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157B1 -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10157B1 KR930010157B1 KR1019900018202A KR900018202A KR930010157B1 KR 930010157 B1 KR930010157 B1 KR 930010157B1 KR 1019900018202 A KR1019900018202 A KR 1019900018202A KR 900018202 A KR900018202 A KR 900018202A KR 930010157 B1 KR930010157 B1 KR 930010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vot
- bracket
- brackets
- leg
- sea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립체의 프레임웍에 합체된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는 제 1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의 좌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제 1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의 우측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에 사용된 전동 서보 장치의 확대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전동 서보 장치의 확대 측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전동 서보 장치의 확대 평면도.
제 7 도는 제 4 도의 전동 서보 장치의 확대 저면도.
제 8 도는 제 1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에 사용된 너트 블록의 확대분해 사시도.
제 9 도는 제 1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리미트 스위치의 한 변형예의 사시도.
제 10 도는 제 1 도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전동 서보 장치의 한 변형예의 사시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전동 서보 장치의 정면도.
제 12 도는 제 10 도의 전동 서보 장치의 측면도.
제 13 도는 제 10 도의 전동 서보 장치의 확대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0 도의 전동 서보 장치의 확대 단면도.
제 15 도는 시트 리프터의 양호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양호한 실시예의 전동 서보 장치가 조합된 자동차 시트의 프레임웍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 16 도 및 제 17 도는 시트 리프터에 합체된 연결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제 15 도의 프레임웍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 18 도, 제 19 도, 제 20 도 및 제 21 도는 제 16 도 및 제 17 도의 선 A-A, B-B, C-C 및 D-D를 따라 취해본 단면도.
제 22 도는 후방 연결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
제 23 도는 시트 리프터 장치에 합체된 프레임웍의 확대 횡단면도.
제 2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
제 25 도 및 제 26 도는 제 24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 27 도는 제 24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서보 장치의 부분 평면도.
제 28 도는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변경된 프레임웍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제 29 도는 및 제 30 도는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의 서보 장치의 정면도 및 저면도.
제 31 도, 제 32 도 및 제 33 도는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의 서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판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제 34 도는 제 27 도의 선 E-E를 따라 취해 본 단면도.
제 35 도는 제 27 도의 선 F-F를 따라 취해 본 단면도.
제 36 도 및 제 37 도는 제 24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외측 전방 연결 기구의 확대 평면도 및 측면도.
제 38 도 및 제 39 도는 제 24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내측 전방 연결 기구의 확대 평면도 및 측면도.
제 40 도 및 제 41 도는 제 24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외측 후방 연결 기구의 확대 평면도 및 측면도.
제 42 도 및 제 43 도는 제 24 도의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내측 후방 연결 기구의 확대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그 브래킷 2 : 측면 브래킷
4, 5, 6 : 연결부 7, 8 : 커넥팅 로드
9, 9a : 작동 레버 12, 14, 15 : 피봇
27 : 기어 하우징 34 : 체결 너트
38 : 전기 서보 모터 43, 43a : 리미트 스위치
44 : 스토퍼 60 : 장착 브래킷
70 : 상부 레일 71 : 하부 레일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진보한 자동차 기술에서, 시트 조립체는 전동 서보 장치를 사용하여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백 리클라이너 및 시트 슬라이드 등이 조정의 편리성을 위해 이러한 전동 서보 장치를 종종 사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몇몇 자동차 시트 조립체는 시트 쿠션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전동 서보 장치를 갖춘 시트 리프터를 사용한다. 시트 리프터용 전동서보 장치는 전기 모터, 기어 트레인 등과 같은 많은 부품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서보 장치의 부품들은 시트 쿠션 아래에 설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몇몇 형태의 자동차에서는 경쾌한 주행감을 주기 위해 낮은 시트 위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하기 위해 시트 쿠션은 적어도 최하부 위치에서 낮은 높이로 위치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렇게 되면, 시트 리프터의 서보 장치의 부품은 시트 쿠션의 높이 수준을 낮추는 크기를 억제 또는 제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 서보 장치와 협동 작용하는 파워 시트 리프터의 경우에는 시트 쿠션의 높이 수준을 낮추는 범위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더 낮은 시트 쿠션의 위치의 요구 조건에 완전히 응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쿠션이 만족할 만큼 낮은 높이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이 가능한 파워 시트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얻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는 자동차 시트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서 높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전동 서보 장치를 갖는다. 