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95B1 - 고유동성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유동성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95B1
KR930005395B1 KR1019900010981A KR900010981A KR930005395B1 KR 930005395 B1 KR930005395 B1 KR 930005395B1 KR 1019900010981 A KR1019900010981 A KR 1019900010981A KR 900010981 A KR900010981 A KR 900010981A KR 930005395 B1 KR930005395 B1 KR 93000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aniline
compound
polycarbonate
rang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945A (ko
Inventor
페트리 알베르토
포기오 세르지오
Original Assignee
몬티디페 에스. 알. 엘.
이탈로 보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티디페 에스. 알. 엘., 이탈로 보르기 filed Critical 몬티디페 에스. 알. 엘.
Publication of KR91000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4/08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 C08G64/12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4/14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 chain-terminating or -crosslink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유동성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용융상태에서 높은 유동성을 갖는 직쇄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그 탁월한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 때문에 특히 고충격 강도 및 고치수 안정성과 내열성을 나타내는 제품의 제조에 적절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성형기술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처리가공은 필요한 유동성을 부여한 용융고분자가 강재 가공처리를 성공적으로 받을 수 있는 270℃ 내지 320℃의 고온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 유동성은 복잡한 형태의 부분으로 성형될 경우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으며 더우기 신속한 주조 사이클을 성취하기 힘들다.
고분자의 저급화 현상이 커짐에 따라 상기의 온도보다 더 높은 가공온도로 상승시키면 용융 고분자의 유동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용융 고분자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술은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분자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은 보통 사슬캡(capping) 작용제인 페놀, p-tert-부틸-페놀 및 2,6-디메틸페놀 같은 단일 작용기 페놀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조절한다. 불행히도, 이러한 작용제를 사용하여 얻은 축소된 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할 경우 수득한 생성물의 기계적 성질 특히, 충격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것은 실온 보다 낮은 온도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유연성이 갑자기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사슬캡 작용제 대신으로 8 내지 9 탄소원자가 알킬사슬에 결합되어 있는 측쇄 알킬-페놀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이와 같은 강도저하를 약화시킬 수 있다(U.S 특허 제4,269,964호).
상기의 사슬캡 작용제는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해 전통적인 사슬캡 작용제의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유동성을 부여하지 못한다.
유럽특허출원 제EP-249,882호에서는 알킬사슬에 4 내지 7 탄소 원자가 결합된 알킬-페놀성 사슬캡작용제를 발표한다. 이렇게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는 향상된 유동성을 나타내지만 동시에 열적 특성이 파괴되며 그결과 이것으로 제조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온도범위가 축소된다.
본 출원인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고 또한 10,000 내지 30,000 범위의 평균 점성도 분자량으로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용융상태에서의 고유동성과 또한 동시에 탁월한 기계적 및 열적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다음의 구조식(Ⅱ)으로 된 것중에서 선택한 방향족 또는 고리지방족 p-히드록시-아닐라이드 종류에 속하는 특정한 화합물과 또한 사슬캡 작용제로서 R과 R1치환물에 연결된 고리가 포화고리인 상응하는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R은 1 내지 4 탄소원자가 포함된 직쇄 또는 측쇄 알킬라디칼이나 수소원자 혹은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염소이고, R1은 수소나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상태에서 고유동성을 갖는 직쇄,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 폴리카보네이트를 얻기 위한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는 (1) 다음 구조식(Ⅰ)으로 된 최소한 하나의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
Figure kpo00002
여기서 R은 단일결합 또는 직쇄나 측쇄의 치환된 혹은 비치환된 1 내지 5 탄소원자의 알킬렌 라디칼이나 또는 O, S, SO2, CO 중에서 선택된 그룹이고, X, Y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H 혹은 CH3이고, m, n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1 내지 4 범위의 정수이다. (2) 탄산염 선구물질과 (3) 다음 구조식(Ⅱ)으로된 것중에서 선택한 방향족 또는 고리지방족 p-히드록시아닐라이드 종류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과 또한 R과 R1치환물에 연결된 고리가 포화고리인 상응하는 화합물로부터 수득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 R은 1 내지 4 탄소원자를 포함한 직쇄나 측쇄 알킬라디칼이거나 혹은 수소원자나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염소이고 R1은 수소나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이다. 사용할 수 있는 구조식(Ⅰ) 범위에 속하는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Ⅰ)의 예를 들면,
* 4,4'-디히드록시비페닐과, *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닐A), *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또한 *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이 있다.
