HPF)는 -1/4만큼 가증된 (weighted) 외부의 탭들과 +1/2만큼 가중된 센터탭을 가진다. 그러므로, 만일 상기 룩-업테이블(614)가 적절히 프로그램되어 있다면, 상기 수평 콤필터는 고역통과필터로 동작할 수 있다.
이제 제6도를 참조하면, 재구성된 휘도신호(LD*)의 제로 주파수가 존재할 시, 레벨 검출기(504)는 제로값의 신호를 발생한다. 고주파수 중에 최대레벨이 존재할시, 상기 레벨 검출기(504)는 최대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제7도를 참조하며, 디피킹신호의 고역 주파수성분의 검출레벨이 비교적 높을 때, 고역통과필터링된 재구성 휘도신호는 출력단자로 통과된다. 이 경우, 상기 비례계수(K1)는 -1/4이고, 비례계수(K2)는 1/2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수는 저주파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부스트된다. 상기 디피킹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의 레벨이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고역통과필터링된 디피킹휘도신호의 비율은 연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필터링되지 않은 디피킹휘도신호의 비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디피킹휘도신호의 고주파 성분의 검출레벨이 제로 또는 거의 제로일 때, 상기 필터링되지 않은 휘도신호는 출력단자로 통과된다. 이 경우, 상기 비례계수(K1)은 제로이며, 상기 비례계수(K2)는 1이 된다.
그리고, 이때 부스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록업테이블(614)를 적절히 프로그램함으로써, 적응 패킹처리는 레코딩 체널에서 적응 디피킹처리의 역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피킹휘도신호에 가해지는 부스트의 최대레벨은 원휘도신호를 완전히 재구성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필요한 최대값 보다 작은 값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코딩 중에도, 입력 복합비디오신호 자체로부터 적응 색도/휘도신호 분리에 대한 동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색도신호에 의해서 의사 동신호(false motion)이 유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색도/휘도신호 분리기의 의사 동신호는 시간적으로 고역통과필터링된 신호를 수직 및 수평적으로 저역통과필터링함으로써 소거될 수 있다. 색도측파대는 2MHz이하로 확장하지 않기 때문에, 수평필터링처리는 의사동 신호가 제거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색도 부반송신호를 복합비디오신호에 위치시키는 방법과 유사하게, 휘도성분의 고주파수는 이를 중첩 반송신호에 변조하고 이 반송신호를 후키누키홀(Fukinuki hole)에 위치시킴으로써 저역휘도신호에 중첩된다. 그러나, 중첩된 고역휘도주파수의 낮은 측파대에 대한 제한은 없다. 실제로, 풀 대역폭의 휘도신호에 대각선적인 물체는 저역 휘도성분에 중첩될 때, 공간적 직류성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중첩 반송신호는 프레임-대-프렘이방식(frame-to-frame basis)에 기초해서 교번하기 때문에, (DC 성분으로부터 시간적 거리를 최대화 하기 위해)이러한 대각선적인 물체들은 의사 동신호로 오인되어 검출된다. 그리고, 공간 필터링의 정도로는 이와 같은 동검출을 제거할 수 없다.
그러므로, 비중첩 휘도신호로부터의 반사휘도신호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동(motion)의 대표적인 신호에 대한 별도의 채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비디오신호 처리 시스템의 설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체널을 재생회로에 제공함은 상기 재생회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적응 휘도 재구성 처리가 레코딩회로의 색도/휘도신호 분리기의 동적응 처리를 모방하도록 함을 알 것이다.