이 서보 장치는 시트 쿠션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자동차 시트의 한쪽 측면을 따라 동심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는, 제1브래킷과, 자동차 시트 조립체의 시트 쿠션 조립체를 지지하고 시트 쿠션 조립체와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제2브래킷과,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 사이에 마련되며 제1브래킷에 대한 제2브래킷의 수직 변위를 일으키도록 피봇식으로 운동 가능한 연결 기구와, 제1브래킷 상에 지지되며 제1브래킷에 대해 제2브래킷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여 시트 쿠션 조립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구동 토오크를 발생시키도록 제1 및 제2브래킷에 평행하게 위치한 전기 서보 모터와, 전기 서보모터에 합체되고 제1 및 제2브래킷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전기 서보 모터의 회전 토오크를 제1 및 제2브래킷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방향 추력으로 변환시키는 기어 트레인과, 연결부를 피봇식으로 구동하기 위해 축방향 추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기어 트레인은 축방향 추력으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운동 장치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이 운동 장치는 연결 기구를 피봇식으로 운동시키도록 구동하기 위해 연결 기구에 합체된다. 파워 시트 리프터는 운동 장치의 운동 스트로크의 전방 및 후방 단부를 제한하기 위해 운동 장치의 통로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는, 자동차 시트의 각 횡방향 측면에 위치하고 자동차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브래킷과 자동차 시트 조립체의 시트 쿠션 조립체를 지지하고 시트 쿠션 조립체와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제2브래킷과 제1 및 제2브래킷 사이에 마련되고 제1브래킷에 대해 제2브래킷의 수직 변위를 일으키도록 피봇식으로 운동 가능한 연결 기구를 각각 갖는 제1 및 제2유닛과 제1유닛의 제1브래킷 상에 지지되며 제1브래킷에 대해 제2브래킷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여 시트 쿠션 조립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구동 토오크를 발생시키도록 자동차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위치한 전기 서보 모터와, 전기 서보 모터에 합체되고 제1 및 제2브래킷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전기 서보 모터의 회전 토오크를 제1 및 제2브래킷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방향 추력으로 변환시키는 기어 트레인과, 연결부를 피봇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축방향 추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수단과, 제2유닛의 연결 기구를 제1유닛의 연결 기구의 피봇 운동과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해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 연장되는 횡단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횡단 부재는 제1 및 제2유닛의 연결 기구의 동시 작동을 위해 이들 연결 기구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횡단 부재가 제1 및 제2유닛의 연결 기구에 연결된 연결 지점은 힙(hip) 공간, 시트 쿠션 프레임으로부터의 필요한 높이 및 후방 시트에 필요한 다리 공간에 의해 한정된 방향에서 선택된다.
기어 트레인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크류 로드와, 스크류 로드의 회전에 따른 추력 운동을 위해 스크류로드에 결합되는 너트 블록과, 스크류 로드와 함께 회전하기 위해 이에 견고하게 연결된 제1중간 기어와, 제1중간 기어와 맞물린 제2중간 기어와, 제2중간 기어와 회전하기 위해 이와 동축인 제3중간 기어와, 제3중간 기어와 맞물리며 또한 회전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해 전기 서보 모터의 위엄형 출력축과 맞물린 워엄 기어를 구비하기도 한다. 기어 트레인은 대개 기어 하우징 내에 수납되며, 스크류 로드는 기어 하우징으로부터 종방향 연장된다. 연결 기구는 2개의 지점에서 지지된 피봇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한 연결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는, 자동차 시트의 각 횡방향 측면에 위치하고 자동차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브래킷과 자동차 시트 조립체의 시트 쿠션 조립체를 지지하고 시트 쿠션 조립체와 함께 수직 이동 가능한 제2브래킷과 제1 및 제2브래킷 사이에 마련되고 제1브래킷에 대해 제2브래킷의 수직 변위를 일으키도록 피봇식으로 운동 가능한 연결 기구를 각각 갖는 제1 및 제2유닛과, 전방 및 후방 단부에서 제1브레킷에 대해 제2브래킷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각각의 제1유닛에 마련된 제1 및 제2서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서보 장치는, 제1유닛의 제1브래킷 상에 지지되며 제1브래킷에 대해 제2브래킷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여 시트 쿠션 조립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구동 토오크를 발생시키도록 자동차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서로 대향하게 배열된 전기 서보 모터와, 이 전기 서보 모터에 합체되고 제1 및 제2브래킷에 근접하게 위치하면 전기 서보 모터의 회전 토오크를 제1 및 제2브래킷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방향 추력으로 변환시키는 기어 트레인과, 연결부를 피봇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축방향 추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수단과, 제2유닛의 연결 기구를 제1유닛의 연결 기구의 피봇 운동과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해 제1유닛과 제2유닛 사이에 연장되는 횡단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단지 설명을 위해서만 예시되었다.
