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233Y1 -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233Y1
KR930008233Y1 KR2019910003253U KR910003253U KR930008233Y1 KR 930008233 Y1 KR930008233 Y1 KR 930008233Y1 KR 2019910003253 U KR2019910003253 U KR 2019910003253U KR 910003253 U KR910003253 U KR 910003253U KR 930008233 Y1 KR930008233 Y1 KR 930008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transistor
current
switching transistor
curr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788U (ko
Inventor
모리오 사또우
Original Assignee
모리오 사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오 사또우 filed Critical 모리오 사또우
Priority to KR2019910003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233Y1/ko
Publication of KR920018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H01H2009/546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the static switching means being triggered by the voltage over the mechanical switch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 3 도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류와 콜렉터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 4 도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이백 트랜스의 권선 2 : 스위칭 트랜지스터
3 : 펄스트랜스 4 : 펄스전류제어트랜지스터
6 : 기준전압원 7 : 오차증폭기
11 : 직류전원 12 : 트랜스
13 : 저항 14 : 콘덴서
15 : 저항 16 : 다이오드
17 : 콘덴서 18 : 다이오드
19,20 : 저항 121 : 트랜스의 1차권선
122 : 트랜스의 보조권선 301 : 펄스트랜스의 1차권선
302 : 펄스트랜지스의 2차권선 A : 링킹초크컨버터
B : 텔레비젼 수상기를 각각 공통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123 : 트랜스의 2차권선 21 : 저항
22 : 포토커플러 23 : 다이오드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직류정전압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 4 도에서 표시하는 것과 같이 펄스전류제어 트랜지스터(4)가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회로에 직접 연결되는 전원회로의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에 의한 절전형 스위칭전원의 경우 출력전압을 직접 검출해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포토커플러가 필요하게 되고, 기능이 유한한 부품을 중복해서 사용하게 되는 등 부품 낭비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회로를 간소화하고 부품의 낭비를 배제하여 저원가의 텔레비젼수상기용 전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회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펄스전류제어 트랜지스터(4)는 실시예 도면 제 1 도의 도시와 같이 펄스트랜스의 1차권선(301)에 직렬 접속되며 또 그의 베이스를 출력전압 오차증폭기(7)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오차증폭기(7)는 비반전입력으로 기준압이 접속되어 있고 반전입력으로는 출력전압을 저항분할해서 얻어지는 전압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오차증폭기(7)의 반전입력으로 인가되는 출력전압이 상승하게 되면 오차증폭기(7)의 출력전류가 억제되어 펄스전류제어 트랜지스터(4)의 베이스전류가 작아지게 되고 역으로 콜렉터-간 포화 전압이 커지게 된다. 그 때문에 플라이백트랙스의 권선(1)에 발생하는 펄스전압의 진폭성분의 대부분은 펄스전류제어 트랜지스터(4)의 콜렉터-에미터간에서 잡히게 되어 펄스트랜스의 1차권선(301)에 걸리는 전압이 작아지게 되고 펄스트랜스의 2차권선(302)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전류도 작아지게 된다.
한편, 오차증폭기(7)이 반전입력으로 인가되는 출력전압이 하강하여 오차증폭기(7)의 출력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펄스전류제어 트랜지스터(4)의 베이스전류도 증가하여 그의 콜렉터-에미터간 포화전압이 작아지게 되어 펄스트랜스의 1차권선(301)에 걸리는 전압이 커지게 되고 펄스트랜스의 2차권선(302)에서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전류로 커지게 된다.
스위칭트랜지스터(2)는 베이스전류에 의해서 '온'상태로 되지만 그 '온'기간은 베이스영역의 포화의 깊이와 스위칭트랜지스터(2)가 갖고 있는 스토리지타임이라고 불리워지는 특성에 의존하고 있다. 그 때문에 베이스전류의 펄스폭이 짧아도 진폭이 크면 포화가 보다 깊게 되어서 '온' 기간이 길어진다.
제 3 도는 스위칭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전류와 '온'기간의 관계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제 3 도에서 위의 파형이 베이스전류를, 또 아래의 파형이 콜렉터전류를 각각 나타낸다. 스위칭트랜지스터(2)가 한번 '온'상태로 되면 베이스전류가 제로로 되어도 일정 시간동안 '온'상태를 계속 유지하지만, 그 계속시간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전류의 진폭이 클수록 길어진다.
이와같은 이유에 의하여 실시예 도면 제 1 도의 회로에 있어서 펄스트랜스의 2차권선(302)에서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전류가 작아지게 되면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온' 기간이 짧아지게 되고 그 결과 출력전압도 하강한다. 역으로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전류가 커지게 되면 '온' 기간이 짧아지게 되고 그 결과 출력전압도 하강한다. 역으로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전류가 커지게 되면 '온' 기간이 길어지고 그 결과 출력전압이 상승한다.
