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68B1 -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68B1
KR930006868B1 KR1019880010154A KR880010154A KR930006868B1 KR 930006868 B1 KR930006868 B1 KR 930006868B1 KR 1019880010154 A KR1019880010154 A KR 1019880010154A KR 880010154 A KR880010154 A KR 880010154A KR 930006868 B1 KR930006868 B1 KR 93000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blow
damper
ventil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971A (ko
Inventor
유우지 와까야마
가즈히꼬 나까가와
다까히로 도꾸나가
Original Assignee
닛뽕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오까베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오까베 다까시 filed Critical 닛뽕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8001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868B1/ko
Publication of KR90000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도는 가열기 및 각 블로우포오트를 개폐하는 각 블로우포오트댐퍼를 포함하는 통풍관의 내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통풍관 내부에 있어서 각 블로우포오트를 포함하는 차폭 방향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통풍관 내부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표시하는 통풍관 내부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통풍관 내부의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차량장착 상태도.
제8도는 제7도에서 표시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개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통풍관 내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풍관 7 : 가열기
7a : 온도조절수단 8a : 유입댐퍼
8b : 유출댐퍼 9 : 제1공기통로
10 : 제2공기통로 13 : 제상기 블로우포오트
16 : 제상기 댐퍼 17 : 냉풍공기실
18 : 온풍공기실 7b : 유출구
본 발명은 제상방식(際霜方式)을 설정할때에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에서 온풍을 앞유리쪽으로 냉풍을 차량승차자쪽(車兩乘車者測)으로 토출(吐出)시키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에서 온풍을 앞유리쪽에, 냉풍을 차량승차자쪽으로 토출하는 기술은 일본국 실공소 52-48523호 공보로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기술은 제7도 및 제8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차량(100)의 앞유리(101) 내면에 온풍을 송풍하여 앞유리(101) 내면의 성에 방지 및 앞유리(101) 외면의 제상과 해동을 하기 위한 데미스터 노즐(102)의 내부를, 격벽(103)으로 그 사이를 막고, 온풍 블로우 포오트(104)와 냉풍 블로우 포오트(105)를 구성한 것이다. 그위에 데미스터 노즐(102)은 차량(100)의 데시패널(106)에 고정된 가열장치(107)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온풍 블로우 포오트(104)는 가열기(107)내에서 가열코어(108)의 하류측에 설치된 온풍통기로(109)와 연통하여, 냉풍 블로우 포오트(105)는 가열기(107) 내에서 가열코어(108)의 상류쪽에 설치된 냉풍통기로(110)와 연통되어 있다. 또, 냉풍통기로(110)에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기(107)내의 냉풍 배출구(111)에 설치된 풍량조절댐퍼(112)의 개폐로 그량이 조절된다.
상기한 공지된 기술의 작동으로서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로 부터 공급된 공기가 공기혼합 댐퍼(113)로 가열코어(108)를 바이패스하여 냉풍 그대로 통과하는 공기와의 비율이 조절되어, 가열코어(108)의 하류에서 합류하여 온도가 조절된 후, 온풍 통기로(109)를 지나서 데미스터 노즐(102)내의 온풍 블로우 포오트(104)에서 앞유리(101) 내면에 온풍을 송풍한다. 이때 가열코어(108)의 상류쪽에 설치한 냉풍 배출구(111)의 풍량조절댐퍼(112)를 열어서 냉풍 배출구(111)내에 냉풍을 도입하므로서, 냉풍이 냉풍 통기로(110)를 지나서 데미스터노즐(102)내의 냉풍 배출구(105)에서 승차자쪽을 향하여 토출된다. 그런데 상기의 공지된 기술에서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에서 온풍과 냉풍을 분리하여 토출시키기 때문에 온풍 블로우 포오트(104)에 연통하는 온풍통기로(109), 냉풍 블로우 포오트(105)에 연통하는 냉풍통기로(110)를 각각 가열기(107)내에 설치함과 동시에 냉풍 배출구(111)에 냉풍 조절댐퍼(112)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일로서 가열기(107)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코스트가 높아질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제상방식을 설정시에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에서 온풍을 앞유리측으로 냉풍을 차량승차자쪽을 향하여 토출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 코스트를 낮게 누름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실내를 향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적어도 