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323B1 - 유리판 만곡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 만곡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323B1
KR930009323B1 KR1019860006367A KR860006367A KR930009323B1 KR 930009323 B1 KR930009323 B1 KR 930009323B1 KR 1019860006367 A KR1019860006367 A KR 1019860006367A KR 860006367 A KR860006367 A KR 860006367A KR 930009323 B1 KR930009323 B1 KR 93000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bending
mold
plat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027A (ko
Inventor
바르투셀 칼-루돌프
크리센거 알프
가츠바일러 베르너
Original Assignee
쎙-고벵 비뜨리지
지. 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쎙-고벵 비뜨리지, 지. 따시 filed Critical 쎙-고벵 비뜨리지
Publication of KR87000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1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the glass sheets being in a vertical 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판 만곡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유리판을 강성 볼록형의 금형상에서 만곡하기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개략 도시도.
제 2 도는 수직위치에 있는 유리판을 만곡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바닥다이의 배면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만곡 장치의 바닥다이 정면 사시도.
제 4 도는 굽힙 공정중의 일시점의 상태를 도시한 제 2 도와 제 3 도에 도시한 장치의 부분 도시도.
제 5 도는 수평 위치에 있는 유리판을 구부리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굽힘 공정의 개시 이전에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의 다부분 구성 흡인 판을 이용하여 수평위치에 있는 유리판을 구부리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만곡 장치의, 굽힘 공정 종료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2 : 유리판 2 : 상부다이
3 : 바닥다이 5, 6 : 선회식 금형부분
7, 6, 37, 38 : 힌지 스핀들 13,14 : 슬롯
21, 22 : 안내 스트립 41, 42 : 슬라이딩 판
본 발명은 예를들면 자동차용 방풍 유리등의 유리판을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금형부분이 상호 관절 접합되어 있는 다부분(multipart)구성의 굽힘 금형을 사용하여, 굽힘 온도까지 가열한 유리판을 굽힘 금형에 넣은후, 관절운동축의 주위로 적어둔 하나의 금형부분을 선회시켜 소망의 형상으로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을 구부리는 종래의 방법은 두개의 굽힘 공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굽힘 프레스를 사용하여, 굽힘 온도까지 가열되어 수직위치에 놓인 유리판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상부 다이를 움직이는 굽힘 공구가 강성의 전면식(whole-area) 굽힘 금형으로서 구성되는 것에 대하여, 바닥다이를 움직이는 굽힘 공구는 다부분 구성의 프레임 굽힘 금형으로서, 각 부분을 상호 힌지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유리판을 굽힐때, 유리판의 소망 형상에 대응된 형상의 선회식 측방 금형부분을 개방위치로 한후, 유리판을 금형의 중앙 부분에 의해 보유지지하여 굽힘 금형의 상부금형 부분에 대하여 가압한다. 이후 측방 금형 부분을 폐색 위치로 하여, 유리판의 측벽부를 상부 금형과 유사한 전면식 굽힘 금형에 대해 가압한다. 모서리부가 폐색되면, 유리판은 그대로 형상을 변화하면서 모서리부까지 연신되고,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판과 굽힘 금형의 성형면과의 사이에 상당한 상대운동이 발생한다. 이같은 다부분 구성의 굽힘 금형이 특히 이용되는 것은 예를들어 자동차의 방풍창이나 후부창에 사용되는 측벽부를 비교적 예각적으로 만곡하거나 절곡한 유리판을 제조하는 경우이다.
이밖에 주지의 유리판 만곡 방법으로서는, 만곡해야할 유리판을 평위치에 놓고 실제로는 프레스 공구와 소위 "골격 굽힘 방법" 양방을 사용하여, 가열한 유리판을 프레임 굽힘 금형의 위치 놓고 자중에 의해 늘어뜨림으로써 유리판을 구부리는 방법이 있다. 곡률을 좀더 크게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레임 굽힘 금형도 마찬가지로 상호 관절접합된 복수의 금형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금형부분을 굽힘 공정중에 관절운동축의 둘레를 선회시켜 개바위치에서 폐색위치로 이동하도록 이용된다.
