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639B1 -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639B1
KR930007639B1 KR1019900701112A KR900701112A KR930007639B1 KR 930007639 B1 KR930007639 B1 KR 930007639B1 KR 1019900701112 A KR1019900701112 A KR 1019900701112A KR 900701112 A KR900701112 A KR 900701112A KR 930007639 B1 KR930007639 B1 KR 93000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mera
head
recording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405A (ko
Inventor
로버트 켈브 리챠드
Original Assignee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토마스 에프. 키르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토마스 에프. 키르쵸프 filed Critical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Publication of KR90070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4Magnetic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Data Copying 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 장치
1988년 10월 7일자로 로버트 피. 클라우티어의 명의로 출원되어 본원과 함께 양도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15,693호에는, 필름의 비 감광유제(non-emulsion)면을 덮는 시각적으로 투명한 자성 피복물 및 필름 형태. 필름 속도, 필름 노출 정보 및 필름의 처리공정 및 차후의 이용(예컨대 인화)에 관련한 정보 등을 기록하기 위하여 피복물상에 제공된 기록 영역을 갖는 사진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 시스템은 필름 제조중에 정보를 기록하고 카메라 사용중에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며, 사진 마무리 공정중에 인화 관련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한다. 전술된 계류중의 출원에서는, 카메라 정보를 필름의 연부를 따라 화상 지역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격된 트랙에 카메라 정보를 기록할 것을 특별히 제안하고 있다
스틸 카메라에서, 사진 필름상의 자성 피복물 또는 스트립상에 있는 판독 및 기록 정보는 다른 장치에서 야기되는 문제와는 다른 문제에 대한 해답을 필요로 한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휴대용 스틸 카메라가 보통 소비자에게 흥미를 끌기위해서는 가능한 한 필수적으로 콤팩트하고 가벼워야 한다는 공간적 한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역시 심각한 것은, 자성 테이프와 같은 좀더 일반적인 기록 매체와 관련한 사진 필름의 특성이다. 사진 필름은 자성 테이프보다 더 뻣뻣하며, 기본 재료, 감광층의 수 및 성질과 주위 조건에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다양한 뒤틀림(curl)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필름들에는 자성 피복물 또는 스트립상의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함에 있어 생소한 문제가 초래된다. 신뢰성있는 판독 또는 기록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자기 헤드는 자성 피복물에 밀접하게 유지돼야 한다 필름의 뒤틀림의 변동과 같은 어떤 장애 때문에 필름에 대한 헤드의 관계가 변동될 수 있고 신호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사진 스틸 카메라를 콤팩트화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유일한 문제는, 필름이 짧은 주기의 시간내에 한정된 이동량으로 진행하며, 자기 기록과 통상적으로 관련되는 정상 상태 조건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록 및 재생은 순간적 조건중에 발생해야하는바, 이는 필름을 기록 헤드로부터 분리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들 조건중에 최적의 자기 기록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헤드가 자성 피복물과(예컨대 10마이크로 인치내에서) 접촉 유지해야 한다.
다른 장치에서, 자성 피복물에 대한 헤드의 소기의 관계를 유지시키는 기술은 사진 스틸 카메라, 특히 콤팩트한 35mm 카메라에 사용하기에는 실질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유성 영화 카메라에 있어서, 한 연부를 따라 자성 스트립을 가지는 필름은 대개 드럼위로 이동되며, 정보는 드럼에 밀접하게 위치된 자기 헤드에 의해 기록된다. 드럼은 필름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필름의 뒤틀림을 제거하며 헤드와 필름과의 관계를 일정 하게 보장한다. 음향 드럼과 같은 그러한 고정된 지지체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지만, 사진 카메라내의 공간적 한계 때문에 비현실적으로 된다. 또한, 전술된 순간 조건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스틸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음화(negative)가 인화 완성시에 전달되기 때문에 화상에 적절하고 그 화상과 일치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성 영화 카메라에 있어서, 기록된 정보는, 노출중의 단속적 동작과 비교하여 기록중의 필름의 연속적 동작을 성취하기 위하여 화상과 분리된다.
