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656B1 -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656B1
KR930009656B1 KR1019890020622A KR890020622A KR930009656B1 KR 930009656 B1 KR930009656 B1 KR 930009656B1 KR 1019890020622 A KR1019890020622 A KR 1019890020622A KR 890020622 A KR890020622 A KR 890020622A KR 930009656 B1 KR930009656 B1 KR 93000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mbers
loading mechanism
guid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718A (ko
Inventor
유조 츠치야
도시아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조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조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제 1a 도 내지 제 1c 도는 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를 적용한 VTR의 상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제 2 도는 클러치 기어기구의 단면도.
제 3 도는 전환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투시도.
제 4a 도 및 제 4b 도는 각기 풀리 및 승강기어의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 및 단면도.
제 5a 도 및 제 5b 도는 테이프 로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및 저면도.
제 6 도는 VTR의 전기회로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제 7a 도는 테이프 규제부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제 7b 도 및 제 7c 도는 각기 제 7a 도의 테이프 규제부의 평면도.
제 8a 도 및 제 8b 도는 테이프 규제부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
제 9 도는 테이프 규제부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카세트홀더 13 : 프론트 로딩기구
14, 15 : 릴대 17 : 주진동부재
25 : 구동벨트 27 : 캡스턴 모터
28 : 캡스턴 축 31 : 전환레버
32 : 로딩모터 39a, 39b : 테이프 인출부재
41a, 41b : 경사포스트 41a, 41b : 가이드롤러
42a, 42b : 링크기구 65, 68, 69 : 모터드라이브
66 : 콘트롤러 67 : 조작패널
71a, 71b : 유지부재 72a, 72b : 테이프 규제부
73a, 73b : 테이프 감기부 74a, 74b : 플랜지부
76a, 76b : 경사부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이프를 테이프카세트에 로딩하기 위한 테이프 로딩기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헬리컬스캔 방식의 VTR은 프론트 로딩기구 및 테이프 로딩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프론트 로딩기구는 비디오 테이프를 수납한 비디오 테이프카세트가 그 VTR의 앞면에 설치된 카세트 삽입구에서 수평으로 삽입되었을때, 그 삽입된 카세트를 받아 수평으로 끌어들여, 다시 하강시켜서, 소정의 카세트 장착 위치에 장착하도록 동작한다. 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는 상기 프론트 로딩기구에 의해 소정의 카세트 장착 위치에 장착된 카세트에서 테이프를 끌어내고, 회전실린더의 반경에 접촉시키도록 동작한다. 이처럼 테이프 로딩기구에 의해 테이프 주행경로가 형성되면, 녹화, 재생, 스틸재생, 슬로재생, 속송재생, 리와인드재생, 속송, 리와인드, 등의 동작모드가 모드설정기구 및 회로에 의래 설정되며, VTR의 각종 기능이 발휘가능하게 된다. 또, 이젝트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에 의해 테이프가 카세트내에 감겨, 상기 프론트 로딩기구에 의해 상기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에서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삽입구까지 되돌려진다.