이밖에, 수평위치에 놓인 유리판을 흡인판으로 흡착하여 만곡하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흡인판은 가열 유리판 위로 강화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유연하게 구성되어 있고, 유리판을 흡착한 후 흡인판을 유리판과 함께 소망형상으로 구부린다. 이같은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들어 서독 특허 제 31 09 149호 및 프랑스 특허 제 25 46 505호, 제 25 46 506호 및 제 25 46 507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같은 선행기술의 만곡방법의 전부에 대해 말한다면 유리판 표면과 유리판 표면에 작용하는 선회식 금형부분의 성형표면과의 사이에서 상당한 상대적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 표면과 유리판과의 사이에 상대운동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유리판 표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유리판의 주변 영역에서 소망의 형상으로부터 대단히 작은 벗어남이 발생하기도 하고, 곡률이 큰 영역에서 유리판에 불필요한 연신이나 압축이 발생하기도 하며, 유리판에 표면적 손상을 가하는 등의 악영향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유리판을 만곡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특히 상기와 같은 결점이 없고 선회식 금형부분의 금영표면과 유리판 표면 사이에 마찰운동이나 상대적 미끄러짐을 발생시키지 않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는 문제를 기초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판에 대한 소망의 만곡 형상의 함수로서 구한 곡선로를 따라 관절운동축을 상시 이동시키면서, 선회식 금형부분을 유리판상에서 점진적으로 굴림으로써 상기 유리판을 굽힘 금형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러뜨리지 않고, 상기 굽힘 금형의 성형 표면에 대해 점진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 1 실시예는 프레스 굽힘 방법에 관한 것이며, 굽힘 프레스의 일체형 전면식 상부다이와 다부분 구성으로 각 금형 부분이 관절 접합되어 있는 바닥다이 사이에 유리판을 수직 위치로 도입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유리판상에서 선회식 금형부분을 구룹 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유리판을 전면식 상부다이에 대해 점진적으로 작동시킨다.
이 경우, 보통은 3부분 구성의 굽힘 금형을 바닥부 굽힘 금형으로서 사용하지만 이들 3 부분은 비교적 곡률이 작은 중앙 금형부분과 이에 대해 관절 접합되어 있고 유리판의 보다 크게 만곡하는 측변 영역을 구부리기 위한 두개의 선회식 금형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관한한 이들 선회식 금형부분의 형상은 주지의 방법의 경우와 같이 유리판의 소망 형상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며, 유리판 보다 곡률을 작게하여 유리판상을 굽힘 공정중에 구름운동시킨다. 선회식 금형부분은 이 굽힘 공정중 유리판과는 항상 선접촉만 한다. 유리판에 원통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만들 때 선회식 금형부분의 성형 표면은 예를들어 평탄하게 해도 좋고 혹은 유리판의 형성과 반대의 곡률을 갖게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판 형상의 흡인 금형을 사용하여 유리판을 만곡하는 방법에 관련한 것으로, 흡인 금형에 의해 유리판을 흡착해두며, 흡인 금형의 측부분을 후방으로 구부려 유리판을 만곡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이 방법은 유리판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호 관절 적합된 복수의 강성 흡인 금형판 부분으로 구성되는 흡인 금형판에 의하여 유리판을 바람직하기로는 수평위치에 흡착시키고, 이 유리판에 대면적 흡인 접촉을 유지하면서, 선회석 흡인 금형 부분을 선회축을 이동하면서 후방으로 선회함으로써 유리판을 만곡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만곡 방법을 실시하려면, 선회축을 특정 곡선로를 따라 항상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선회식 금형부분의 힌지 스핀들을 소정의 패턴을 갖는 머신 안내 슬롯을 설치한 슬라이딩 판의 안내 슬롯의 곡선로에 장착해도 좋고, 이 경우의 슬라이딩판은 굽힘 금형의 고정부분상에 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같은 슬라이딩 안내 장치를 설치하는 대신 다부재 구성의 크랭크 전동 장치를 이용해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이같은 