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491B1 - 화장용도포용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용도포용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491B1
KR930006491B1 KR1019910004210A KR910004210A KR930006491B1 KR 930006491 B1 KR930006491 B1 KR 930006491B1 KR 1019910004210 A KR1019910004210 A KR 1019910004210A KR 910004210 A KR910004210 A KR 910004210A KR 930006491 B1 KR930006491 B1 KR 930006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od
fibers
cor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겐지 나까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겐지 나까무라 filed Critical 겐지 나까무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elding together bristles made of metal wires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용도포용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제1a 내지 d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1e도는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정면도.
제1f도는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평면도.
제1g도는 제1e도의 우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절단장치의 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a도는 제1a도에 대응.
제2b도는 제1도의 Ⅱb-Ⅱb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열압축성형 장치의 1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소재인 봉형상체(棒刑狀體)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4도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봉형상체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
제9a도는 손잡이부(1b)를 압축하기전의 정면도.
제9b도는 손잡이부(1b)를 압축한 후의 정면도.
제9c도는 손잡이부(1b)의 평면도.
제9d도는 제9b도의 우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개략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장치의 개략 평면도.
제13도는 봉형상체에 톱니모양을 넣는 절단장치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7도는 제13도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8도 내지 제20도는 톱니모양으로 부터 선단부의 외장부섬유 및 시이트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및 봉형 상체 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제11도의 화살표시(A)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8도는 제11도의 (B) 위치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19도는 제11도의 (C) 위치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20도는 제11도의 (D) 위치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21도 및 제22도는 톱니모양의 절단자국 부근의 외장부섬유를 가열압축하는 장치 및 봉형상체 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1도는 제11도의 화살표시(A) 방향에서 본 제11도의 (E)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22도는 제11도의 (F)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23도는 봉형상체 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제11도의 화살표시(A) 방향으로 본 제11도의 (G)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또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한 정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봉형상체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 및 봉형상체를 운송하는 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봉형상체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의 평면도.
제28도는 봉형상체(10)의 운송장치 및 가열성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장용도포용구 1a : 도포부
1b : 도포부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
1c : 손잡이부 2 : 심(芯)부 섬유
3 : 외장부섬유 4 : 시이트형상물
10 : 봉형상체 20,31 : 절단장치
25 : 가열성형장치 30 : 호퍼
32 : 봉형상체 지지휘일 33 : 압착로울러
34,35 : 회전날 35 : 가이드플레이트
40 : 봉형상체 운송장치 42 : 봉형상체받이 접시
47 : 파지부재 60 : 제거장치
63 : 붙잡기부재 70 : 가열성형장치
71 : 회전원반 73 : 히터
본 발명은 화장용도포용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포에서 미용지도를 행할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높은 기능의 도포기능을 가지며 또한 저렴한 가격의 1회용 화장용도포용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재료로서는, 입술연지, 볼연지, 아이셰도우 등의 종류가 있고, 이들 화장품의 도포용구로서 종래 말털이나 양털등의 솔이나 브러시가 사용되거나,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체류를 도포편으로 한 도포용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메이크업 화장품의 판매시에는 실제로 점포등에서 시험도포하는데, 이 경우에 화장용도포용구류를 사용한다.
그런데 시험 도포시에 동일 도포용구로 불특정다수인에게 화장품을 도포하는 것은, 도포 목적의 장소(즉 눈주위, 입술등)등을 생각하여도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화장품을 시험적으로 도포하는 사람이 다를 경우는, 그때마다 도포용구를 티슈페이퍼로 닦거나 또는 세정 및 건조하거나 하는 품이 든다. 종래의 솔 또는 브러시형태의 도포용구는 도포부에 직선형상의 섬유형상물은 사용하고 있고, 이 도포부로 되는 섬유의 밑부분을 금속으로 죄여서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자루에 부착하기때문에 제조에 품이들며 역시 상품이 고가로 되어서 일회용 상품으로 할수가 없었다.
특히 도포부에 말털이나 양털등의 천연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고가로 되며 이런것을 그때마다 1회용 용구로 한다는 것은 극히 비경제적이다.
또 발포체를 도포편으로 사용한 도포용구는 박판형상의 합성수지 심체표면을 발포체로 피복하여 도포부를 구성한 후 도포부를 손잡이부에 접착제로 접속하거나, 혹은 심(core)이 되는 두께의 얇은부분과 손잡이로 되는 굵은부분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합성수지제의 부품의 심부를 발포체로 피복하여 제조하고 있다.
상기한 어느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한개한개의 도포용구에 있어서 심부를 소정형상의 발포체로 피복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심체로 되는 합성수지체는 한개한개 소정위치에 세트한 후에 발포체로 피복하고 심 주위의 발포체를 뚫는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단히 품이 많이들며 제조코스트가 높게되어 1회용 도포용구로 하기에는 비경제적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일본국 특개평 1-119203호 공보 및 동실개평 1-72813호 공보에 아세테이트섬유 다발로 이루어지며 도포부만이 직선형상 섬유로 되고 그외는 크림프형상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용도포용구를 제안하였다.
또 아세테이트의 크림프형상 섬유를 다발로 묶어 제봉(製俸)처리한 후, 적당한 치수로 절단하는 제1의 공정, 상기 제1의 공정으로 얻어진 봉형상체의 한쪽끝을 날카롭게 절삭처리하여 도포부로 형성하는 제2의공정, 상기 제2의공정으로 얻어진 도포부에만 물을 함유한 처리액으로 도포 또는 침지처리하고 크림프형상 섬유를 직선형상 섬유로 하는 제3의 공정과, 상기 제3의 공정에서 얻어진 도포부를 건조처리하는 제4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도포용구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출원인이 처음으로 제안한 화장용도포용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포부는 섬유다발의 선단을 연마하거나 절삭에 의해 날카롭게 하고 있다. 그러나 크림프가 있는 섬유다발을 솔 형상으로 연마 또는 절삭하는 것은 작업효율이 나쁘며 생산성이 낮았다. 더구나 연마, 절삭한 곳에 보풀이 일고 그 때문에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졌다.
또 도포부의 뿌리부근을 연마 또는 절삭하기 때문에 도포부의 지지가 약해지고 중간 부분이 없어진다. 그결과 화장품, 예컨대 입술연지를 바를려고 하면 도포부의 뿌리장소에서 휘고말아 솜씨있게 화장품을 바르기가 곤란하여 화장용도포용구로 생각대로 선을 그리거나 소망의 곳에 소망하는 양의 화장품을 바르기가 곤란하였다.