그러므로, 사진 필름상에 기록하는 것과 관련한 선행 기술에 의하면, 신뢰성있는 기록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록 헤드의 맞은편 상에 기록 매체용 지지체를 제공하고 기록 매체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을 알 수 있다
로버트 피. 클라우티어 및 다니엘 엠. 피가노 명의로 1988년 10월 7일자로 출원되어 본원과 함께 양수 계류중인 출원 제 254,908호에는, 필름 플래튼(platen)의 고정 위치에 자기 기록 헤드가 장착되어 있는 사진 스틸 카메라의 자기 기록 용도에 대해 기재되있다. 필름의 타측에는 가압 패드가 장착되어 필름을 헤드와 접촉시킨다. 노출 중에 패드의 압력에 의해 필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 노출중에는 가압 패드를 철회한다. 이러한 해결책으로 소기의 기록 신뢰성은 성취하지만, 가압 패드를 철회하기 위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진 스틸 카메라에는 필름 플래튼에 장착된 자기 기록 헤드가 제공된다 가압 패드에 의해 필름이 헤드와 접촉한다. 필름과 헤드의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헤드는 필름 표면의 뒤틀림과 경사가 같게되도록 필름 롤러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 방법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는, 제2도에 하나가 도시되어 있는 한쌍의 핀(10)에 의해 개방위치로 피봇트 하는 후면 또는 후방 도어(8) (제2도)를 가지는 통상의 사진 스틸 카메라(6)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핀(10)은 프레임 (12)내의 홀에 수용되어 있다. 그러한 카메라가 본원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치 않은 특징부들은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삭제하거나 블럭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자기 헤드를 참고로 후술한다. 그러나, 카메라에는 복수 트랙 기록을 위하여 복수의 헤드가 설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6)는 한 단부에 필름 카트리지(16)를 수용하는 챔버(14)를 가지는 프레임 또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제4도에 더욱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카트리지 (16)는, 노출을 위하여 필름(20)이 립(18)으로부터 제거되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하는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21,955호에 기재된 필름 카트리지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20)은 감광유제면상에 있는 투명한 자성 표면(21), 한 연부를 따라 배열되는 단일 열의 구멍들(P) 및 화상지역(i) 외측에 연부를 따라 배치된 종방향 기록지역(r)을 구비하고 있다. 1988년 10월 7일자로 로버트 퍼. 클라우티어 명의로 출원된 "필름상에 제공된 자기 트랙을 이용하여 필름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 255,693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카메라에서 정보를 기록하도록 제공된 영역은 영역(23)이며, 화상영역은 인화 완성 정보 기록 지역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록장치는 통상적인 35mm 필름상에 있는 자성 피복물 또는 스트립에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카메라 장치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KODAK K-14 Medalist VR 35 카메라와 같은 통상적인 35mm 카메라일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립(18)은 플러시 천(plush) 재료(c), (d)의 상부 및 하부조각을 필름의 양쪽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상, 하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플랜지(a), (b)를 포함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같이, 카트리지(16)의 표면 및 립(18)의 표면은 그들과 보완적인 챔버(14)의 표면 및 카메라의 후면과 계합함으로써 카메라 후면을 닫으면 카트리지가 제1도에 도시된 배향으로 고정적으로 지탱된다. 카메라와 카트리지의 그러한 상호 계합 형상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필름(20)은 립(18)으로부터, 촬영 렌즈(23)에 정렬된 장방형 노출구(22)를 지나 권취 챔버(24)로 이송되어 권취 스풀(26)상에 감긴다 그러한 필름 이송장치는 본원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대개, 그러한 필름 이송장치는 필름을 카트리지로부터 권취 스풀까지 또는 역으로 감는 중에 카메라가 노출되는 경우, 권취 스풀로부터 카트리지까지 한 프레임씩 이송시킨다.