차량의 앞유리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를 갖춘 통풍관과 이 통풍관내에 설치된 전기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의 개폐를 하는 제상기 댐퍼와 전기 통풍관내의 공기의 흐름을 제1공기통로와 제2공기통로로 분할함과 동시에 전기 제1공기통로측으로 열린 유입구와 전기 제2공기통로측으로 열린 유출구를 갖춘 전기유입구에서 유입하여 전기유출구로 유출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전기유입구로 유입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유입댐퍼, 이 유입댐퍼와 연동하여 전기 유출구로 유출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유출댐퍼로 된 온도조절수단을 갖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전기 제상기 댐퍼는 전기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상방식을 설정시에 전기 가열기의 하류의 전기 통풍관의 내부를 전기 제1공기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도입되는 냉풍공기실과 전기 제2공기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도입되는 온풍공기실로 분리함과 동시에 전기 냉풍공기실내의 공기를 전기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의 한쪽으로 부터 토출시켜 전기 온풍공기실내의 공기를 전기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의 다른쪽에서 토출시키도록 설치되어 전기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의 한쪽에서 토출한 공기를 차량의 승차자쪽으로 토출하여, 전기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의 다른쪽에서 토출한 공기를 전기 앞유리쪽으로 토출하는 것을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통풍관내에 배설된 가열기로 통풍관내가 제1공기통풍로와 제2공기통풍로로 분할되어, 통풍관내를 차실내를 향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이 이 제1공기통로와 제2공기통로로 분할되어 공급된다. 제1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조절수단인 유입댐퍼로 가열기의 유입구로 부터 유입하는 공기량과 가열기를 바이패스하여 통과하는 공기량의 비율이 조절된다. 또 제2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유입댐퍼와 연동하는 온도조절수단의 유입댐퍼로 가열기를 통과한 공기량과 가열기를 바이패스한 공기량의 비율이 조절된다. 차실내의 블로우 포오트를 제설방식으로 설정하므로서 제상기 댐퍼가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를 개구함과 아울러 가열기의 하류에서 통풍관의 내부를 냉풍공기실과 온풍공기실로 분리한다. 제1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중 가열기를 바이패스하여 통과한 공기는 냉풍 그대로 냉풍공기실에 도입된다. 또 가열기로 가열된 공기와 제2공기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어 온도조절된 공기는 온풍공기실에 도입된다. 냉풍공기실에 도입된 공기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의 한쪽으로 부터 차량승차자쪽으로 토출되고 온풍공기실에 도입된 공기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의 다른쪽에서 앞유리쪽으로 토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상방식을 설정할때에 제상기 댐퍼가 구동되어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를 개구함과 아울러 가열기의 하류에서 제상기댐퍼가 간막이 역할을 하여 통풍관의 내부를 냉풍공기실과 온풍공기실로 분리한다. 이로 인하여 냉풍공기실에 도입된 냉풍과 온풍공기실에 도입된 온풍이 각각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의 한쪽과 다른쪽에서 토출된다. 이와같이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에서 냉풍과 온풍을 분리하여 토출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용의 공기통로나 풍량조절댐퍼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기조화장치의 내부구조를 감소화하여 제조코스트를 낮게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도면에 표시하는 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가열기 및 각 블로우 포오트를 개폐하는 각 블로우 포오트댐퍼를 포함한 통풍관의 내부의 사시도를 표시함. 제2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개략도를 표시함. 제3도는 통풍관 내부에서 차폭방향의 단면도를 표시함.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는 제2도에 표시함과 같이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혼합한 공기를 차실내의 각부에 토출하는 방식의 것이다. 차실내를 향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풍관(1)의 상류에는 공기도입구로 차실내를 통하여 차실내공기(내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내기도입구(2)와 외기를 취입하기 위한 외기도입구(3)가 형성되어 있다. 양 도입구(2), (3)의 어느 것인가 한쪽은 내외기 절환댐퍼(4)로 인하여 폐쇄된다. 통풍관(1)은 하류측을 향하여 송풍기(5), 냉동사이클의 냉매증발기(6), 엔진냉각수(온수)의 공급을 받는 가열기(7), 이 가열기(7)를 지나는 공기량과 가열기(7)를 바이패스하여 통과하는 공기량의 비율을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8)이 배설되어 있다.
