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55A -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255A
KR930010255A KR1019920022318A KR920022318A KR930010255A KR 930010255 A KR930010255 A KR 930010255A KR 1019920022318 A KR1019920022318 A KR 1019920022318A KR 920022318 A KR920022318 A KR 920022318A KR 930010255 A KR930010255 A KR 930010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units
polyamide
polyalkylene oxide
weight
polyoxyalk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오오와끼
료오이찌 야마자끼
마사또 요시모도
Original Assignee
이다가끼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가끼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다가끼 히로시
Publication of KR93001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5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 amides or polyether amid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섬유는 그내에 공중합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와 적어도 160℃의 융점을 가지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아미드(A)와 성분(A)에 미세하게 분산되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로 이루어진다.
25℃ 및 RH 90%에서 적어도 3.5%/5분의 흡수율 및/또는 20℃ 및 RH 40%에서 1.5kV 이하의 마찰전기전압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드 섬유는 상기 기술된 폴리아미드 섬유로부터 용해에 의해 성분(B)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21)

  1. 그내에 공중합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가지며 융점이 적어도 160℃인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아미드(A)와 성분(A)에 미세하게 분산되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이 수평균 분자량 6000 내지 20000을 가지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수평균 분자량 2000 내지 80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공중합되는 폴리아미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의 양이 3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로부터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의 양이 성분(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6. 그내에 공중합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가지며 융점이 적어도 160℃인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아미드(A)와 성분(A)에 미세하게 분산되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 섬유로부터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의 적어도 일부분을 용해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며, 25℃ 온도와 90% 상대습도에서 적어도 3.5%/5분의 흡수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이 수평균 분자량 6000 내지 20000을 가지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는 수평균 분자량 2000 내지 80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8. 제6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공중합되는 폴리아미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의 양이 3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9. 제6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로부터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10. 제6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의 양이 성분(A)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5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11. 그내에 공중합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가지며 융점이 적어도 160℃인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아미드(A)와 성분(A)에 미세하게 분산되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 섬유로부터 적어도 일부분의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을 용해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며, 20℃온도와 40% 상대습도에서 1.5kV 이하의 마찰전기전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폴리아미드 섬유.
  12. 제1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이 수평균 분자량이6000 내지 20000을 가지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는 수평균 분자량 2000 내지 80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13. 제11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공중합되는 폴리아미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의 양이 3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14. 제11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로부터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15. 제1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의 양이 성분(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섬유.
  16. 그내에 공중합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가지며 융점이 적어도 160℃인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아미드(A)에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을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단계, 얻어진 혼합물을 섬유로 용융방사하는 단계, 섬유로부터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섬유로부터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의 적어도 일부분을 용해에 의해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촉감을 지니는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거한 섬유를 공기중에서 폴리아미드(A)의 융점보다도 낮은 적어도 120℃의 온도에서 열처리 및/또는 수욕에서 적어도 70℃의 온도에서의 열처리를 받는 단계로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이 수평균 분자량 6000 내지 20000을 가지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는 수평균 분자량 2000 내지 80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공중합되는 폴리아미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의 양이 3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단위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로부터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B)의 양이 성분(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2318A 1991-11-25 1992-11-25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KR9300102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34535 1991-11-25
JP33453591 1991-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55A true KR930010255A (ko) 1993-06-22

Family

ID=1827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318A KR930010255A (ko) 1991-11-25 1992-11-25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06761A (ko)
EP (1) EP0544249B1 (ko)
JP (1) JP2975225B2 (ko)
KR (1) KR930010255A (ko)
DE (1) DE6922261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5948U1 (de) * 1996-08-01 1997-12-11 Draka Deutschland Gmbh & Co Kg Nagetierbißgeschützte flexible Leitung
US20120145632A1 (en) * 2009-07-15 2012-06-14 Konraad Albert Louise Hector Dullaert Electrospinning of polyamide nanofibers
ITFI20130162A1 (it) 2013-07-04 2015-01-05 Golden Lady Co Spa "metodo per la produzione di un filo sintetico ad alta ripresa di umidita' e filo ottenuto"
TW201821477A (zh) 2016-08-09 2018-06-16 英商英威達紡織〈英國〉有限公司 尼龍聚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9422A (en) * 1977-10-17 1979-05-14 Teijin Ltd Hydrophilic polyamide fiber
FR2500003A1 (fr) * 1981-02-19 1982-08-20 Ato Chimie Compositions formees de polyamide et de polyetheramide et application textile de ces compositions
KR870001132B1 (ko) * 1983-04-14 1987-06-09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전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IT1170089B (it) * 1983-12-30 1987-06-03 Snia Fibre Composizione copolimerica atta alla produzione di fibre sintetiche ad elevata idrofilia, procedimento per la sua preparazione, fibre e manufatti relativi
JPH04289226A (ja) * 1991-03-19 1992-10-14 Teijin Ltd 吸湿性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2614D1 (de) 1997-11-13
EP0544249A2 (en) 1993-06-02
JP2975225B2 (ja) 1999-11-10
JPH05247722A (ja) 1993-09-24
EP0544249A3 (en) 1993-09-22
DE69222614T2 (de) 1998-03-19
US5306761A (en) 1994-04-26
EP0544249B1 (en) 1997-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440B1 (ko) 복합섬유
ES8402029A1 (es) Procedimiento de hilatura en fundido de un polimero termoplastico formador de fibra.
KR900702095A (ko) 습식 부직포 및 이에 사용되는 초미세 폴리에스테르 섬유
GB1297834A (ko)
KR930010255A (ko)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아미드 직물의 제조방법
ATE62496T1 (de) Copolymere zusammensetzung, verwendbar zur herstellung von hochhydrophilen synthetischen fasern, deren herstellung und damit hergestellte fasern und gegenstaende.
KR890002467A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유리섬유 기재의 펠트 및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S57167418A (en) Heat bonding composite spun fiber
KR100491846B1 (ko) 클린 룸 청소용 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H07107217B2 (ja) メルトブロー不織布
DE60121628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arn aus gemischten polyester fasern
KR920010333B1 (ko) 탄성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H062221A (ja) 分割型複合繊維及び極細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S55132708A (en) Production of ultrafine thermoplastic polymer filament yarn
JP3391934B2 (ja) 分割性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シート状物
JP3845267B2 (ja) 熱圧接不織布用ポリエステル繊維
JPH11158732A (ja) 偏芯芯鞘複合ポリエステル繊維
ES2110975T3 (es) Procedimiento de hilatura a gran velocidad.
JPS5512832A (en) Production of hollow crimped fiber
JPS55116811A (en) Production of moisture-absorbing synthetic fiber
JPS62206008A (ja) 捲縮多孔中空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US3494994A (en) Method of producing polyurethane elastomer staple fibre
JPS5782523A (en) Antistatic polyester fiber with improved antifibrilation property
JPS57149513A (en) Polyester conjugate fiber of high elasticity and low shrinkage
JPS57101019A (en) Elastic ya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