또 연지솔의 경우는 입술윤곽을 그리는 것과 입술전체에 입술연지를 바르는 양쪽을 행하기 위하여 솔끝이 편평한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나 먼저 제안한 것으로는 편평한 형상의 것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첫번째 제안에서는 봉형상 섬유다발의 도포부가 되는 곳을 처리액으로 처리하고 크림프를 갖는 섬유의 크림프를 연신시켜 직선형상의 섬유로 하고 있으나 크림프를 충분하게 직선상으로 펼수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크림프가 남아있으면 화장품이 도포용구의 도포부중에, 즉 크림프에 의한 섬유 사이에 틈사이에 들어가고 말아 밖으로 나오지 않으므로 화장품을 솜씨있게 피부에 바를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바는 충분히 염가이며 또한 사용이 편하고 생각대로 화장품이 도포를 정확히 행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품도포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충분한 도포기능을 구비한 화장용도포용구을 염가로 또한 생산효율이 높게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용도포용구의 도포부 및 손잡이부의 적어도 선단부분이 섬유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화장용도포용구에 있어서, 사이 섬유다발이 심부와 외장부(sheath portion)로 되며, 심부는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다발이며, 외장부는 섬유간을 부분적으로 접합한 크림프를 가진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심부의 주위를 에워싸고 있고, 화장용도포용구의 도포부는 상기 심부의 직선형상 섬유로 이루어지며 ,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심부섬유와 외장부의 섬유로 이루어지고, 도포부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에 있어서 외장부가 섬유가 열압축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되는 심보와,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시킨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심부를 에워싸는 외장부로 이루어지는 소정길이의 봉형상 섬유다발을 준비하고, 상기 섬유다발의 끝부분에 있어서 심부섬유를 남기면서 외장부의 섬유를 제거하여 심부섬유를 노출시키고 이 노출된 심부섬유의 뿌리부근의 외장부의 열가소성 합성섬유를 열압축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부와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한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 된 외장부로 이루어지는 소정길이의 봉형상의 섬유다발을 공급하는 장치, 상기 섬유다발의 끝부분의 외장부섬유와 심부섬유에 달하기까지의 깊이에 원둘레방향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 상기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먼지의 끝부분의 외장부섬유를 제거하는 장치 및 상기 톱니모양의 절단자국 부근의 외장부섬유를 가열압축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장치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는 섬유다발로 구성되며, 더구나 외장부섬유에 크림프를 가지는 섬유를 상요하므로 원료비가 극히 저렴하다. 또, 도포부는 최초부터 직선형상인 섬유를 사용하므로 먼저 제안한 화장용도포용구와 같이 화장품이 크림프가 있는 섬유사이에 들어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에 있어서는, 도포부의 뿌리부분은 심부인 직선형상 섬유를 에워싸고 있는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외장부의 섬유가 절삭 또는 연마됨이 없이, 원래대로의 분량으로 열압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열압축된 외장부섬유는 단단하게 도포부의 섬유(심부섬유)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도포부가 단단히 지지되고 도포부의 뿌리부터 휘는 일이 없으므로 화장용도포용구로 생각대로 선을 그리거나, 소망하는 분량의 화장품을 바를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는 도포부의 뿌리를 열압축에 의해 편평하게 성형함으로써 도포부의 직선형상 섬유도 편평한 배치로 할 수 있으므로 연지솔로 대단히 적합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에 의하면, 도포부의 뿌리는 열압축되어 있으므로 연마나 절삭한 것처럼 보풀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정길이의 봉형상 섬유다발의 끝부분에 있어서 심부섬유를 남기면서 외장부의 섬유를 제거하여 심부섬유를 노출시키고 그 노출된 심부섬유의 뿌리부근의 외장부의 열가소성 합성섬유를 열압축성형만할 뿐 연마나 절삭을 행하지 않으므로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에 품이들지 않고 한개의 제조시간이 단시간으로 효율높게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장치는, 소정길이의 봉형상 섬유다발을 공급하는 장치, 상기 섬유다발의 끝부분의 외장부섬유에 심부섬유에 달하기까지의 깊이에 원둘레방향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 상기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먼저 끝부분의 외장부섬유를 제거하는 장치 및 상기톱모양의 절단자국 부근의 외장부섬유를 가열압축하는 장치로 구성되고, 이들 장치에 의해 차례대로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의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a 내지 d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제1e도는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정면도, 제1f도는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평면도, 제1g도는 제1e도의 우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절단장치의 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a도는 제1a도에 대응하는 것이며, 제2b도는 제1도의 Ⅱb-Ⅱb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열압축성형 장치의 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화장용도포용구(1)는 심부섬유(2)와, 이 심부섬유(2)의 주위를 에워싼 외장부섬유(3)로 형성되는 섬유다발로 구성되어 있다.
심부섬유(2)는 다수개의 직선형상의 섬유로 구성되고, 한편 외장부섬유(3)는 크림프를 가지는 다수개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며, 이 외장부섬유(3)는 섬유사이가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제1e~g에 도시한 것처럼, 도포용구의 도포부(1a)는 직선형상의 심부섬유(2)로 이루어지며, 도포용구의 손잡이부(1b,1c)는 심부섬유(2)와 외장부섬유(3)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도포부(1a)의 섬유는 모두 직선형상의 심부섬유(2)로 되어 있으므로 화장품이 섬유간격으로 이행하는 일은 없다. 또 손잡이부(1c)가 직선형상의 심부섬유(2)와, 크림프를 가지면서 섬유사이가 부분적으로 접합된 외장부섬유(3)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경도와 탄성이 유지되고 화장용도포용구(1)의 손잡이로서 쥐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의하면, 도포부(1a)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에 있어서는 외장부섬유(3)가 열압축에 의해 성형되고, 크림프를 갖는 섬유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압축전보다 단단하게 되어있다. 이경우, 도포부(1a)를 단단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도포부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는 도포부(1a)에 가까운쪽부분이 먼쪽부분보다도 크게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e~g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1b)는 상하방향으로 압축되어 있고, 정면에서 보면 도포부(1a)를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도록 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면 대략 원래의 폭그대로이며, 선단부에서는 편평한 형상으로 되고 내부의 심부섬유(2)도 편평한 상태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이 편평한 형상으로 한 도포부(1a)를 가지는 화장용도포용구(1)는 연지솔로 적합하다.
또한 도포부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원추형상으로 하거나 뒤에 제9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처럼 거의 한가지로 편평하게 압축하는등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심부섬유(2)로서는 레이온,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다. 도포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의 외장부섬유(3)를 열성형하는 관계상, 손잡이부(1b)의 성형온도에서는 연화 및 용융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레이온이 바람직하다.
심부섬유(2)의 단사섬도(單絲纖度)는 20~100데니어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연지솔로서는 40~70데니어 정도로 하면 좋다. 그리고 심부섬유(2)의 전체 굵기는 도포용구의 용도에 따라 가령 연지솔, 아이셰도우 도포용솔 또는 볼연지용 솔이냐에 따라 적절한 굵기로하면 된다. 가령 연지솔로서는 15,000데니어~25,000데니어 정도로 하면 좋다.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외장부섬유(3)로서는, 열가소성섬유, 특히 아세테이트섬유 또는 아크릴섬유가 적합하다. 혹은 외장부섬유(3)로서 비교적 저융점인 섬유와 비교적 고융점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합섬유, 예컨대 심·외장섬유(심부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등, 외장부에 저융점의 폴리에틸렌등)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외장섬유(3)로서 임의의 열가소성 섬유를 채용하고, 이 열가소성 섬유에 분말형상 열용융접착제를 부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분말형상 열용융접착제를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외장부섬유(3)로 심부섬유(2)를 에워싸기전에, 외장부섬유(3)에 분말형상 열용융접착제를 뿌려두면 된다.
외장부섬유(3)의 단사섬도는 2~10데니어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외장부섬유(3) 전체의 굵기는 심부섬유(2)의 굵기에도 관련하여 심부섬유(2)를 에워쌀 수 있도록 적절히 선정하면 되고, 그 경우, 압축되기전의 상태에 있어서 심부섬유(2)의 주위에 1㎜ 이상의 층(외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외장부섬유(3)의 크림프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당 1개 이상의 크림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의 길이당 2~12개의 균일한 크림프를 가지는 것이다.
