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067B1 - 차단기구 - Google Patents

차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067B1
KR930006067B1 KR1019840004470A KR840004470A KR930006067B1 KR 930006067 B1 KR930006067 B1 KR 930006067B1 KR 1019840004470 A KR1019840004470 A KR 1019840004470A KR 840004470 A KR840004470 A KR 840004470A KR 930006067 B1 KR930006067 B1 KR 93000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inch roller
blocking
arrow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600A (ko
Inventor
미쯔루 이다
미노루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4Drive disengag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Advancing Web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단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을 카세트식 소형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차단 기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차단 레버의 캠 기어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제7a 내지 e도, 제8a 및 b도 차단 동작과 그의 관련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치 로울러 5 : 헤드기판
7 : 작동버턴 8 : 자기 테이프
9 : 캡스턴 11 : 로크판
16 : 차단 동작핀 21 : 차단 레버
22 : 로울러 중심축 23 : 회전 축부
26 : 쐐기혈 긴구멍 27 : 피구동핀
28 : 구동돌기 30 : 스프링
37 : 캠 기어 39 : 원형凹부
40 : 제1캠 41 : 제2캠
42 : 구동 돌기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나 VTR과 같은 기록재생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기계식 차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기계식 차단 기구는, 기록 또는 재생 모드등의 테이프 주행중에 있어서 테이프 엔드 등에 의하여 테이프 주행이 정지되었을 때에 그것을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항상 모터로 구동되고 있는 구동체에 대해 차단 레버를 소정의 방향으로 구동하여 정지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차단 동작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기계식 차단 기구는, 테이프 주행시에 회전되고 또한 테이프 주행의 정지와 함께 회전이 정지되는 회전체에 차단 레버를 마찰 클러치시키고, 테이프 주행시에는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차단 레버를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테이프 주행의 정지에 수반하여 회전체의 회전이 정지되어 차단레버의 회전운동력이 제거되었을때, 상기 구동체에 대해 차단 레버를 소정의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는 차단 레버를 압축 스프링에 의해 회전체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누르고, 차단 레버를 회전체의 축선방향의 단면에 대해 마찰 클러치 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차단 레버 및 압축 스프링, 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부착축이나 풀림 방지용 와셔 등을 포함하는 회전체의 축선 방향의 높이가 매우 높게 되어 있어 기록 재생장치의 박형화를 현저히 저해하고 있었다. 또 압축 스프링의 풀림 방지용 와셔가 필요하는 등, 부품 점수가 많은데다가 조립이 매우 복잡하고, 코스트가 높은 편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함을 시정할 수 있는 차단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테이프 주행시에 회전되고 또한 테이프 주행의 정지와 함께 회전이 정지되는 회전체를 설치하고, 차단 레버에 한방향으로 향하여 쐐기형 긴구멍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축부의 외주에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쐐기형 긴구멍에 의하여 삽입시키고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쐐기형 긴구멍의 긴쪽 방향인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선의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하여 부착되고,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쐐기형 긴구멍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스프링에 의하여 슬라이딩 시킴에 의하여 상기 쐐기형 긴구멍을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침투작용으로 압축시키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에 상기 쐐기형 긴구멍의 침투 작용에 수반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정지되어 상기 차단 레버의 회전운동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차단 레버를 구동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구동시켜 원하는 차단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차단 기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단 기구에 의하면, 기록재생 장치의 박형화가 용이하고, 조립도 간단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카세트식 소형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차단 기구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회전체는 핀치 로울러(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핀치 로울러(1)는 핀치 로울러 레버(2)에 로울러 축(3)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하여 피버트되고, 핀치 로울러 레버(2)는 분기축(4)을 통하여 헤드기판(5)으로 회전운동하여 피버트되며, 또한 핀치 로울러 압착 스프링(6)에 의하여 제2도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정지 모드에서는 작동버턴(7)이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재동작 위치로 재동작되고 있으며, 이것과 함께 헤드기판(5)도 되보내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2도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재동작되며, 핀치 로울러(1)가 제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재동작 위치로 재동작되어 있다.