그위에 가열기(7)는 그 유입구(7a)를 차량의 진행 방향의 후방측(제2도 하측)으로 개구하여서, 유출구(7b)를 차량의 진행방향의 전방측(제2도 상측)으로 개구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 가열기(7)는 통풍관(1)내의 공기의 흐름을, 가열기(7)에는 제1공기통로(9)와 가열기(7)의 전방측을 흐르는 제2공기통로(10)로 분할함과 아울러 제1공기통로(9)쪽으로 유입구(7a)가 열리고, 제2공기통로(10)쪽으로 유출구(7b)가 열리고 있다. 가열기(7)에는 제1공기통로(9)를 통과하는 공기중 유입구(7a)로 부터 유입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유입댐퍼(8a)와 이 유입댐퍼(8a)와 연동하여 유출구(7b)로 유출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유출댐퍼(8b)가 배설되어 있다. 가열기(7)로 가열되어 유출구(7b)로 유출된 공기와 제2공기통로(10)를 통과하는 공기와 혼합한다. 더구나 유입댐퍼(8a)와 유입댐퍼(8b)로 본 발명의 온도조절수단(8)을 구성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으로 조작된다.
통풍관(1)의 가열기(7)의 하류쪽에는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통풍닥트(11a)을 개재하여 차량승차자의 상반신에 공기를 토출하는 통풍 블로우 포오트(11), 각 열기닥트(12a)를 개재하여 차량승차자의 발밑 근처에 공기를 토출하는 가열 블로우 포오트(12), 제상기 닥트(13a)를 개재하여서 앞유리에 향하여 토출하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통풍 블로우 포오트(11)의 통풍관(1)내에는 통풍 블로우 포오트(11)를 개폐하는 통풍 댐퍼(14)가 가열 블로우 포오트(12)의 통풍관(1)내에는 블로우 포오트(12)를 개폐하는 가열댐퍼(15)가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통풍관(1)내에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를 개폐하는 제상기 댐퍼 (16)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위에 가열 블로우 포오트(12)는 통풍관(1)의 하부(제1도 하측)에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는 통풍관(1)의 상부(제1도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열댐퍼(15)는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가열 블로우 포오트(12)를 개폐하는 블로우 포오트(15a)과 이 개폐판(15a)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재(15b)로 된 단면 T자형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부재(15b)가 통풍관(1)를 형성하는 케이스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동축(15c)에 고정되어, 회동축(15c)을 회동 조작이므로 가열 블로우 포오트(12)가 개폐한다. 또 제상기 댐퍼(16)도 가열댐퍼(15)와 같이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를 개폐하는 블로우 포오트 개폐판(16a)과 이 개폐판(16a)의 양단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6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부재(16b)가 통풍관(1)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회동축(16c)에 고정되어 회동축(16c)을 회동 조작하므로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가 개폐한다. 제상방식을 설정할때에는 제상기 댐퍼(16)가 회동축(16c)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를 개구함과 아울러 제상기 댐퍼(16)의 블로우 포오트 개폐판(16a)의 일단(제1도 및 제3도 하측)이 가열댐퍼(15)의 회동축(15c)에 인접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에 가열 블로우 포오트(12)와 통풍 블로우 포오트(11)와는 서로 그 개구부가 닫혀있기 때문에 가열댐퍼(15)의 지지부재(15b)와 제상기댐퍼(16)의 블로우 포오트 개폐판(16a)으로 인하여 가열기(7)의 하류에서 통풍관(1)의 내부가 냉풍공기실(17)과 온풍공기실(18)로 분리된다. 가열댐퍼(15)의 지지부재(1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조간막이벽이다. 제상기댐퍼(16)의 블로우 포오트 개폐판(16a)과 보조간막이벽으로 분리된 냉풍공기실(17)은 제1공기통로(9)에 연통하여 온풍공기실(18)은 제2공기통로(10)에 연통한다. 그위에 통풍댐퍼(14), 가열댐퍼(15), 및 제상기댐퍼(16)는 도시하지 않은 공조컨트롤댐퍼(16)는 도시하지 않은 공조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블로우 모오드 선택 레버를 조작하므로서 구동되어, 선택된 블로우 방식에 응하여서 각 블로우 포오트(통풍 블로우 포오트(11), 가열 블로우 포오트(12),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개폐를 한다.