외장부에 크림프를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은, 섬유의 사용량을 절약하여 염가로 하기 위해서이다. 가령 2데니어로 3~10개/㎝의 크림프 형상섬유를 사용하여 6.5㎜ 지름의 섬유집속체를 얻는 경우, 필요한 개수는 약 4만개에 대하여 직선형상 섬유만으로 같은 지름의 것을 만들 경우에는 13만개를 필요로 한다.
크림프를 가지는 외장부섬유(3)는 섬유사이가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이 접합은 용제 또는 가소제를 부분적으로 섬유에 부착시키고 섬유를 부분적으로 용해시켜 섬유끼리 점결합시킴으로써 행하여진다. 이와같이 섬유끼리 점결합시킴으로써 섬유집속체로서 봉형상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적절한 경도를 부여한다.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시키기 위한 용제 또는 가소제로서는, 아세테이트섬유의 경우, 부티로락톤,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트리아세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디프로피오네이트에스테르, 디부틸에니트에스테르, 디메톡시에틸프탈레이트, 시트르산트리에틸에스테르, 1,3-부틸렌글리콜의 디아세테이트등을 사용하면 된다.
또 아크릴섬유의 용제 또는 가소제로서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시클로헥산,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용제(가소제)의 부착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건에 의한 방법, 로울러코팅에 의한 방법등 공지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섬유토우의 상하양면에 부착시킨다. 용제(가소제)의 양이 현저하게 많으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는 용해되어 도우(dough) 형상으로 되므로 균일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소망스럽다.
또 너무 적으면 섬유사이가 쉽게 헝클어지기 때문에 화장품을 바를때에 손잡이 지지부에 갈라짐이 생겨 사용성아 나빠진다. 따라서 용제(가소제)의 양은 아세테이트에 대하여 2~20중량% 정도가 양호하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용제 또는 가소제를 사용하여 크림프를 가지는 외장부섬유(3)의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시키고 있으나, 다른 접합방법으로서 가열에 의해 행하여도 무방하다.
즉, 복합섬유의 경우, 가열에 의해 저융점섬유를 부분적으로 용융하여 외장부섬유(3)의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하여도 무방하다.
또 열가소성섬유에 열용융접착제를 뿌리는 경우에도 가열에 의하여 열용융접착제가 용융하여서 크림프를 가지는 외장부섬유(3)의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시킨다. 이와같이 용제나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만든 화장용도포용구는, 매니큐어 등과 같이 용제를 함유하고 있는 화장품을 바르는 것에 적합하다.
제9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9a도는 손잡이부(1b )를 압축하기전의 정면도, 제9b도는 손잡이부(1b)를 압축한 후의 정면도, 제9c도는 그 평면도이고, 제9d도는 제9b도의 우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화장품도포용구는, 제1실시예의 화장용도포용구와 다음의 점에 있어서, 상이하나, 그외의 점은 먼저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이 실시예의 화장용도포용구(1)의 손잡이부(1c)의 외주면에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되는 시이트 형성물(4)이 감아붙여져 있는점 밑 도포부(1a)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가 대략 동일하게 압축되어 편평하게 되어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의 화장용도포용구와 상이하다.
시이트형상물(4)은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봉형상의 심부·외장부섬유다발을 형성할때에 사용하는 것이며, 제1실시예에서는 제거하고 있으나 이 실시예와 같이 시이트형상물(4)로 봉형상 섬유다발의 바깥둘레를 피복한채 화장용도포용구의 손잡이부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부로 되는 봉형상 섬유다발부분을 시이트형상물(4)로 피복함으로써 화장용도포용구의 손잡이부(1c)의 경도가 커지며, 따라서 화장품의 도포시에 손잡이부(1c)가 구부러지거나 휘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도포용구로서 매우 쓰기가 편하게 된다.
또 시이트 형상물(4)을 착색함으로써 고급감을 얻을수도 있다. 그외, 크림프를 가지는 외장부섬유는 오염물을 흡착하기 쉬운것이나, 이 외장부섬유에 비교하여 시이트형상물쪽이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제9a~d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이트형상물을 손잡이부의 일부(1c)만을 피복하고 있으나, 열수축성을 가지는 필름을 사용하려면 도포부(1a)이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의 부분도 필름으로 피복한채로 하고, 이 도포부(1a)이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를 열압축할때에 외장부섬유(3)와 함께 열수축시켜도 무방하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화장용도포용구와는 달라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와 손잡이부, 즉 심부섬유(2)와 외장부섬유(3)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b,1c)는 짧게 하고, 이것과는 별도로 종이통이나 합성수지 파이프 등으로 되는 통체(5)를 준비하고, 이 통체(5)의 앞끝에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를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부분은 1회용으로 되어 있으며, 통체(5)의 부분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 통체(5)에 의해 화장용도포용구로서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제24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또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의 화장용도포용구와는 달리 도포부로 되는 심부섬유(2')에 입술연지나 아이셰도우 등의 화장품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화장품이 부착된 도포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캡(6)이 씌워져 있다. 이 캡은 화장용도포용구를 사용할 때 도포부와 반대쪽인 손잡이부에 씌우면, 손잡이부의 일부로 되어 손잡이부가 길어져 사용이 편하게 된다. 또 제10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통체(5)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제25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24도 실시예와 같이 도포부로 되는 심부섬유(2')에 화장품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캡(6) 대신에 유연한 투명필름, 예컨대 염화비닐, PP, PF등의 필름을 반절한 보호시이트(7)가 도포부의 양면을 덮고 있다. 보호시이트(7)는 도포부에 발라진 화장품에 둘러붙으므로 바로 벗겨지지 않는다.
제24도 및 제25도의 실시예와 같이 도포부의 심부섬유에 화장품을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화장용도포용구를 제조한 후, 심부섬유의 앞끝에 화장품을 긁어서 바르거나, 혹은 화장품을 녹인상태 또는 액상으로 하고, 그곳에 심부섬유의 앞끝을 담그거나 하면 된다.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화장용도포용구는 화장품의 시제품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즉 도포용구 자체에 시험용 화장품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바르기 쉽다. 또 종래의 시험용 화장품은 작은 용기에 넣어 소비자에 무료로 배부하고 있으나, 용기의 크기관계로 1회의 도포분량보다 더 많은 화장품을 배부하게 된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 의하면, 1회용 도포용구에 1회 사용분의 화장품만을 부착시키면 되므로, 종래의 시제품에 비하여 낭비가 없어진다. 이와같이 시제품의 화장품을 부착시키는 경우에, 캡(6)을 투명한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면 부착시킨 화장품의 색을 밖에서 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심부섬유도 투명 혹은 백색으로 하면, 화장품의 색상을 쉽게 알수 있다.
입술연지를 부착시키는 경우, 도포부가 편평하게 되도록 손잡이부를 열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이셰도우를 부착시키는 경우는 원추형이 되도록 도포부부근의 손잡이부를 열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는 도시한 것처럼 시이트형상물(4)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이트형상물(4)은 없어도 무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의 설명에 앞서, 제4도로부터 제8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소재인 봉형상체(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에 소재인 봉형상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4도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봉형상체의 사시도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것처럼, 크림프를 가지는 토우형상의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를 공지의 토우처리기로 개섬(開纖)한다.
이 개섬된 크림프를 가지는 토우형상의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에 대하여 다수개의 직선형상필라멘트로 된 심부섬유(2)를 다발로 한 상태로 공급한다.