다음에, 작동버턴(7)이 제3도에서 화살표(c)방향으로 눌려져 실선으로 도시되는 왕복동작 위치로 왕복동작되어 기록 또는 재생 모드로 전환되며, 헤드기판(5)은 제2도에서 화살표(d)방향으로 되보내는 스프링에 저항하여 왕복동작되며, 핀치로울러 레버(2)에 의하여 핀치 로울러(1)가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되는 왕복동작 위치로 왕복동작된다. 그리고 이때, 핀치 로울러(1)는 테이프 카세트(도시하지 않음)내에 삽입되어 핀치 로울러 압착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 테이프(8)를 캡스턴(9)에 압착시킨다. 그결과,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동되는 캡스턴(9)의 제2도에서 화살표(e)방향으로 회전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8)가 제2도에서 화살표(f)방향으로 일정속도 주행되어 원하는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때, 자기 테이프(8)의 화살표(f)방향의 일정속도 주행에 수반하여 핀치 로울러(1)가 제2도에서 화살표(g)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한편, 작동버턴(7)이 설치되어 있는 작동버턴 레버(10)는 작동버턴(7)과 일체로 제3도에서 화살표(c)방향으로 되보내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저항하여 왕복동작되고, 실선으로 도시되는 왕복동작 위치로 로크판(1)에 의하여 로크된다. 그리고 로크판(11)은 샤시(12)의 분기축(13)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운동하여 피버트되고, 또한 되보내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제3도에서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되며 로크조(14)를 로크구멍(15)내에 클러치 시켜 작동보턴 레버(10)를 왕복동작 위치로 로크한다.
다음에, 로크판(11)의 분기축(13)의 단부에는 이제부터 상부쪽에 연장된 차단 동작핀(16)이 수직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기록 또는 재생 모드중에 있어서 테이프 엔드시, 후술하는 차단레버(21)에 의하여 차단 동작핀(16)이 제3도에서 화살표(1) 방향으로 압압구동되어 차단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즉, 차단 동작 핀(16)의 제3도에서 화살표(i)방향으로의 압압구동에 의하여, 로크 판(11)의 되보내는 스프링에 저항하여 제3도에서 화살표(j)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작동 버턴 레버(11)의 왕복동작 위치에서의 로크가 제거된다. 그결과, 상기 작동 버턴 레버(11)와 작동버턴(7)이 일체로 제3도에서 화살표(k)방향으로 되보내는 스프링에 의하야 재동작된다. 그리고 이것에 수반하여, 세드 기판(5)이 제2도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되보내는 스프링에 의하여 재동작되어 핀치 로울러 레버(2)에 의하여 핀치 로울러(1)가 같은 방향으로 재동작된다. 그 결과, 핀치 로울러(1)가 캡스턴(9)으로부터 분리되므로써 자기 테이프(8)의 주행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정지 모드로 된다.
그런데,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핀치 로울러(1)는 고무 로울러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등으로 형성된 원통형을 이루는 로울러 중심축(22)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울러 중심축(22)에 의하여 상기 로울러 축(3)이 외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삽입되어 있다. 또 상기 로울러 중심축(22)의 하단에는 이것으로부터 소정의 회전축부(2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 레버(21)는 상기 회전축부(23)의 외주에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차단레버(21)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판(24)가 그원판(24)의 하면으로부터 한쪽편으로 연장된 암(25)과 서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24)의 중앙부에는 한 방향[암(25)과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쐐기형 긴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쐐기형 긴구멍(26)이 끝이 가는축의 최소폭(W1)과 그 반대축의 최대 폭(W2)은 상기 회전축부(23)의 직경(D1)에 대하여, 각각 W1<D1, W2≥D1되는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쐐기형 긴구멍(26)의 최대폭(W2)측의 단부(26a)는 반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암(25)의 선단에는 이로부터 하부쪽으로 연장된 피 구동핀(27)이 수직형을 이루어 일체로 설비되어 있고, 암(25)의 긴쪽 방향의 대략 중간부의 한측면에는 상기 차단 동작핀(1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돌기(2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차단 레버(21)는 회전축부(23)의 외주에 쐐기형 긴구멍(26)에 의하여 삽입되고 있고, 상기 차단 레버(21)는 쐐기형 긴구멍(26)의 긴쪽 방향인 핀치 로울러(1)의 축선(p)방향(제4도 참조)에 대한 직교 방향(제6도에서 화살표 l및 m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상기 축선(p)의 둘레에 제6도에서 화살표(n) 및 (c)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핀치 로울러(1)의 근방위치에서, 상기 핀치 로울러 레버(2)에는 스프링 부착 핀(29)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부착 핀(29)에 스프링(3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0)은 되돌아오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일부(30a)에 의하여 스프링 부착 핀(29)의 외주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30)의 한단(30b)이 차단 레버(21)의 원판(24)의 한측면에 형성된 U자 홈(31)내에 상기 원판(24)에 대한 접선 방향과 거의 평행인 방향으로부터 클러치되고, 다른단(30c)이 핀치 로울러 레버(2)에 설치된 스프링 걸림부(32)(제1도 참조)에 걸려 있다. 