장방형 노출구(22)를 양쪽에는 한 쌍의 필름 레일(28)이 형성되어 필름의 종방향 연부와 계합한다. 카메라 후면(8)상의 판 스프링(32)상에 장착된 플래튼(30)에 의해 필름(20)이 레일(28)을 향하여 강제된다. 플래튼(30)은 장방형 노출구(32)에 보완적 평면 치수를 갖는 평탄한 장방형 판을 포함하므로, 후면의 폐쇄시에는 제3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30)이 플래튼 지지 표면(34)과 계합하고 필름(20)과 계합하여 그 필름을 스프링(32)의 카트리지내의 필름 코어 세트로부터 초래되는 종방향 뒤틀림 및 필름을 가로지르는 약간의 횡방향 뒤틀림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필름의 감광유제면은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 노출중에 영역(e)에 약간의 횡방향 뒤틀림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화상의 질을 현격하게 저하시킬 정도는 아니다.
통상의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플래튼(20)과 레일(28)사이의 간격은 제조 오차의 결과로 0.25 내지 0.45mm로 된다. 그러한 카메라에 이용되는 사진 필름의 두께는 대개 0.15mm이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은 레일과 실질적으로 계합하지 않을 수 있다.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필름의 뒤틀림 때문에, 필름의 가장자리 연부가 레일들의 다른 측부상에서 카메라 표면(f)과 계합하여 뒤틀림 편향에 의해 필름 너비의 대부분이 플래튼과 계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때문에 카메라 렌즈는 대게 플레튼 근처에 있는 필름정면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제1도는 전술된 형태의 카메라의 좀더 기본적인 중심적 특정부들중 몇개를 블럭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43)의 제어하게 스풀 코어 및 권취 스풀을 풀림 방향 또는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 모터(40)를 역전시키는 통상의 2방 회로(38), 구동 전동장치(42) 및 필름 카트리지(16)의 코어 및 권취 스풀(26)과 각기 결합하는 구동 허브(44,46)를 포함하는 모터식 필름 이송수단(36)이 설치된다.
카메라의 다른 요소들은, 통상의 계량 스위치(46), 판독/기록 회로(48), 셔터 해제 기구(49). 통상의 디지탈 프레임 카운터(50) 및 통상의 타이머(52)를 포합한다. 이들 요소들 모두는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마이크로 컴퓨터(48)에 의해 제어되는바, 그 요소들이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 설명은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사진 스틸 카메라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것은 단일의 문제점을 포함한다. 필름의 이동은 짧은 주기의 시간내에 어떤 범위로 한정되며, 자기 기록과 보통 관련되는 고정 조건은 성취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판독/기록 회로(48)는 공통으로 양도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06,407호, 제 206,408호 및 제 206,553호에 기재된 엔코딩 및 디코딩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드 포맷(Code format)은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 206,646호에 기재된 포맷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플래튼(30)의 개구(62)에는 판독/기록 회로(48)에 연결된 통상적인 장방형의 자기 판독/기록 헤드(60)가 장착된다. 헤드(60)는지지 브리캣(64)에 부착되고, 이 브래킷은 다시 플레튼(30)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필름(20) 아래에 있는 카메라 본체의 장바형 홈(68)에는 헤드(60)와 정렬되게 보충 가압 패드(66)가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70)은 패드(66)를 필름과 계합하도록 편향시켜 필름을 헤드(60)와 접촉시킨다. 헤드(60)는 필름의 장축에 수직인 장축을 가지며, 헤드의 저부벽(72)은 필름 표면에 대해 10°각도로 경사진 수렴 표면을 가진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헤드(60)의 횡축은 필름 노출 평면에 대해 3°내지 4°로 경사져 있다.
헤드(60)는, 필름의 횡방향으로 3°내지 4°로 경사져있으므로, 필름 게이트에 안장하는 필름의 자연적인 곡률에 일치할 수 있다. 제3도로부터 명확해지겠지만, 필름은 횡방향의 필름 뒤틀림 때문에 연부를 따라 하방으로 구부러지는경향이 있으므로 연부 영역이 경사진다. . 헤그가 30 내지 40로 경사짐으로써 더욱 정확한 헤드와 필름간의 접촉면(head/filminterface)을 형성한다.
