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240Y1 - 트레이 피더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피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240Y1
KR930008240Y1 KR2019910017432U KR910017432U KR930008240Y1 KR 930008240 Y1 KR930008240 Y1 KR 930008240Y1 KR 2019910017432 U KR2019910017432 U KR 2019910017432U KR 910017432 U KR910017432 U KR 910017432U KR 930008240 Y1 KR930008240 Y1 KR 930008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isposed
main frame
ball screw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120U (ko
Inventor
윤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240Y1/ko
Publication of KR930010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1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레이 피더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트레이 피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트레이 피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터 11 : 볼스크류
12 : 가이드봉 13 : 메인프레임
14 : 트레이 15 : 컨베이어수단
16 : 블록부재 17 : 트레이메가진
17a : 트레이부재 18 : 스트퍼부재
19 : 가이드부재
본 고안은 트레이 피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트레이를 작업위치까지 자동으로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트레이 피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이 적재된 트레이는 로보트의 수단에 의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트레이를 작업위치까지 수동으로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작업공정으로 되어 있으므로, 트레이의 공급 및 회수작업에 따른 인력투입 및 작업시간등이 많이 소요되어서 작업능률이 저하될뿐만 아니라, 자동화 추세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트레이가 트레이메가진 내에 수직되게 적재되어서 트래이메가진의 하부측을 통과하는 컨베이어수단에 의해 작업위치까지 자동으로 공급 및 회수되는 구조로 되었으므로, 로보크의 픽업수단에 의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작업위치까지 트레이를 공급 및 회수할 경우 트레이의 공급 및 회수작업에 따른 인력투입 및 작업시간등이 소요됨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줄일 수 있고, 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트레이 피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트레이 피더장치는 상부에 배설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되어서 정역 회전되는 볼스크류가 수직방향으로 배설되며 또한 볼스크류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봉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설된 메인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내의 중간높이에 일단부가 배설되고 타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소정거리만큼 수평되게 배설되어서 전자부품이 적재된 트레이를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되는 컨베이어수단, 상기 메인프레임내에 배설되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되게 다수의 트레이를 적재하며 또한 다수의 트레이를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1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볼스크류에 맞물려 볼스크류(11)의 정역회전운동을 상,하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블록부재가 전면에 배설된 트레이메가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트레이 피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트레이 피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 (13)은 메인프레임으로써, 이 메인프레임(13)은 소정의 높이를 두고 상판(13a)과 하판(13b)이 배설되도록 네모서리에 측판(13c)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판(13a)의 정면일측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제어 수단으로부터 온,오프되는 모터(10)가 배설되어 있고, 이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면서 정,역회전운동되도록 상기 상판(13a)과 하판(13b)과의 사이에 볼스크류(11)가 수직되게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볼스크류(11)를 중심으로 좌,우측에는 가이드봉(12)이 상기 상판(13a)과 하판(13b)과의 사이에 수직되게 배설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15)는 컨베이어수단으로써, 이 컨베이어수단(15)은 타단에 상기 트레이(14)가 공급될 때 트레이(14)가 작업위치에 정지되도록 스토퍼부재(18)가 배설되어 있고, 양측부에는 상기 트레이(14)가 작업위치에 안내되도록 가이드부재(19)가 배설되어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컨베이어수단(15)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제어 수단으로부터 온,오프되어 작동되는 정, 역회전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제1벨트풀리(15a)가 상기 메인프레임(13)내의 측판(13c)의 중간높이에 배설되어 있고, 제2벨트풀리(15b)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재에 의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벨트풀리(19a)(19b)는 평벨트(19c)에 의해 연결되어서 동일한 회전수로 