그리고 U자 홈(31)내에는 스프링(30)의 한단(30b)의 긴쪽 반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접촉부(33)와 제2접촉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구동체는 캠 기어(3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캠 기어(37)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 기어(38)의 내측에서 그 상면에는 원형凹부(39)가 동일 축선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형凹부(39)내에는, 중심위치에 제1캠(40)이, 주변위치에 제2캠(41)이, 이들 중간위치에 구동돌기(42)가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캠(40)의 외주면은 편심캠면(40a)에 형성되어 있고, 제2캠(41)은 원형凹부(39)의 내주면(39a)으로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원만한 산 형상을 한 산 모양의 캠면(41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돌기(42)는 제1캠(40)의 편심캠면(40a)의 최소반경(R1)부분의 외측에 극간(43)을 두고 배치되고 있지만, 상기 구동돌기(42)의 위치는, 제1캠(40)의 편심캠면(40a)의 최대반경(R2)부분의 회전 반경보다도 외측, 또는 제2캠(41)의 산 모양 캠면(41a)의 산형 돌출단(41b)의 회전반경보다도 내측에 있다. 그리고 제2캠(41)의 산 모양 캠면(41a)의 산형 돌출단(41b)의 회전반경보다도 내측에 있다. 그리고 제2캠(41)은 구동돌기(42)에 대하여 대략 90°의 위상각도θ를 가지고 있다. 또 캠기어(37)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제6도에서 화살표(γ)방향으로 회전구동되지만, 그 회전 방향 전방측에 있어서의 구동돌기(42)의 구동면(42a)은 상기 회전방향(화살표(r)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 형성되고 있다. 단 상기 구동면(42a)의 원형凹부(39)의 중심축의 단부에는 소형돌기(4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극간(43)의 폭(W3)은 상기 차단레버(21)의 피구동핀(27)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캠 기어(37)는 상기 샤시(12)의 하부에서 상기 캡 스턴(9) 근방의 위치에 설치된 기어축(47)의 외주에 자유롭게 회전한여 피보트되어 있다. 또 샤시(12)의 하부에서 캡스턴(9)의 하단에는 구동기어(4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어(48)와 캠 기어(37)의 외주기어(38)가 중간기어(49)에 의하여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기어(49)는 상하 2단 기어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 상부기어(49a)가 구동기어(48)에 클러치되고, 하부기어(49b)가 외주기어(38)에 클러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캡스턴(9)의 모터에 의한 제6도에서 화살표(e)방향으로 회전에 의하여 중간기어(49)를 통하여 캠 기어(37)가 제6도에서 화살표(Y)방향으로 저속도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차단 레버(21)의 피동구핀(27)이 샤시(12)에 설치된 개구(50)(제4도 참조)를 통과하여 그 샤시(12)의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구동핀(27)이 캠 기어(37)의 원형凹부(39)내에 상부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차단레버(21)는 상승한 바와같이 핀치 로울러(1)의 왕복동작 위치로 이동되고, 또 핀치 로울러(1)의 재동작 위치로의 재동작에 의하여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재동작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단 기구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우선, 제7a도는 기록 또는 재생 모드를 도시하고 있고, 차단 레버(21)는 핀치 로울러(1)와 함께 화살표(d)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왕복동작 위치로 왕복동작되고 있다. 그리고 이때는, 스프링(30)의 하단(30b)이 차단 레버(21)의 제1접촉부(33)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한 단(30b)의 화살표(1)로 슬라이딩된 차단 레버(21)는, 쐐기형 긴구멍(26)에 의하여 로울러 중심축(22)의 회전축부(23)의 외주면(23a)에 침투작용(쐐기효과)으로 압착되고 있다.
한편, 기록 또는 재생모드에서는,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캡스터(9)의 화살표(e)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8)가 화살표(f)방향으로 일정속도 주행되고, 핀치로울러(1)가 화살표(g)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있다. 그리고 핀치 로울러(1)와 일체로 로울러 중심축(22)이 제7a도에서 화살표(g)방형으로 회전되고 있다.