헤드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더 작은 압력으로 만족스러운 페드/필름 접촉을 성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름 표면 마모 및 진행력이 감소되고 필름 장전이 더욱 용이해진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점은 그같은 헤드/필름 접촉면이 필름 평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고정 구경 치수가 F/8인 대물렌즈를 갖고 있는 35mm 논-싱글(non-single) 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와 같은 몇몇 카메라의 경우에는, 공통 양도 계류중인 1988년 10월 7일자 다니엘 엠. 파가노 및 로버트 피.클라우티어 명의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54,908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노출중에 가압 패드를 철회하지 않고도 만족할만한 필름 평탄화를 성취할 수 있다. 이는, 필름 곡률에 근사하게 경사진 헤드가 경사지지 않은 헤드처럼 심하게 불연속적으로 됨이없이 플래튼의 표면 아래로 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헤드(60)의 도입 10°또한 중요하다. 그 각도는, 필름 선단부(leader)에 버트 연부(butt edge)를 제공하는 평탄화 헤드면과 비교해서 더 용이하게 필름 선단부를 장전할 수 있으며, 그 작은 10°는 필름이 헤드 둘레에 더욱 양호하게 감싸질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전술된 기록장치는, 사진 스틸 카메라에서의 자기 기록에 대한 저렴한 해결책을 제공하며 이제까지 성취되지 않은 장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본원 발명을 도시 및 설명했으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된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여러가지 변형물을 만들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카메라용 자기 기록장치 특히, 사진 스틸 카메라용 자기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장치를 예시하는 통상적인 사진 스틸 카메라의 부분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카메라용 후면, 즉, 도어의 부분 절제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필름 카트리지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필름이 부분적으로 철회된 제1도의 필름 카트리지의 확대 평면도.
관련 출원 참조
본 출원인에게 공통으로 양도되어 계류중인 하기 출원들을 참고로 한다.
1. 1988년 10월 7일자로 출원 계류중인 마이클 엘. 워시 및 콘라드 디엘 명의의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 장치"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54,906호.
2. 1988년 10월 7일자로 출원 계류중인 마이클 엘. 워시 및 크리스토퍼 티. 맷슨 명의의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 장치"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54,903호.
3. 1988년 10월 7일자로 출원 계류중인 다니엘 엠. 파가노 및 로버트 피. 클라우티어 명의의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 장치"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54,908호.
4. 1988년 10월 7일자로 출원 계류중인 로버트 퍼. 클라우티어등의 "필름상에 제공된 자기 트랙을 이용하는 필름 정보 교환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55,693호.
5. 1988년 7월 20일자로 출원 계류중인 도날드. 엠. 하비 명의의 "모터로 구동되는 필름 이송 장치"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21,955호는 본 출원에 참고로 기재되어있다.
6. 1988년 6월 14일 출원 계류중 보정된 마이클 엘. 워시 명의의 "3부분 데코더 회로"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06,407호,
7 1988년 7월 14일 출원 계류중인 보정된 아더 휘트필드 및 마이클 엘. 워시 명의의 "3부분 데코더 회로"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06,408호.
8. 1988년 6월 14일 출원 계류중 보정된 아더 휘트필드 명의의 "3부분 데코더 회로"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06,553호.
9. 1988년 6월 14일 출원 계류중인 마이클 엘. 워시 명의의 "2진 데이타 스트림을 변조하는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06,646호.
10. 1988년 10월 7일 출원 계류중인 제임스 더블유. 캐논 명의의 "이중 노출을 방지하는 카메라 장치"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254,907호.

Claims (5)

  1. 정보를 자기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자성 표면(21)을 갖는 사진 필름(20)의 프레임을 노출시키도록 그 필름(20)을 노출구(22)를 통해 이송시키는 사진 스틸 카메라(6)에 있어서, 노출구(22)를 갖는 카메라 본체(12) : 상기 필름(20)과 계합하여 필름을 상기 노출구(22)에 인접한 노출 평면에 유지시키도록 지지된 필름 플래튼(30) : 및 상기 플래튼(30)에 장착되어 필름의 일측과 계합하며, 필름의 뒤틀림(curl)으로부터 초래되는 필름 경사에 근사하게 필름(20)의 횡방향으로 경사져있는 자기 헤드(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스틸 카메라(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헤드(60) 반대쪽의 필름(20)의 타측에 상기 자기 헤드(60)와 정렬되게 장착된 가압 패드(66) ; 및 상기 가압 패드(66)를 상기 필름(20)과 계합하도록 편향시켜 그 필름(20)을 상기 자기 헤드와 계합시키는 편향 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스틸 카메라(6).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헤드(60)가 필름 평면에 대해 약 3°내지 4°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스틸 카메라(6).