예을 들면, 레코딩회로의 색도/휘도신호 분리기가 휘도신호를 얻기 위해 비디오의 특정영역에서 시간적처리를 선택할 경우, 상기 비디오의 동일한 영역에서 풀 대역폭 휘도신호를 재구성하기 위하여 공간적 처리를 선택하는 것은 옳지 못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색도/휘도신호 분리처리는 아무리 잘 된다 하여도 비디오에 약간의 아티팩트(artifact)를 유기하게 된다. 풀 대역폭 휘도신호 재생처리도 또한 비디오에 아티팩트를 유기하는데, 업-스트림(up stream)처리에 의하여 유기된 아티팩트는 다운-스트림(down stream)처리에 유기된 아티팩트상에 유기되어 이를 강하게 한다. 상기 다운-스트림 처리가 상기 업-스트림 처리에 뒤따르도록 강제될 수 있다면 아티팩트의 강도는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에 대한 별도채널의 제공으로 상기 둘 모두의 개선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레코딩 채널과 재생채널간을 공유할 수 있는 회로들이 단일의 VCR에 내장하는 경우가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조기 (518,906)는 공지의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적절한 스위칭 매트릭스의 사용으로 공유되는 단일의 변조기가 될 수 있다. 적응 디피킹회로(506)과 적응 피킹회로(1010)도 또한 적절한의 사용으로 단일의 회로에 공유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칭 매트릭스는 또한 디피킹회로(506)에 대한 일 룩업테이블(614)와 피킹회로(1010)에 대한 별도의 룩업테이블의 두개의 별도의 룩업테이블들 사이를 스위칭 하거나, 아니면 효과적으로 ROM내의 저장위치를 반씩 두부분으로 나누고 현재의 동작 레코딩에 대한 디피킹 또는 재생에 대한 피킹에 사용되는 절반의 부분을 지시하기 위한 ROM의 어드레스 입력포트에 하나의 별도의 비트를 가지는 단일 룩업테이블을 스위칭 해야 한다.

Claims (18)

  1. 소정의 제한된 대역폭을 가지는 매개체상에 풀 대역푹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역 호환 비디오신호 레코딩 시스템에 있어서, 복합 비디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5)와; 상기 입력단자(5)에 접속되어, 저주파 및 상기 제한된 대역폭으로 제한된 대역폭내에 중첩된 감쇄고주파를 가지는 휘도신호와, 색도성분과 동성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엔코딩수단(10)과; 상기 엔코딩수단(10)으로 부터 발생된 상기 휘도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휘도녹화수단(20)과; 상기 엔코딩수단(10)으로 부터 발생된 상기 엔코딩수단(10)으로 부터 발생된 휘도 및 움직임을 나타내는 성분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색도 녹화수단 상기 휘도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휘도녹화수단(20)과; (3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딩 수단(10)이;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동신호 분리부(106)와; 상기 동신호 분리부(106) 및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에 연결되어, 상기 휘도신호의 고주파를, 상기 휘도신호의 저주파에 중첩하기 위한 적응 중첩회로(108)와;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색도신호 분리부(114)와; 상기 동신호 분리부(106) 및 상기 색도분리 분리부(114)에 연결된 색도/동신호 혼합회로(11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중첩회로(108)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 (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적응 디피킹회로(506)와;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입력단자(525)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중첩 반송신호에 감응하여 변조출력 하는 변조기(518)와; 상기 변조기(518) 및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로 부터 출력된 신호의 합성된 신호를 입력하여 제한된 대역폭과 동일한 통과대역을 가지도록 하는 저역통과필터(5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 (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수평 고역통과필터(502)와;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 (50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레벨 검출기(504)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에 연결된 제1데이타 입력단자와, 상기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데이타 입력단자와, 상기 레벨 검출기(504)에 연결된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변조기(518)에 연결된 출력단자를 가지는 소프트 스위치(50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 (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화소 주기 지연기(602, 604)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제2화소 주기 지연기(6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를 가지는 제1 가산기(606)와; 상기 제1가산기(60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를 가지는 제1승산기(608)와; 상기 제1화소 주기 지연기(60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를 가지는 제2승산기 (612)와; 상기 제1승산기(608)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제2승산기 (6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와, 상기 변조기(518)에 연결된 출력단자를 가지는 제2가산기(610)와; 상기 레벨 검출기(504)에 연결된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승산기(608, 612)의 각 제2입력단자들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출력단자를 가지는 룩업테이블(61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10)가;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시간 고역통과필터(204)와; 상기 시간 고역통과필터(204)의 출력단에 연결된 수평 고역통과필터 (216)와; 상기 시간 고역통과필터(2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피감수 입력단자와,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21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감수 입력단자를 가지는 제1감산기 (218)와; 상기 제1감산기(218)의 출력단자에 진폭검출기(220)와; 상기 진폭검출기 (220)에 연결되어, 움직이믈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확산기(222)와;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수직 고역통과필터(202)와; 상기 수직 고역통과필터(202)의 출력단에 연결된 수평 고역통과필터(212)와;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피감수 