따라서, 기록 또는 재생모드에서는, 쐐기형 긴구멍(26)의 침투작용에 수반하는 회전축부(23)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차단레버(21)가 제7a도에서 화살표(n)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 레버(21)의 암(25)의 선단의 피구동핀(27)이 캠 기어(37)의 제1캠(40)의 편심캠 면(40a)에 화살표(t)방향으로부터 항상 압압되어 있다. 또한 캠 기어(37)는 캡스턴(9)에 의하여 제7a도에 화살표(r)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기록 또는 재생 모드에서는, 제7a도에 실선과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같이,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되는 캠 기어(37)의 제1캠(40)의 주면(40a)을 따라 차단 레버(21)의 피구동핀(27)이 움직이므로써 화살표(t) 및 (u)방향으로 왕복동작되고, 차단레버(21)가 회전축부(23)를 중심으로 화살표(n) 및 (o)방향으로 왕복 회전운동(요동운동)되게끔 된다. 그리고 이때, 차단 레버(21)의 피구동핀(27)은 구동돌기(42)에 대해서 극간(43) 부분을 통과하여 도망가기 때문에, 상기 구동돌기(42)가 피구동핀(27)에 접촉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기록 또는 재생 모드에서 테이프 앤드되어, 자기 테이프(8)의 주행이 정지되면, 이것에 따라 핀치 로울러(1)의 회전도 정지된다. 그리고, 캡스턴(9)은 의연히 계속 회전하고 있다.
그리고, 핀치 로울러(1)의 회전이 정지한 순간으로부터, 캠 기어(37)가 1회전 동작을 종료하는 사이에 차단 동작이 행하여진다.
즉, 우성 핀치 로울러(1)의 회전이 정지한 순간에, 차단레버(21)의 제7a도에서 화살표(n)방향으로의 회전운동력이 제거된다.
다음에, 제7a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와같이,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캠 기어(37)의 제1캠(40)의 편심 캠면(40a)의 최대반경(R2)부분에 의하여, 피구동핀(27)이 화살표(u)방향으로 압출되어서, 구동돌기(42)의 회동 궤적내에 정지된다.
다음에, 제7b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같이,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캠 기어(37)의 구동돌기(42)가 상기 구동면(42a)에 의하여 피구동핀(27)에 접촉하고, 상기 피구동핀(27)을 화살표(r)방향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제7b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같이, 차단 레버(21)가 스프링(30)에 대항하여 화살표(m)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서, 암(25)의 구동돌기(28)가 상기 로크 판(11)의 차단 동작 핀(16)의 전면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차단 레버(21)의 화살표(m)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쐐기형 긴구멍(26)의 회전축부(23)의 외주면(23a)에 대한 침투작용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쐐기형 긴구멍(26)의 최대폭(W2)측의 반원호형의 단부(26a)가 회전축부(23)의 외주면(23)의 한측면에 접촉되어서, 차단 레버(21)의 그 이상의 화살표(m)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그리고, 차단 레버(21)의 화살표(m)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규제된 순간(제7c도의 가상선의 상태)에, 제7c도에서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캠 기어(37)의 구동돌기(42)의 구동면(42a)에 의하여 피구동핀(27)이 제7c도에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같이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그리고 이때, 구동돌기(42)의 구동면(42a)에 설치되어 있는 소형돌기(44)는, 피구동핀(27)이 구동면(42a)으로부터 내측의 극간(43)측에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피구동핀(27)은 화살표(r)방향으로 확실히 회전운동된다,
그리하여, 피구동핀(27)의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운동에 의하여 이것과 일체인 차단 레버(21)가 회전축부(23)를 중심으로 제7c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같이 화살표(n)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상기 암(25)의 구동돌기(28)가 상기 차단 동작핀(16)을 제3도에서 화살표(i)방향으로 압입구동하므로써, 상기 차단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같이, 차단 동작이 행해지면, 그 순간에 핀치 로울러(1)가 재동작 위치로 재동작되기 때문에, 차단 레버(21)도 제7D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왕복동작위치로부터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되어 실선으로 도시하는 재동작 위치로 재동작된다. 그리고 이때, 피구동핀(27)은 구동돌기(42)의 구동면(42a)으로부터 외측으로 미끄러져 빠져, 캠 기어(37)의 원형 부(39)의 내주면(39a)에 접촉하게 된다.