도면중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 파워 시트 리프터는 차량 도어에 근접한 차량 시트의 외측에 위치한 외부 유닛(OTR)과 차량 본체의 중심선에 근접한 차량 시트의 내측에 위치한 내부 유닛(INR)을 포함한다. 제 1 도에서 화살표(F)는 시트의 전방을 화살표(R)는 시트의 후방을 나타낸다. 외부 및 내부 유닛(OTR 및 INR)은 시트 활주장치의 상부 레일(도시 생략)상에 장착된 레그 브래킷(1)을 갖는다. 측면 브래킷(2)는 레그 브래킷 위에 마련되어 시트 쿠션 프레임(도시 생략)을 지지한다. 레그 브래킷(1) 및 측면 브래킷(2)의 후방 단부들은 피봇(14,15)에 대해 회전 가능한 연결부(4)에 의해 연결된다. 유사하게, 레그 브래킷(1) 및 측면 브래킷(2)의 전방 단부들도 피봇(12)을 거쳐 피봇식으로 연결된 연결부(5,6)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5)는 피봇 핀(13)에 대한 운동을 위해 측면 브래킷(2)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한편, 연결부(6)은 피봇 핀(11)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해 레그 브래킷(1)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한편, 연결부(6)은 피봇 핀(11)에 대한 피봇 운동을 위해 레그 브래킷(1)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외부 및 내부 유닛(OTR 및 INR)의 연결부(6)은 커넥팅 로드(7)에 의해 함께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사하게, 외부 및 내부 유닛(OTR 및 INR)의 연결부(4)도 커넥팅 로드(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외부 유닛(ORT)의 연결부(6 및 4)는 전동 서보 장치에 의해 다른 것과는 별도로 구동되는 작동 레버(9)와 함께 작동한다. 전방 및 후방에 있는 각각의 작동 레버(9)는 L형 또는 V형을 이루며 분기된 커넥팅 레버(17)을 거쳐 전동 구동 유닛(16)에 합체된다. 각각의 작동 레버(9)는 커넥팅 로드(7,8)을 연결부(6,4)의 피봇 운동과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해 피봇(11,14)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실제로는, 작동 레버(9)가 커넥팅 로드(7,8)의 각 외측 단부 상에 용접되기도 한다. 작동 레버(9)는 연결부(6,4)의 피봇(12,15)에 연결된다. 부쉬 너트(18)은 작동 레버(9)를 보유하기 위해 피봇(12,15)의 축방향 단부에 고정된다. 작동 레버(9a)도 작동 레버(9)의 위치에 대해 동일한 각도 위치에서 커넥팅 로드(7,8)을 거쳐 작동 레버(9)중 합체된 하나와 동시에 피봇식으로 작동된다. 작동 레버(9)와 유사하게, 작동 레버(9a)는 연결부(6,4)와 함께 작동하기 위해 내부 유닛(INR)의 피봇(12,15)에 연결된다. 부쉬 너트(18)은 작동 레버(9a)를 보유하기 위해 피봇(12,15)의 축방향 단부 상에 고정된다.
너트 블록 조립체(19)는 고정 볼트(20) 및 체결 너트(21)에 의해 커넥팅 레버(17)에 고정된다. 각 너트 블록 조립체(19)는 분해 사시도의 형태인 제 8 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 8 도에 도시된 것처럼, 너트 블록 조립체(19)는 역전된 T형 단면을 취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너트 블록(9a)를 포함한다. 너트 블록(19a)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22) 및 이 관통 구멍을 교차하는 방향의 나사 형성 구멍(23)으로 형성된다. 관통 구멍(22) 안에는 칼라(24)가 삽입된다. 레버(17)의 분기 레그의 단부(17a,17b)는 이의 개구(17c)와 관통 구멍(22)가 나란해지도록 너트 블록(19a)의 양 종방향 단부에 대향하게 위치한다. 고정 볼트(20)은 개구(17c) 및 칼라(24)를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너트 블록(19a)는 고정 볼트(20) 및 체결 나사(21)에 의해 레버(17)에 연결된다.
