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035B1 - 점화시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점화시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035B1
KR930005035B1 KR1019890002669A KR890002669A KR930005035B1 KR 930005035 B1 KR930005035 B1 KR 930005035B1 KR 1019890002669 A KR1019890002669 A KR 1019890002669A KR 890002669 A KR890002669 A KR 890002669A KR 930005035 B1 KR930005035 B1 KR 93000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time
energization
reference posi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877A (ko
Inventor
마사히라 아까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5430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10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54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278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5430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6345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14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9/00Electric spark ignition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04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particular means during a transient phase, e.g. acceleration, deceleration, gear 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45Layout of circuits for control of the dwell or anti dwell time
    • F02P3/0453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 F02P3/0456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gital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6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 F02P7/077Circuits therefor, e.g. pulse generators
    • F02P7/0775Electronical vern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18DOHC [Double overhead cam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화시기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점화시기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波形圖).
제3도와 제4도는 제1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특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점화시기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특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점화시기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8도는 종래의 예에 따른 점화시기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9도와 제10도는 제8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각, 2원판 3A,3B : 자성체
4C,4D : 전자픽업 5 : 발진기
6 : 주기계측수단 9 : 점화시기연산수단
10 : 점화시간연산수단 20 : 통전시간연산수단
21,23 : 통전개시기간연산수단 22 : 통전신호 출력수단
30 : 제1점화신호 출력수단 31 : 제2점화신호 출력수단
40 : 점화제어신호출력수단 41 : 점화장치
42 : 점화코일
이 발명은 엔진의 점화시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점화시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종래의 점화시기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4사이클 4기통엔진의 크랭크축, 2는 이 크랭크축에 고정되어 측의 회전과 같이 회전하는 원판이고, 이 원판의 원주상에는 180°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자성체(3A), (3B)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4C, 4D는 상기 원판(2)의 외주에 근접하고 서로 소정의 각도차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자성체(3A) 또는 (3B)와 대향한 때에 기준위치펄스 PC, Pd를 각각 발하는 전자픽업이며, 전자픽업(4D)는 엔진의 상당한 크랭크각도위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전자픽업(4C)는 전자픽업(4d)의 위치에서 원판(2)의 외주방향에 따라 90°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측(1)이 90° 회전할 때마다 기준위치펄스 PC와 Pd가 교호(交互)로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5는 클록펄스 CP를 출력하는 발진기, 6은 상기 발진기(5)의 클록펄스 CP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준 위치펄스 PC의 시간간격 Tc를 계측할 주기계측수단, 9는 엔진의 회전수나 매니폴드압력등의 정보 S를 기초로 하여 전자픽업(4D)가 검출하여야할 크랭크의 기준위치를 기준으로한 점화진각도치(點火進角度値)(θ)를 산출하는 점화시기연산수단, 20은 배터리전압 U으로부터 점화코일(42)의 일차전류가 소정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통전시간 Tl를 연산하는 통전시간연산수단 10은 상기 시간간격 Tc 및 점화진각도 θ를 입력하여 기준위치펄스 Pc가 송출된 다음 점화까지의 시간 Ts를 기준위치펄스 Pc에 동기하여 후술하는 방법으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점화시간 연산수단이다.
이 시간 Ts와 점화코일(42)의 통전시간 Tl에서 통전개시시간연산수단(21)은 기준위치펄스 Pc의 발생부터 점화코일(42)의 통전개시까지의 시간 Toff를 구하고, 통전신호출력수단(22)는 클록펄스 CP, 기준위치펄스 PC, 통전개시시간 Toff를 입력시켜 기준위치펄스 Pc의 발생부터 통전개시시간 Toff경과후에 점화코일(42)에 통전을 개시시키는 통전신호 Pon를 출력한다.
상기 점화시산연산수단(10)에서 출력되는 시간 Ts, 클록펄스 CP 및 기준위치펄스 Pc를 입력하는 제1의 점화신호 출력수단(30)의 기준위치펄스 Pc가 입력된 시점부터 시간 Ts가 경과된 때에 점화코일(42)의 전류를 차단하는 점화신호 Pspk를 발생시킨다. 한편, 제2점화신호출력수단(31)은 기준위치펄스 Pd입력에 동기하여 제2점화신호 Psd를 발생한다.