직선형상 필라멘트로 된 심부섬유(2)를 공급하기전 또는 후에 있어서, 개섬된 토우형상의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에 제1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용제 또는 가소제를 스프레이건이나, 로울러코팅에 의해 토우형상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의 상하 양면에 균일하게 부착시킨다.
그후, 직선형상 필라멘트의 심부섬유(2)를 중심으로하여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가, 그 주위를 에워싸듯이 가이드(11)에 의해 개섬상태에 토우형상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 및 직선형상 필라멘트의 심부섬유(2)를 안내하고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를 모아서 다발로 만든다. 종이 또는 필름 등의 시이트형상물을 감은 로울(14)로부터 시이트형상물(4)을 상기에서 모아져 다발로 된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에 대하여 공급하다(제6도 참조).
그리고 가이드(12)에 의해 시이트형상물(4)은 모아져 다발로된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의 바깥둘레를 피복하도록 안내된다. 이 경우, 시이트형상물의 길이방향쪽 가장자리에 접착제를 부여하고, 시이트형상물(4)의 양쪽 가장자리를 겹친상태로 하여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접착시켜도 된다 (제7도 참조).
가이드(12)를 통과한 연속된 봉 형상물을 절단장치(13)에 의해 소정길이로 절단한다. 그리고 그대로 방치 또는 냉각시키면, 용제 혹은 가소제에 의해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섬유다발의 외장부섬유(3)의 섬유사이에 점접함이 형성되고, 봉형상체로 성형 고정된다. 이와같이하여 제8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소재인 봉형상체(10)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 도시한 것과같이 화장용도포용구의 소재인 봉형상체(10)에 시이트성형물(4)을 제거하여, 제1a도에 도시하는 봉형상섬유다발을 준비한다. 이 섬유다발의 한쪽끝에서 희망하는 거리의 장소에 절단장치(20)를 댄다.
제2도에 도시한 절단장치(20)는, 예컨대 전성의 피복을 벗기는데 사용하는 니퍼와 같이, 칼날부에 직선형상부분의 칼날(21)과 원호형상부분칼날(22)이 있다.
제1b도 및 제2b에 도시한것처럼 절단장치(20)의 두칼날(21,22)을 맞물려 섬유다발을 절단한다. 절단장치(20)의 칼날부에 원호형상부분의 칼날(22)을 설치하고 있기때문에, 직선형상섬유의 심부섬유(2)는 절단되지 않고, 크림프를 가지는 외장부섬유(3)만이 절단된다.
그리고 제1b도에 있어서 화살표(A)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절단장치(20)를 이동시키면, 절단된 끝부분의 외장부섬유(3)는 절단장치(20)와 함께 이동하여 제거되고, 제1c도에 도시한것처럼 도포부(1a)로 되는 심부섬유(2)가 노출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제1d도 및 제3도에 도시한것처럼, 가열성형장치(25)에 의해 도포부(1a)의 뿌리부근의 외장부섬유(3)를 성형한다. 제3도에 도시한 가열성형장치(25)는 테이퍼가 부착된 2개의 형으로 이루어지며 각형에는 가열히터가 내장되어 있다. 2개의 형 사이에 도포부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를 끼우고 상하로부터 틀을 닫으면 도포부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1b)의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의 외장부섬유(3)가 압축되고 가열성형장치(25)의 열에 의해 압축상태로 고정된다.
성형온도는 외장부섬유의 열가소성섬유가 연화할 정도의 온도이며, 아세테이트 섬유의 경우는 200~230℃이며, 아크릴섬유의 경우는 190~240℃이다. 또 심부섬유(2)에 나일론등과 같은 열가소성섬유를 사용하는 경우는 심부섬유(2)의 연화온도보다도 성형온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가열성형장치(25)에 섬유다발을 세트한 때의 도포부(1a)로 되는 심부섬유(2)가 접하는 가열성형장치(25)의 부분이 성형온도보다 낮게 되도록 설계하면 좋다.
그리고 가열성형장치(25)로부터 섬유다발을 꺼내면, 제1e~g도로 도시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화장용 도포용구(1)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11도에서 제2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위한 제조장치의 개략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장치의 개략평면도(특히, 호퍼를 빼고 도시하고 있다), 제13도는 봉형상체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5도는 제13도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7도는 제13도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18도 내지 제20도는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먼저 끝부분의 외장부섬유 및 시이트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및 봉형상체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제11도의 화살표시(A)방향에서 본 측면도로서, 제18도는 제11도의 (B)위치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19도는 제11도의 (C)위치에 있어서의 측면도, 제20도는 제11도의 (D)위치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며, 제21도 내지 제23도는 톱니모양의 절단자국 부근의 외장부섬유를 가열압축하는 장치 및 봉형상체 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21도는 제11도의 화살표시(A)방향에서, 본 제11도의 (E)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22도는 제11도의 (F)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23도는 봉형상체 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제11도의 화살표시 (A)방향에서 본 제11도의 (G)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먼저 호퍼(30)에 제4도에 관하여 설명한것과같은 봉형상체(10)를 공급한다. 봉형상체(10)는 호퍼(30)의 하단에서 정렬한 상태로 1개씩 절단장치(31)에 공급된다.
절단장치(31)는 회전가능한 한쌍의 봉형상체 지지휘일(32), 이들 봉형상체 지지휘일(32)사이에 있는 압착로울러(33), 압착로울러(33)의 연장선상에 압착로울러(33)와 동일축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회전날(34,35) 및, 가이드플레이트(36)로 구성된다(제13도로부터 제17도까지 참조).
봉형상체지지휘일(32)은 제14도에 도시한것처럼 그 바깥둘레에 봉형상체(10)를 수용하는 다수의 오목부(32a)가 설치되어 있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착로울러(33)는 봉형상체(10)를 가이드 플레이트(36)에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그 외주면의 마찰계수가 높아지도록한다. 예컨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거나, 혹은 마찰계수가 높아지도록 표면가공(예컨대 로우레트가공)을 한것으로 한다. 압착로울러(33)는 봉형상체 지지휘일(32)과 일체적으로 화살표시방향으로 회전한다.
가이드 플레이트(36)는 고정설치된 원호형상의 안내판이며, 봉형상체 지지휘일(32)의 오목부(32a)에 수용된 봉형상체(10)가 떨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압착로울러(33)과 협동하여 봉형상체(10)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자전)시킨다.
즉, 봉형상체 지지휘일(32)의 오목부(32a)에 수납된 봉형상체(10)가 봉형상체 지지휘일(32) 및 압착로울러(33)의 회전을 좇아 원호형상통로(가이드 플레이트(36)와 압착로울러(33)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형상통로)에 따라 진행해갈 때에 봉형상체(10)는 압착로울러(33)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36)에 가압되고 그 결과, 봉형상체(10)는 압착로울러(3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행한다(제15도 참조).
제13도,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것처럼, 2개의 회전날(34,35)중 봉형상체 지지휘일(32)에 가까운 쪽의 회전날(34)은, 봉형상체(10)의 시이트 형상물(4)에 원둘레방향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제2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기위한 것이며, 다른쪽의 회전날(35)은 심부섬유(2)를 남겨 봉형상체(10)의 시이트 형상물(4) 및 크림프를 가지는 외장부섬유(3)에 원둘레방향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제1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회전날(34)의 지름보다 회전날(35)의 지름쪽이 크다.