입력단자와,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21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감수 입력단자를 가지는 제2감산기(208)와;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피감수 입력단자와, 상기 수평 고역 통과필터(21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감수 입력단자를 가지는 제3감산기(210)와; 상기 제2감산기(208)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제3감산기 (210)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와, 상기 신호확산기(222)에 연결된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포함하여, 휘도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치(214)와;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수평 대역통과필터(206)와; 상기 수평 대역통과필터(206)의 출력단에 연결된 색도신호 복조기(224)와; 상기 색도신호 복조기(224)의 출력신호를 받아 인접한 트랙 누화가 감소되도록 처리하는 누화방지 처리부(226)와; 상기 소프트 스위치(214)로부터 출력된 휘도신호에 따라 상기 제한된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는 중첩휘도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적응 중첩회로 (108)와; 상기 색도신호 분리부(114)의 색도신호 및 상기 동신호 분리부(106)의 출력인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색도 동신호혼합회로 11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중첩회로(108)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 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적응 디피킹된 휘도신호를 출력하는 적응 디피킹회로(506)와;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적응 디피킹된 휘도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중첩 반송신호에 감응하여 변조 출력하는 변조기(518)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출력단자에 제1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변조기(518)의 출력단자에 제2입력단자가 연결된 가산기(522)와, 상기 가산기(52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한된 대역폭과 동일한 통과폭을 갖도록 저역통과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5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 (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수평 고역통과필터(502)와;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 (50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레벨검출기(504)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데이타 입력단자와, 상기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데이타 입력단자와, 상기 레벨검출기(5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변조기(518)에 연결된 출력단자를 가지는 소프트 스위치(50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 부(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회소 주기 지연기 (602, 604)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제2화소 주기 지연기(6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를 가지는 제1가산기(606)와; 상기 제1가산기(60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를 가지는 제1승산기(608)와; 상기 제1화소 주기 지연기(60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를 가지는 제2승산기(612)와; 상기 제1승산기(608)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제2승산기(6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와, 상기 변조기(518)에 연결된 출력단자를 가지는 제2가산기(610)와; 상기 레벨 검출기(504)에 연결된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승산기(608, 612)의 각 제2입력단자들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출력단자를 가지는 룩업테이블(61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기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10)가; 상기 비디오 입력단자(305)에 연결된 수평주사주기 1H 지연장치(310)와, 상기 1H지연장치(31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일 수평주사주기 부족한 신호를 출력하는 1F-1H 지연장치(312)와; 상기 비디오 입력단자(305)에 연결된 감수입력단자와, 상기 1H지연장치(310)에 연결된 피감수 입력단자를 가지는 제1감산기(314)와; 상기 제1감산기(31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수평 고역통과필터(212)와; 상기 1H지연장치(310)에 연결된 피감수 입력단자와,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2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감수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된 휘도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감산기(208)와; 상기 비디오 입력단자(305)에 연결된 1/2만큼 가증된 피감수 입력단자와, 상기 1F-1H지연장치(3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1/2만큼 가증된 감수 입력단자를 가지는 제3감산기(316)와; 상기 제3감산기(31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수평 고역통과필터(216)와;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216)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시간적으로 고역통과필터링된 신호를 1H지연출력하는 1H지연장치 (217)와, 상기 1H지연장치(310)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피감수 입력단자와, 시간적으로 분리된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1H지연장치(217)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감수 입력단자를 가지는 제4감산기(210)와; 상기 제3감산기(31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피감수 입력단자와,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21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감수 입력단자를 가지는 제5감산기(218)와; 상기 제5감산기(218)의 출력단에 정류기(220)의 입력단이 