나사형성 구멍(23)은 나사형성 외주연을 갖는 스크류 볼트 로드(25)를 수납한다. 스크류 볼트 로드(25)는 레그 브래킷(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베어링(26)에 의해 한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크류 볼트 로드(25)의 외부 단부는 레그 브래킷(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기어 하우징(27)안에 삽입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것처럼, 베어링(26)은 기어 하우징(27)상에 고정된다. 베어링(26)은 스크류 볼트 로드(25)의 다른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기어(29)는 와셔(30)과 채널 너트(34)에 의해 스크류 볼트 로드(25)의 단부 상에 이와 함께 회전하기 위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기어(29)와 채널 너트(34)를 통하여 연장된 스크류 볼트 로드(25)의 단부는 기어 하우징(27)상에 고정된 부싱 캡(33)내에 수납된다. 기어(29)는 기어축(36)상에 지지된 스크류 기어(32)와 맞물린다. 기어축(36)은 기어 하우징(27)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것처럼, 워엄 기어(37)은 스크류 기어(32)와 공동 회전하기 위하여 기어축(36)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워엄 기어(37)은 기어 하우징(27)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전기 서보 모터(38)의 워엄 출력측(39)와 맞물려 있다. 제 4 도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기 서보 모터(38)은 대향하게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전기 서보 모터(38)은 도선(40)과 커넥터(41)을 거쳐 외부 시트 리프터 제어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제 4 도 내지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래킷(42)는 기어 하우징(27)상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42)는 리미트 스위치(43)을 지지한다. 리미트 스위치(43)은 스토퍼(44)가 연결되는 작동 스크립을 갖는다.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4)는 평판을 절곡하므로써 제조되며 한 쌍의 결합 스트립(45,46)이 마련되어 있다. 스토러(44)는 스크류 볼트(25)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결합스트립(45,46) 사이에 거리(D)는 너트 블록(19)의 축방향 운동 행정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결합스트립(45,46)의 상호 대응 에지들은 너트 블록(19)의 축방향 이동의 전방 및 후방 단부를 제한한다. 너트 블록(19)는 스트립(45,46) 사이에 형성된 공간 안으로 연장되는 돌출부(47)을 구비한다.
커버판(48)은 기어 하우징(27)의 상단부를 덮기 위하여 마련된다. 필요하다면, 브래킷(42)의 위치내에 리미트 스위치(43)을 지지하기 위해 커버판에 연장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제 9 도는 너트 블록(19)의 운동 스트로크를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의 설치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경예에서, T-형상인 스트립(43a)는 각각의 전기 서보 모터(38)의 하우징에 고정된다. 리미트 스위치(43)의 작동 스트립(42a)의 한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43)은 너트 블록(19)의 운동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거리로 이격된 한 쌍의 레그(49,30)을 구비한다.
제 15 도 내지 제 2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시트 리프터의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된 프레임웍은 외부 및 내부 유닛(OTR 및 INR)의 레그 브래킷(1)과 측면 브래킷(2) 및 이들을 교차하여 연장되는 커넥팅 로드(7,8)을 갖춘 장방형 프레임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웍의 부분을 형성하는 커넥팅 로드(7,8)의 양 단부는 피봇 레버(9,9a)에 연결된다. 제 18 도 및 제 19 도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레그 브래킷(1)과 측면 브래킷(2)는 주요 채널 또는 C-형상 폐쇄 단면으로 형성된다. 피봇(11,14)는 그 양단부에서 이들 브래킷(1,2)상에 지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11,14)는 레그브래킷 및 측면 브래킷(1,2)의 측벽 구역으로부터 한 측면에서 연장된다. 커넥팅 로드(7,8)은 피봇(11,14)의 이들 연장된 부분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피봇(12)는 레버(5,6)를 통하여 한 측면으로 연장된다. 피봇(12)의 연장된 부분에 작동 레버(9)가 연결된다. 한편, 피봇(15)는 레그 브래킷(1)의 측면 벽 구역과 중첩되어 있는 레버(4)의 한 측면 벽에 결합된다. 피봇(15)의 연장된 단부부분에 후방 연결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9)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 20 도 및 제 21 도는 내부 유닛(INR)내의 단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피봇(11)은 레그 브래킷(1)과 연결부(6)의 중첩 측면 벽으로부터 한 측면 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피봇(12)는 연결부(5,6)의 중첩 측면 벽의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피봇(12)는 연결부(5,6)의 중첩 측면 벽의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피봇(11)의 연장된 단부에는 커넥팅 로드(7)이 결합된다. 한편, 연장된 단부는 내부 유닛(INR)의 전방 측면 연결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레버(9a)가 결합된다.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커넥팅 로드(8)과 작동 레버(9a)는 피봇(14,15)의 연장된 단부들에 연결된다. 외부 유닛(OTR)과는 달리, 피봇(14)는 연결부(4)와 측면 브래킷(2)의 하나의 측면 중첩벽에 지지되고, 피봇(15)는 레그 브래킷(1)과 연결부(4)의 양 측면 벽에 지지된다.