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774Y1 - 청사진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청사진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착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6774Y1 KR930006774Y1 KR2019900018130U KR900018130U KR930006774Y1 KR 930006774 Y1 KR930006774 Y1 KR 930006774Y1 KR 2019900018130 U KR2019900018130 U KR 2019900018130U KR 900018130 U KR900018130 U KR 900018130U KR 930006774 Y1 KR930006774 Y1 KR 9300067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ntactor
- developing roll
- developing
- cam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for wetting the recording materia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부착위치를 보인 청사진 복사기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 및 캠휠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 캠휠의 내측면의 캠면을 보인 부분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롤 2 : 캠휠
3 : 타이밍벨트 4 : 기어드모우터
5 : 원동치차 6 : 마이크로스위치
11 : 연장축 21 : 치차
22, 23, 24 : 캠면 30 : 밀착기
31, 41 : 사각봉 32 : 스프링판
33, 43 : 회동축 34, 44 : 돌기
35, 45 : 연결구 40 : 현상액도포량 조절기
42 : 조절판
본 고안은 청사진 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착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사진 복사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미지가 기록된 투광지와 감광지를 겹쳐서 광선에 노출시킨 다음 투광지를 감광지에서 분리시키고 감광지에 현상액을 도포하므로써 투광지상의 이미지를 복사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는 현상롤(1)의 후방에 위치하여 그 조절판(42)의 끝이 심지에 의해 묻혀진 현상롤(1)상의 현상액을 적당히 남기고 긁어내도록 되어 있는 것이며, 또 밀착기(30)는 현상롤(1)의 전방에 위치하여 그 스프링판(32)이 현상롤(1)과의 사이를 지나는 감광지를 현상롤(1)쪽으로 눌러서 양호한 현상은 물론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는 복사기가 작동을 중단하므로써 현상롤(1)의 회전이 중지되어 있는 평상시에는 현상롤(1)에 밀착되어 있게되는데, 이는 정밀하게 가공된 현상롤(1)의 고무외피를 조절판(42)과 스프링판(32)이장시간 누르고 있는 관계로 그 누른 자국을 남기게 된다. 따라서 재차 복사를 할때 불규칙한 현상으로 인해 복사 불량의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는 복사기 가동중지시마다 현상롤(1)의 고무외피로 부터 조절판(42)과 스프링판(32)끝를 분리시켜 놓을 필요가 있으며,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질적인 목적은 현상롤의 고무외피를 보호하기 위해 현상액 도포량조절기 및 밀착기의 조절판과 스프링판을 복사기 가동중단시 마다 현상롤로 부터 이격시키고, 다시 가동될 때에 재차 접촉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한 주요 구성으로는 현상롤의 연장축에 캠휠을 부설하여, 그 내측면의 캠면은 연결구를 통해 밀착기를 착탈케 하고, 외측면의 캠면은 또 다른 연결구로써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를 착탈되게 하여서 된 것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내용의 주요 구성은 제2도 내지 제5도를 통해서 잘 볼 수 있다.
먼저 제2도를 보면 현상롤(1)의 앞쪽으로는 하향된 스프링판(32)을 가진 사각봉(31)이 있어 밀착기(30)가 되고, 뒷쪽으로는 상향된 조절판(42)을 가진 사각봉(41)이 있어 현상액 도포량 조절장치(40)가 되는데, 이들은 그 사각봉(31)(41)의 양끝이 측면판(50)에 천공된 각각의 구멍(51)(52)에 끼워지므로써 정해진 임의의 위치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현상롤(1)의 연장측(11)에는 캠휠(2)이 고정된다.