이와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다음에 요구되는 것은 간이한 구성을 확보한 다음에, 각부에 있어서의 동작제어의 확실화를 도모하고, 다시 고정확도의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이와 같은 대상으로서,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를 끌어내어 헬리컬스캔 방식의 실린더에 걸치는 테이프 로딩기구가 있다. 이 테이프 로딩기구는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를 한쌍의 테이프 인출부재로 끌어내어 실린더에 걸친다. 이와 같은 테이프 로딩기구에서는 그 테이프 로딩기구 완료상태에서, 정확한 테이프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테이프 로딩기구에서는 그 테이프 인출부재에 탑재한 경사포스트 및 가이드롤러로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를 끌어내어 실린더에 걸치는 구성이기 때문에, 테이프 로딩완료시 등의 테이프 로딩시에, 인출된 테이프에 이완이 발생하여 그 이완된 테이프가 가이드롤러의 테이프 감기부에서 벗겨지는 일이 있다. 그리고 다음의 테이프 주행동작의 개시시에, 그 이완된 테이프에 장력이 걸려서 테이프 감기부에 복귀되지만, 이경우 테이프 감기부의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부와 강한 힘으로 접촉되어, 테이프에 손상등을 일츠킬 염려가 있다. 또는 테이프가 테이프 감기부에 복귀되지 않고 플랜지부에 감겨버려 테이프에 상처를 주는 일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구성이 간이하고, 테이프 손상의 방지를 도모하여 신뢰성이 높은 테이프 로딩을 실현할 수 있도록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은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를 인출하여 실린더에 걸기 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에 있어서,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를 걸기위한 경사포스트 및 가이드롤러가 탑재되며 상기 테이프카세트에서 테이프를 인출하여 실린더에 거는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상기 테이프가 들어오는 쪽과 나가는 쪽에 대응해서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를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에 걸어맞추어지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서 인출한 테이프를 상기 실린더에 거는 제 2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의 안내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를 각기 상기 제 2 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의 유지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유지부재상의,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의 가이드롤러의 상기 테이프가 들어오는 쪽과 나가는 쪽의 최소한 한쪽에 대응해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로에서 벗겨진 테이프를 규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재를 포함한 테이프 로딩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a 도 내지 제 1c 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가 적용된 VTR의 상면도, 측면도, 저면도이다. 틀체(11)가 메인샤시(10)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 틀체(11)에는 카세트홀더(12)가 도시한 화살표 A, B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자재로서 지지된다. 이 카세트홀더(12)는 화살표 A방향의 카세트 장착위치에서, 테이프카세트 C(도면에서는 도면의 형편상 도시하고 있지 않음)가 삽입된다. 이 카세트 C의 삽입에 연동하여 프론트 로딩기구(13)가 구동된다. 이 프론트 로딩기구(13)는 카세트홀더(12)를, 그것에 삽입된 카세트 C와 함께, 소정위치까지 화살표 B방향으로 이송하고, 그 소정위치에 달하면 화살표 D방향으로 이송한다. 이것에 의해, 카세트 C가 테이프 구동기구부를 구성하는 테이프 공급측 테이프 감기측 릴대(14), (15)에 장전된다.
상기 릴대(14), (15)에는 기어(14a), (15a)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어(14a), (15a)의 중간부에는 테이프 주행구동기구를 구성하는 구동기어(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기어(16)는 주진동부재(17)의 일단에 지지되어 있다.
이 주진동부재(17)의 타단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18)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기어(18)는 상기 구동기어(16)에 맞물려 있다. 이 기어(18)에는 클러치 기어기구의 제 1 의 클러치기어(19)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의 클러치기어(19)에는 마찰부재(20)를 통해, 제 2 의 클러치기어(21)가 끼워맞추어지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 클러치 전환용의 기어(22)가 이들 제 1 및 제 2 의 클러치기어(19), (21)에 접촉, 분리자재로, 그 기어(19), (21)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기어(22)는 동작모드 전환기구에 연동되는 전환 슬라이더(23)를 통해 회전자재로 배설되어 있으며, 동작모드에 따라 양클러치기어(19), (21)에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제 2 의 클러치기어(21)에는 풀리(24)가 동일축상에 배설되어 있다. 이 풀리(24)에는 구동벨트(25)의 한쪽이 감겨있다.