탄산염 선구물질은 탄산의 포스겐이나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에스테르 즉, 탄산디페닐이거나 혹은 전체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Ⅰ) 일부분과 포스겐의 반응으로 수득된 400 내지 2,000 범위의 분자량으로된 클로로포름성-캡의 폴리카보네이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사슬 캡작용제로 사용할 방향족 혹은 고리지방족 p-히드록시아닐성 화합물(3)은 유기화학적 방법으로 잘알려진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 구조식의 범위에 속하는 것중에서 선택된 산의 염화물과 또한 고리가 포화고리인 상응하는 화합물을 p-히드록시아닐린과 반응시키는 단순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고,
Figure kpo00004
여기서, R, R1은 상술한 의미와 같다. 이 반응은 아세톤과 같은 유기용매 속에서 50 내지 60℃ 정도의 온도로 실행되며 염화이실에 대한 p-히드록시아닐린의 몰비율은 기준치의 2배로서 결과적으로 생성된 염산이 아민과 다량과 반응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특히 적합한 p-히드록시아닐린성화합물(3)의 예를 들면 :
* N-4-클로로벤조오일-p-히드록시아닐린과, * N-시클로헥사노일-p-히드록시아닐린, N-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과, * N-4-tert-부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 N-43-메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과, * N-3,5-디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등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는 10,000 내지 30,000 범위의 평균 점도성 분자량과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5,000 범위의 평균 점도성 분자량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유동성 폴리카보네이트는 이것을 생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중합기술중 하나에 따라서 : (1) 구조식(Ⅰ)의 범위에 속하는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2) 탄산염 선구물질, (3) 구조식(Ⅱ)의 화합물 및 R과 R 치환물에 연결된 고리가 포화고리인 상응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사슬캡 작용제인 방향족 또는 고리지방족 p-히드록시-아닐린성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고 이때 (3) : (1)의 물비율을 2 : 100 내지 10 : 100이나 더 바람직하게는 3.5 : 100 내지 7 : 100의 범위로 한다.
사용하기에 유리한 중합기술중 하나의 소위 “계면축합법”이다.
이 방법은 알칼리성 용액 즉, 수산화나트륨의 수성용액과 또한 예컨대 염화메틸렌 같은 물에 비혼합성인 유기용매로 구성된 2상계에서 중합반응을 실행하는 것이다. 디히드록시방향족 화합물(Ⅰ)은 수성상에 용해되고 반면에 p-히드록시아닐린성 사슬캡 작용제는 유기상에 속한다. 디히드록시방향족 화합물(1)과 p-히드록시아닐린성 화합물(3)을 포함하는 2-상계를 통하여 포스겐 기체가 생기고 15 내지 25℃ 범위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6시간 동안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같은 상변환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이 지속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포스겐과 또한 전체 디히드록시방향족 화합물(1)의 일부 사이의 계면 반응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클로로포밀-캡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탄산염 선구물질로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분자량이 400 내지 2,000 범위로되 클로로포밀-캡 올리고머를 물에 대해 비혼합성인 유기용매속에 용해하고 또한 사슬캡 작용제인 p-히드록시아닐린성 화합물(3)과 상변환 촉매의 존재하에서 계면 축합법에 따라서 잔유량의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함께 반응시킨다.
계면 축합반응과 별도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카보네이트는 공지된 용액축합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1)과 사슬캡 작용제(3)를 포함하는 염화메틸렌 및 피리딘 용액을통해 포스겐 기체가 발생한다.
상기의 폴리카보네이트는 탄산염 선구물질인 탄산의 디알킬, 디알릴 또는 알킬-아릴-에스테르를 100 내지 300℃ 범위의 온도에서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1) 및 p-히드록시아닐린성 화합물(3)과 전이에스테르화 반응 촉매존재하에서 반응시켜된 용융상태에서의 전이 에스테르화 반응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슬캡 작용제로 p-히드록시아닐린성 화합물(3)을 사용하여 얻은 폴리카보네이트는 매우 큰 유동성을 보여주고 또한 실온보다 낮은 온도일때의 충격 강도에 대해 탁월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사출성형에 의해 가공될 때 적합하고 또한 상술한 특성 때문에 복잡한-형태의 제품 제조에 사용할 때 유리하다. 더우기 이 폴리카보네이트는 처리량과 생산성이 증가하고 반면에 비용은 절감되는 장점과 신속한 성형 사이클을 성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화 시험을 실시한다.