상기 캠휠(2)은 현상롤(1)의 회전구동과 관계없이 그 외주면에 형성한 치차(21)에 타이밍벨트(3)를 걸어 후방의 기어드 모우터(4)의 측(4')끝에 있는 원동치차(5)로 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되고, 또 그 외주면 일측에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간 작은 반경의 캠면(22)이 있어서 그 하방에 위치한 마이크로 스위치(6)로써 구동 및 정지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측 측면에는 제3도 및 제5도에서 보듯이 캠휠(2)의 중심으로 부터 일측방향으로 약간 길쭉한 타원형의 캠면(23)을 보유 하는데, 상기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의 회동축(43)상에 부착된 연결구(45) 끝의 돌기(44)가 항시 접촉되고, 내측 측면에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직선형으로 컷팅된 원형의 또다른 캠면(24)을 형성하여 상기 밀착기(30)의 회동축(33)상에 부착된 연결구(35)끝의 돌기(34)가 접촉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의 연결구(45) 및 밀착기(30)의 연결구(35)는 각각 안쪽의 고정편(36)(46)과 외측의 조절편(37)(47)으로 이루어지며, 모두 그 각각의 사각봉 속의 축(33)(43)에 함께 끼워져서 그 후미에서 보울트(38)(48)로써 견고히 결합되며, 이때 후미의 보울트공(39)(49)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고, 또 그 각각의 외측 조절편(37)(47)끝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해당 캠면(23)(24)에 접촉될 돌기(34)(44)를 보유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의 위치조정기구이다.
다음은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동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미도시된 메인스위치를 ON시키면 청사진 복사기 전체가 구동되기 시작하는데, 먼저 현상준비 과정으로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 및 밀착기(30)가 현상롤(1)에 접근되는 과정을 본다.
중앙의 현상롤(1)이 먼저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그 후방에 있는 캠휠을 기어드 모우터(4)가 가동된다.
이 기어드 모우터(4)의 가동은 메인스위치의 ON, 또는 OFF 절환시 마다 이루어 지도록 배선되어 있으며, 그 중지는 후술할 캠휠(2)의 하부에서 캠휠(2)의 캠면(22)에 접촉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6)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어드 모우터(4)가 가동되므로써 타이밍벨트(3)로 연결된 캠휠(2)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는 그 연결구(45)의 조절편(47)끝에 있는 돌기(44)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 측면에 있는 캠면(23)을 타고 회동되므로 인하여, 즉, 돌기(44)가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캠면(23)의 하사점을 향해 이동하므로써 그 회동축(43)을 지점으로 연결구(45)의 끝단의 위치가 낮아진다. 따라서 그 회동축(43)과 일체로된 사각봉(41)의 조절판(42)이 제6도에서 보듯이 현상롤(1)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밀착기(30) 역시 그 연결구(35)의 조절편(37)의 끝에 있는 돌기(34)가 캠휠(2)의 내측 측면에 있는 캠면(24)을 타고 회동되므로써, 즉 돌기(34)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 캠면(24)중 낮은 지점에 오게 되므로써 앞서 설명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동축(33)을 지점으로 그 연결구(35) 끝단의 위치가 낮아진다. 따라서 회동축(33)과 일체로된 사각봉(31)의 스프링판(32)이 제6도에서 보듯이 현상룰(1)에 접촉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작동되는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 및 밀착기(30)는 사실상 캠휠(2)이 약 반바퀴정도가 회전하는 동안 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회전의 정지는 제3도에서 보듯이 하방에 위치한 마이크로 스위치(6)가 캠휠(2)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면(22)의 낮은 위치에 이르면 기어드모우터(4)를 정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복사작업을 마치고 메인스위치를 OFF시키면 복사기 전체가 구동정지되는데, 이때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와 밀착기(30)는 다시 현상롤(1)로부터 이격된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기어드 모우터(4)는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메인스위치의 OFF 절환시에도 일정시간 동안 재차가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캠휠(2)을 다시 반회전 더 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캠휠(2)의 회전은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 및 밀착기(30)의 연결구(35)(45)의 회동방향은 반대가 되는 것이다.