이 구동벨트(25)의 다른쪽은 제 1C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풀리(26)에 감겨있다. 이 구동폴리(26)는 회전자재인 캡스턴 모터(27)의 회전축에 끼워붙임 되어 있다. 즉, 이 캡스턴 모터(27)의 구동력은 구동벨트(25)를 통해 푸릴(24)에 전달된 다음, 제 2 의 클러치기어(21)에 전달된다. 또 이 캡스턴모터(27)에는 캡스턴 축(28)이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캡스턴 모터(27)의 회전체의 주위부에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어(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기어(29)에는 승강기어(30)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승강기어(30)의 상면에는 상하방향 회전자재인 전환레버(31)의 일단(31a)이 맞닿아 있다. 이 전환레버(31)의 타단(31b)은 상기 동작모드 전환기구의 동일축상에 배치된 복수의 모드전환캠의 하나인 제 1 의 모드전환캠(32a)의 일방면에 걸어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제 1 의 모드전환캠(32a)은 소정의 길이만큼 원호상으로 설치된 단부(32b)를 가지고 있다. 이 단부(32b)의 제 1 의 모드전환캠(32a)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끝부분에는, 이 단부(32b)와 이 제 1 의 모드전환캠(32a)의 표면(32d)이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경사부(32c)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환레버(31)는 제 1 의 모드전환캠(32a)의 회전운동에 의한 상기 단부(32b), 경사부(32c) 및 표면(32d)과, 그 타단(31b)과의 걸림상태에 따라, 승강기어(30)에 맞닿은 그 일단(31a)이 회동축(31c)을 중심으로 하여, 승강기어(30)의 축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승강기어(30)는 제 4a 도 및 제 4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샤시(10)에 대해 축(33a)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자재로 부착되어 있는 풀리(33)와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승강기어(30)는 상기 풀리(33)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30a)을 통해, 축방향의 이동자재로서 풀리(35)둘레에 설치되며, 또 걸림부재(33b)에 의해 승강기어(30)의 회전이 풀리(33)에 전해지게끔 되어 있다. 즉 승강기어(30)와 폴리(33)는 동일회전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풀리(33)에는 구동벨트(34)의 한쪽끝이 감겨있다. 이 구동벨트(34)의 다른쪽 끝은 풀리(35)에 감겨 있다. 이 풀리(35)는 제 1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로딩기구(13)의 윔(36)과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테이프카세트 C의 로딩시에는 제 1 의 모드전환캠(32a)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환레버(31)의 일단(31a)이 승강기어(30)에서 이간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기어(30)는 상기 스프링(30a)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되어 구동기어(29)에 맞물린다. 따라서, 캡스턴 모터(27)의 회전력이 승강기어(30), 풀리(33), 구동벨트(34), 풀리(35), 및 윔(36)에 전달되어, 프론트 로딩기구(13)를 구동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2)의 로딩을 개시시킨다.
또 카세트 C의 로딩종료시에는 제 1 의 모드전환캠(32a)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환레버(31)의 타단(31b)이 단부(32b)에서 경사부(32c)를 거쳐 표면(32d)과 계합되므로, 전환레버(31)의 일단(31a)은 승강기어(30)와 맞닿아서 그것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것에 의해, 승강기어(30)는 상기 스프링(30a)의 탄발력에 항거하여 축방향으로 하강되어, 구동기어(29)에서 이간된다. 따라서, 풀리(33)의 회전이 정지되고, 카세트홀더(12)의 로딩 동작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의 모드전환캠(32a)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전환캠은 로딩모터(32)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또, 상기 메인샤시(10)에는 자기헤드(도시생략)를 탑재해서 이루어진 헬리컬스캔 방식의 실린더(37)가 회전자재로 배치 설정되어 있다. 이 실린더(37)의 주위부에는 테이프 로딩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테이프 안내부로서의 제 1 및 제 2 의 안내공(38a), (38b)이 실린더(37)의 테이프 입구측 및 테이프 출구측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의 안내공(38a), (38b)에는, 제 5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가 이동자재로 수용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에는 실린더(37)에 대략 평행인 경사포스트(40a), (40b) 및 메인샤시(10)에 대략 수직인 가이드롤러(41a), (41b)가 병설해서 탑재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의 기부에는 제 5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의 링크기구(42a), (42b)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의 링크기구(42a), (42b)의 타단은 서로 맞물리는 제 1 및 제 2 의 구동기어(43a), (43b)에 지지되어 있다. 제 2 의 구동기어(43b)와 잘린기어(44)는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잘린기어(44)에는 구동레버(45)의 일단부에 형성된 부재형기어(45a)가 맞물려 있다. 이 구동레버(45)는 중간부가 회동축(46)을 통해 메인샤시(10)에 회전운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레버(45)의 타단부의 핀(45b)은 상기 로딩모터(32)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 2 의 모드전환캠(32e)에 설치된 캠홈(32f)에 이어붙임 되어 있다. 즉 구동레버(45)는 제 2 의 모드전환캠(32e)의 작동에 연동하여 구동되며, 잘린기어(44), 제 1 및 제 2 의 구동기어(43a), (43b), 제 1 및 제 2 의 링크기구(42a), (42b)를 통해,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를 구동하여 테이프 로딩을 시킨다.