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제 2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8)의 축방향 위치는 연결부(4)의 피봇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편위되어 있다. 커넥팅 로드(8)의 위치는 충분한 공간(H.S.)와 시트 쿠션 프레임으로부터의 필요한 높이(H)와 후방 시트 착석자의 다리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한 높이(X)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W)에 의해 결정된 빈 공간(Y)내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빈 공간 범위(Y)에서 커넥팅 로드(8)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시트쿠션의 상부 및 하부 승강 운동에 대한 커넥팅 로드(8)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7,8)이 용접한 필요없이 레그 브래킷 및 측면 브래킷(1,2)와 함께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더우기, 도시된 구조로서, 용접시에 열을 받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열변형에 의한 공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파워 시트 리프터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서보장치는 외부 유닛(OTR)과 동심으로 마련되고, 시트 높이를 만족스럽게 낮출 수 있도록 시트 쿠션의 중간 부분 아래에 큰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1실시예의 상기한 구조의 작동에 대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구동기 전류가 서로 독립적으로 하나 또는 두개의 전기 서보 모터(38)에 인가되면, 스크류 볼트 로드(25)가 회전 구동된다. 스크류 볼트 로드(25)의 회전에 따라서, 너트 블록(19)가 스크류 볼트 로드(2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동된다. 너트 블록(19)가 레버(17)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도록 구동된다고 가정하면, 작동 레버(9)는 피봇(1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피봇(12)를 지탱하는 작동 레버(9)의 레그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피봇(12)의 반시계 방향 회전 운동에 따라서, 연결부(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연결부(6)의 이러한 운동은 측면 브래킷(2)를 상방으로 상승시키도록 연결부(5)의 시계 방향 운동을 일으킨다.
스트로크의 단부에서, 돌기(47)은 결합 스트립(46)과 접촉한다. 돌기(47)이 결합 스트립(46)과 접촉할 때, 리미트 스위치(43)은 전기 서보 모터(38)의 구동 작동을 종료시키기 위하여 꺼진다. 그러므로, 시트 쿠션은 최상부의 상승 위치에 정지한다.
전기 서보 모터(38)이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너트 블록(19)는 레버(17)의 시계 방향 회전 운동을 일으키도록 후방으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파워 시트 리프터의 모든 부품은 상기에 설명한 상승 작동의 반대 방향으로 바뀐다. 반대 방향으로의 작동 결과, 시트 쿠션은 가장 낮은 위치로 하강되고, 여기에서 돌기(47)은 결합 스트립(45)와 접촉한다.
제 10 도 내지 제 1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시트 리프터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전동 서보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어 하우징(27)과 전기 서보 모터(38)은 장착 브래킷(60)에 장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기어 하우징(27)은 서로 동축인 두 쌍의 워엄 기어(32,37)을 수납한다. 워엄 기어(37)은 전기 서보 모터(38)의 출력 워엄축(39)에 맞물린다. 한편, 워엄 기어(32)는 스크류 로드(25)의 단부에 견고하게 장착된 기어(29)에 맞물린다.
너트 블록(19)는 스크류 로드(19)가 결합되는 나사 형성 구멍을 갖는다. 각각의 너트 블록(19)는 레버(62)를 지탱한다. 레버(62)는 합체된 하나의 너트 블록(19)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레버(62)는 장착 브래킷(60)에 고정된 지지브래킷(63)에 의해 지지된다. 합체된 하나의 너트 블록(19)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방 및 후방 단부에서, 레버(62)는 시트 쿠션의 높이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연결부들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하여 이에 연결된다.
도시된 변형예도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것과 동일한 잇점을 갖는다.
제 23 도는 변경된 실시예의 파워 시트 리프터와 시트 활주 조립체의 관계를 간단히 도시한다. 제 23 도에 도시된 단면은 제 21 도의 단면과 대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브래킷(1)은 시트 활주 기구의 상부레일(70)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부 레일(70)은 차량 바닥(72)상에 견고하게 고정된 하부레일(71)과 활주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활주부(73,74)를 포함하는 활주부 조립체는 상부 및 하부레일(70,71)의 활주 레일 조립체에서, 시트 벨트 버클(도시안됨)을 지지하는 버클 앵커(75,76)은 버클 스트랩(77)을 거쳐 결합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클 스트랩(77)은 채널 볼트(78)과 체결 너트(79)에 의해 버클 앵커(75,76)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피봇(15)는 레그 브래킷(1)을 교차하여 연장된다. 피봇(15)의 연장된 단부에 연결부(4)와 작동 레버(9a)가 연결된다. 한편, 피봇(14)는 측면 브래킷(2)와 연결부(4)의 중첩벽을 통하여 연장된다. 피봇(14)의 연장된 단부에 작동 레버(9a)와 커넥팅 로드(8)이 결합되어 있다. 피봇(14)를 지지하기 위하여 보강 브래킷(81)을 마련할 수도 있다. 보강 브래킷(81)은 상단부에서 측면 브래킷(2)에 고정되고 하단부에서 피봇(14)에 결합된다. 보강 브래킷(81)은 피봇(14)에 대해 2지점 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면 브래킷(2)의 대향 측면벽과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도시된 위치에서, 측면 브래킷(2)는 시트 팬(80)을 지지한다.