[용융 유도지수(MFI)]
용융 고분자의 압출속도(“MFI”)는 ASTM D 1238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압출된 입자에 대하여 “용융 지수 측정기”로 측정한다 ; 하중 1.2kg, 온도 300℃.
[충격강도(IZOD)]
izod 충격강도는 ASTM D256에 따라 23 내지 0℃의 온도 조건에서 표본에 대하여 노치로 평가한다.
[Vicat]
이 특성은 ASTM D 1575에 따라 평가한다(“A”조건).
[고유점도(n)]
고유점도는 20℃에서 Ubbelhode 점도계로 염화메틸렌 속에서 측정하고 dl/g로 나타낸다.
다음의 실시예는 단순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의 제조]
120ml 아세톤에 용해된 20g(183mmol)의 p-아미노-페놀을 자기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응축기가 설치된 250ml 4-네크플라스크에 담고 불활성기체의 블랭킷 대기하에서 조작한다.
이 용액에 대하여 230ml 아세톤에 용해한 16g(91.5mmol)의 염화 4-클로로벤조일을 점적하여 15분간 첨가하고 그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융점까지 가열한 후 이 온도에서 1시간동안 놓아둔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최종적으로 교반중인 4리터의 탈이온수에 붓는다. 약 1시간 후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하여 회수한다. 필터 케이크는 탈이온수(500ml씩 4회)로 세척한 후 120℃의 진공 상태에서 4시간동안 건조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되어 있다.
* 융점(DSC)=250℃
* (산 정량적) 당량=248.8
이론치=247.7
* 성분분석 :
C H N Cl
실측치 % 62.8 4.1 5.5 14.6
이론치 % 63.0 4.1 5.7 14.3
생성물의 구조는 N.M.R 분광학 분석 및 질량 분광 분석법으로 확인한다.
[실시예 2]
[N-시클로헥사노일-p-히드록시-아닐린의 제조]
20g(183mmol)의 p-아미노-페놀과 13.4g(91.5mmol)의 염화 시클로헥사노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19.5g의 N-시클로헥사노일-p-히드록시-아닐린을 수득하며 이것은 97.2%의 수득률에 해당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융점(DSC)=206℃
* (산 정량적) 당량=218.5
이론치=219.2
* 성분분석 :
C H N
실측치 % 71.4 7.9 6.4
이론치 % 71.2 7.8 6.4
생성물의 구조는 N.M.R 분광학 분석 및 질량 분광 분석법으로 확인한다.
[실시예 3]
[N-3,5-디클로로벤조오일-p-히드록시-아닐린의 제조]
30g(275mmol)의 p-아미노페놀과 28.8g(138.5mmol)의 염화 디클로로벤조일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37.5g의 N-3,5-디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을 수득하며 이것은 96.7%의 수득률에 해당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융점(DSC)=232℃
* (산 정량적) 당량=280.2
이론치=282.1
* 성분분석 :
C H N Cl
실측치 % 55.5 3.3 4.8 25.0
이론치 % 55.3 3.2 4.9 25.1
생성물의 구조는 N.M.R 분광학 분석 및 질량 분광 분석법으로 확인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단순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
[N-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의 제조]
200ml 아세톤에 용해된 49.6g(455mmol)의 p-아미노-페놀을 자기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응축기가 설치된 500ml 4-네크 플라스크에 담고 불활성기체의 블랭킷 대기하에서 조작한다.
이 용액에 대하여 30ml 아세톤에 용해한 32g(227.5mol)의 염화 4-클로로부타노일을 점적하여 15분간 첨가하고 그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1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최종적으로 교반중인 2리터의 탈이온수에 붓는다. 침전된 생성물은 여과하고 탈이온수(500ml씩 4회)로 세척한 뒤 120℃의 진공 상태에서 4시간동안 건조한다.
수득한 생성물을 15g의 아연분말이 함유된 2.5 리터의 2 : 1물과 아세트산 혼합물에서 결정화하여 정제한다(다른 유색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아연을 여과한 후 버리고 반응혼합물을 저온조건에서 침전시켜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한 후 120℃ 진공하에서 4시간동안 건조한다. 72.8% 수득률에 해당하는 35.3g의 N-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을 수득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되어 있다.