크랭크 전동 장치는 특히 강성의 혹은 확실히 안내되는 회전 베어링을 갖고 있고, 이는 어떤 관점에서 본다면 이상적인 미끄러짐 안내구성으로 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밖의 이점과 적당한 변형예에 대해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 범위의 종속항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제 1 도에서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의해 구성한 굽힘 프레스는 그 굽힘면이 일체인 전면식 상부다이(2)와, 프레임 굽힘 금형으로서 유리판(1)의 에지부하고만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다부분 구성의 바닥다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다이(3)는 가성 중간 금형부분(4)과 두개의 측방금형부분(5, 6)으로 구성되어있고, 측방 금형부분은 회전식 조인트를 거쳐서 중간 금형부분(4)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유리판(1)을 구부릴 때 측방금형부분(5, 6)을 후방으로 잡아당겨 즉 개방위치로 하여 두 굽힘 금형(2, 3)을 유리판(1)에 대하여 가압한다. 이때 중간 금형 부분(4)의 굽힘 금형(2)의 중간부분에 대한 유리판(1)의 중간부분을 가압한다. 이후 두개의 측방 금형부분(5, 6)을 선회측의 주위로 선회시킨다.
제 1 도의 경우 유리판(1)의 측방단부 영역에 원통형상 만곡형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측방금형부분(5, 6)의 성형면은 평탄하다. 실제의 굽힘 동작에 들어가기전에 바닥다이(3)가 평탄한 유리판(1)과 접촉하면, 측방 금형부분(5, 6)의 첩촉면 전체도 유리판(1)과 맞닿는다. 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 제 1a 도이다. 유리판(1)의 측방 단부 영역을 구부리기 위해, 피스톤 로드를 측방 금형부분(5, 6)의 외측 단부에 배치한 베어링(11, 12)과 계합된 드러스트 실린더(9,10)를 사용하여 측방 금형부분(5, 6)을 힌지 스핀들(7, 8) 주위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선회하는 동안, 힌지 스핀들(7, 8)의 곡선(K)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곡선(K)은 유리판(1)에 부여하고자 하는 곡률과, 측방 금형부분(5,6)의 굽힘면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부여된 기하학적 조건을 기초로 간단히 계산할 수 있다. 힌지 스핀들(7, 8)을 곡선(K)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굽힘 공정 도중에 측방 금형부분의 성형면과 유리표면의 사이에는 상대적 미끄럼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힌지 스핀들(7, 8)이 확실히 소망의 곡선로(K)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곡선로(K)에 대응하는 각각의 슬롯(13, 14)중에서 힌지 스핀들(7, 8)을 각각 미끄럼 운동시키는 슬라이드 블록 방식으로 힌지 스핀들을 안내한다.
제 1 도중, 굽힘 공정중의 상태와 굽힘 공정 종료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제 1b 도와 제 1c 도에 특히 명확히 나타나 있듯이, 측방 금형부분(5, 6)은 선회하면서 볼록한 금형부분 전체 상을 구른다. 이같이 구름 접촉하면서 측방 금형부분은 유리판(1)을 금형(2)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맞닿게 하고, 유리판(1)을 금형(2)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맞닿게 하고, 유리판(1)이 상부다이(2)에 가압되고 있는 점(P)에서 다시 다이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곡선 형상 슬롯(13, 14)에서 힌지 스핀들(7, 8)이 이동하는 것은 측방 금형부분(5, 6)의 선회를 유발하는 피스톤(9, 10)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고 있는 동안만이다. 제 1c 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측방 금형부분(5, 6)이 극한 위치에 오면 금형 표면의 최외측에 있는 단부만이 유리판(1)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고, 곡선 형상 슬롯(13, 14)내의 힌지 스핀들(7, 8)은 각각의 위치에 달하고 있다. 다음으로 복동 실린더인 피스톤(9, 10)이 측방 금형부분(5, 6)을 선회시켜 원래의 위치까지 돌아가고, 굽힘 금형(2, 3)도 마찬가지로 시동 위치까지 후퇴시킨 후, 유리판(1)을 굽힘 프레스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에 이것을 서냉하든가 급격히 냉각하여 압축 응력을 가한다.