도시된 구조에서, 국부적인 힘(F)가 피봇(14)에서 하방력(a')을 유발하는 시트 팬(80)에 작용하더라도, 레그 브래킷(1)내의 2개의 지점에 의해 지지된 피봇(15)는 경사지지 않는다. 더우기, 하방력(a')에 대하여 상방 반작용력(a")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반작용력은 피봇(14)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조에서는 피봇(14)의 길이가 짧고 보강 브래킷(81)이 존재하기 때문에, 피봇의 경사를 성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24 도 내지 제 3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시트 리프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외부 및 내부 유닛(OTR 및 INR)은 각각 시트 활주기구의 외부 및 내부 상부 레일 상에 장착된 레그 브래킷(101)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레그 브래킷(101)은 외부 및 내부 유닛(OTR 및 INR)을 형성하기 위하여 측면 브래킷(102)와 결합되어 있다. 제 40 도 내지 제 43 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연결부(104)는 레그 브래킷(101)과 측면 브래킷(102)의 후방 단부들 사이에 마련된다. 외부 연결부(104)는 피봇(110,1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내부 연결부(105)는 제 36 도 내지 제 3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110,11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위하여 마련된다. 한편, 상부 및 하부 연결부(106,107,108)이 레그 브래킷(101)과 측면 브래킷(102)의 전방 단부들 사이에 마련된다. 상부 연결부(106)은 피봇(1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외부 및 내부 하부 연결부(107,108)은 피봇(1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들 연결부는 용접 단면(114)를 거쳐 커넥팅 로드(109)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내부 연결부(105)는 용접 단면(114a)를 거쳐 커넥팅 로드(116)의 양 단부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커넥팅 로드(109,116)에는 레버(117,118)이 용접되어 있다. 레버(117,118)은 작동 레버(117Aa,118a)를 회전가능하게 피봇식으로 지지한다. 너트 블록(119)는 볼트(120)과 너트(121)에 의해 작동 레버(117a,118a)에 연결된다. 너트 블록(119)는 스크류 로드(125)와 맞물린다. 너트 블록(119)는 스크류 로드(125)와 맞물린다. 스크류 로드(125)는 기어 박스(127)안에 삽입된 축방향 단부들을 갖는다. 스크류 로드(125)의 단부는 베어링 블록(1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기어 박스(127)로부터 이격된 스크류 로드(125)의 전방 및 후방 단부들은 커버판(142)와 일체로 형성된 브래킷(157)상에 지지된 지지 브래킷(148)에 의해 지지된다.
기어(129)는 기어 박스(127)내에 삽입된 스크류 로드(125)의 각 단부상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기어(129)는 스크류 기어(132)와 맞물려 있다. 스크류 기어(132)는 기어축(136)에 의해 기어 박스(127)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워엄 기어(137)은 스크류 기어(132)와 협동하기 위한 기어축(136)에 또한 장착된다. 워엄 기어(137)은 전기 서보 모터(138)의 워엄 출력축(139)와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기 서보 모터(138)은 서로에 대향하게 배열된다.
판(131)은 기어 박스(127)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체결 볼트(126)에 의해 고정된다. 커버판(142)는 체결 볼트(151)에 의해 기어 박스(127)상에 고정된다. 한편, 커버판(142)는 제 27 도 내지 제 3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볼트(152)에 의해 레크 브래킷(101)에 고정된다.
제 31 도 내지 제 3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판(142)는 용접 너트(153)에 고정되며 거기에 볼트(152)가 결합된다. 연장 스트립(154)는 용접 너트(153)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의 반대측의 커버판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연장 스트립(154)는 리미트 스위치(143)을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155,156)과, 체결 볼트(149)에 의해 고정되고 베어링(150)을 거쳐 스크류 로드(1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48)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157)을 형성하고 있다. 리미트 스위치(143)의 작동 아암(144)는 연장 스트립(154)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 3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아암(144)들은 그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C-형상으로 성형되고, 그 안에 너트 블록(119)의 돌기가 삽입된다.
도시된 구조에서, 전기 서보 모터(138)이 구동되면, 작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 스크류 로드(125)에 결합된 하나의 너트 블록(119)는 모터의 구동 방향에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연결부들은 시트 쿠션의 높이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피봇식으로 구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은 전술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을 이의 양호한 실시예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포함하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수정도 가능하다.