또 공조컨트롤 패널에는 각 블로우 모우드(통풍모우드, 가열모우드, 제상모우드등)외에 송풍기(5)의 기동 및 풍량 조작을 하는 팬스위치, 내외기 절환댐퍼(4)를 조작하는 내외기절환레버, 쿨러스위치, 온도조절수단 구동레버등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댐퍼의 작동을 제1도 내지 제3도를 가지고 설명한다.
팬스위치가 ON에 놓이면 내외기 절환레버의 설정에 응하여 내기도입구(2) 또는 외기도입구(3)로 송풍기(5)가 공기를 흡인하여, 통풍관(1)으로 부터 차실내를 향하여 공기를 공급한다. 통풍관(1)내에 공급된 공기는 냉매 증발기(6)를 통과한다. 이때 쿨러스위치가 ON에 놓여 있으면 냉매증발기(6)를 통과할때에 공기가 냉각된다. 냉매증발기(6)를 통과한 증기는 제1공기통로(9)와 제2공기통로(10)로 분리되어 공급된다. 제1공기통로(9)로 공급된 공기는 온도조절수단(8)인 유입댐퍼(8a)의 설정위치에 응하여 가열기(7)의 유입구(7a)로 가열기(7)로 유입하는 공기량과 가열기(7)를 바이패스하여 통과하는 공기량의 비율이 조절된다.
한편, 제2공기통로(10)에 공급된 공기는 가열기(7)로 가열된 후 유출구(7b)로 유출된 공기와 혼합된다. 이때 공조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블로우 모우드 선택레버를 제상방식으로 설정하므로서 제상기댐퍼(16)의 블로우 포오트 개폐판(16a)과 가열댐퍼(15)의 지지부재(15b)가 가열기(7)의 하류에서 통풍관(1)의 내부가 냉풍공기실(17)과 온풍공기실(18)로 분리하는 칸막이판의 역할을 달성한다. 냉풍공기실(17)은 제1공기통로(9)와 연통하여 온풍공기실(18)은 제2공기통로(10)와 연통한다. 제1공기통로(9)로 부터 냉풍공기실(17)로 도입된 가열기(7)를 바이패스한 공기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한쪽(차량진행 방향에 대하여 뒤쪽)으로 부터 냉풍 그대로 제상기관(13a)내에 공급된다.
한편 제2공기통로(10)로 부터 온풍공기실(18)로 도입되어 가열기(7)에서 가열된 공기와 가열기(7)를 바이패스한 공기의 혼합공기(온풍)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다른쪽(차량진행 방향에 대하여 앞쪽)으로부터 온풍 그대로 제상기관(13a)내에 공급된다. 이로 인하여 제상기관(13a)에 공급된 냉풍은 제상기관(13a)으로 부터 차량승차자쪽으로 토출되고 제상기관(13a)에 공급된 온풍은 제상기관(13a)으로 부터 앞유리쪽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기(7)의 배설위치에 따라 통풍관(1)내에 2개의 공기통로(제1공기통로(9), 제2공기통로(10))를 형성하고, 제상방식을 설정할때에 제상기댐퍼(16)가 보조간막이벽과 같이 간막이판의 역할을 다하므로 가열기(7)의 하류에서 통풍관(1)내를 2개의 공기실(냉풍공기실(17), 온풍공기실(18))로 분할할 수 있다. 통풍관(1)내의 하류를 분할하여서 형성된 2개의 공기실(17), (18)에 내풍과 온풍을 따로 따로 공급하므로서 한 개의 제상기 블로우 포스트(13)로 부터 냉풍을 차량승차차쪽으로 온풍을 앞유리쪽으로 토출할 수가 있다. 이래서 제7도에 표시한 종래의 기술과 같이 냉풍통기로(110), 온풍통기로(109) 및 풍량 조절댐퍼(112)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공기조화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내부구조가 간단하게 되므로서 공기조화장치 자체의 제조코스트를 낮게 누를수가 있다.