제 2 도 내지 제 4 도는 제 1 도와 관련하여 기재한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상부다이와 바닥다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굽힘 프레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부다이(2)는 일련의 조절식 나사 볼트(17)로 전면식 금형판(16)을 지지판(18)에 고정한 종래의 구성이다. 필요에 따라 조절식 나사 볼트(17)를 사용하여 금형판(16)의 형상을 교정할 수 있다. 지지판(18)은 공기압이나 유압 구동의 피스톤로드(19)와 같은 안내 수단에 의해 프레스의 두 극한 위치까지 이동된다. 상부다이(2)의 양측단부 영역의 성형면(16')의 상하 안내 스트림(21, 22)이 설치된다. 이들 안내 스트립(21, 22)은 세장형 구멍(23)과 나사(24)를 통해 상부다이(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성형면(16')의 바닥다이(3)를 향하여 측부로부터 수 밀리미커 돌출하는 안내 스트립(21, 22)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안내 스트립(21, 22)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바닥다이(2)는 프레스 캐리지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27)에 의해 프레스의 두 극한 위치까지 이동되는 지지판(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두 레일(28, 29) 형태를 갖는 강성 중간 금형부분(4)의 조절식 나사 볼트(30)에 의해 지지판(26)에 고정되어있다. 선회식 측방 금형부분(5, 6)은 각각 프레임 굽힘 금형(32, 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굽힘 금형은 로드(34)에 의해 프레임(35)상에 고정된다. 프레임 굽힘 금형(32, 33)은 구부리고자 하는 유리판의 윤곽에 대응한다. 도시한 구성의 경우, 유리판의 측단부를 각각 원동형상의 만곡 형상으로 구부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프레임 굽힘 금형의 접촉면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평면으로 위치한다. 프레임(35, 36)은 지지판(26)상에 선회가능하게 정착되어 있고, 중간 금형 부분에 인접하는 그 단부에 힌지 스핀들(37, 38)이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35, 36)의 외측과 결합하는 피스톤(9, 10)에 의해 선회된다.
피스톤(9, 10)이 선회 운동을 개시하면 힌지 스핀들(37, 38)은 슬라이딩 판(41, 42)에 설치된 슬롯(13, 14)의 소망의 곡선로를 따라 안내되고, 선회식 금형부분은 유리판 또는 바닥다이상을 구름 운동한다. 구부리고자 하는 유리판에 대해 구부리는데 필요한 압력만이 가해지도록, 안내 스트립(21, 22)을 조절하여 측방 금형부분(5, 6)이 선회하는 도중에 프레임 굽힘 금형(35, 36)의 수평부분(43, 44)이 안내 스트립(21, 22)과 접촉하여 안내 스트립(21, 22)상을 구르도록 한다. 상부다이(2)상에서 안내 스트립(21, 22) 조절은 제 4 도에서 명확하듯이 프레임 굽힘 금형(33)의 접촉선과 성형면(16')과의 사이에 가능한 공극이 두개의 접촉점(P)에 의해 결정되는 경로 P-P상에 있도록 행한다.
이 공극이 구부리고자 하는 유리판의 두께에 정확히 대응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리판에 불필요하게 높은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구름 운동중에 프레임 부분(43, 44)이 안내 스트립(21, 22)에 확실하게 맞닿도록 또는 구름운동의 종료시에는 힌지 스핀들(37, 38)이 그 시동 위치로 확실히 돌아가도록, 힌지 스핀들(37, 38)은 포스트(47)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연신 스프링(46)에 의해 바이어스 된다. 연신 스프링(46) 대신에 예를들면 공기압 실린더 등의 수단을 설치하여 동일 목적을 달성하도록 해도 좋다.