이와같이 출력전압의 변화에 대해서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전류를 변화시켜 출력전압을 본래값으로 되돌리는 제어가 행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제 1 도에서 직류전원(11)은 통상 상용전원으로서의 교류저압을 정류평활해서 얻어지는 리플성분을 갖는 직류전원이다. 기동저항(13)에 의해서 스위칭트랜지스터(2)에 베이스전류가 흘러 이어서 콘덴서(14)와 저항(15)와 트랜스의 보조권선(122)로된 정류회로에 의하여 자려발진을 개시하고 2차측의 다이오드(16)과 콘덴서(17)에 의해서 직류전압이 발생한다.
2차측의 전압이 어느값에 이르기까지 텔레비젼수상기는 부하전류가 작아도 무방하므로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를 구동하는 전류가 작아도 전압이 상승한다. 2차측 전압이 텔레비젼수상기의 내부회로가 작동할 수 있는 전압에까지 이르면 부하전류는 급격히 커지지만 동시에 플라이백트랜스의 권선(1)에 펄스전압이 발생해서 이것이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전류를 크게하기 때문에 부하전류가 급격히 커져도 출력전압은 떨어지지 않고 계속해서 상승할 수가 있는 것이다.
출력전압이 더욱 상승해서 저항(19)와 저항(20)에 의해서 얻어지는 전압이 기준전압원(6)의 전압에 이르면 오차증폭기(7)의 출력전류가 제한되기 시작하여 펄스전류제어트랜지스터(4)에 의해서 플라이백트랜스의 권선(1)에서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로 공급되는 펄스전류의 진폭제어가 이루어져 정전압제어가 시작된다.
여기서 다이오드(18)은 기동시 및 자려발진시에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전류가 펄스트랜스의 2차권선(302)에 의해서 단로되는 것을 막기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것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2 도의 회로는 강압초퍼라고 불려지고 있지만 자려발진의 원리는 제 1 도의 회로와 똑같다. 따라서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동과 자려발진의 개시와 정전압제어의 동작은 공히 같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텔레비젼수상기의 전원 제어회로가 매우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텔레비젼 수상기의 플라이백 트랜스에서 플라이백 펄스를 출력하는 권선(1)과, 상기 텔레비젼수상기에 전력공급을 하는 링킹초크컨버터(A)의 스위칭트랜지스터(2)와, 상기 플라이백 펄스를 출력하는 권선(1)과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2)의 사이에 접속되는 펄스트랜스(3)와, 상기 펄스트랜스의 1차권선(301)에 직렬로 접속되는 펄스전류제어트랜지스터(4)와, 기준전압원(6)과, 상기 링킹초크컨버터(A)의 출력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기준전압원(6)의 전압관의 차이성분을 증폭해서 그 출력을 상기 펄스전류제어트랜지스터(4)의 베이스에 공급하는 오차증폭기(7)로 구성되어, 상기 링킹초크컨버터의 스위칭 주기를 상기 텔레비젼수상기의 플라이백 트랜스의 스위칭 주기에 동기시키고,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KR2019910003253U 1991-03-11 1991-03-11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KR930008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253U KR930008233Y1 (ko) 1991-03-11 1991-03-11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253U KR930008233Y1 (ko) 1991-03-11 1991-03-11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88U KR920018788U (ko) 1992-10-19
KR930008233Y1 true KR930008233Y1 (ko) 1993-12-13

Family

ID=1931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253U KR930008233Y1 (ko) 1991-03-11 1991-03-11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2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88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3848C (en) Control of switching devices in synchronized-rectification system
JP200235478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357713B2 (ko)
CA2034531C (en) Multi-output dc-dc converter using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d at high frequency
KR920008204B1 (ko) 스위칭 제어형 전원 회로
JP327359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930008233Y1 (ko) 트리거 전류 제어회로
JP2605397B2 (ja)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起動回路
JPH087738Y2 (ja) トリガ電流制御回路
JP2986978B2 (ja) 多出力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167311B2 (ja) 複合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231913Y2 (ko)
JP2554736Y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タ
JPS645984Y2 (ko)
JPS6033740Y2 (ja) スイッチング制御型電源回路
JP2986979B2 (ja) 多出力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920003089Y1 (ko) 링잉 초크 콘버터 방식의 스위칭 전원 장치
JPS5838797Y2 (ja) 自励型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タ直流電源装置
JP2006109543A (ja) Dc−dcコンバータ
JP2646021B2 (ja) コンバータ
JPH0811059Y2 (ja) リンギングチョークコンバータ方式の電源装置
JPH0223105Y2 (ko)
JPH028552Y2 (ko)
JPH0619329Y2 (ja) リンギングチョークコンバータ
JPH035771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