또한 상기 메인샤시(10)에는 상기 테이프 구동기구부를 구성하는 핀치롤러(47)가 상기 캡스턴 축(28)에 대응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 핀치롤로(47)는 핀치레버(48)의 일단부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이 핀치레버(48)는 도시하지 않은 연동기구에 의해 상기 모드전환캠의 작동에 연동하여 회전운동된다. 이 핀치레버(47)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일단부에 지지된 핀치롤러(47)가 테이프 T를 통해 캡스턴 축(28)에 압접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의 모드전환캠(32a), (32e)은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모드전환캠과 동일축상에 구성되어 있다. 이들 모드전환캠은 로딩모터(32)에 의해 동일 각도로 회전운동되며, 그 회전운동각도는 VTR의 동작모드에 의해 결정된다. 이 로딩모터(32)는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롤러(66)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드라이버(65)에 의해 구동된다. 이 콘트롤러(66)는 조작패널(67)의 조작에 따라,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이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상기 모드전환캠을 회전운동시킨다. 또, 이 콘트롤러(66)는 상기 결정한 동작모드에 따라 모터드라이버(68)를 제어하여, 상기 캡스턴 모터(27)를 구동한다. 이 캡스턴 모터(27)의 회전력은 상기 캡스턴 축(28), 테이프 공급축 릴대(14), 테이프 감기측 릴대(15) 등에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콘트롤러(66)는 상기 결정한 동작모드에 따라 모터드라이버(69)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 실린더(37)를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 모터(70)를 구동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VTR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테이프 로딩기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로딩기구는 제 5a 도 및 제 5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샤시(10)의 제 1 및 제 2 의 안내공(38a), (38b)의 로딩완료위치에, 캐쳐라고 부르는 유지부재(71a), (71b)가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부재(71a), (71b)의 상면부에는 테이프 통로와 교차하도록 연출한 테이프 규제부(72a), (72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유지부재(71a), (71b) 및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제 7a 도 내지 제 7c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유지부재(71a), (71b)상에 유지되는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실린더(37)에 대향하는 한쪽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들 테이프 규제부(72a), (72b)의 유지부재(71a), (71b)로부터의 높이는 그 상면이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의 하단의 플랜지부(74a), (74b)와 대략 같은 높이로 되는 치수, 또는 약간 낮아지는 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의 각 경사포스트(40a), (40b) 및 가이드롤러(41a), (41b)에 인출된 테이프카세트 C의 테이프 T는 예를들면 테이프 인출도중에 있어서, 테이프 이완이 발생했다고 해도 테이프 T의 아래 에지부가 테이프 규제부(72a), (72b)에 규제되도록 유지된다. 그리고 다음에 전장되었을 경우에, 테이프 T는 다시 가이들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에 복귀된다. 이대, 이완테이프는 가이드롤러(41a), (41b)의 하단의 플랜지부(74a), (74b)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갖는 테이프 규제부(72a), (72b)에서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에 복귀되게 되므로, 테이프 T가 플랜지부(74a), (74b)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테이프 로딩기구로 함으로써 테이프 로딩시에 이완테이프가 발생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테이프 T가 손상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은 테이프 로딩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T로 나가는 쪽 즉 경사포스트(40a), (40b)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반대의 테이프 T가 들어오는 쪽에 설치해도 좋고, 또는 양측에 설치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 8a 도 및 제 8b 도는 제 2 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로딩기구에 있어서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가이드롤러(41a), (41b)에 대해 위치가 다를뿐이므로 대표적으로 제 1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에 대응하는 구성만을 나타내며, 참고를 위해 각 참조번호 뒤에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b)에 있어서의 경우의 참조번호를 괄호로 나타낸다.