연결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상기 정류기(220), 수평확산기(318) 및 수직확산기 (320)와, 상기 제2감산기(208)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제4감산기(210)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와, 상기 수직확산기(320)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포함하며, 휘도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치(214)와, 상기 입력단자(5)에 연결된 색도신호 분리부(114)와, 상기 수직확산기(320)의 출력단자와 상기 색도신호 분리부(11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색도 동신호 혼합회로(116)와, 상기 소프트 스위치(214)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휘도신호의 고주파를, 상기 휘도신호의 저주파에 중첩하기 위한 적응 중첩회로(10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위치(214)가, 상기 제4감산기(210)의 출력단자에 제2데이타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시간적으로 추정된 휘도신호에 감응하는 제1승산기(404)와; 상기 제2감산기(208)의 출력단자에 제1입력단자가 연결되어 공간적으로 추정된 휘도신호에 감응하는 제2승산기(408)와; 상기 제1승산기(404)의 출력단자에 제1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승산기(408)의 출력단자에 제2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가산기(412)와; 상기 수직확산기(320)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승산기(404, 408)들의 각 제2입력단자들에 공급되는 비례계수를 발생하기 위한 제1 및 제2 출력단자를 가지는 룩업테이블 (41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중첩회로(108)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 (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적응 디피킹된 휘도신호를 출력하는 적응 디피킹회로 (506)와;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적응 디피킹된 휘도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중첩 반송신호에 감응하여 변조 출력하는 변조기(518)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출력단자에 제1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변조기(518)의 출력단자에 제2입력단자가 연결된 가산기(522)와, 상기 가산기(52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한된 대역폭과 동일한 통과폭을 갖도록 저역통과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5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 (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수평 고역통과필터(502)와; 상기 수평 고역통과필터 (50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레벨검출기(504)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데이타 입력단자와, 상기 수평 저역통과필터(5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데이타 입력단자와, 상기 레벨검출기(5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변조기(518)에 연결된 출력단자를 가지는 소프트 스위치(508)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디피킹회로(506)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 (1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화소 주기 지연기(602, 604)와; 상기 적응 휘도신호 분리부(104)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제2화소 주기 지연기(6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를 가지는 제1가산기(606)와; 상기 제1가산기(606)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를 가지는 제1승산기(608)와; 상기 제1화소 주기 지연기(60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를 가지는 제2승산기 (612)와; 상기 제1승산기(608)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제2승산기 (61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와, 상기 변조기 (518)에 연결된 출력단자를 가지는 제2가산기(610)와; 상기 레벨 검출기(50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승산기(608,612)의 각 제2입력단자들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출력단자를 가지는 룩업테이블(61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15. 제한된 대역폭을 가지는 매개체상에 사전에 기록된 풀 대역폭의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헤드(50)로부터 저주파 성분에 중첩된 감쇄 고주파성분을 가지는 상기 제한된 대역폭으로 사전에 기록된 휘도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60)와; 상기 재생헤드(50)로부터 휘도신호와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하는 사전에 레코딩된 복합 비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색도신호 재생부(80)와; 상기 휘도 및 색도신호 재생부(60, 80)에 연결되어, 상기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중첩된 감쇄고역성분을 중첩해제하고, 풀 대역폭 휘도신호를 재생하며, 상기 풀 대역폭 휘도신호 및 상기 색도신호를 포함하는 복합 비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7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코더(70)가; 상기 휘도신호 재생부(6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재생중첩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수단(802, 804, 806)과; 상기 재생중첩휘도신호 발생수단(802, 804, 806)에 연결되어, 상기 재생휘도신호를 중첩해제하며, 상기 광대역 휘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808)과; 상기 색도신호 재생부(8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색도신호와 상기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복합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812, 814, 816)과; 상기 복합신호를 재생하는 수단(812, 814, 816)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색도신호를 분리 출력하기 위한 수단(818)과; 상기 광태역 휘도신호 출력수단(808)과 상기 색도신호 분리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광대역 휘도신호 및 상기 색도신호를 입력하여 복합 비디오신호를 발생하는 