점화제어신호출력수단(40)은 통전신호 Pon에 동기해서 전기적 상태를 “L”레벨에서 “H”레벨로 변전시키고, 제1점화신호 Pspk로는 제2점화신호 Psd 중에서 어느 쪽이든 시간적으로 먼저 발생한 신호에 동기하여 전기적 상태를 “H”레벨에서 “L”레벨로 반전하는 점화제어신호 Ps를 송출하는 점화제어신호출력수단(40)으로 구성되고, 이 점화제어신호 Ps에 의해 점화장치(41)가 작동되고 점화코일(42)을 구동시켜 엔진에 점화한다.
지금, 상기 전자픽업(4C)에서 송출되는 기준위치펄스 Pc를 순차적으로 PC1, PC2, PC3(제9도(a))라 할 때, 상기 주기 계측수단(6)은 기준발진기(5)의 클록펄스 CP에 기준해서 기준위치펄스 PC2입력시에 PC1과 PC2의 펄스주기 To2를 시간계측한다. 기준위치펄스 PC2가 송출되면, 점화시간연산수단(10)은 시간간격 Tc와 점화진각도치에서 다음번의 점화시각까지의 시간 T62(제9도(c))를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Figure kpo00001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기준위치펄스 PC2발생부터 이 (1)식으로 구한 시간 TS2경과 한후에 제1의 점화신호출력수단(30)은 점화코일(42)의 전류코단시기인 점화신호 Pspk2를 발생한다. 이 점화에 대응하는 점화시기에 있어서의 점화코일(42)의 통전개시는 통전개시시간 연산수단(21)에 의해 기준위치펄스 Pc2발생 부터 통전개시까지의 시간 Toff로서 구할 수 있다.
즉 통전개시시간연산수단(21)에서는, 먼저 점화시간연산수단(10)으로 구한 기준위치펄스 Pc에서 점화까지의 시간 Ts에서 통전시간연산수단(30)으로 구한 통전시간 T를 테서 통전개시시간 Toff을 연산한다.
Toff=Ts-Tl……………………………………………………(2)
통전신호출력수단은 기준위치펄스 PC의 발생시점에 기동되고 상기 통전개시시간 Toff 경과후에 통전신호 Pon(제9도(d))을 발생한다. 점화제어신호출력수단(40)은 이동전신호 Pon입력시에 점화코일(42)에 통전을 개시하고 상기 제1의 점화신호 Pspk 또는 기준위치펄스 Pd(제9도(b))에 동기된 제2의 점화신호 Pd(제9도(e))를 어느 것이든 먼저 발생한쪽의 점화신호로 점화코일(42)의 전류를 차단하고 엔진에 점화시키는 점화제어신호 Ps(제9도(f))를 발생한다.
제8도의 점화시기제어장치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엔진의 회전이 일정한 때는 기준위치펄스 PC의 시간간격 Tc가 일정하고 상기 제1점화신호 Pspk는 제2점화신호 Psd 보다 먼저 발생함으로 점화는 제1점화신호 Pspk에 의해 행해진다. 또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속시에는 엔진의 회전이 점화 때마다 상승하고 기준위치펄스 Pc의 시간간격 Tc가 점화때마다 축소하기 때문에 상기 (1)식에 따라 점화시간 Ts를 구할때 사용하는 시간 Tc보다 실제의 기준위치펄스 PC의 시간간격을 짧게된다. 따라서, 점화진각도치 θ가 0에 가까울 때는 제1점화신호 Pspk(제10도(c)) 보다 제2점화신호 Psd(제10도(e))가 먼저 발생하고, 점화를 제2점화신호 Psd 즉 기준위치펄스 Pd에 동기하여 행하도록 점화제어신호 Pa가 구성된다(제10도(f)).
이에 따라 가속상태에 있어서도 점화가 기준위치펄스 Pd 보다 늦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이 제2점화신호 Psd에 의한 점화가 없이, 제1점화신호 Pspk만으로 점화를 행하면 가속시에는 점화신호 Pspk가 제2기준위치펄스 Pd 보다도 시간적으로 상당히 늦은 시점에서 발생하게 되어 이상적(異常的)으로 지각(遲角)된 위치에서 엔진에 점화되어 엔진의 출력저하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이런 종류의 점화시기제어장치에 있어서 가속시에도 응답성이 좋은 점화제어를 실현키위해서는, 이 제2점화신호 Psd에 의한 점화제한은 적절한 방법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제8도의 점화시기제어장치는, 가속시에 제2점화신호 Psd에 의해 이상(異常)지각을 방지하고 있으나, 점화코일(42)의 통전개시는 그대로 제1점화신호 Pspk에 의해 통전시간 Tl 이전에 행하고 있다(제10도(d)).