슬롯(13, 14)에 의해 만곡로를 설치하여 굽힘 고정중에이 로 안에서 힌지 스핀들(37, 38)을 이동시키는 경우, 이와 같은 만골로는 유리판에 필요로 하는 곡률에 의해 부여된다. 즉, 도시한 경우에는 안내 스트립(21, 22)의 곡률에 의해 부여된다. 곡선로는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슬롯(13, 14)을 갖는 슬라이딩판(41, 42)은 지지판(26)상에 고정되며, 슬라이딩 판(41, 42)에 설치한 긴 구멍(48)을 관통하고 지지판(26)상의 대응 홀더내의 상기 구멍(49)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긴 구멍(50)을 관통하는 나서(48)등에 의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딩판(41, 42)의 위치를 어느정도 교정할 수 있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힌지 스핀들(37, 38)을 미끄럼 안내식의 구성으로 하는 대신 예를들면 하기에 다음 종류의 만곡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는 것과 같은 복수 부재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전동 장치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소망의 곡선을 따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5 도와 제 6 도에 도시한 만곡 장치의 경우, 유리판(52)이 다부분 구성의 바닥다이에 의해 상부다이에 가압되는 것이 아니고 우선, 흡인력으로 다부분 구성의 굽힘 금형상에 유지된다. 유리판을 유지한 후 이 굽힘 금형의 선회식 금형부분을 선회시키고 유리판(52)을 소망의 형상까지 구부린다.
이 경우, 유리판(52)은 구동되는 컨베이어 롤러(53)상에 엊혀져 수평로(furnace) (54)를 지나 이송된다. 이 수평로중에서 유리판을 굽힘 온도까지 가열한다. 유리판(52)이 굽힘 온도까지 도달하면, 굽힘 금형으로서도 구성되는 상하 이동식 다부분 구성 흡인 장치에 의해 흡착된다. 이 흡인장치는 중앙 흡인판 부분(55)과 두개의 측방 흡인판 부분(56, 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앙 흡인판 부분(55)은 로드(58)를 거쳐 프레임(59)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측방 흡인판 금형부분(56, 57)은 각각 두개의 크랭크(60, 61 또는 62, 63)에 의해 프레임(59)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식 흡인 금형부분(56,57)에 관절 접합되어 있는 로드(74a, 75a)를 압력 실린더(64, 65)가 레버(74, 75)를 거쳐 작동하는 것에 의해 선회 운동이 행해진다. 압력실린더(64, 65)는 수평로 공간의 외측에 실제로는 프레임(78)에 고정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78)은 로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59)에 대해 로드(76, 7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비도시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78)을 이에 고정되어 있는 구성물 전체와 함께 상하의 극한 위치까지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5 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흡인 금형 판이 정위치에 있을 때, 흡인 금형부분(56, 57)의 평탄 표면부분이 중앙 흡인 판(55)의 접촉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므로, 중앙 흡인판 부분(55) 및 두개의 흡인 금형부분(56, 57)이 각각의 압력으로 되는 즉시 유리판(52)은 이들에 동시에 흡착된다. 중앙 흡인 판(55)의 감압은 노즐(66)을 거쳐서 행해지고 흡인 금형부분(56, 57)의 감압은 가요성 흡인라인(67, 68)을 거쳐 행해진다. 흡인 라인은 모두 공통의 가요식 신축자재관(69)내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신축자재관이 적당한 부압력원에 연결되어 있다.