* 융점(DSC)=221.3℃
* (산 정량적) 당량=210.7
이론치=213
* 성분분석 :
C H N
실측치 % 72.9 5.2 5.2
이론치 % 73.2 5.2 6.6
생성물의 구조는 N.M.R 분광학 분석 및 질량 분광 분석법으로 확인한다.
[실시예 5]
[N-4-tert-부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의 제조]
32.7(300mmol)의 p-아미노페놀(200ml 아세톤에 용해된)과 또한 염화벤조일 대신 29.5g(150mmol)의 염화 4-tert-부틸-벤조일(40ml 아세톤에 용해된)을 사용하여 실시예 4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최종결정화 반응은 1 : 1 물/아세톤 혼합물(800ml)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34.5g의 N-4-tert-부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을 수득하며 이것은 85.5%의 수득률에 해당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융점(DSC)=208.6℃
* (산 정량적) 당량=262.8
(이론치)=269
* 성분분석 :
C H N
실측치 % 72.9 5.2 6.7
이론치 % 73.2 5.2 6.6
생성물의 구조는 N.M.R 분광학 분석 및 질량 분광 분석법으로 확인한다.
[실시예 6]
[N-4-메질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의 제조]
200ml 아세톤에 녹인 32.7g(300mmol)의 p-아미노페놀과 또한 염화 벤조일 대한 30.9g(200mmol)의 염화-4-메틸-벤조일을 사용하여 실시예 4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최종 결정화 반응은 1 : 1 물/아세톤 혼합물(800ml)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40.6g의 N-4-메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을 수득하며 이것은 87.1%의 수득률에 해당한다. 수득한 생성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융점(DSC)=218℃
* (산 정량적) 당량=226.6
(이론치)=227
* 성분분석 :
C H N
실측치 % 74.4 5.7 6.3
이론치 % 74.0 5.7 6.2
생성물의 구조는 N.M.R 분광학 분석 및 질량 분광 분석법으로 확인한다.
[실시예 7]
84g의 비스페놀A, 4.02g의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비스페놀A에 대한 상대적인 4.4몰%), 650ml물에 용해된 65.2g의 디티온산나트륨(유색 생성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환원제) 또한 7.4ml의 0.005N 수성트리에틸아민용액을 질소흐름하에서 25℃ 온도 조절된 3리터 용량의 유리반응기에 넣는다.
1,300ml 염화메틸렌을 첨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강하게 교반하는 과정에서 30분이내에 44g의 포스겐 기체가 발생한다.
수성 수산화나트륨(20중량%)을 첨가하면서 반응을 2시간동안 진행하고 그 결과로 반응혼합물의 pH값이 11보다 높게 유지된다. 그후 반응혼합물을 500ml의 염화메틸렌으로 희석시키고 유기상은 분리후 세척하는데 이때 먼저 300ml의 물(2회), 800ml의 0.15N 수산화나트륨(3회), 600ml의 물(2회), 800ml의 0.1N 염산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척물이 중성으로 될때까지 600ml의 물로 세척한다.
유기용매를 증류하여 고분자를 회수하고 건조한 후 분말이 수득될 때까지 빻는다. 이렇게 얻은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은 표 1에 나와있다. 특히 ASTM D256에서 준비된 10 표본에 대한 값을 기록한 표 1의 23℃ 내지 0℃ 온도범위에서 측정된 충격강도가 나와있다. 괄호안의 숫자는 예측작용을 보여주는 표본의 수를 가리킨다.
[실시예 8]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대신 3.50g의 N-시클로헥사노일-p-히드록시아닐린(비스페놀A에 상대적인 4.4몰%)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7와 동일한 반응 물질과 양으로 반복처리한다. 여기서 수득한 고분자의 특성은 표1에 나와있다.
[실시예 9]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대신 2.43g의 p-tert-부틸페놀(비스페놀A 상대적인 4.4몰%)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7와 동일한 반응물질 및 양으로 반복처리한다.
[실시예 10]
비스페놀A과 포스겐으로 제조한 286.1g의 클로로포밀-캡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평균 분자량수=690, 클로로포밀종단기=2.796meq/kg, 히드록시종단기=103meq/kg)를 1,227ml의 염화메틸렌에 용해하고 그 결과 용액은 질소흐름하에서 25℃ 조절온도를 유지하는 2.5리터 용량의 유리반응기에 담는다.