따라서 통전시간 Pon에 의한 통전개시후 제1점화신호 Pspk에 의해서가 아니고 시간적으로 먼저 발생하는 제2점화신호 Psd에 의해 점화되는 조건 하에서는 실질적인 통전시간은 통전시간 Tl 보다 짧게 된다(제10도(f)의 Ps2).
예를 들면, 통상의 운전상태에서 가장 회전수변화가 심한 때는 아이들(Idle)상태에서 레이싱(racing)시킬 때이고 1000rpm 부근에서 1점화주기에 약 100rpm 정도의 회전상승을 한다.
제8도의 점화주기제어장치에서 통전시간의 부족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은 점화진각도치 θ가 0인 경우이고 상기 레이싱상태에서는 100rpm에 (To=15ms)의 점화시간 Ts는 (1)식에 Ts=16(ms)로 연산된다.
한편 엔진의 회전이 상기 1점화 주기에서 100rpm의 비율로 똑같이 상승한다면 기준위치펄스 PC발생부터 제2의 점화신호 Psd까지의 시간 Tdd는 약 1.43(ms)이고, Tcd-Ts=-0.7(ms)의 시간차가 생겨 통전시간은 0.7(ms) 부족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점화진각도치 θ가 2인 때는 점화시간 Ts=14.7(ms)이고 0.4(ms)의 통전시간의 부족이 생긴다. 특히 최근의 DOHC엔진과 같이 최고회전수가 높이 설정된 엔진에서는 고회전에서의 출력전압을 확보키 위해 짧은 통전시간으로 소정의 2차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1차 전류의 상승이 빠른 점화코일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통전시간 Tl이 3(ms)의 점화코일에서는 상기의 불과 0.7(ms)의 통전시간 부족으로도 2차출력 전압은 약 25% 저하되고 엔진의 성능저하나 실화에 의한 불연속연소 등이 발생한다.
통전시간연산수단(20)으로 소정의 2차출력을 얻기위해 필요한 통전시간 Tl을 아무리 연산한다하더라도 가속시에 축속되어 버리기 때문에 점화코일통전시간 부족은 피할 수 없다.
이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키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가속에 의한 엔진의 회전상승시에 점화시기의 이상지각(異常遲角)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 점화코일의 통전시간부족에 의한 점화코일 2차출력전압의 부족도 방지하는 점화시기 제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점화시기제어수단은 엔진의 회전주기 또는 회전주기 및 점화시기에 따라 점화코일 일차전류의 통전시간을 보정하는 통전수단을 갖춘 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 관한 점화시기제어수단은 점화시기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는 점화코일의 통전개시시기를 엔진의 회전주기 및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엔진의 회전주기 또는 이 회전주기 및 점화시기에 따라 점화코일 1차전류의 통전시간이 보정되므로 항상 충분한 2차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있어서는 가속시의 회전주기 축소시에도 통전시간 부족이 발생될 수 없으며 충분한 점화코일 2차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5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 붙인 제1도에서, 23은 기본 통전시간연산수단(20)을 연산된 점화코일(42)의 기본통전시간 Tp을 주기계측수단(6)의 계측주기 Tc에 따라 보정하여 점화코일(42)의 통전시간을 결정하는 통전시간 보정수단이다. 이 통전시간 보정수단(23)으로 연산되는 통전시간 보정량 ΔT는, 상술한 1점화주기에서 100rpm의 회전수상승의 가속에 대해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이 부족함 없이 응답하도록 설정되고, 또 필요이상으로 보정량을 크게 하여 점화장치의 소비전력이나 점화코일의 발열을 증대시키지 않도록 다음 (3)식에 의해 이를 구한다.
Figure kpo00002
이 연산식(3)은 통전시간 설정시의 주기 Tc에서 구한 엔진의 회전수를 Ne(rpm)라 하였을 때, 엔진이 90° 회전한 다음의 점화시에는 Ne+50(rpm) 상당의 회전수 상승이 있다 하고 통전시간 보정이 없을 때의 부족시간 Δt를 다음과 같이 구하며 이 부족시간을 보상하도록 보정량 T를 설정한 것이다.