수단(81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휘도신호 출력수단(808)이, 상기 재생중첩휘도신호 발생수단(802, 804, 806)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중첩된 휘도신호중 상기 기록된 휘도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통과대역을 가지는 고역통과필터(904)와; 상기 고역통과필터(904)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고역통과필터링된 휘도신호를 소정의 비중첩 반송신호에 감응하여 변조 출력하는 변조기(906)와; 상기 변조기(906)의 출력단에 연결된 수직 저역통과필터(908)와; 상기 재생중첩휘도신호 발생수단(802, 804, 806)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수직 저역통과필터(908)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를 가지는 가산기(902)와; 상기 가산기(902)의 출력단에 연결된 시간 저역통과필터(1004)와; 상기 가산기(902)의 출력단에 연결된 적응공간 저역통과필터 (1006)와; 상기 시간 저역통과필터(1004)에 연결된 제1입력단자와, 상기 적응 공간 저역통과필터(1006)에 연결된 제2입력단자와, 상기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에 감응하는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가지는 소프트 스위치(1008)와; 상기 소프트 스위치(1008)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광대역 휘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적응 피킹회로(10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18. 제한된 대역폭을 가지는 매개체상에 풀 대역폭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고 사전에 기록된 비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복합 비디오신호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5)와; 상기 입력단자(5)에 접속되어, 저주파 및 상기 제한된 대역폭으로 제한된 대역폭내에 중첩된 감쇄고주파를 가지는 휘도신호와, 색도성분과 움직임을 나타내는 성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엔코딩수단(10)과; 상기 엔코딩수단(10)으로 부터 발생된 상기 휘도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휘도 녹화수단(20)과; 상기 엔코딩수단(10)으로부터 발생된 휘도 및 움직임을 나타내는 성분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색도녹화수단(30)과; 재생헤드(50)로 부터 저주파 성분에 중첩된 감쇄 고주파성분을 가지는 상기 제한된 대역폭으로 사전에 기록된 휘도신호를 재싱하기 위한 휘도신호 재생수단(60)와; 상기 재생헤드(50)로부터 휘도신호와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을 포함하는 사전에 기록된 복합 비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색도신호 재생수단(80)과; 상기 휘도 및 색도신호 재생수단(60, 80)에 연결되어, 상기 움직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중첩된 감쇄고역성분을 중첩해제하고, 풀 대역폭 휘도신호를 재생하며, 상기 풀 대역폭 휘도신호 및 상기 색도신호를 포함하는 복합 비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수단(7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KR1019910003187A 1990-08-17 1991-02-27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KR930010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569029 1990-08-17
US07-569,029 1990-08-17
US07/569,029 US5113262A (en) 1990-08-17 1990-08-17 Video signal recording system enabling limited bandwidth recording and playback
US63519791A 1991-01-02 1991-01-02
US07/635197 1991-01-02
US07-635,197 1991-0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106A KR920005106A (ko) 1992-03-28
KR930010928B1 true KR930010928B1 (ko) 1993-11-17

Family

ID=2707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187A KR930010928B1 (ko) 1990-08-17 1991-02-27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2) EP0471517B1 (ko)
JP (1) JP2525964B2 (ko)
KR (1) KR930010928B1 (ko)
CN (1) CN1033785C (ko)
AT (2) ATE145510T1 (ko)
CA (1) CA2040779C (ko)
DE (3) DE9117173U1 (ko)
DK (2) DK0471517T3 (ko)
ES (2) ES2171485T3 (ko)
PT (1) PT978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2820A (en) * 1990-08-17 1996-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modulators for use with sub-nyquist sampling of raster-scanned samples of image intensity
KR930004171B1 (ko) * 1990-10-31 1993-05-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신호기록 및 재생회로
US5208707A (en) * 1990-10-31 1993-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for maintaining compatibility between different image systems during reproduction having an adaptive de-emphasis unit
KR930010910B1 (ko) * 1990-10-31 1993-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이한 영상시스템간의 재생시 호환성을 유지하는 휘도신호기록회로 및 그 방법
KR930012145B1 (ko) * 1990-10-31 1993-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이한 영상시스템간에 있어서 재생시 호환성을 유지하는 휘도신호 재생회로 및 그 방법
KR920010167B1 (ko) * 1990-10-31 1992-1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신호 중첩 및 펼침회로
KR930010356B1 (ko) * 1991-06-27 1993-10-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적응재생회로
US5418619A (en) * 1991-07-12 1995-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adapting a playback characteristic to meet video performance requirements
US5412481A (en) * 1992-02-24 1995-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e-base correction in a video recording/playback system
JPH06205439A (ja) * 1992-12-29 1994-07-22 Sony Corp 映像信号記録装置
CN108139267B (zh) * 2015-10-09 2021-06-08 徕卡显微系统复合显微镜有限公司 Srs成像的动态锁定检测带宽