다음의 물질을 상기의 혼합물에 더하고 이중-앵커 교반 수단(300rpm)으로 지속적으로 교반한다.
* (2.5g 수산화나트륨이 담긴) 70ml의 물, * 13.9g N-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총 비스페놀A에 상대적인 4.1몰%), * 31mg의 디티온산 나트륨 또한 * 8ml의 0.05N 수성 트리에틸이민 용액.
40분 후 79.5g 비스페놀A, 29.1g의 수산화나트륨, 또한 31mg의 디티온산 나트륨을 포함한 400ml의 물을 첨가한다. 그 후 20중량%의 131.2ml의 수성용액을 측정펌프를 통하여 10분 이내에 혼합물에 부가한다. 3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3리터의 염화메틸렌에 붓고 유기상은 분리 세척하는데 먼저 900ml의 물(2회), 1300ml의 0.15N 수성수산화나트륨(3회), 900ml 물(2회), 1,300ml의 0.1N 염산과 또한 마지막으로 중성 세척액을 수득할때까지 900ml 물로 세척한다.
유기용매를 증류제거하여 회수된 고분자는 건조하고 분말이 얻어질때까지 빻는다.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은 표1의 기록과 같다.
[실시예 11]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대신 12.3g의 N-시클로헥사노일-히드록시아닐린(총 비스페놀A에 대한 4.1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반응물질과 양을 사용하여 반복처리한다. 이렇게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은 표1과 같다.
[실시예 12]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대신 11.9g의 N-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총 비스페놀A에 대한 4.1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반응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반복처리한다. 이렇게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은 표1과 같다.
[실시예 13]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대신 12.7g의 N-4-메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총 비스페놀A에 대한 4.1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반응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반복처리한다. 이렇게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은 표1과 같다.
[실시예 14]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대신 15.1g의 N-tert-부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총 비스페놀A에 대한 4.1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반응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반복처리한다. 이렇게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은 표1과 같다.
[실시예 15]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대신 8.32g의 p-tert-부틸페놀(총 비스페놀A에 대한 4.1몰%)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반응물질 및 양을 사용하여 반복처리한다. 이렇게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은 표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5

Claims (10)

  1. (1) 다음 구조식(Ⅰ)으로된 최소한 하나의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
    Figure kpo00006
    여기서 : R은 단일 결합, 또는 직쇄나 측쇄의 치환된 혹은 비치환된 1 내지 5 탄소원자의 알킬렌 라디칼이나 또는 O, S, SO2, CO 중에서 선택된 그룹이고, X, Y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H 혹은 CH3이고, m, n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며 1 내지 4범위의 정수이다. (2) 탄산염 선구물질과, (3) 다음 구조식(Ⅱ)으로된 것중에서 선택한 방향족 또는 고리지방족 p-히드록시아닐라이드 종류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또한 R과 R1치환물에 연결된 고리가 포화고리인 상응하는 화합물에서 수득하는 것으로서, 용융상태일 때 고유동성을 갖는 10,000 내지 30,000 범위의 평균 점도성 분자량으로된 직쇄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Figure kpo00007
    여기서 : R은 1 내지 4 탄소원자를 포함한 직쇄나 측쇄 알킬라디칼이거나 혹은 수소원자나 할로겐원자, 바람직하게는 염소이고 R1은 수소나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탄산염 선구물질(2)을 탄산의 포스겐이나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에스테르이나 혹은 전체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Ⅰ) 일부와 포스겐의 반응으로 수득된 400 내지 2000 범위의 분자량으로 된 클로로포름성-캡의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15,000 내지 25,000 범위의 평균 점도성 분자량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1)을 ;
    * 4,4'-디히드록시비페닐과, *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한 *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할로겐이 염소와 또한 R 및 R1라디칼이 결합할 고리가 포화 고리인 상응하는 화합물일때의 구조식(Ⅱ)에 속하는 물질중에서 화합물(3)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6. p-히드록시아닐린성 화합물(3)을 ;
    * N-4-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과, * N-시클로헥사노일-p-히드록시아닐린과, * N-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 N-4-tert-부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 N-4-메틸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과, * N-3,5-디클로로벤조일-p-히드록시아닐린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7. (1) 구조식(Ⅰ)에 속하는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2) 탄산염 선구물질과 또한 (3) 사슬캡 작용제로서 구조식(Ⅱ)에 속하는 화합물 및 R과 R 치환물이 결합된 고리가 포화고리인 상응하는 화합물을 2 : 100 내지 10 : 100 범위의 (3) : (1) 화합물의 몰비율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6항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3) : (1) 화합물의 몰비율이 3.5 : 100 내지 7 : 1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탄산염 선구물질을 탄산이 포스겐이나 아릴, 알킬 또는 아릴알킬 에스테르나 혹은 전체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Ⅰ)과 포스겐의 반응으로 수득된 400 내지 2,000 범위의 분자량으로된 시클로포밀캡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탄산염 선구물질이 시클로로포밀-캡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00010981A 1989-07-19 1990-07-19 고유동성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KR930005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1227A 1989-07-19