봉형상체(10)가 원호형상통로를 따라 진행할 때에 2개의 회전날(34,35)에 접촉하는 동시에 봉형상체(10)가 자전케되므로 각각의 회전날(34,35)에 의해 봉형상체(10)의 원둘레전체에 걸쳐 2개의 톱니모양이 형성된다. 또 회전날(34)에는 지나친 톱니모양의 절단자국 방지용 가이드(34a)를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제16도 참조). 회전날(35)에도 지나친 톱니모양 방지용 가이드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회전날(34 및 35)은, 봉형상체 지지휘일(32)과 압착로울러(33)의 회전과 동조하여 회전시켜도 무방하나, 이들보다 고속회전시키는 것이 쉽게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내는데 바람직하다.
절단장치(31)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호퍼(30)에서 절단장치(31)에 공급된 봉형상체(10)는, 봉형상체 지지휘일(32)의 오목부(32a)에 수용되어 자전하면서 원호형상통로를 거쳐 아래쪽으로 반출된다. 그리고 원호형상통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봉형상체(10)의 시이트 형상물(4) 및 외장부섬유(3)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이 형성된다.
다음에 절단장치(31)로부터 1개씩 송출된 봉형상체(10)는, 절단장치(31)의 아래쪽에 설치된 봉형상체 운송장치(40)에 탑재된다. 운송장치(40)는 한쌍의 어태치먼트부 체인(제18도~제23도에서는 어태치먼트를 부호(41)로 나타내고, 체인부분은 생략하고 있다) 및 다수의 봉형상체 받이접시(42)를 구비하고 있다.
각 봉형상체 받이접시(42)는 어태치먼트(41)에 걸쳐진 축(43)에 미끄럼 움직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44)에 의해 한쪽방향(제18도에서는 좌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한편, 가이드캠(46)이 기계받침대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어태치먼트부 체인은 바람직하기는 전 둘레 혹은 적어도 제11도의 (B)위치에서 (G)위치 근방까지 뻗어있다.
그리고 봉형상체 받이접시(42)의 하부에는 가이드 로울러(45)가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44)이 힘에 의해 가이드캠(46)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봉형상체 받이접시(42)는 어태치먼트부 체인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캠(46)의 형상에 좇아 축(43)에 따라 좌우로 미끄럼이동한다.
봉형상체 받이접시(42)의 윗면에는 파지부재(47)가 추축(樞軸)(47a)에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스프링(48)에 의해 봉형상체(10)를 쥐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파지부재(47)의 끝부분에 가이드 로울러(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로울러(49)는, 제11도에 있어서의 (B)위치의 전후에 설치된 가이드(50) 및 (G)위치의 바로앞에 설치된 가이드(51)와 걸어맞추어져, 스프링(48)의 힘에 저항하여 파지부재(47)를 파지위치(제19~22도 참조)로부터 해방위치(제18도 또는 제23도 참조)로 회전이동시킨다.
다음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앞쪽의 외장부 섬유 및 시이드 형상물을 제거하는 장치(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절단장치(31)에 의해 형성된 제1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앞의 외장부섬유(3) 및 시이트 형상물(4)을 제거하는 장치와, 제2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앞의 끝부분의 시이트형상물(4)을 제거하는 장치가 일체로 구서되어 있다.
제거장치(60)는 어태치먼트부 체인의 이동속도와 대략 동일속도로 이동하는 콘베이어와 이 콘베이어에 부착한 다수조의 제거기구로 형성된다.
각조의 제거기구는 한쪽끝이 선회운동이 가능하게 핀 연결된 한쌍의 붙잡기 부재(63)와, 붙잡기부재(63)의 개폐를 제어하는 링크부재(64)를 구비하고 있다. 붙잡기부재(63)는 속 빈 로드(65)의 앞끝에서 개폐되도록 선회가능하게 접합되고, 붙잡기부재(63)의 자유단에는 시이트 형상물(4) 및 외장부 섬유(3)를 쥐는 파지면(63a)이 성치되어 있다.
이 파지면(63a)에는 시이트 형상물(4) 및 외장부 섬유(3)를 단단히 쥐기 위해 적절한 요철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로드(66)는 속빈 중공로드(65)속을 관통하여, 또한 그속에서 미끄럼움직임이 가능하고, 로드(66)의 앞끝이 한쌍의 링크부재(64)의 한쪽끝이 선회가능하게 접합되고, 링크부재(64)이 다른 쪽끝은 붙잡기부재(63)의 중앙부근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링크부재(64) 개폐용의 로드(66)를 미끄럼움직이게 함으로써, 제18도로 도시한 것처럼 붙잡기부재(63)가 열린상태와, 제19도에 도시한 것처럼 붙잡기부재(63)가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다. 로드(66)이 미끄럼움직임은, 예컨대 기계받침대에 고정된 적절한 캠 등으로 행하면 되고, 콘베이어(61)의 이동에 따라 붙잡기부재(63)의 개폐가 행하여진다.
상기한 봉형상체 운송장치(40)와 협동하여 제거장치(60)가 작용하고, 봉형상체(10)의 끝부분의 외장부 섬유(3) 및 시이트 형상물(4)을 제거한다. 즉, 먼저 제18도에 도시한 것처럼 절단장치(31)의 아래쪽 (B)위치에서 절단장치(31)에서 반출된 봉형상체(10)가 운송장치(40)의 봉형상체 받이접시(42)위에 옮겨탄다. 이때 운송장치(40)의 파지부재(47)는 가이드(50)에 의해 윗쪽으로 들어올려진 행방위치에 있고, 한편, 제거장치(60)의 붙잡기부재(63)도 열린 상태이다.
그리고, 봉형상체의 받이접시(42) 및 붙잡기부재(63)가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제12도의 (C)위치에 도달하면, 제19도에 도시한 것처럼 붙잡기부재(63)가 닫혀져서, 봉형상체(10)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이 있는쪽의 끝부분을 단단히 쥔다. 동일하게 가이드 로울러(49)와 가이드(50)와의 걸어맞춤이 벗겨져 파지부재(47)는 봉형상체(10)의 다른 끝을 쥔다. 이 경우, 봉형상체 받이접시(42)는 스프링(44)에 의해 제19도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당겨지고 붙잡기부재(63)에 접근한 전진위치에 있게된다.
다시 봉형상체 받이접시(42) 및 붙잡기부재(63)가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D)위치에 도달하면 제20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즉, 봉형상체 받이접시(42)는 가이드캠(46)에 의해 제19도에 도시한 전진상태로부터 제20도에 도시한 것처럼 우측방향으로 당겨지고 붙잡기 부재(63)에서 떨어진 후퇴위치로 된다.
이때 파지부재(47)는 봉형상체(10)의 끝부분을 쥔상태이며 한편 붙잡기부재(63)도 닫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앞의 봉형상체 끝부분의 외장부섬유(3)와 시이트 형상물(4)은 붙잡기부재(63)에 쥐어진 그대로이나, 봉형상체(10)는 전체로서 봉형상체 받이접시(42)와 함께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앞의 부분으로 분리된다.
그결과,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형상체(10)의 끝부분에서는 심부섬유(2)가 노출되고, 또 시이트 형상물(4)이 제거되어 외장부 섬유(3)가 노출한다.
이와 같이하여 끝부분에 있어서 심부섬유(2) 및 외장부 섬유(3)가 노출된 봉형상체(10)는, 파지부재(47)에 쥐어진채 가열성형장치(70)로 운송된다.
가열성형장치(70)는 원반면에 복수개의 구멍(72)을 설치한 회전원반(71)과 회전원반(7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며 회전원반(71)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73)로 구성된다.