Claims (4)
- 평행하게 배열되며 그 전방 단부들이 전방 커넥팅 로드(7)에 의해 상호 연결된 피봇(11)을 갖고 그 후방 단부들이 피봇(15)를 갖는 한 쌍의 제1 및 제2레그 브래킷(1)과, 제1 및 제2레그 브래킷(1)에 사용되며 그 전방 단부들이 피봇(13)을 갖고 그 후방 단부들이 피봇(14)를 갖는 한 쌍의 제1 및 제2측면 브래킷(2)와, 제1 및 제2측면 브래킷(2)의 피봇(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하나의 단부를 갖는 2개의 제1전방연결부(5)와, 제1레그 브래킷(1)의 전방 단부에 있는 피봇(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작동 레버(9)와, 제1 및 제2레그 브래킷(2)의 후방 단부들에 있는 피봇(1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작동 레버(9)와, 제1 및 제2측면 브래킷(2)의 후방 단부들에 있는 피봇(1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단부들을 갖는 2개의 후방 연결부(4)를 포함하며, 전방 및 후방에 있는 작동 레버(9)가 연결 레버(17) 및 기어 트레인(32,29,25,19)를 거쳐 서보 모터(38)에 구동식으로 연결된 아암을 가지며, 제1전방 연결부의 대향 단부들이 피봇(12)를 거쳐 2개의 제2전방 연결부(6)의 단부들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후방에 있는 작동 레버(9)가 제1측면 브래킷(2)의 후방 단부에 있는 피봇(14)를 지지하는 후방 및 하방으로 변위된 중간부를 갖도록 구성된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에 있어서, 제1 및 제2측변 브래킷(2)의 후방 단부들에 있는 피봇(14)가 후방 커넥팅 로드(8)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리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제2전방 연결부(6)이 제1 및 제2레그 브래킷(1)의 전방 단부에 있는 피봇(11)에 피붓식으로 장착된 대향 단부들을 가지며, 전방에 있는 작동 레버(9)가 인접한 피봇(2)를 지지하는 후방 연장 아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리프터.
- 제 2 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제1 및 제2측면 브래킷(2) 상에 있는 시트 조립체에 착석하면 제1 및 제2측면 브래킷(2)의 전방 단부가 상승되고 후방단부가 하강되어 연결 레버(17)들을 서보 모터(38)들 사이에 위치하고 제1레그 브래킷(1)에 견고하게 고정된 기어 하우징(27)쪽으로 밀어내도록 전방 및 후방 작동 레버(9)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리프터.
- 제 3 항에 있어서, 기어 하우징(27)이 연결 레버(17)로부터의 응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31224 | 1989-11-10 | ||
JP1989131224U JPH0369543U (ko) | 1989-11-10 | 1989-11-10 | |
JP1-131223 | 1989-11-10 | ||
JP13122589U JPH0649472Y2 (ja) | 1989-11-10 | 1989-11-10 | シートリフター |
JP1-131225 | 1989-11-10 | ||
JP1989131223U JPH0369542U (ko) | 1989-11-10 | 1989-11-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9496A KR910009496A (ko) | 1991-06-28 |
KR930010157B1 true KR930010157B1 (ko) | 1993-10-15 |
Family
ID=2731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18202A KR930010157B1 (ko) | 1989-11-10 | 1990-11-10 |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123622A (ko) |
EP (1) | EP0427573A3 (ko) |
KR (1) | KR93001015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87583A (en) * | 1992-11-30 | 1996-01-30 | Fuji Kiko Co., Ltd. | Laterally adjustable automotive seat with lifter device |
JPH0732919A (ja) * | 1993-07-20 | 1995-02-03 | Mitsuba Electric Mfg Co Ltd |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の駆動装置 |
US5707035A (en) * | 1994-08-31 | 1998-01-13 | Hoover Universal, Inc. | Vehicle seat adjuster |
US5797574A (en) * | 1996-12-23 | 1998-08-25 | Lear Corporation | Drive nut apparatus for vehicle seat adjuster |
DE19702874A1 (de) * | 1997-01-27 | 1998-07-30 | Molex Elektronik Gmbh |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s |
EP1121264B1 (en) | 1998-10-13 | 2003-09-10 | Magna Seating Systems Inc. | Seat cushion height adjustment assembly |
JP3471639B2 (ja) * | 1998-12-17 | 2003-12-02 |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ー装置 |
US6361109B1 (en) | 1999-09-27 | 2002-03-26 | Magna Seating Systems Inc. | Seat cushion height adjuster |
US6367758B1 (en) * | 1999-10-29 | 2002-04-09 | Dura Global Tachnologies | Snap-on torque tube for seat track assembly |
DE29920996U1 (de) * | 1999-11-30 | 2000-02-24 | RK Rose + Krieger GmbH & Co KG Verbindungs- und Positioniersysteme, 32423 Minden | Stelleinrichtung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4541A (en) * | 1906-02-08 | 1908-04-14 | Gen Electric | System of control for electric motors. |
US2939513A (en) * | 1958-08-18 | 1960-06-07 | Gen Motors Corp | Vehicle seat adjuster |