그위에 제상방식을 설정한 경우에는, 온도조절수단 구동레버가 최대난방(MAX HOT)에 설정되었을 경우는 온도조절수단(8)으로 제1공기통로(9)에 공급된 공기가 전부 가열기(7)에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냉풍공기실(17)은 공기가 공급되지 않고, 따라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한쪽으로 부터 냉풍이 차량승차자쪽으로 토출되는 일은 없다. 또 온도조절수단 구동레버가 최대 냉풍(MAX COOL)에 설정되었을 경우는 온도조절수단(8)으로 가열기(7)의 유입구(7a) 및 유출구(7b)가 폐쇄된다. 이로 인하여 제1공기통로(9) 및 제2공기통로(10)에 공급된 공기는 그대로 냉풍공기실(17) 및 온풍공기실(18)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다른쪽으로도 냉풍이 토출된다.
제4도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다. 가열댐퍼(15)에 댐퍼의 중심부에 회동축을 맞운 나비형의 댐퍼를 채용한 경우의 예를 든 것이다. 이 경우 제상방식을 설정할때에 가열댐퍼(15)가 가열 블로우 포오트(12)를 닫은 상태에서는 가열댐퍼(15)와 제상기댐퍼(16)간의 간격이 커지기 때문에 가열댐퍼(15)와 제상기댐퍼(16)와의 사이에 보조간막이벽(19)을 고착시킨 것이다.
제5도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다. 제상기댐퍼(16)에 나비형의 댐퍼를 채용한 경우의 예를 든 것이다. 이 경우, 제상기댐퍼(16)의 회동축(16a)이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가열댐퍼(15)와 제상기댐퍼(16)와의 사이에 보조간막이벽(19)을 고착시킨 것이다.
제6도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한다. 통풍관(1)의 가열 블로우 포오트(12)를 다른곳에 이동하고 제상기댐퍼(16)만으로서 통풍관(1)내를 분할하는 예를 든 것이다.
제9도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한다.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에 설치된 제상기댐퍼(16)는 평판상의 지지부재(16b)를 개재하여서 회동축(16c)에 회동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를 개구할 때에는 그 대부분이 통풍관(1)의 안쪽으로 회동하여 수용된다. 제상기댐퍼(16)에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가 닫혔을때에 통풍관(1)과 접촉하는 부분에 각각 패킹(53), (54)이 마련되어 닫혔을때의 기밀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 제상기댐퍼(16)가 회동하여 통풍관(1)의 안쪽으로 수용될때에 제상기댐퍼(16)의 선단부가 될 안쪽 부분에도 패킹(55)이 마련되어 있다. 한쪽 가열 블로우 포오트(12)에 설치된 가열댐퍼(15)도 제상기댐퍼(16)와 같이 평판상의 지지부재(15b)를 개재하여서 회동축(15c)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댐퍼(15)에도 가열 블로우 포오트(12)를 닫었을때에 통풍관(1)과 접촉하는 부분에 각각 패킹(63), (64)이 마련되어 있다. 가열댐퍼(15)의 지지부재(15b)에는 회동축(15c)에 지지되는 지점부터 통풍관(1)의 안쪽을 향하여 리브(15d)가 마련되어 있다. 이 리브(15d)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가 개구하였을 때에 제상기댐퍼(16)가 회동하여서 통풍관(1)의 안쪽에 수용되어 그 선단부가 된 안쪽부분이 맞단부분이 된다. 그 때문에 제상기댐퍼(16)의 진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댐퍼(15)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회전토오크를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댐퍼(15)는 제9도에서 좌회전의 회전토오크를 받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가열기(7)의 유입구(7a)를 차량의 진행방향의 앞쪽으로 개구하고, 유출구(7b)를 차량의 진행방향의 뒤쪽으로 개구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냉풍공기실(17)에 온풍이 온풍공기실(18)에 냉풍이 각각 공급되어 버리기 때문에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에 접속 제상기관(13a)내에 칸막이를 설치하여서 토출방향을 바꿈으로서 냉풍을 차량승차자쪽으로 온풍을 앞유리쪽으로 토출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가열기(7)의 유입구(7a) 및 유출구(7b)를 통풍관(1)의 바닥면에 마주 세워서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유입구가 아래쪽으로 유출구가 윗쪽으로(또는 유입구가 윗쪽으로 유출구가 아래쪽)되도록 가열기(7)를 옆으로 뉘어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가열기(7)의 배치상태에 응하여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를 통풍관(1)의 옆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가열기(7)를 세워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를 통풍관(1)의 상부에 한정하여서 설치할 필요는 없고 통풍관(1)의 상부이외에 설치한 경우에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에 접속되는 제상기관(13a)의 위치나 형성등을 바꾸어서 대응하여도 좋다.