회전원반(71)의 구멍(72)은, 봉형상체 운송장치(40)의 각 파지부재(47)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고 회전원반(71)은 봉형상체 운송장치(40)의 이동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구멍(72)은 노출된 외장부 섬유(3)의 형상을 소망의 형상으로 압축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노출된 외장부섬유(3)를 압축성형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테이퍼가 붙은 부분과 그것에 연속되는 원통형부분(외장부 섬유(3)의 가열압축성형시 심부섬유(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가열성형장치(70)는 봉형상체 운송장치(40)와 협동하여 작용하고, 다음과 같이하여 봉형상체(10)의 끝부분의 외장부 섬유(3)를 가열압축한다.
즉, 봉형상체 반송장치(40)의 파지부재(47)에 쥐여진 봉형상체(10)가,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E)위치까지 진행해오면 봉형상체(10)와 가열성형장치(70)의 구멍(72)줄이 한줄로 늘어서게 된다(제21도에 있어서의 윗쪽의 봉형상체(10)를 참조). 이경우, 봉형상체 받이접시(42)는 아직 우측으로 이동한 후퇴위치에 있다.
그리고 봉형상체 운송장치(40)가 다시(제11도에서 시계방향으로)이동하면, 그 이동한 위치에서는 가이드캠(46)이 가열성형장치(70)의 근방에 치우쳐 있고 봉형상체 받이접시(42)는 스프링(44) 및 가이드캠(46)에 의해 전진위치로 다시 좌측방향(제22도에 있어서 화살표시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2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11도의 (F)위치에서 봉형상체(10)의 앞끝은 가열원반(71)의 구멍(72)에 질러지고 외장부 섬유(3)가 압축상태로 가열된다.
구멍(72)에 봉형상체(10)의 앞끝을 질러넣은채 파지부재(47)가 더욱 진전하고 제11도에 도시한 것처럼 (E)위치의 반대측(회전축에 관해서는 거의 대칭의 위치)까지 진행하면 봉형상체 받이접시(42)가 재차 가이드캠(46)에 안내되어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봉형상체(10)의 앞끝이 회전원반(71)이 구멍(72)에 빠진다(제21도에 있어서의 아래측의 봉형상체(10)을 참조). 봉형상체(10)의 앞끝의 외장부 섬유(3)는 테이퍼 형상으로 성형되고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1)로 된다.
그리고, 봉형상체 운송장치(40)가 다시 이동하여 제11도의 (G)위치까지 오면 제23도에 도시한 것처럼 파지부재(47)에 부착된 가이드 로울러(49)가 가이드(51)에 맞닿아 스프링(48)에 저항하여 파지부재(47)를 열고 화장용도포용구(1)를 해방시킨다.
화장용도포용구(1)는 낙하하여 아래쪽에 설치된 수납상자에 수납되고 또는 적절한 운송 콘베이어(80)에 의해 소정위치에 반출된다.
제26도는 봉형상체에 톱니모양이 절단자국을 넣은 절단장치 및 봉형상체를 운송하는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제27도는 제26도의 봉형상체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이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봉형상체(10)는 호퍼(30) 바닥면의 출구로부터 정렬된 상태로 1개씩 운송기구(130)에 공급된다.
운송기구(13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방사형상으로 뻗는 4개의 아암(131)을 구비하고 있고 90°씩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각 아암(131)의 앞끝에는 한쌍의 자유회전이 가능한 로울러(1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131)의 개수 및 간헐회전각도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적절하게 선정하면 된다.
호퍼(30)의 바닥면에 출구에서 공급된 봉형상체(10)는 한쌍의 로울러(132) 사이에 넣어져 가볍게 끼워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90°회전된 위치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형성장치(120)가 설치되어 있다. 톱니모양의 절단자국형성장치(120)는 칼날지지체(123), 이것에 지지되는 2개의 칼날(121,122)과 회전로울러(124)를 구비하고 있다. 칼날지지체(123)는 유체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등의 적절한 구송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2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또 회전로울러(124)는 전동모터 등의 적절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봉형상체(10)에 접촉하여 봉형상체(10)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자전)시킨다.
칼날(121,122)이 왕복이동하는 동안, 회전로울러(124)에 의해 봉형상체(10)가 자전하게 되므로 봉형상체(10)의 둘레면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이 형성된다. 한쪽의 칼날(121)은 심부섬유(2)를 남가고 봉형상체(10)의 시이트 형상물(4) 및 크림프를 가지는 외장부 섬유(3)에 원둘레방향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제1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기 위한 것이며, 다른쪽의 칼날(122)은 봉형상체(10)의 시이트 형상물(4)에 원둘레방향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제2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기위한 것이다.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형성한 후, 아암(131)이 다시 90°회전하면 아암(131)은 거의 수직위치에 도달하므로, 아암(131)의 앞끝의 한쌍의 로울러(132) 사이에 가볍게 끼워진 봉형상체(10)는, 그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배치된 호퍼(133)속으로 낙하한다.
제28도는 봉형상체(10)의 운송장치 및 가열성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봉형상체 운송장치(140)는, 복수개의 봉형장치(10)를 유지하는 봉형상체 수용부재(141)를 구비하고 이 봉형상체 수용부재(141)에는 봉형상체(10)를 받아들이는 복수개의 오목부(142)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42)이 바닥면에는 구멍(143)이 설치되어 이 구멍(143)은 진공원으로 접속되어 있는 가용성 파이프(144)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원을 작동시키면서 다수의 봉형상체(10)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 예컨대 호퍼에 봉형상체 운송장치(140)를 인공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근접시키면, 봉형상체(10)는 흡인되어 수용부재(141)의 각 오목부(142)에 정렬된 상태로 흡착된다. 이대로의 상태로 사람 혹은 기계에 의해 다음의 가열성형장치(160)의 장소까지 가요성 파이프(144)를 뻗어서 운반하면 된다.
가열성형장치(160)에 대면하여 별도의 운송장치(1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봉형상체 운송장치(150)도 먼저 설명한 봉형상체 운송장치(140)와 동일한 구성이며 봉형상체 수용부재(151)에는 봉형상체(10)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오목부(152)가 봉형상체 운송장치(140)의 오목부(142)와 동일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52)의 바닥면에는 가요성 파이프(154)를 통하여 진공원에 연통되어 있는 구멍(15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진공원을 작동시키면서 앞의 봉형상체 운송장치(140)에 흡착시킨 봉형상체(10)를 근접시켜 봉형상체(10)에 봉형상체 운송장치(150)의 흡인력을 작용시킨 상태로 봉형상체 운송장치(140)를 약간 움직여 오목부(142)의 구멍(143)으로 부터 공기가 들어가게하면 간단하게 봉형상체 운송장치(150)로 옮길 수 있다.
가열성형장치(160)는, 가열판(161)과 이것을 전후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기구(예컨재 유압기구등, 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봉형상체(10)를 동시에 가열성형할 수 있다. 즉, 가열판(161)에는 복수개의 구멍(162)이 봉형상체 운송장치(150)의 오목부(152)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구멍(162)은 예컨대 테이퍼가 붙은 부분과 그것에 연결되는 원통형 부분(외장부 섬유(3)의 가열압축성형시에 심부섬유(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가열 성형장치(160)는 봉형상체 운송장치(150)의 오목부(152)에 흡착 유지된 봉형상체(10)에 접근하고, 그리고 구멍(162)에 봉형상체(10)의 선단부를 수용하며, 그때에 선단부에 외장부 섬유(3)를 가열압축성형한다.
