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663Y1 -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663Y1
KR930008663Y1 KR2019910017198U KR910017198U KR930008663Y1 KR 930008663 Y1 KR930008663 Y1 KR 930008663Y1 KR 2019910017198 U KR2019910017198 U KR 2019910017198U KR 910017198 U KR910017198 U KR 910017198U KR 930008663 Y1 KR930008663 Y1 KR 930008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s
current
voltage
transistor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552U (ko
Inventor
최영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663Y1/ko
Publication of KR930009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 회로도.
제 2 도는 문자 신호 입력의 사용 범위 상태도.
제 3 도는 문자 신호의 전류 변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Q14 : 트랜지스터 R1-R11 : 저항
본 고안은 비데오 테이프의 재생시 화면에 삽입되어 나타나는 문자 신호의 전압 레벨을 콘트롤 하여 문자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기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테이프의 재생시 테이프에 기록된 삽입문자의 색상은 기록된 문자의 전압 레벨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문자 신호의 색상이 너무 흰색 이거나 너무 검은색인 경우 또는 전체적인 화면 배경과 비슷한 색일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때에는 문자신호에 의하여 화면을 시청하기가 곤란하거나 문자 신호 자체를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문자신호의 전압레벨을 콘트롤하여 화면에 어울리는 색상으로 문자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게 하므로써 문자신호의 인식 및 화면시청에 편안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문자 신호 입력(Vt)을 기준전압(V1)과 비교하여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 변화로 출력시키는 전류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 변환 수단이 출력 전류를 저항비에 따라 전류비를 변환시키는 전류비 변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류비 변환 수단 수단의 전류비를 기준전압(V2)에 따라 일정 전위로 정렬시키는 클램프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여기서 전류 변환 수단은 문자 신호 입력(Vt)과 기준전압(V1)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Q14)의 에미터측에 트랜지스터(Q2)(Q3)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2)(Q3)의 에미터를 저항(Q6)을 통하여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는 공통 바이어스가 걸리는 트랜지스터(Q4)(Q5)(Q6)를 병렬연결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전류비 변환 수단은 트랜지스터(Q5)(Q6)의 콜렉터에 트랜지스터에(Q7)(Q8)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6)(Q8)의 콜렉터 사이에는 저항(R8)과 가변저항(RV)을 병렬 연결시키는 한편 트랜지스터(Q9)(Q10)를 다단연결시켜 된 것이다.
또한 클램프 수단은 기준전압(V2)이 베이스에 인가된 트랜지스터(Q13)의 에미터 출력이 차동 증폭용 트랜지스터(Q11)(Q1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에 일정전압을 인가시키게 연결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Vt는 문자 신호 입력으로 설계자에 따라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사용 범위가 있게 되며 이러한 Vt의 사용 범위가 정해진 후에는 실제 문자신호 전압레벨을 제 2 도의 V1과 같이 Vt1과 Vt2의 중간 값을 취하여 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에 기준전압으로 인가시킨다.
따라서 Vt와 V1이 같을 경우(Vt=V1)에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류(11)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전류(13)는 동일하게 전류(I)와 같게 되며(I2=I3=I) 이때 트랜지스터(Q2)(Q3)의 에미터 전류가 동일하므로 저항(R6)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I3)는 없게 된다.(I3=0)
그러나 Vt와 V1이 같지 않을 경우(Vt≠V1)일 경우에는 Vt-V1=V3-V4가 되며 그 이유는 트랜지스터(Q1)(Q14)를 동일 규격으로 사용하므로써 각각 Vt와 V1전압이 베이스에 인가된 트랜지스터(Q1)(Q14)의 에미터전압(V3)(V4)은 Vt과 V1과 같으므로 Vt-V1=V3-V4가 성립된다.
그리고 Vt-V1=V3-V4=Vin이라 하면 Vin=VbeQ3+I3R6로 표시되며 (트랜지스터(Q2)(Q3)를 동일 규격으로 사용함) Vt와 V1이 같지 않으므로 전류(I3)가 흐르게 되어 I3R6의 전압이 더해지게 된다.
한편 Vin=VbeQ2-VbeQ3+I3R6로 표시되며 이는 다시로 표시되어진다.
여기서 Vt는 트랜지스터에 따라 차이가 있게 되나 0.026V의 상수를 갖게 되고 Is 또는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따른 전류가 된다.
따라서 I3=0.99I I라 하면
I1은 최대값 1.99 I가 되고
I2는 최소값 0.01 I가 된다.
그러므로
=0.026*5.293+I*R6
=0.132+I*R6가 된다.
그러나 I3=-0.99 I=-I라 하면
I1은 0.01 I가 되고 I2=1.99 I가 되므로
= 0.026*5.293+I*R6
=0.132+I*R6
=-(0.132+I*R6)가 된다.