즉, 캠휠(2)이 회전함에 따라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의 연결구(45)는 그 조절편(47) 끝단에 있는 돌기(44)가 외측 측면에 있는 캠면(23)의 상사점에 오게 되고, 따라서 연결구(45)는 그 끝단의 위치가 높아지며, 이는 회동축(43)을 지점으로 하는 사각봉(41)의 조절판(42)을 현상롤(1)로 부터 이격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마찬가지로 밀착기(30)의 연결구(35)는 그 조절편(37) 끝단에 있는 돌기(34)가 내측 측면에 있는 캠면(24)의 낮은 지점으로 부터 높은 지점인 원형캠면상으로 가고, 따라서 연결구(35)역시 끝단의 위치가 높아져서 회동축(33)을 지점으로 하는 사각봉(31)의 스프링판(32)을 현상롤(1)로 부터 이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와 밀착기(30)의 착탈작동에 있어서, 현상롤(1)에 접촉되는 과정에서는 현상액 도포량조절기(40)의 조절판(42)이 먼저 접촉된 다음 밀착기(30)의 스프링판(32)이 접촉되고, 반대로 이격되는 과정에서는 밀착기(30)의 스프링판(32)이 먼저 이격된 다음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의 조절판(42)이 이격된다. 이는 서로 착탈되는 시점이 비슷한 상태에서 외측 측면의 캠면(23)은 상사점 부분을 좁게하고, 또 내측 측면의 캠면(24)은 상삿점 부분을 넓게 하므로써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그 이유는 현상액 도포량조절이 항상 선행되어야만 현상액을 남기지 않아 최초에 밀착기(3))를 통과하는 복사용지까지,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 재차 가동할 때의 첫 복사용지까지 모두 깨끗이 현상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별도의 캠휠(2)과 각각의 연결구(35)(45)를 부설하므로써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의 조절판(42)과 밀착기(30)의 스프링판(32)을, 복사기가 가동되고 중지될 때카다 신속하게 현상롤 (1)로 부터 착탈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장시간 접촉된 조절판과 스프링판에 의해 현상롤의 고무외피를 손상하게 하는 일이없으므로 고무외피에 의한 현상불량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현상룰(1)의 앞쪽으로 하향진 스프링판(32)을 가진 사각봉(31)으로 되는 밀착기(30)와, 뒷쪽으로는 상향된 조절판(42)을 가진 사각봉(41)으로 되는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로 되어, 상기 사각봉(31)(41)이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는 복사기의 현상부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1)의 연장축(11)에 캠휠(2)을 고정하여 그 외주면의 치차(21)(22)에 건 타이밍벨트(3)를 기어드 모우터(4)의 원동치차(5)에 연결하므로써 구동가능케 하고, 외주면의 일측에 형성한 또다른 캠면(22)이 그 하방의 마이크로 스위치(6)를 절환시키게 하므로써 정지되게 하며, 그 외측 측면의 캠면(23)에는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40)의 회동축(43)상에 부착된 연결구(45)끝의 돌기(44)가 항상 접촉되게 하므로써 조절판(42)을 회동축(33)상에 부착된 연결구(35)끝의 돌기(34)가 항상 접촉되게 하여 스프링판(32)을 회동가능토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사진 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착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8130U KR930006774Y1 (ko) | 1990-11-23 | 1990-11-23 | 청사진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착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00018130U KR930006774Y1 (ko) | 1990-11-23 | 1990-11-23 | 청사진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착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9992U KR920009992U (ko) | 1992-06-17 |
KR930006774Y1 true KR930006774Y1 (ko) | 1993-10-06 |
Family
ID=1930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00018130U KR930006774Y1 (ko) | 1990-11-23 | 1990-11-23 | 청사진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착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6774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211076A (ja) * | 2018-05-30 | 2019-1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1990
- 1990-11-23 KR KR2019900018130U patent/KR93000677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9992U (ko) | 1992-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57098A (en) |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 |
KR930006774Y1 (ko) | 청사진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액 도포량 조절기 및 밀착기의 착탈장치 | |
KR19990049505A (ko) | 정착기의 가압롤러 분리장치 | |
KR970076120A (ko) | 프로세스유닛 | |
CA2062230A1 (en) |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printing images by electrophotographic processing and its start-up method | |
US4205622A (en) |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and refreshing rollers for liquid developers | |
JP3396269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S55151661A (en) | Image position adjusting method of transfer paper in copying apparatus | |
JPS54105553A (en) | Image forming controller | |
JP2510977B2 (ja) | 複写装置 | |
JPH06308842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230335B1 (ko) | 인쇄장치 | |
JPS6250844A (ja) | 電子写真式記録装置 | |
JP3219440B2 (ja) | 現像装置の切換機構 | |
JPS5928182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322592B1 (ko)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기의 드라이유니트 | |
JPS61114284A (ja) | クリ−ニング装置 | |
JPH0350270B2 (ko) | ||
JPH0634136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850002483Y1 (ko) | 전자복사기의 청소장치 | |
JP200016290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424677A (ja) | 複写装置 | |
KR0165617B1 (ko) | 화상형성장치의 클리닝장치 | |
KR850001902B1 (ko) | 전자복사기 청소장치의 날개(Blade) 압접해체장치 | |
KR940003544B1 (ko) |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111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