다음에, 통상 어려운 조작이라고 하는, 상기 차단 동작후에 다시 작동버턴(7)이 눌릴때의 동작을 제7E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즉, 작동버턴(7)이 눌려지면, 핀치 로울러(1)와 함께 차단 레버(21)가 다시 화살표(d)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왕복동작위치로 왕복동작된다. 단 이때에는, 자기 테이프(8)가 이미 테이프 엔드로되어 있기 때문에, 핀치 로울러(i)는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캠 기어(37)는 계속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되고 있고, 상기 제2캠(41)의 산형 캠면(41a)에 의하여 피구동핀(27)이 가상선이 위치로부터 실선의 위치에 화살표(r)방향으로 압출되어서 다시 구동돌기(42)의 회동궤적내에서 정지된다. 그리고 이후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구동돌기(42)가 가상선과 같이 피구동핀(27)에 다시 접촉되고, 상기 차단 동작이 다시 행하여진다.
그런데, 본 발명의 차단 기구는, 급송 또는 되감기 모드에서, 차단 레버(21)의 피구동핀(27)을 캠 기어(37)의 구동돌기(42)에 클러치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송 또는 되감기 모드로서, 구동돌기(42)에 대한 피구동핀(27)의 클러치를 회피하는 동작을 제8a 및 b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록 또는 재생 모드에서는 제8a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차단 레버(21)가 왕복 동작 위치로 왕복동작되어 있다. 그리고 이때, 스프링(30)의 한 단(30b)이 차단 레버(21)의 제1접촉부(33)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한 단(30b)의 화살표(s)방향의 압압력에 의하여, 차단 레버(21)가 화살표(1)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있다.
다음에, 급송 또는 되감기 모드에서는 제8a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같이, 정지 모드와 똑같이, 차단레버(21)는 재동작 위치로 재동작되어 있다. 그리고 이때, 캠 기어(37)에 대하여 핀치 로울러(1)의 화살표(b)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차단 레버(21)의 피구동핀(27)이 캠 기어(37)의 원형凹부(39)의 내주면(39a)에 접촉되고, 차단레버(21)가 로울러 중심축(22)의 회전축부(23)의 외주에서 화살표(n)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다.
그결과, 급송 또는 되감기 모드에서는, 스프링(30)의 한 단(30b)이 차단 레버(21)의 제2접촉부(34)에 접촉되고 있고, 상기 한 단(30b)의 화살표(y)방향의 압압력에 의하여 차단레버(21)에는 회전축부(23)를 중심으로 한 화살표(o)방향으로의 회전운동력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 회전운동력에 의하여 차단레버(21)의 피구동핀(27)은 캠 기어(37)의 원형凹부(39)의 내주면(39a)에 화살표(x)방향으로부터 항상 압압되고 있다.
이상에 의하여 급송 또는 되감기 모드에서는, 차단 레버(21)의 피구동핀(27)은 캠 기어(37)의 구동돌기(42)에 대한 클러치를 회피하고 있다.
그리고, 급송 또는 되감기 모드라도, 캡스턴(9)이 화살표(e)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기 때문에, 캠 기어(37)도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다. 이때문에 제8b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같이, 제2캠(41)의 통과시에, 상기 산 형 캠면(41a)에 의해서 피구동핀(27)이 화살표(v)방향으로 이동되고 구동돌기(42)의 회동궤적내에 압출된다. 그렇지만 상기 제2캠(41)의 통과후, 제8b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와같이, 차단레버(21)가 스프링(30)의 하단(30b)에 의한 스프링력에 의하여 즉시 화살표(0)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상기 피구동핀(27)이 즉시 화살표(x)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구동돌기(42)의 회동궤적의 외측으로 즉시 회피된다.