제 1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에 대응하는 테이프 규제부(72a)는, 유지부재(71a)의 상면으로서 유지부재(71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제 1 의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규제부(72a)를 가이드롤러(41a)에 관해 한쪽에만 설치하고 있었지만, 이 제 2 의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규제부(72a)는 유지부재(71a)의 상면전면, 즉 가이드롤러(41a)에 관해서 양쪽에서 설치되어 있다. 또 유지부재(71a)상, 즉 테이프 규제부(72a)에는 가이드롤러(41a)에서 소정의 간극을 둔 위치에 테이프 안내용의 돌기부(75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b)에 대응하는 유지부재(71b)도 같은 테이프 규제부(72b) 및 돌기부(75b)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의 각 경사포스트(40a), (40b) 및 가이드롤러(41a), (41b)에 인출된 테이프카세트 C의 테이프 T는 예를들어 테이프 인출도중에 있어서 테이프 이완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테이프 T의 아래 에지부가 테이프 규제부(72a), (72b)에 규제되게끔 유지된다. 더구나, 테이프 T에 매우 다량의 이완이 발생했을 경우는 이 테이프 규제부(72a), (72b)의 작용과 함께, 이완테이프가 돌기부(75a), (75b)에 맞닿아 그 이완테이프가 안내되기 때문에, 이들에 근접하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성부품과 이완테이프와의 접촉이 지지된다. 따라서 다른 구성부품과의 접촉에 의해, 테이프 T가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 그리고, 다음에 전장되었을 경우에, 테이프 T는 다시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에 복귀된다. 이때, 이완테이프는 가이드롤러(41a), (41b)의 하단의 플랜지부(74a), (74b)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갖는 테이프 규제부(72a), (72b)에서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에 복귀되게 되므로, 테이프 T가 플랜지부(74a), (74b)에 의해 손상되는 일은 없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테이프 로딩기구로 함으로써, 테이프 로딩시에 이완테이프가 발생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테이프 T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테이프 로딩을 할 수 있게 된다.
제 9 도는 제 3 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로딩기구에 있어서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가이드롤러(41a), (41b)에 대해 위치가 다를뿐이므로, 대표적으로 제 1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에 대응하는 구성만을 나타내며, 참고를 위해, 각 참조번호 뒤에,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b)에 있어서의 경우의 참조번호를 괄호로 나타낸다.
제 1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에 대응하는 테이프 규제부(72a)는 유지부재(71a)의 상면으로서 유지부재(71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프 규제부(72a)의 가이드롤러(41a)와는 반대측의 끝부분 즉 유지부재(71a)의 끝부분에는 소정의 경사를 갖는 이완테이프 안내용의 경사부(76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b)에 대응하는 유지부재(71b)도 같은 테이프 규제부(72b) 및 경사부(76b)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는 각 경사포스트(40a), (40b) 및 가이드롤러(41a), (41b)에 인출된 테이프카세트 C의 테이프 T는 예를들어 테이프 인출도중에 있어서 테이프 이완이 발생했다고 해도, 테이프 T의 아래 에지부가 테이프 규제부(72a), (72b)에 규제되게끔 유지된다. 더구나 테이프 T에 매우 다량의 이완이 발행했을 경우는 이 테이프 규제부(72a), (72b)의 작용과 함께, 이완테이프가 경사부(76a), (76b)에 따라서 그 이완테이프가 안내되기 때문에, 이들에 근접하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성부품과 이완테이프와의 접촉이 저지된다. 따라서 다른 구성부품과의 접촉에 의해, 테이프 T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다음에 전장되었을 경우에, 테이프 T는 다시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에 복귀된다. 이때, 이완테이프는 가이드롤러(41a), (41b)의 하단의 플랜지부(74a), (74b)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갖는 테이프 규제부(72a), (72b)에서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에 복귀하게 되므로, 테이프 T가 플랜지부(74a), (74b)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테이프 로딩기구로 함으로써, 테이프 로딩시에 이완테이프가 발생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테이프 T가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테이프 로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테이프 규제부(72a), (72b)를 설치한 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에서 인출된 테이프에 이완이 발생해도, 그 이완된 부분이 테이프 규제부(72a), (72b)에 의해 규제되므로, 재차 테이프가 전장되었을때, 테이프가 항상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T에 이완이 발생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테이프 T에 손상을 받는 일이 없어진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유지부재(71a), (71b)에 테이프안내용의 돌기부(75a), (75b) 또는 경사부(76a), (76b)를 설치한 것에 의해, 인출된 테이프 T가 가이드롤러(41a), (41b)의 테이프 감기부(73a), (73b)에서 크게 이탈했을 경우에도 이완테이프가 그 돌기부(75a), (75b) 또는 경사부(76a), (76b)로 안내되어서, 인접부품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따라서, 테이프 T에 다량의 이완이 발생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테이프 T에 손상을 받는 일이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VTR에 적용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고, 대략 같은 효과가 가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됨이 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서 각 구성요소에 병기된 도면 부호는 단지 참고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Claims (8)