US10305451B1 (en) * 2017-12-12 2019-05-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lier-based programmable filte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0467B (de) * 1960-12-19 1966-12-15 Minnesota Mining & Mfg Einrichtung zur Verbesserung des Verhaeltnisses von Signalspannung zu Rauschspannung bei der UEbertragung oder magnetischen Speicherung von elektrischen Signalen
JPS55117712A (en) * 1979-02-28 1980-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oise reduction circuit of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63256088A (ja) * 1987-04-13 1988-10-24 Canon Inc ビデオ信号記録装置
US4831463A (en) * 1987-01-30 1989-05-16 Faroudja Y C Video processing in which high frequency luminance components are folded into a mid-band spectrum
JPS6460182A (en) * 1987-08-31 1989-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ound video signal recorder
US4870481A (en) * 1987-12-01 1989-09-26 Ikegami Tsushiniki Co., Ltd. Color televis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improved-definition receiver for use in the system
US4982271A (en) * 1987-12-29 1991-01-01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otion-adaptive device for separating luminance signal and color signal
JPH01176190A (ja) * 1987-12-29 1989-07-12 Victor Co Of Japan Ltd 動き適応型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US4868650A (en) * 1988-03-07 1989-09-19 Rca Licensing Corporation Circuitry for expanding the effect of a video control signal in multiple dimensions
FI92544C (fi) * 1988-10-04 1994-11-25 Rca Licensing Corp Piiri PAL- ja NTSC-videosignaalien kampasuodattamiseksi
KR930002795B1 (ko) * 1990-10-31 1993-04-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중첩정보 삽입 및 분리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96629T3 (es) 1997-03-16
DE69132895T2 (de) 2002-06-20
KR920005106A (ko) 1992-03-28
CN1033785C (zh) 1997-01-08
JPH05300539A (ja) 1993-11-12
CA2040779A1 (en) 1992-02-18
ATE145510T1 (de) 1996-12-15
DE69132895D1 (de) 2002-02-14
CA2040779C (en) 1998-06-23
DE69123200D1 (de) 1997-01-02
JP2525964B2 (ja) 1996-08-21
ES2171485T3 (es) 2002-09-16
EP0696143A1 (en) 1996-02-07
DK0471517T3 (da) 1996-12-09
EP0471517A3 (en) 1993-03-17
EP0471517A2 (en) 1992-02-19
CN1063789A (zh) 1992-08-19
EP0696143B1 (en) 2002-01-09
DE69123200T2 (de) 1997-05-15
DE9117173U1 (de) 1996-08-22
EP0471517B1 (en) 1996-11-20
ATE211874T1 (de) 2002-01-15
DK0696143T3 (da) 2002-03-11
PT97867A (pt) 199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262A (en) Video signal recording system enabling limited bandwidth recording and playback
US6246827B1 (en) Deemphasis and subsequent reemphasis of high-energy reversed-spectrum components of a folded video signal
US5576837A (en) Digital modulators for use with sub-nyquist sampling of raster-scanned samples of image intensity
JPH02246587A (ja) ビデオ情報の入来走査線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US6104863A (en) Video signal encoded with additional detail information
KR930010928B1 (ko)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US5596418A (en) Deemphasis and subsequent reemphasis of high-energy reversed-spectrum components of a folded video signal
US6134373A (en)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wide bandwidth video signal via a narrow bandwidth medium
US5673355A (en) Deemphasis & Subsequent reemphasis of high-energy reversed-spectrum components of a folded video signal
US5386235A (en) Motion signal detecting circuit
JP2753224B2 (ja) ビデオ信号記録再生装置
JPH0686324A (ja) 映像信号重畳及び広げ回路
KR920010167B1 (ko) 영상신호 중첩 및 펼침회로
US58224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or-under chroma channel encoded with a high frequency luminance signal
JPH04271696A (ja) 互換性を有する高解像度ビデオ記録方法及び装置
CA2056744C (en)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wide bandwidth video signal via a narrow bandwidth medium
JP2781093B2 (ja) 狭帯域媒体を通じて広帯域幅のビデオ信号を記録および再生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S61181286A (ja) 画像信号のデイジタル記録装置
JP2780730B2 (ja) 映像信号交番重畳及び広げ回路
Hirota et al. Recent technical developments in the S-VHS VCR for broadcasting and professional applications
GB2252005A (en) Video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JPH0576027A (ja) 雑音低減装置
JPS63269877A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
KR930015820A (ko) 입력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와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 시스템
JPH04311193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