그결과, 상기 급송 또는 되감기 모드에서는, 피구동핀(27)이 구동돌기(42)에 밖으로 클러치되는 일이 전혀없고, 피구동핀(27)은 구동돌기(42)에 대하여 확실히 회피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각종 유효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본 발명은 실시예에서 도시한 테이프 레코더에 한정되지 않고, VTR에도 응용가능하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회전체로서 핀치 로울러를 사용하였지만, 기타의 각종 회전체도 응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같이, 테이프 주행시에는 회전되고, 또한 테티프 주행의 정지와 함께 회전이 정지되는 회전체를 설치하고, 차단 레버에 한 방향을 향하여 쐐기형 긴구멍을 설치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부의 외주에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쐐기형 긴구멍에 의하여 삽입시키고,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쐐기형 긴 구멍의 긴쪽 방향인 회전체의 축선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선의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쐐기형 긴구멍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스프링에 의하여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상기 쐐기형 긴구멍을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침투작용으로서 압착시키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운동 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차단 레버의 회전운동력이 제거되었을때에 상기 차단 레버를 구동체에 소정의 방향으로 구동시켜 원하는 차단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차단 기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 레버에 가해지는 스프링을 차단 레버의 슬라이딩 공간(동작 공간)내에 수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들 차단 레버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회전체의 축선 방향의 높이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그결과, 기록재생 장치의 박형화를 현저히 촉진시킬 수가 있다. 또 스프링으로서는 조립이 매우 간단란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는데 비하여, 부품점수 및 조립하는 일을 삭감할 수 있고,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저 코스트인 것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상기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안의 테이프를 구동하여 테이크-업 렬에 감도록 회전되는 모터-구동형 캡스턴을 가진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상기 테이프가 테이크-업 릴에 완전히 감겨질 때 상기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차단 기구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에 대해 동작 가능 및 동작 불가능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프 주행시에는 회전되고 상기 테이프가 완전히 상기 테이프-업 릴에 감겨질때는 회전이 정지되고 그와함께 동축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 작동부를 가진 핀치 로울러(1)와, 상기 원통형 작동부가 리시브되는 수렴 측면을 가진 쐐기형 긴구멍을 가지므로써 상기 핀치 로울러의 회전축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쐐기형 긴구멍을 따라 소정의 방향을 향해 길이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차단 레버(21)와, 상기 수렴 측면을 상기 차단 레버와 마찰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쐐기형 긴구멍을 따라 한 방향으로 진행시키며 그에따라 상기 핀치 로울러가 회전되는 동안 마찰에 의해 그와 함게 상기 모드-변화 레버가 턴하게 되는 스프링 수단(30)과, 상기 스프링 수단의 힘에 대해 상기 쐐기형 긴구멍을 따라 정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차단 레버의 이동에 응하여 상기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다른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28), 및 상기 캡스턴의 회전에 응하여 반복모션을 일으키며 단지 상기 핀치 로울러가 회전을 정지하므로써 더이상 상기 차단 레버가 그와함께 상기 축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회전하지 못하게 될 때만 상기 반대 방향으로 상기 차단 레버를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며, 그에따라 상기 차단 레버가 상기 핀치 로울러의 상기 동작 불가능 위치로의 이동에 응하여 동작 불가능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캠 기어(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드는 상기 테이프를 상기 모터-구동형 캡스턴에 대해 압압하기 위해 상기 핀치 로울러가 상기 동작가능 위치에 존재하게 되는 정상 순방향 모드이고, 상기 다른 동작 모드는 상기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정지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이, 상기 핀치 로울러의 동작 가능위치에서 상기 차단 레버가 각을 이루도록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을 통해 연장되는 력선을 따라 상기 차단 레버상에서 작용하므로써 상기 차단 레버를 상기 쐐기형 긴 구멍을 따라 단지 한 방향으로만 진행시키며, 상기 차단 레버의 상기 동작 불가능 위치에서 상기 축으로부터 파생된 력선을 따라 상기 차단 레버상에서 작용하므로써 상기 차단 레버가 상기 축과 각을 이루면서 진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기구.