이상의 식에서 살펴볼수 있듯이 Vt가 변함에 따라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류(I2)가 변화하게 됨을 알수있으며 Vt와 I2와의 관계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트랜지스터(Q1)(Q2)(Q3)(Q4)(Q14)는 Vt 전압을 I2전류 변환로써 나타내는 앰프로써 결국 문자 신호 전압레벨은 I2전류의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류(I2)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 전류와 같고 트랜지스터(Q4)(Q5)는 동일 규격의 트랜지스터이고 동일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4)(Q5)의 콜렉터 전류는 같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류(I2)는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 전류(I4)와 같게 된다.(I1=I4)
한편 트랜지스터(Q8)이 콜렉터 전압(VQH)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게 되며 그 이유는 저항(R1O)(R12)으로 분배된 전압(V2)이 일정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1)(Q12)(Q13)을 통하여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 전압(VQH)은 일정하다.
즉 VQH=V2-VbeQ13-VbeQ12+VbeQ11
=V2-0.7-0.7+0.7
=V2+0.7로 일정전압이 인가 되게 된다.
그리고 출력전압 V0는 트랜지스터(Qp)의 베이스 전압(V1)이 트랜지스터(Q9)(Q10)를 통하여 출력되게 되므로
V0=V1+VbeQ9-VbeQ10
V1이 된다.
즉 출력 전압 V0는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 전압과 같아지게 된다.
여기서 V1전압은 일정전압인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 전압(VQH)에 저항(R8)과 가변저항(RV)의 전압 강하치를 더한 값이되므로
결국 V0=VQH+I5(R8//RV)로 표시되어진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 전류(I5)는 I4및 I2와 동일하므로 결국 V0=VQH+I2(R8//RV)가 된다.
그러므로 가변저항(RV)를 조절하므로서 V0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V0는 문자 신호의 전압 레벨로 인가되어 지게 되므로 문자 신호의 색상을 가변저항(RV)를 가변시켜 변화시킬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문자 신호의 색상을 사용자 임의로 변환시킬수 있어 문자 신호의 색상을 화면에 어울리는 색으로 조정가능하여 화면과 문자 신호 시청에 편안함을 주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문자 신호 입력(Vt)을 기준저압(V1)과 비교하여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 변화로 출력시키는 전류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 변환 수단의 출력 전류를 저항비에 따라 전류비를 변환시키는 전류비 변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류비 변환 수단 수단의 전류비를 기준전압(V2)에 따라 일정 전위로 정렬시키는 클램프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류 변환 수단은 문자 신호 입력(Vt)과 기준전압(V1)이 베이스에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Q14)의 에미터측에 트랜지스터(Q2)(Q3)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2)(Q3)의 에미터를 저항(Q6)을 통하여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는 공통 바이어스가 걸리는 트랜지스터(Q4)(Q5)(Q6)를 병렬 연결하여 구성시킨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전류비 변환 수단은 트랜지스터(Q5)(Q6)의 콜렉터에 트랜지스터(Q7)(Q8)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6)(Q8)의 콜렉터 사이에는 저항(R8)과 가변저항(RV)을 병렬 연결시키는 한편 트랜지스터(Q9)(Q10)를 다단 연결시켜 구성하며 클램프 수단은 기준전압(V2)이 베이스에 인가된 트랜지스터(Q13)의 에미터 출력이 차동 증폭용 트랜지스터(Q11)(Q1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에 일정전압을 인가시키게 연결 구성시킨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KR2019910017198U 1991-10-14 1991-10-14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KR930008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198U KR930008663Y1 (ko) 1991-10-14 1991-10-14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198U KR930008663Y1 (ko) 1991-10-14 1991-10-14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552U KR930009552U (ko) 1993-05-26
KR930008663Y1 true KR930008663Y1 (ko) 1993-12-23

Family

ID=1932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198U KR930008663Y1 (ko) 1991-10-14 1991-10-14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6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552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44902A (en) Level shift circuit with feedback
US4256980A (en) Electronic switchover circuit
JPH0134501B2 (ko)
KR930002040B1 (ko) 증폭기
KR930008663Y1 (ko) 재생시 테이프에 삽입된 문자 색상 조절회로
US4203043A (en) Tristate changeover switching circuit
KR0155616B1 (ko) 영상 신호 클램프 회로
CA1038048A (en) Controllable gain signal amplifier
US4853609A (en) Distortion-free, opposite-phase current source
US4274058A (en) Amplifier with separate AC and DC feedback loops
US5424682A (en)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KR910006481Y1 (ko) 텔레비젼의 비데오 시그널 입력회로
JP4388606B2 (ja) 利得制御付デジタル処理回路
JPH0527282B2 (ko)
US5448188A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provid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signal and for providing a signal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input signal
JP2526478Y2 (ja) 差動対スイッチ回路
KR910005231Y1 (ko) Tv영상 신호의 입출력 레벨 등화 회로
JPS62117404A (ja) 可変利得増幅回路
JP2940768B2 (ja) 非線形変換回路
US3742128A (en) Manual chrominance saturation control circuit
JP2651865B2 (ja) 非線形信号圧縮回路
KR0169374B1 (ko) 콘트래스트 조절회로
US5266853A (en) Peak clipper with an expanded linear characteristic region for video signals
KR830001146B1 (ko) 신호 변환회로
JP2761806B2 (ja) 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