Figure kpo00003
상기 통전시간 보정량 ΔT를 1점화주기 Tc에 대한 시간의 비율로 나타내면 제3도와 같이 된다. 고회전영역일수록 보정의 비율은 작고, 반대로 저회전영역에서는 보정의 비율이 커진다. 이 보정량 ΔT에 의해 기본통전시간 Tl을 보정하여 실제의 통전시간 제어치는 Tl+ΔT로 된다. 따라서, 점화코일(42)의 통전개시시기를 결정하는 통전개시시간은 다음 (4)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off=Ts-(Tl+ΔT)…………………………………………(4)
제2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통전개시시간이 ΔT만큼 빨라짐으로(제2도(c)) 점화제어신호 Ps는 점화가 Psd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통전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제2도(f)). 이 보정에 따르면, 상술한 1000rpm 근처에서 1점화주기에서 100rpm의 회전수상승상태를 고려하면 (3)식에서 통전시간의 보정량 ΔT는, 0.7(ms)가 되고, 전기 0.7(ms)의 통전시간부족을 보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식에 따르면 엔진회전수 전역에 대해 통전시간의 부족을 보완하고, 2차출력전압의 부족에 따른 엔진의 부조(不調)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보정식(3)은 식으로서는 간단하나, 이 연산을 낮은 레벨의 마이크로 컴퓨터로 행한다면 곱셈의 실행에 처리시간을 필요로 하고 S/W구성상 문제가 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3)식을 보다 연산하기 쉬운 근사한 식을 택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하기 (5)식을 사용하면 엔진회전수 500rpm에서부터 2200rpm까지의 범위에서 상술한 가속조건에 대해서 통전시간의 부족을 보정할 수 있다.
Figure kpo00004
상기 통전시간보정량 Δt를 (3)식에 관한 제3도와 같이, 1점화주기 Tc에 대한 시간의 비율로 표현하면 제4도가 된다. 이들 식 이외에도 엔진의 가속에 대한 통전시간부족을 엔진회전주기에 의해 보정하는 식을 생각할 수 있다. 엔진의 기종에 따라 가속의 정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개의 엔진에 대해 최적의 통전시간보정식을 정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본질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또 이 통전시간보정에 사용되는 엔진의 회전주기는, 엔진의 서로 다른 소정 회전각도간의 주기를 측정하여, 그 증가, 감소에 따라 예측한 회전주기로 해도 좋다. 다음에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2도와 제5도 및 제6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8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 표시한 제5도에 있어서, 23은 기본통전시간연산수단(20)으로 연산된 점화코일(42)의 기본통전시간 Tl을 주기계측수단(6)의 계측주기 Tc 및 점화시기연산수단(9)로 연산하여 구한 점화진각도치 θ에 따라 보정하여 점화코일(42)의 통전시간을 결정하는 통전시간보정수단이다. 이 통전시간보정수단(23)으로 연산되는 통전시간보정량 ΔT는, 상기 1점화주기에 100rpm의 회전수상승의 가속에 대하여 그 점화진각도치 θ에 의하지 않고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이 부족되지 않게 응답하도록 설정한다. 또 필요이상으로 큰 통전시간보정량은 점화장치의 소비전력의 증가나 점화코일의 발열을 증대시키므로 필요 최소한의 값이되도록 다음의 (6)식에 따라 통전시간보정량을 연산한다.
Figure kpo00005
이 연산식(6)은 통전시간 설정시의 주기 Tc에서 구한 엔진회전수를 Nc(rpm)라 할때, 기준위치펄스 Pc발생에서 부터 엔진이 90° 회전한 다음의 기준위치펄스 Pd발생시에는 Ne+50(rpm)에 상당하게 회전수가 상승한다하고, 통전시간보정이 없을 때의 부족시간 Δt를 하기와 같이하여 구하고, 이 부족시간을 보상하도록 조정량 ΔT를 설정한 것이다. 점화시간 Ta는
Figure kpo00006
상기 통전시간보정량 ΔT를 1점화주기 Tc에 대한 시간의 비율로 표현하면 제6도와 같이 된다. 고회전영역일수록 보정의 비율은 작고, 반대로 저회전영역에서는 보정비율이 크게 된다. 또 진각도치가 0에 가까울수록 보정량은 크고 진각(進角)함에 따라 보정량은 감소하는 특성이 된다.
이 보정량 ΔT에 의해 기본통전시간 Tl를 보정하면 실제의 통전시간 제어치는 Tl+ΔT가 된다.
따라서 점화코일(42)의 통전개시시기를 결정하는 통전개시시간은 하기 (7)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off=Ts-(Tl+ΔT)…………………………………………(7)
제2도는 본 실시예의 가속시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통전개시시기 Δ만큼 빨라지므로(제2도(c)) 점화제어신호 PS는 점화가 Psd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통전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제2도(f)).