또한 연지솔과 같이 심부섬유를 편평하게 정렬시킬 경우는, 가열성형장치(160)에 병렬시켜 프레스 장치(170)를 배치해 두고 가열성형장치(160)로 일단 가열성형한 봉형상체(10)를 다시 프레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열성형장치(160)로 가열된 직후의 봉형상체(10)를 봉형상체 운송장치(15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프레스 장소까지 운송하면 된다.
이와 같이하면, 봉형상체(10)에 여열이 남아있으므로 프레스 장치(170)의 프레스판을 가열하지 않아도 된다. 프레스 장치(170)에 의해 봉형상체의 오목부(152)에 흡착 유지된 복수개의 봉형상체(10)를 동시에 프레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용도포용구가 섬유다발로 구성되고 더구나 외장부섬유를 크림프를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므로 비교적 적은 섬유 올수로 구성되며 그 때문에 원료비가 극히 염가로 된다.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에 있어서는 도포부의 뿌리부분은 심부섬유를 에워싸고 있는 외장부 섬유가 절삭 또는 연마됨이 없이 원래대로의 분량으로 열압축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므로 열압축된 외장부 섬유가 단단히 도포부의 심부섬유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에 의하면, 도포부의 뿌리부터 휘는 일이 없으므로 이 화장용도포용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생각대로의 선을 그리거나 소망의 분량으로 바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부의 뿌리를 열압축에 의해 편평하게 성형함으로써 도포부의 직선형상의 섬유도 편평한 배치로 할 수 있으므로 연지솔로서 대단히 적합한 형태로 할 수 있을 뿐더러 도포부의 심부섬유에 화장품을 부착시킴으로써 화장품의 시제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안성맞춤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소정길이의 봉형상의 섬유다발의 끝부분에 있어서 심부섬유를 남기고 외장부의 섬유를 제거하여 심부섬유를 노출시키고 그 노출된 심부섬유의 뿌리부근의 외장부의 열가소성 함성섬유를 열압축성형하는 것 뿐이며 연마나 절삭을 행하지 않으므로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에 품이 들지 않으며 1개 제조시간이 짧아 차례로 본 발명의 화장용도포용구를 효율좋게 생산 할 수 있다.

Claims (16)

  1. 화장용도포용구의 도포부 및 손잡이부의 적어도 선단부분이 섬유다발로 구성되어 있는 화장용도포용구에 있어서, 상기 섬유다발이 심부섬유와 외장부섬유로 이루어지며, 심부섬유는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형성되는 섬유다발이며, 외장부섬유는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한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되며, 상기 심부섬유의 주위를 에워싸고 있고, 화장용도포용구의 도포부는 상기 심부의 직선형상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심부섬유와 외장부 섬유로 형성되며, 도포부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에 있어서 외장부 섬유가 열압축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2. 화장용도포용구의 도포부 및 손잡이부의 적어도 선단부분이 섬유다발로 구성된 화장용도포용구에 있어서, 상기 섬유다발이 심부섬유와 외장부섬유로 이루어지고, 심부섬유는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형성되는 섬유다발이며, 외장부섬유는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한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심부의 주위를 에워싸고 있고, 화장용도포용구의 도포부는 상기 심부섬유의 직선형상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심부섬유, 상기 외장부 섬유와 시이트 형상물로 이루어지며, 도포부의 뿌리부근의 손잡이부에 있어서 외장부 섬유가 열압축성형되어 있고, 손잡이부의 열압축성형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외주면에 상기 시이트 형상물이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섬유가 레이온,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선출된 적어도 1종류의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섬유의 단사섬도가 20데이어 내지 10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섬유가 아세테이트 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 섬유의 단사섬도가 2데니어 내지 1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포부가 되는 심부섬유에 화장품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8.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부섬유와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한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심부를 에워싸고 외장부섬유로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봉형상의 섬유다발을 준비하고, 상기 섬유다발의 끝부분에 있어서 심부섬유를 남기고 외장부섬유를 제거하여 심부섬유를 노출시키고, 이 노출된 심부섬유의 뿌리 부근의 외장부섬유인 열가소성 섬유를 열압축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방법.
  9.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부섬유와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시킨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 된 외장부섬유로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섬유다발과, 이 섬유다발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시이트 형상물로 구성된 봉형상체를 준비하고, 상기 봉형상체의 끝부분에 있어서 심부섬유를 남기고 시이트 형상물 및 외장부섬유를 제거하여 심부섬유를 노출시켜 이 노출된 심부섬유의 뿌리 부근의 외장부섬유인 열가소성 섬유를 열압축성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심부섬유를 노출시키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외장부섬유의 열압축성형되는 부분까지 사이의 상기 시이트 형상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방법.
  11. 다수개의 직선형상 필라멘트를 크림프가 있는 토우상의 열가소성 섬유 다발에 대하여 공급하고, 상기 직선형상 필라멘트를 공급하기전 또는 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섬유다발에 용제 또는 가소제를 부착시켜 상기 열가소성 섬유다발에 대하여 시이트 형상물을 공급하고, 상기 직선형상 필라멘트가 중심이 되며 또한 그 주위를 크림프가 있는 상기 열가소성 섬유다발로 둘러싸고, 다시 상기 시이트 형상물이 상기 열가소성 섬유다발의 바깥둘레를 피복하도록 가이드로 안내하고, 가이드를 통과한 연속 봉형상물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봉형상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소재의 제조방법.
  12.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부섬유와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한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된 외장부섬유로 형성된 소정길이의 봉형상의 섬유다발을 공급하는 장치, 상기 섬유다발의 끝부분의 외장부섬유에 심부섬유로 도달할때까지의 깊이로 원주방향으로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 상기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앞끝부분의 외장부 섬유를 제거하는 장치와, 상기 톱니모양의 절단자국부근의 외장부 섬유를 가열압축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장치.
  13. 다수개의 직선형상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부섬유 및 섬유사이를 부분적으로 접합한 크림프를 가지는 열가소성 섬유로된 외장부섬유로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섬유다발과 이 섬유다발의 외주면을 둘러싼 시이트형상물로 구성되는 봉형상체를 공급하는 장치, 상기 봉형상체의 끝부분에 있어서 시이트 형상물을 절단하고 다시 심부섬유에 도달할 때까지의 깊이로 외장부섬유에 원주방향의 제1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 상기 제1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 보다 끝부분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봉형상체의 사이트 형상물에 원주방향으로 제2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 상기 제1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앞끝부분의 시이트형상물 및 외장부 섬유를 제거하는 장치, 상기 제2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에서 앞 끝부분의 시이트 형상물을 제거하는 장치와, 상기 제1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 및 제2의 톱니모양의 절단자국 사이의 외장부 섬유를 가열압축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의 제조방법.
  14. 섬유다발만 또는 섬유다발과 그 위주면을 둘러싼 시이트 형상물로 형성되는 봉형상체의 외주면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기위한 회전날과, 상기 봉형상체를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날의 날에 봉형상체의 끝부분이 접촉하는 것과 같은 원호형상 경로에 따라서 상기 봉형상체를 운송하는 기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상체의 외주면에 톱니모양의 절단자국을 넣는 절단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섬유가 아세테이트 섬유 또는 아크릴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섬유가 아세테이트섬유 또는 아크릴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도포용구.