  4. 제1항에 있어서, 필름(20)의 장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자기 헤드(60)의 표면(72)들이 필름(20)의 종축에 대해 경사져있는 것을 득징으로 하는 사진 스틸 카메라(6).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표면(72)들이 필름(20)의 종축에 대해 약 10°경사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스틸 카메라(6).
KR1019900701112A 1988-10-07 1989-10-04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장치 KR930007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491488A 1988-10-07 1988-10-07
US254914 1988-10-07
US254,914 1988-10-07
PCT/US1989/004340 WO1990004202A1 (en) 1988-10-07 1989-10-04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405A KR900702405A (ko) 1990-12-07
KR930007639B1 true KR930007639B1 (ko) 1993-08-14

Family

ID=2296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112A KR930007639B1 (ko) 1988-10-07 1989-10-04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0438480B1 (ko)
JP (1) JPH04500568A (ko)
KR (1) KR930007639B1 (ko)
BR (1) BR8907692A (ko)
DE (1) DE68925643T2 (ko)
HK (1) HK86396A (ko)
MY (1) MY105146A (ko)
WO (1) WO1990004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33951T2 (de) * 1989-12-28 2002-08-29 Canon Kk Kamera mit einem Film versehen mit magnetischem Speicherteil
US5097278A (en) * 1990-03-15 1992-03-17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using a film with a magnetic memory
JP2926604B2 (ja) * 1990-08-17 1999-07-28 株式会社ニコン 磁気記録が可能なカメラおよび磁気情報処理が可能な装置
DE69215391T2 (de) * 1991-01-10 1997-03-27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sche Kamera
US5434633A (en) * 1992-07-31 1995-07-18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having built-i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record/playback head
US5602611A (en) * 1992-09-01 1997-02-11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film cassette
JP3294377B2 (ja) * 1993-05-11 2002-06-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
JPH075560A (ja) * 1993-06-15 1995-01-10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用磁気ヘッド装置
US6108104A (en) 1996-09-16 2000-08-22 Eastman Kodak Company Im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5481A (ko) * 1971-09-10 1973-05-24
DE2607145A1 (de) * 1976-02-21 1977-08-25 Bosch Gmbh Robert Tonfilmaufnahmekamera
JPS5825376U (ja) * 1981-08-12 1983-02-17 東陶機器株式会社 床パン
DE3203717A1 (de) * 1982-02-04 1983-08-11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Fotografische kamera mit einer vorrichtung zur kennzeichnung der aufnahmestellung der k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62891A3 (en) 1990-04-25
KR900702405A (ko) 1990-12-07
WO1990004202A1 (en) 1990-04-19
EP0362891A2 (en) 1990-04-11
JPH04500568A (ja) 1992-01-30
EP0438480A1 (en) 1991-07-31
DE68925643D1 (de) 1996-03-21
MY105146A (en) 1994-08-30
BR8907692A (pt) 1991-07-30
EP0438480B1 (en) 1996-02-07
DE68925643T2 (de) 1996-09-05
HK86396A (en) 199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5031A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4933780A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5016030A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ading and recording on film
US4996546A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4947196A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5028940A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KR930007639B1 (ko)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장치
EP0437494B1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4972213A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5519464A (en) Magnetics-on-film image area recording head with film flattening emulsion side support
KR930001043B1 (ko)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카메라장치
EP0437498B1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5555043A (en) Magnetics-on-film image area recording head and suspension system
EP0494965B1 (en) Camera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on film
US5909328A (en) Magnetic recording device and camera with magnetic recording device
US5754901A (en) Apparatus to eliminate transverse in film
JPH06289501A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H10170998A (ja) ロール中間交換写真装置
JP2000066297A (ja) カメラ
JPH0729130A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H07152081A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H04124627A (ja) 写真用フイルム及びプリンター
JPH10115863A (ja) カメラ
JPH06236533A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H08328109A (ja)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磁気記憶部付フィルムを用いる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