Claims (7)

  1. 차실내를 향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앞유리를 향하여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를 설비한 통풍관(1)과, 이 통풍과(1)내에 설치되어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개폐를 하는 제상기댐퍼(16)와, 통풍관(1)내에 배설되어 통풍관(1)내의 공기의 흐름을 제1공기통로(9)와 제2공기통로(10)로 분할함과 동시에 제1공기통로(9)쪽으로 개구한 유입구(7a)와 제2공기통로(10)쪽으로 개구한 유출구(76)를 설비하고, 유입구(7a)로 부터 유입하여 유출구(7b)로 유출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7)와, 유입구(7a)로 부터 유입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유입댐퍼(8a), 이 유입댐퍼(8a)와 연동하여 유출구(7b)로 유출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유출댐퍼(8b)로 된 온도조절수단(8)을 설치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로부터 공기를 토출하는 제상방식을 설정할 때에 가열기(7)의 하류의 통풍관(1)의 내부를 제1공기통로(9)를 통과한 공기가 도입되는 냉풍공기실(17)과 제2공기통로(10)를 통과한 공기가 도입되는 온풍공기실(18)로 분리함과 동시에 냉풍공기실(17)내의 공기를 제상기댐퍼(16)의 한쪽면에 따라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한쪽으로 토출시키고 온풍공기실(18)내의 공기를 제상기댐퍼(16)의 다른쪽면에 따라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다른쪽으로 토출되도록 설치되어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한쪽으로부터 토출한 공기를 차량승차자쪽으로 토출하고,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다른쪽으로 토출한 공기를 앞유리쪽으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통풍관(1)내에는 제상방식을 설정할 때 제상기댐퍼(16)와 같이 통풍관(1)의 내부를 냉풍공기실(17)과 온풍공기실(16)로 분리하는 보조간막이 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보조간막이벽은 통풍관(1)에 설치된 차량승차자 발밑 부근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가열 블로우 포오트를 개폐하는 가열댐퍼(15)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가열기(7)의 유입구(7a)는 차량의 진행방향의 뒤쪽으로 개구하고 유출구(7b)는 차량의 진행방향의 앞쪽으로 개구하여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냉풍공기실(17)은 온풍공기실(18)에 대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의 뒤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상기 블로우 포우트(13)는 통풍관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한쪽은 차량진행방향에 대하여 후방이고, 제상기 블로우 포오트(13)의 다른쪽은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9880010154A 1988-08-09 1988-08-09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KR93000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0154A KR930006868B1 (ko) 1988-08-09 1988-08-09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0154A KR930006868B1 (ko) 1988-08-09 1988-08-09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71A KR900002971A (ko) 1990-03-23
KR930006868B1 true KR930006868B1 (ko) 1993-07-24

Family

ID=1927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154A KR930006868B1 (ko) 1988-08-09 1988-08-09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8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71A (ko) 199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4479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6247530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0483927B1 (ko) 차량공조장치
JP358468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75025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0236137A (ja) 車両用空調装置
US6431267B1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JP390064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65384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930006868B1 (ko) 차량용 공기 조화장치
JPH08132852A (ja) 車両用エアコンユニット
JP40752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68471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680443B2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JPH06244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723291Y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007174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9263120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H09249020A (ja) 車載用空調装置
JPH089292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19646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325383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S5827846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99476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029418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