US3437303A (en) * | 1967-07-10 | 1969-04-08 | Ferro Mfg Corp | Seat adjustment mechanism |
AU436170B2 (en) * | 1971-07-06 | 1972-07-12 |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 Position adjustable support mechanism |
US3894708A (en) * | 1973-11-29 | 1975-07-15 | World O Matic Corp | Power seat arrangement |
US3951004A (en) * | 1974-03-20 | 1976-04-20 | International Telephone & Telegraph Corporation | Multiple position seat adjustment mechanism |
US4015812A (en) * | 1975-10-28 | 1977-04-05 |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 Seat adjustment mechanism |
DE2723550A1 (de) * | 1977-05-25 | 1978-12-07 | Daimler Benz Ag | Hoehen- und neigungsverstellbarer kraftwagensitz |
DE2846632A1 (de) * | 1978-10-26 | 1980-05-08 |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Hoehenverstellvorrichtung fue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
DE2901208C2 (de) * | 1979-01-13 | 1984-08-09 |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 Verstellbarer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
DE3027560A1 (de) * | 1980-07-21 | 1982-02-18 | P.A. Rentrop Hubbert & Wagner, Fahrzeugausstattungen GmbH &Co KG, 3060 Stadthagen | Sitz, insbes. kraftfahrzeugsitz |
FR2498132B1 (fr) * | 1981-01-21 | 1987-05-22 | Mecanismes Comp Ind De | Dispositif de reglage en hauteur d'un element, notamment d'un siege de vehicule |
US4432583A (en) * | 1981-04-01 | 1984-02-21 |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 Vehicle seat track apparatus |
DE3176619D1 (en) * | 1981-06-19 | 1988-02-25 | Keiper Recaro Gmbh Co | Seat for use in vehicles, especially automotive vehicles |
-
1990
- 1990-11-07 US US07/610,018 patent/US5123622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11-10 KR KR1019900018202A patent/KR9300101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11-12 EP EP19900312310 patent/EP0427573A3/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9496A (ko) | 1991-06-28 |
EP0427573A2 (en) | 1991-05-15 |
EP0427573A3 (en) | 1991-11-21 |
US5123622A (en) | 1992-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56439A (en) | Vehicle power seat adjuster with self-aligning lead screw actuator | |
US5467957A (en) | Vehicle power seat adjuster with self-aligning drive nut | |
US5445354A (en) | Track assembly for vehicle power seat adjuster | |
US5575531A (en) | Vehicle power seat adjuster with end driven lead screw actuation | |
US5112018A (en) | Vehicle seat track apparatus | |
US6244660B1 (en) | Power seat for vehicles | |
KR930010157B1 (ko) | 자동차 시트 조립체용 파워 시트 리프터 | |
US5860319A (en) | Reduced noise drive block for vehicle seat adjuster | |
WO1998026951A1 (en) | Plastic drive block for vehicle seat adjuster | |
KR920006885Y1 (ko) | 시트 위치 조정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장치 | |
JP2008049920A (ja) | 自動車の可動フロア装置 | |
US5806824A (en) | Vehicle seat adjuster | |
JP6962845B2 (ja) | 車両用シート | |
US5121895A (en) | Power seat lift arrangement for automotive seat with compact construction enabling lowering of hip point | |
KR101904976B1 (ko) |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 |
CN112590630A (zh) | 连杆组件、转动滑出部件、腿托装置及汽车座椅 | |
US5573219A (en) | Lifter mounting structure on seat slide rail | |
US5730411A (en) | Anti-rotational link for rearward impact loading on vehicle power seat adjuster | |
US20090218865A1 (en) | Rotating vehicle seat | |
US5487583A (en) | Laterally adjustable automotive seat with lifter device | |
CN118810570A (zh) | 一种汽车座椅座垫的调高结构 | |
JPH033070Y2 (ko) | ||
CN217374238U (zh) | 一种汽车座椅电动倾角调节机构 | |
JPH0628040Y2 (ja) | 自動車用座席 | |
KR100551769B1 (ko) |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905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