  1.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를 걸기 위한 경사포스트 및 가이드롤러가 탑재되고, 테이프카세트에서 테이프를 인출하여 실린더에 거는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와 ; 실린더의 상기 테이프가 들어오는 쪽과 나가는 쪽에 대응해서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를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가 상기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에 걸어맞추어지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가 테이프카세트에서 인출한 테이프를 실린더에 거는 제 2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의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테이프카세트에 감긴 테이프를 인출하여 실린더에 걸기 위한 테이프 로딩기구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를 각기 상기 제 2 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의 유지부재(71a), (71b)와, 상기 제 1 및 제 2 의 유지부재(71a), (71b)상에,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39a), (39b)의 가이드롤러(41a), (41b)의 상기 테이프(T)가 들어오는 쪽과 나가는 쪽의 최소한 한쪽에 대응해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41a, 41b)에서 벗어난 테이프(T)를 규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41a, 41b)는 테이프 감기부(73a, 73b)의 하단을 정의하기 위한 플랜지부(74a, 74b)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상기 플랜지부(74a, 74b)와 대략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41a, 41b)는 상기 테이프 감기부(73a, 73b)의 하단을 정의하기 위한 플랜지부(74a, 74b)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상기 플랜지부(74a, 74b)보다 약간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테이프 통로와 교차하도록 연출한 선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상기 제 1 및 제 2 의 유지부재(71a, 71b)의 상면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는 상기 가이드롤러(41a, 41b)에서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이완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안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안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의 상기 가이드롤러(41a, 41b)와는 반대측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이완테이프와 맞닿아서 그 이완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돌기부(75a, 7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안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의 테이프 규제부(72a, 72b)의 상기 가이드롤러(41a, 41b)와는 반대측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이완테이프를 그 경사에 따라서 안내하기 위한 경사부(76a, 7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KR1019890020622A 1988-12-28 1989-12-28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KR930009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33589A JP2675602B2 (ja) 1988-12-28 1988-12-28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333589 198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718A KR900010718A (ko) 1990-07-09
KR930009656B1 true KR930009656B1 (ko) 1993-10-08

Family

ID=1826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622A KR930009656B1 (ko) 1988-12-28 1989-12-28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76242B1 (ko)
JP (1) JP2675602B2 (ko)
KR (1) KR930009656B1 (ko)
DE (1) DE6891757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898A (en) * 1995-04-10 1998-09-01 Sanyo Electric Co., Ltd. Loading mechanism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699A (en) * 1976-06-04 1979-02-0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DE3509176A1 (de) * 1985-03-14 1986-09-18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8510 Fürth Vorrichtung zur fuehrung eines magnetbandes in einem videorecorder
DE3545964A1 (de) * 1985-12-23 1987-06-25 Grundig Emv Einrichtung zur halterung eines bandfuehrungselementes in einem video-magnetbandgeraet
JPS6424544U (ko) * 1987-08-05 1989-02-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7575D1 (de) 1994-09-22
JPH02177156A (ja) 1990-07-10
EP0376242A3 (en) 1991-09-11
EP0376242A2 (en) 1990-07-04
DE68917575T2 (de) 1995-01-12
KR900010718A (ko) 1990-07-09
EP0376242B1 (en) 1994-08-17
JP2675602B2 (ja) 199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6550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selective loading of different sized magnetic tapes
KR930009656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EP0580355A1 (en) Tape cassette
US5065264A (en) Capstan arrangement for a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0376280A1 (en) Belt driven tape running apparatus with after shock protection
KR930003246B1 (ko) 캡스턴 모터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
US5196971A (en) Tape loading mechanism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ape control features for preventing damage to tape
KR017497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KR94000688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캠 커버 플레이트
EP0376267A2 (en) Helical scan type tape loading apparatus with tape twist protection
JPH0217858B2 (ko)
JP3417185B2 (ja) 記録再生装置
KR940007537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2825276B2 (ja) テープジャミング防止方法
KR20014122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걸림방지 및 진동흡수장치
JPH082823Y2 (ja) 回転ヘッド式テーププレーヤ
JPH0710510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ロ−デイング機構
KR930003187B1 (ko) 테이프 로딩장치
KR950002291Y1 (ko) Vtr의 비디오 테이프 가이드 장치
JPH06243559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S605484A (ja) カセツトテ−プ
JPH0191356A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0664801B2 (ja) テ−プレコ−ダ−
JPH0313296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173660A (ja) 記録再生装置のテ−プロ−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