유리판(52)을 구부릴 때, 두개의 선회식 흡인 금형부분(56, 57)을 제 6 도에 도시하는 극한 위치까지 선회시키면, 두개의 크랭크(60, 61 ; 62, 63)와 선회식 흡입 금형부분(56)상의 각각의 관절 접합점(70, 71)의 위치 또는 지지 프레임(59)상의 관절 접합점(72, 73)의 위치에 의해 부여되는 곡선을 따라 힌지 스핀들이 이동한다. 관절 접합점과 크랭크(60, 61)의 길이는 흡인 금형부분의 만곡부분의 곡률을 함수로하여 계산할 수 있지만, 선회 공정 종료시에 흡인 금형 부분(56)상의 점(R)을 중앙 흡인판 부분(55)상의 점(R')과 일치시키도록, 또는 유리판의 표면과 금형부분(56, 57)의 접촉면과의 사이에 상대적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회식 흡인 금형부분(56, 57)의 만곡 표면을 유리판(52)상에서 구름 운동 시킨다는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편의상, 크랭크(60, 61)의 길이와 관절 접합점(70, 71, 72, 73)위치 양방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선회축이 그리는 곡선 경로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선회식 흡인 금형부분(56, 57)의 저부 형성부를 곡률이 다른 별도의 성형부와 교환하는 경우등, 곡선경로를 그 다른 곡률과 맞추어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인 금형으로 유리판(52)을 흡착하고, 금형부분(56, 57)을 상방 극한 위치까지 선회시켜서 유리판을 소망의 형상으로 구부린 후, 흡인 금형중에 부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로드(76, 77)를 통해 흡인 금형 전체를 위로 올린다. 이 상방 그한 위치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로(54)의 종축에 대하여 횡으로 배치되어 있는 궤도(83)상을 달리는 차륜(82)이 설치된 트롤리(81)를 유리판 아래로 주행시키는데 이때 트롤리(81)에는 이미 굽힘유리판에 대응하는 성형 프레임(80)이 얹혀져 있다. 유리판(52)은 성형 프레임(80)상에 배치되어 트롤리(81)로 냉각 스테이션까지 운송되며, 냉각 스테이션에서는 찬 공기를 내뿜는 등의 방법에 의해 열적으로 압축 응력으르 받는다.
성형 프레임(80)상에 유리판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승강 기구를 사용하여 유리판을 성형 프레임상으로 내려 놓고, 성형 프레임에 도달하는 것과 동시나 또는 그 직전에 흡인 금형의 부압을 해제한다. 이 경우 흡인 금형(55, 56, 57)의 작용에 의해 유리판(52)은 이미 그 최종 형상에 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성형 프레임(80)의 흡인 효과를 중단하고, 유리판(52)을 성형 프레임(80)상방의 상당한 높이에서 성형 프레임(80)내로 낙하시켜도, 이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그 운동 에너지에 의해 유리판은 성형 프레임(80)과 접촉하는 것과 동시에 형상이 변하며 성형 프레임(80)에 의해 그 윤곽에 소정의 현상을 획득한다. 이 방법을 실시한 경우 유리판의 변형은 2단계를 행해진다. 즉, 최종의 변형 단계에서 다부분 구성의 흡인 굽힘 금형에 의한 예비성형이 행해지고, 최종적으로 필요한 성형은 두번째의 변형 단계에서 행해진다.

Claims (5)

  1. 유리판(52)을 원하는 형태로 구부리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편평한 제 1 접촉면을 갖는 강성의 제 1 부분(55)과, 상기 제 1 부분에서 떨어져 있는 제 1 위치와 이 제 1 위치보다는 제 1 부분에 가까운 제 2 위치 사이에서 관절운동 축 주위로 제 1 부분에 대해 상대 운동하도록 장착되고, 제 2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접촉면의 상기 제 1 부분에 인접 배치되는 부분은 유리창의 소망 최종 곡선을 따라 구부러지는, 강성의 선회부분(56, 57)과,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에 대하여 유리판을 유지시키는 수단(66, 67, 68)과,상기 선회부분(56, 57)을 제 1 부분(55)에 대해 이동시키느 이송 수단(64, 65)과, 상기 선회 부분의 운동중에 상기 관절 운동축을 유리판(52)의 소정 곡률에 대응하는 형상의 소정의 곡선로를 따라 유리판에 대해 일정하게 위치 이동시키며, 유리판의 제 1 및 제 2 부분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고 구부러지도록, 선회부분의 운동중에 선회부분의 제 2 접촉면의 만곡부분이 유리판이 표면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만곡 장치.