구동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17)은 트레이메가진으로써, 이 트레이메가진(17)은 상기 메인프레임(13)내에 배설되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되게 다수의 트레이(14)를 적재함과 동시에, 이 트레이(14)를 상기 컨베이어수단(15)에 1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볼스크류(11)에 블록부재(16)가 맞물려 있으므로, 볼스크류(11)가 정역회전운동할때 블록부재(16)에 의해 트레이메가진(17)은 상,하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수단(15)의 일단부에 배설된 제1벨트풀리(15a)는 상기 메인프레임(13)내에 수용되어 있는 트레이메가진(17)의 공간부를 통과하여서 메인프레임(13)의 뒷쪽측판(13c)에 고정배설되도록 별도의 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트레이메가진(17)내에는 상기 트레이(14)를 수직되게 적재할 수 있도록 내측양면에 "L"자형의 다수의 트레이지지부재(17a)가 소정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트레이메가진(17)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3)의 뒷쪽방향에서 트레이(14)를 서랍식으로 채워넣을 수 있도록 트레이메가진(17)의 내측면 양부에 각각 1개씩 배설되어서 1조가되는 트레이지지부재(17a)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5조가 배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지지부재(17a)의 갯수는 상기 메인프레임(13)의 높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3)내에서 상,하직선운동할 수 있는 트레이메가진(17)의 스트로크가 결정됨으로, 그만큼 트레이메가진(17)의 높이를 길게 또는 짧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트레이메가진(17)내에 트레이(13)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많이 또는 적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트레이 피더장치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트레이메가진(17)내에 배설된 다수의 트레이지지부재(17a)를 이용하여 전자부품이 적재된 트레이(14)를 칸마다 수작업으로 채워넣은 다음, 도시하지 않은 전원제어 수단에 의해 모터(10)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10)에 의해 연동되어서 정회전되는 볼스크류(11)와 트레이메가진(17)에 돌출고정된 블록부재(16)와의 맞물림에 의해 트레이메가진(17)이 초기상태의 위치까지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트레이메가진(17)의 초기상태는 트레이메가진(17)내의 맨하부에 적재된 트레이(14)가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감지됐을때 모터(10)가 정지됨과 동시에 트레이메가진(17)의 하강이 정지됨으로, 트레이메가진(17)의 초기상태의 위치까지 하강될 경우 트레이메가진(17)의 맨하부의 적재된 1개의 트레이(14)의 밑면이 컨베이어수단(15)에 의해 연동되는 평벨트(15c)의 상부에 안착되고, 그다음의 트레이(14)는 대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안착된 트레이(14)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제어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수단(15)의 평벨트(15c)의 정회전에 의해 제 1 도에 표시한 화살표(P)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평벨트(15c)의 양쪽에 배설된 가이드부재(19)의 안내를 받아 스토퍼부재(18)에 부딪쳐 작업위치에 정지하게 되고, 이 작업위치까지 이송된 트레이(14)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장치에 의해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장치에 의해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로보트 픽업수단에 의해 전자부품이 픽업되어서 작업공정에 따라 PCB(Printed Circuit Board )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이송된 트레이(4)내에 적재된 다수의 전자부품이 상기 로보트 픽업수단에 의해 완전히 소모되어서 빈트레이(14)가 될 경우, 빈트레이(14)는 컨베이어수단(15)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평벨트(15c)의 역구동에 의해 트레이메가진(17)의 하부를 통과하여 제 1 도는 표시한 화살표(R) 방향으로 이점쇄선과 같이 낙하되어서 회수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수단(15)은 트레이(14)가 작업위치에 공급될때와 회수될때에만 정역화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트레이메가진(17)이 메인프레임(13)에 배설된 모터(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또다시 맨하부의 트레이(14)가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감지될때까지 하강됨과 동시에 상술한 동작설명과 같이 컨베이어수단(15)이 순차적으로 반복구동하여 트레이(14)를 작업위치에 공급 및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트레이(14)가 트레이메가진(17)내에 수직되게 적재되어서 트레이메가진(17)의 하부측을 통과하는 컨베이어수단(15)에 의해 작업위치까지 자동으로 공급 및 회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로보트의 픽업수단에 의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작업위치까지 트레이(14)를 공급 및 회수할 경우 트레이(14)의 공급 및 회수작업에 따른 인력투입 및 작업시간 등이 소요됨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어 제조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레이 피더장치에 의하면, 상부에 배설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되어서 정,역회전되는 볼스크류가 수직방향으로 배설되며 또한 볼스크류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봉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설된 메인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내 중간높이에 일단부가 배설되거 