KR1019840004470A 1983-07-30 1984-07-27 차단기구 KR930006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40266A JPS6032150A (ja) 1983-07-30 1983-07-30 シヤツトオフ機構
JP140266 1983-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00A KR850001600A (ko) 1985-03-30
KR930006067B1 true KR930006067B1 (ko) 1993-07-03

Family

ID=1526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470A KR930006067B1 (ko) 1983-07-30 1984-07-27 차단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04662A (ko)
EP (1) EP0133013B1 (ko)
JP (1) JPS6032150A (ko)
KR (1) KR930006067B1 (ko)
AT (1) ATE32279T1 (ko)
AU (1) AU567354B2 (ko)
BR (1) BR8403703A (ko)
CA (1) CA1246212A (ko)
DE (1) DE3469083D1 (ko)
ES (1) ES8601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451A (en) * 1986-09-30 1989-01-24 Tanashin Denki Co., Ltd. Automatic reverse mechanism for tape recorder
JPH0664777B2 (ja) * 1986-10-03 1994-08-22 シンワ株式会社 テ−プレコ−ダのテ−プ巻終り検出装置
US4809101A (en) * 1986-12-31 1989-02-28 Tanashin Denki Co., Ltd. Automatic stopping mechanism for a tape feeding device
JPS6482353A (en) * 1987-09-24 1989-03-28 Sankyo Seiki Seisakusho Kk Mode switching mechanism for tape recorder
US5655724A (en) * 1996-01-16 1997-08-12 Ford Motor Company Autoreverse cassette tape mechanism with tape-eating prevention
KR20060010945A (ko) * 2004-07-29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핀치롤러 조립체
CN200983247Y (zh) * 2006-10-27 2007-11-28 谷林电器(深圳)有限公司 磁带驱动机构的全自动停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768B1 (ko) * 1971-03-19 1976-04-06
DE2142874A1 (de) * 1971-08-27 1973-03-08 Grundig Emv Schnellstop-schalteinrichtung bei einem magnettonbandgeraet
JPS5124246A (ko) * 1974-08-23 1976-02-27 Hitachi Ltd
AT351793B (de) * 1977-09-14 1979-08-10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JPS5462806A (en) * 1977-10-28 1979-05-21 Pioneer Electronic Corp Cassette tape recorder
US4222536A (en) * 1978-09-19 1980-09-16 Olympus Optical Co., Ltd. Device for sensing and indicating the end of a tape in a tape recorder
JPS5834594Y2 (ja) * 1978-09-29 1983-08-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プレコ−ダの誤動作防止装置
AT365816B (de) * 1979-12-21 1982-02-25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JPS56140537A (en) * 1980-03-31 198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pe end detector
GB2075244A (en) * 1980-05-03 1981-11-11 Ass Leisure Games Pinch-roller actuation in bidirectional cassette tape players
US4500049A (en) * 1981-09-02 1985-02-1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stopping a tape recorder
JPS58137156A (ja) * 1982-02-09 1983-08-15 Toshiba Corp テ−プ終端検出装置
DE3221025A1 (de) * 1982-06-04 1983-12-0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inrichtung zum andruecken einer andruckrolle an eine transportwelle in einem magnetbandgeraete-laufwe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534719A0 (es) 1985-10-16
JPH0475583B2 (ko) 1992-12-01
CA1246212A (en) 1988-12-06
DE3469083D1 (en) 1988-03-03
BR8403703A (pt) 1985-07-02
US4604662A (en) 1986-08-05
ATE32279T1 (de) 1988-02-15
EP0133013B1 (en) 1988-01-27
KR850001600A (ko) 1985-03-30
ES8601544A1 (es) 1985-10-16
AU567354B2 (en) 1987-11-19
EP0133013A1 (en) 1985-02-13
JPS6032150A (ja) 1985-02-19
AU3076484A (en) 198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638A (ko)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
KR930006067B1 (ko) 차단기구
EP0028928A1 (en) A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062014A (en) Reversing device having change-over mechanism for pinch rollers in tape recorders
KR940006388B1 (ko) 오토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
KR0166349B1 (ko) 편심 캠 기구
KR860000916B1 (ko) 테이프 종단검출장지
EP0372250A2 (en) Magnetic recording/playback apparatus
JPH043585B2 (ko)
JPH0475584B2 (ko)
KR950000951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사용된 테이프 감기기구 및 테이프 감기방법
JPH0233312Y2 (ko)
JPH10334542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装置、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磁気テープ駆動装置
JPH0422422Y2 (ko)
JPH0422421Y2 (ko)
KR920007721Y1 (ko) 워크맨 오토리버스
JPH0521712Y2 (ko)
KR0133702Y1 (ko) 핀치롤러 구동장치
JPH0731385Y2 (ja) ピンチローラ支持装置
JPH0422420Y2 (ko)
KR013372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뷰아암 구동장치
JPH0521711Y2 (ko)
KR910001555Y1 (ko) 테이프 주행장치의 자동 정지장치
JPH0521713Y2 (ko)
KR940003501Y1 (ko) 테이프레코더의 텐션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