  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곡선로 형상의 곡선 슬롯을 갖는 안내-링크 판(21, 22)을 포함하고, 이 곡선 슬롯에는 상기 관절 운동축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만곡 장치.
  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55)과 선회부분(56, 57)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접합점(70, 71, 72, 73)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과 선회부분에 관절 접합되는 두개의 크랭크 부재(60, 61)를 구비하며, 상기 접합점은 선회부분의 운동중에 유리판(52)의 표면상에 선회부분의 만곡부분이 상대적인 미끄러짐이 없이 구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만곡 장치.
  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유리판(52)에 판의 표면 방향으로 무시할 만한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선회부분의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만곡장치.
  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55)는 제 1 흡인판을 구비하고 상기 선회 부분(56, 57)은 제 2 흡인판을 구비하며, 유리판(52)을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에 대해 유지시키는 수단(66)은 사이 제 1 및 선회부분에 부분 진공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만곡 장치.
KR1019860006367A 1985-08-01 1986-08-01 유리판 만곡방법 및 장치 KR930009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527558.8 1985-08-01
DE19853527558 DE3527558A1 (de) 1985-08-01 1985-08-01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biegen einer glas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027A KR870002027A (ko) 1987-03-28
KR930009323B1 true KR930009323B1 (ko) 1993-09-27

Family

ID=627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367A KR930009323B1 (ko) 1985-08-01 1986-08-01 유리판 만곡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20296A (ko)
EP (1) EP0211755B1 (ko)
JP (1) JPH0788228B2 (ko)
KR (1) KR930009323B1 (ko)
CA (1) CA1328741C (ko)
DE (2) DE3527558A1 (ko)
FI (1) FI8087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4121A (en) * 1987-07-07 1989-01-18 Asahi Glass Co Ltd Bend forming device for plate glass
US4877437A (en) * 1988-04-29 1989-10-31 Glasstech International L.P. Vacuum platen for sharp bends
GB9304286D0 (en) * 1993-03-03 1993-04-21 Pilkington Glass Ltd Bending apparatus
FR2704850B1 (fr) * 1993-05-05 1995-07-28 Selas Sa Installation modulable pour incurver et tremper une feuille de verre.
US5501650A (en) * 1993-09-08 1996-03-26 Gellert; Reinhard R. Automated masturbatory device
DE19963732C2 (de) * 1999-12-24 2003-07-17 Schatz Juergen 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peziellen Glasgegenständen sowie Anwendungen des Verfahrens
KR100398188B1 (ko) * 2000-12-15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작판금 스틸 성형장치
DE10314267B3 (de) * 2003-03-29 2004-08-1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US8397540B2 (en) * 2011-05-05 2013-03-19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orming a glass sheet
US8833106B2 (en) * 2012-09-18 2014-09-16 Corning Incorporated Thermo-mechanical reforming method and system and mechanical reforming tool
WO2013187255A1 (ja) * 2012-06-14 2013-12-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屈曲部を有する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屈曲部を有するガラス板
KR20160006719A (ko) * 2013-05-07 2016-01-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형성된 유리 물품 성형 공정 및 그 기기
KR102432352B1 (ko) * 2015-08-31 2022-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용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윈도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DE102017207452A1 (de) * 2017-05-03 2018-11-0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und Formwerkzeug zum Herstellen eines Bauteils für die Verwendung in einem Fahrzeuginnenrau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2448A (en) * 1937-11-18 1939-12-05 Libbey Owens Ford Glass Co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2663974A (en) * 1951-07-23 1953-12-29 Motor Products Corp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DE1075293B (de) * 1954-07-08 1960-02-11 Compagme de Samt Gobam Paris Vorrichtung zum Wölben von Glassch-i ben