타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소정거리만큼 수평되게 배설되고 타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소정거리만큼 수평되게 배설되어서 전자부품이 적재된 트레이를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메인프레임내에 배설되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되게 다수의 프레이를 적재하며 또한 다수의 트레이를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1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볼스크류에 맞물려 볼스크류의 정역회전운동을 상,하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블록부재가 전면에 배설된 트레이메가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로보트의 픽업수단에 의해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작업위치까지 트레이를 공급 및 회수할 경우 트레이의 공급 및 회수작업에 따른 인력투입 및 작업시간등이 소요됨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재조코스트를 줄일 수 있고, 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상부에 배설된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되어서 정,역회전되는 볼스크류(11)가 수직방향으로 배설하며 또한 볼스크류(11)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봉(12)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설된 메인프레임(13)과, 이 메인프레임(13)재의 중간높이에 일단부가 배설되고 타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13)에서 소정거리만큼 수평되게 배설되어서 전자부품이 적재된 트레이(14)를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되는 컨베이어수단(15)과, 상기 메인프레임(13)내에 배설되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수직되게 다수의 트레이(14)를 적재하며 또한 다수의 트레이(14)를 상기 컨베이어수단(15)에 1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볼스크류(11)에 맞물려 볼스크류(11)의 정,역회전운동을 상,하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블록부재(16)가 전면에 배설된 트레이메가진(1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피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수단(15)은 타단부에 상기 트레이(14)가 공급될때 트레이(14)가 작업위치에 정지되도록 스토퍼부재(18)가 배설되어 있고, 양측부에 상기 트레이(14)가 작업위치에 안내되도록 가이드부재(19)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피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메가진(17)내에는 상기 트레이(14)를 수직되게 적재할 수 있도록 내측양면에 "L" 자형의 다수의 트레이지지부재(17a)가 소정간격을 두고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피더장치.
KR2019910017432U 1991-10-18 1991-10-18 트레이 피더장치 KR930008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432U KR930008240Y1 (ko) 1991-10-18 1991-10-18 트레이 피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432U KR930008240Y1 (ko) 1991-10-18 1991-10-18 트레이 피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120U KR930010120U (ko) 1993-05-26
KR930008240Y1 true KR930008240Y1 (ko) 1993-12-13

Family

ID=1932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432U KR930008240Y1 (ko) 1991-10-18 1991-10-18 트레이 피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528B1 (ko) * 1997-01-06 2002-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레이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528B1 (ko) * 1997-01-06 2002-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레이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120U (ko) 199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320B1 (en) Electronic component-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feeding device therefor
CN1279000A (zh) 零件安装装置及零件供给装置
EP0868117A1 (en) Device for feed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component-mounting apparatus
JPS60112532A (ja) 回路基板の自動載置及降し機構
CN109746307A (zh) 一种自动送料的滑轨冲压设备
CN113714798A (zh) 一种电子产品螺丝装配自动生产线
JP2673345B2 (ja) 部品搬送用トレーの送り構造
KR930008240Y1 (ko) 트레이 피더장치
CN1195602A (zh) 机械手系统中的传送装置和方法
KR930008241Y1 (ko) 트레이 피더장치
CN209684807U (zh) 一种avi检测自动上下料机
CN217837180U (zh) 螺钉自动送料机
KR930008242Y1 (ko) 트레이 피더장치
CN216094941U (zh) 一种芯片模组分拣装置
JPH0134886B2 (ko)
CN215363670U (zh) Pcb板自动上料机
CN112917148B (zh) 一种环保型空气净化机的控制组件组装设备
CN205892128U (zh) 一种Tray盘输送装置
CN212812184U (zh) 一种柔性电路板全自动冲裁加工系统
CN209684826U (zh) 一种上料装置
JP2550527Y2 (ja) 積重ねられたカップ状容器の供給装置
JPH1053332A (ja) 板状部材搬送装置
KR20180020011A (ko) 듀얼 기판 소팅장치 및 방법
KR0135937Y1 (ko) 적층식 인쇄회로기판 자동 공급장치
EP0862356A2 (en) Electronic component-moun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