IT21227A/89 1989-07-19
IT8921227A IT1231155B (it) 1989-07-19 1989-07-19 Policarbonati aventi caratteristiche di elevata fluidita'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945A KR910002945A (ko) 1991-02-26
KR930005395B1 true KR930005395B1 (ko) 1993-06-19

Family

ID=1117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981A KR930005395B1 (ko) 1989-07-19 1990-07-19 고유동성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09313A3 (ko)
JP (1) JPH03103435A (ko)
KR (1) KR930005395B1 (ko)
IT (1) IT12311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86B1 (ko) * 2004-08-13 2006-08-25 주식회사 삼양사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를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3045A (en) * 1961-02-20 1964-05-12 Allied Chem p-n-methyl acetamidophenol as chain terminator for bisphenol polycarbonates
DE2842005A1 (de) * 1978-09-27 1980-04-10 Bayer Ag Polycarbonate mit alkylphenyl-endgrupp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4393190A (en) * 1981-09-21 1983-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Carbonate copolymers prepared from imide reactants
US4775739A (en) * 1986-06-18 1988-10-04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with tertiary alryl phenol molecular weight mod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86B1 (ko) * 2004-08-13 2006-08-25 주식회사 삼양사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를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09313A3 (en) 1991-10-02
KR910002945A (ko) 1991-02-26
IT8921227A0 (it) 1989-07-19
IT1231155B (it) 1991-11-19
EP0409313A2 (en) 1991-01-23
JPH03103435A (ja) 199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4053A (en) Cyclic polycarbonate oligom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4920200A (en) Hydroquinone-bisphenol cyclic copolycarbonate oligomer
EP2636695A1 (en) Polycarbonate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polycarbonate resin
US4638027A (en) Polycarbonate exhibiting improved heat resistance from cycloalkylidene diphenol
EP0166834A1 (en) Polycarbonates exhibiting improved heat resistance
JPS6330524A (ja) メチレン−ビス−ナフタレン化合物を含有する分枝状ポリカ−ボネ−ト及びその製法
US4650852A (en) Method for controlling polymerization rate of cyclic polycarbonate oligomers with pretreated catalyst
EP0679673A2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930005395B1 (ko) 고유동성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DE3345945A1 (de) Polycarbonate mit verbesserter waermebestaendigkeit
CA1152532A (en) Polycarbonates having sulfur containing phenolic diols incorporated therein
KR930005394B1 (ko) 고유동성의 폴리카보네이트와 그 제조방법
US4987269A (en) Flame-proof polycarbonates containing units deriving from halogenated macrocyclic compounds
US4216305A (en) Aromatic polyformal carbonates and method for making
US4608430A (en) Polycarbonate exhibiting improved heat resistance from diphenol containing disubstituted phenylene radical
EP0375936A2 (en) Linear copolycarbonates from hydroquinone-bisphenol cyclic copolycarbonates
US5863992A (en) Tetraphenols and their use as polycarbonate branching agents
KR910007525B1 (ko) 트리-또는 테트라-히드록시 비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측쇄의 폴리카아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5276213A (en) Special dihydroxydiphenyl bicycloalkanes,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for the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carbonates
KR0170080B1 (ko) 난연성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EP0350088B1 (en) Flame-resistant polycarbonates containing units derived from halogenated triphenyl compounds
CA1303778C (en) Flame-resistant polycarbonates, containing in their polymeric chain units deriving from mono-halogenated tetra-phenyl compounds
KR20040016514A (ko) 향상된 색상의 고상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폴리카보네이트 프리폴리머의 전처리 방법
JPS6330525A (ja) 四官能性複素環式化合物を含有する分枝状ポリカ−ボネ−ト及びその製法
US4727184A (e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