GB801532A (en) * 1955-09-13 1958-09-17 Pittsburgh Plate Glass Co Improvements in glass tempering apparatus
US3251672A (en) * 1957-02-18 1966-05-17 Saint Gobain Apparatus for press bending glass
US3009201A (en) * 1959-10-29 1961-11-21 Fawn Fabricators Inc Material bending machine with roll bar
DE2741965C3 (de) * 1977-09-17 1980-07-24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US4277276A (en) * 1980-03-17 1981-07-07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using deformable vacuum mold
US4297118A (en) * 1980-03-18 1981-10-27 Ppg Industries, Inc. Controlling overheating of vacuum mold used to shape glass sheets
US4312661A (en) * 1980-08-28 1982-01-26 Libbey-Owens-Ford Company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4430110A (en) * 1982-07-28 1984-02-07 Ppg Industries, Inc. Shaping sheets of glass or other deformable material to a compound curvature
DE3300388C1 (de) * 1982-10-01 1983-12-22 Flachglas Ag, 8510 Fuerth Vorrichtung zum Biegen von warmen Glasscheiben
US4470835A (en) * 1982-11-15 1984-09-11 Ppg Industries, Inc. Shaping sheets of glass or other deformable material to a complicated curvature
US4483703A (en) * 1983-05-24 1984-11-20 Ppg Industries, Inc. Deformable vacuum holder with helical coil springs for shaping glass
CA1199794A (en) * 1983-05-24 1986-01-28 Ppg Industries Ohio, Inc. Arrangement of apertures for vacuum holders for shaping glass sheets
US4511386A (en) * 1983-05-24 1985-04-16 Ppg Industries, Inc. Deformable vacuum holder used to shape glass sheets
US4511387A (en) * 1983-05-24 1985-04-16 Ppg Industries, Inc. Vacuum holder with anti-bulging means used to shape glass sheets
US4514208A (en) * 1983-10-20 1985-04-30 Glasstech, Inc.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FR2569396B1 (fr) * 1984-08-22 1991-08-30 Saint Gobain Vitrage Caissons de soufflage deform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20296A (en) 1988-01-19
CA1328741C (fr) 1994-04-26
DE3662253D1 (en) 1989-04-13
DE3527558C2 (ko) 1988-11-24
EP0211755A1 (fr) 1987-02-25
JPH0788228B2 (ja) 1995-09-27
FI863131A0 (fi) 1986-07-31
FI863131A (fi) 1987-02-02
FI80873C (fi) 1990-08-10
JPS6265943A (ja) 1987-03-25
DE3527558A1 (de) 1987-02-05
EP0211755B1 (fr) 1989-03-08
KR870002027A (ko) 1987-03-28
FI80873B (fi) 199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323B1 (ko) 유리판 만곡방법 및 장치
CA223544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glass sheets
US48835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and conveying glass sheets
KR900006112B1 (ko) 열연화성 박판 물질의 성형 방법 및 장치
US5292356A (en) Support mechanism for a glass sheet press bending mold
CA1241197A (en) Shaping glass sheets to complicated shapes
US500969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two dimensionally bent glass
JPH0531507B2 (ko)
KR101767708B1 (ko) 유리판을 가압 성형하기 위한 방법, 스테이션 및 시스템
JPS6132264B2 (ko)
JPH0667766B2 (ja) ガラス板プレス曲げ設備
JP2831036B2 (ja) 板ガラスの湾曲方法および装置
FI82025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boeja en glasskiva.
JP2677329B2 (ja) 熱軟化可能な板材料の造形方法及び装置
KR930001937B1 (ko) 유리시이트 굽힘 가공용 부분가압방법 및 장치
US2370575A (en) Apparatus for bending glass
JPH08507037A (ja) 板ガラスのコンベヤ式成形
US20230348312A1 (en) Station and method for forming glass sheets
CN117840266B (zh) 一种厚型钢加工用矫正装置
CN218893576U (zh) 热弯成型设备
FI77407B (fi) Foerfarande foer hopsaettning av heta, boejda glasskivor omfattande sandwichkonstruk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