KR1019910004210A 1990-03-16 1991-03-16 화장용도포용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930006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603390 1990-03-16
JP66033 1990-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491B1 true KR930006491B1 (ko) 1993-07-16

Family

ID=1330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210A KR930006491B1 (ko) 1990-03-16 1991-03-16 화장용도포용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05301A (ko)
EP (1) EP0446942B1 (ko)
KR (1) KR930006491B1 (ko)
AU (1) AU643761B2 (ko)
CA (1) CA2038232C (ko)
DE (1) DE691150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6753A (en) * 1993-09-14 1994-09-13 Penthouse Manufacturing Co., Inc. Powder puff
FR2738127B1 (fr) * 1995-08-30 1998-03-27 Oreal Applicateur de mascara
US5881743A (en) * 1996-02-21 1999-03-16 Nadel Industries Co-molded makeup applicator assembly
US5816270A (en) * 1996-02-21 1998-10-06 Nadel Industries Co-molded makeup applicator assembly
FR2759873B1 (fr) * 1997-02-21 1999-04-23 Oreal Dispositif d'application d'un produit de maquillage de fibres keratiniques, notamment des cils,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utilisant un tel dispositif
US7163016B2 (en) * 2000-01-21 2007-01-16 Henlopen Manufacturing Co., Inc. Material dispenser with applicator
US6779532B2 (en) * 2000-12-28 2004-08-24 Paula Dorf Cosmetics Cosmetic brush for applying eyeliner to the lashline
US20040234323A1 (en) * 2003-02-24 2004-11-25 Nicolas Albisetti Device for applying a product
US20060288530A1 (en) * 2003-11-14 2006-12-28 Mccauley Patrick Bendable extension arm
US7219801B2 (en) * 2004-05-17 2007-05-22 Brenda Aarons Christian Mascara brush and kit
DE102007049463A1 (de) * 2007-10-16 2009-04-23 Zahoransky Ag Vorrichtung zur lagerichtigen Zuführung von Bürstenkörpern
ITMI20110371A1 (it) * 2011-03-10 2012-09-11 Discotelsisal S R L Dispositivo per il posizionamento a raggiera attorno a un asse longitudinale di una pluralita' di listelli abravisi alimentati in continuo
JP5189188B2 (ja) * 2011-07-11 2013-04-24 日本蚕毛染色株式会社 ブラシ用繊維、該ブラシ用繊維を用いたブラシ、およびブラシ用繊維の製造方法
USD800963S1 (en) 2014-04-02 2017-10-24 Paolo Marchica Set of peel away eyeliner stencils
USD814698S1 (en) 2014-04-02 2018-04-03 Paolo Marchica Eyeliner stencil
USD827925S1 (en) 2014-04-02 2018-09-04 Paolo Marchica Set of peel away eyeliner stencils
USD811655S1 (en) 2014-04-02 2018-02-27 Paolo Marchica Set of peel away eyeliner stencils
USD809199S1 (en) 2014-04-02 2018-01-30 Paolo Marchica Set of peel away eyeliner stencils
USD814697S1 (en) 2014-04-02 2018-04-03 Paolo Marchica Eyeliner stencil
USD787116S1 (en) 2014-04-02 2017-05-16 Paolo Marchica Set of peel away eyeliner stencils
FR3035577B1 (fr) * 2015-04-30 2018-08-03 L'oreal Applicateur flock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89377A (de) * 1936-06-04 1937-02-28 Leo Dr Levy Heizkörperpinsel.
GB490124A (en) * 1938-01-19 1938-08-09 Henri Guido Lemoin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rtificial bristles
US2272641A (en) * 1939-08-04 1942-02-10 Charles A Mureau Cosmetic applicator
US3605764A (en) * 1969-06-06 1971-09-20 Melvin J Davidson Eyeliner,applicator and casing
US3618609A (en) * 1969-12-23 1971-11-09 American Cyanamid Co Braided absorbent material
GB1452206A (en) * 1974-03-12 1976-10-13 Leng Armac Ltd Brushes
FR2416967A2 (fr) * 1978-02-08 1979-09-07 Rhone Poulenc Textile Elements textiles poilus, leur procede de fabrication et articles a poils realises avec lesdits elements
DE3032409A1 (de) * 1980-08-28 1982-04-15 Klaus-Peter 3052 Bad Nenndorf Dahm Behaelter fuer fluessige substanzen mit zugehoerigem auftragelement
US4579133A (en) * 1983-04-14 1986-04-01 Revlon, Inc. Cosmetic compact with extendable applicator
US4538612A (en) * 1983-08-29 1985-09-03 Ndm Corporation Skin preparation method and product
US4602650A (en) * 1984-05-14 1986-07-29 Pipkin Royace H Liquid applicator
DE3501097A1 (de) * 1985-01-15 1986-07-17 Wolfgang 6149 Rimbach Bickel Borsten, sogenannte monofilamente, zur herstellung von buersten, besen o.dgl.
DE3539478A1 (de) * 1985-11-07 1987-05-21 Schwan Stabilo Schwanhaeusser Auftragsgeraet mit einem auftragsorgan aus fasermaterial
CH672717A5 (ko) * 1986-03-06 1989-12-29 Ernst Moscatelli
JPS6472813A (en) * 1987-09-16 1989-03-17 Yokohama Rubber Co Ltd Mold for pneumatic tire
JPH0811084B2 (ja) * 1987-11-02 1996-02-07 憲司 中村 化粧用塗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998315A (en) * 1988-03-01 1991-03-12 Pessis Barbara A Nail polish brush
US5007757A (en) * 1988-09-02 1991-04-16 Yoshino Kogyosho Co., Ltd. Liquid container
US4884849A (en) * 1988-12-12 1989-12-05 Better Health Concepts Co Inc.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end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05301A (en) 1993-04-27
EP0446942A1 (en) 1991-09-18
DE69115085T2 (de) 1996-06-13
DE69115085D1 (de) 1996-01-18
AU7292991A (en) 1992-10-15
CA2038232C (en) 1995-03-14
AU643761B2 (en) 1993-11-25
EP0446942B1 (en) 199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491B1 (ko) 화장용도포용구,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5197496A (en) Method for producing a makeup applicator
CA2152058C (en) Method of labeling articles having convex surfaces
US497978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bristle products
US672678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brushes
AU1290399A (en) Automated hair isolation and processing system
CN1115122C (zh) 松弛丝端部倒圆的方法
US2667176A (en) Dispensing applicator for artificial eyelashes and the like
CN102014693B (zh) 球形刷
JPH05103704A (ja) 化粧用塗布具、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FR2461466A1 (fr) Arbre artificiel, et procede et appareil pour sa fabrication
CA1097047A (fr)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lements textiles poilus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CA2072361A1 (en)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producing rounded brush tips
EP0249578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rattacher deux fils textiles
WO2008072798A2 (en) Brush toothpi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062635B6 (ja) 凸表面を有する物品にラベルを貼る方法及び装置
EP1095575B1 (en) Method and machine to produce needle-shaped foliage
CN115054048A (zh) 一种新型可降解化妆刷毛束捆扎机及其生产方法
TW202008920A (zh) 尖端塗佈器及具有該尖端塗佈器之化粧品塗佈裝置
JPS5948091B2 (ja) 化粧用塗布具及びその製造方法
ITUD990017A1 (it) Procedimento e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fogliameaghiforme artificiale
JPH0582298U (ja) 玉ネギの荒皮剥離装置
JPS60114247A (ja) 繊維製根管治療用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