이 보정에 따라, 상기의 100rpm 근방에서 1점화주기에 100rpm의 회전수상태를 생각하면 (6)식에서 점화진각도치 θ가 0인 때의 통전시간의 보정량 Δt는 0.7(ms)가 되고 전기 0.78(ms)의 통전시간부족을 보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점화진각도치 θ가 2인 때는 통전시간보정량 T는 0.4(ms)로 되고 통전시간부족을 완전히 보상한다. 또 (6)식에 의하면 엔진회전전역에 있어서 통전시간의 부족을 보완할 수 있고, 2차출력 전압의 부족에 의한 엔진의 상태약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정량자에도 그때의 점화진각도치에 따라 최소치가 되도록 구성되어있음으로 점화장치에서의 소비전력도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있다.
이들 식외에도, 엔진의 가속에 대한 통전시간부족을 엔진회전주기 및 점화진각도치에서 보정하는 식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엔진의 기종에 따라 가속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고, 개개의 엔진에 대해 최소한 통전시간보정식을 정해도 본 발명의 본질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제7도 및 제2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8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부호를 붙여 나타낸 제7도에 있어서, 23은 점화시기연산수단(9)로 구한 점화시기가 소정의 범위에 있을 때의 회전주기 Tc와 점화코일(42)의 통전시간 T에서, 점화시기가 상기 범위외인때는 점화시간 Ts와 통전시간 Tl에서 기준위치펄스 Tc발생으로 부터 점화코일(42)의 통전개시까지의 시간 Toff를 구해 점화코일(42)의 통전개시시간을 결정하는 통전개시시간연산수단이다.
이 통전개시시간연산수단(23)으로 연산한 통전개시시간 Toff는, 상술한 1점화주기에 100rpm의 회전수상승의 가속에 대해 그 점화진각도치 θ에 의하지 않고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이 부족되는 일없이 응답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그러나, 필요이상으로 큰 통전시간은 점화장치의 소비전력의 증가와 점화코일의 발열을 증대시키므로 필요한 최소한의 값이되도록 설정하는 일이 중요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통전시간설정시의 주기 Tc에서 구한 엔진회전수를 Ne(rpm)라 할 때, 기준위치펄스 PC/발생에서 부터 엔진이 90° 회전한 다음의 기준위치펄스 Pd발생시 까지는 Ne+50(rpm) 상당의 회전수가 상승한다하고, 제8도의 종래 예에 있어서의 통전부족시간 ΔT를 하기와 같이하여 구하고 이부족시간을 보상하도록 통전개시시기를 앞당기고 있다.
통전부족시간 ΔT는 기준위치펄스 Pc에서 제1점화신호 까지의 시간 Ts와 기준위치펄스 Pc에서 제2점화신호 Psd(즉 기준위치펄스 Pd)까지의 시간 Tcd의 차에 의해 구할 수 있다.
ΔT=Ts-Tcd…………………………………………………(8)
여기서 기준위치펄스 Pc, Pd 사이의 시간은
Figure kpo00007
상기 부족시간 ΔT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T의 값이 정(正)이 되는 범위에서 점화코일(42)의 통전개시시기를 ΔT만큼 앞당기면되고 ΔT가 부(負) 또는 0인 때는 종래의 예와 같이 (2)식의 통전개시시간으로하면 전운전상태(前運轉狀態)에서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에 부족은 생기지 않는다.
ΔT가 정으로 되는 범위는 (1)(8)(9)식에서
Figure kpo00008
부등식(10)을 만족시키는 조건을 점화진각도치 θ에 대해서 구하면 다음 (11)식과 같이 된다.
θ<75×Tc………………………………………………………(11)
따라서 통전개시시간연산수단(23)에는, (11)식을 만족시키는 점화시기 범위에서 하기 (12)식에 의한 통전개시시간을 구한다.
Tdff=Ts-Tl-ΔT
=Ts-Tl-(Ts-Tcd)
Tcd-Tl…………………………………………………………(12)
(12)식에서 (11)식을 만족시키는 점화시기범위에서는, 통전개시시기는 엔진의 전주기 및 점화코일(42)의 통전시간 Tl만으로 점화시되고 점화시기에는 의존치 않는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가속시의 동작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통전개시시기가 ΔT만큼 일직되기 때문에(제2도(c)) 점화제어신호 Ps는 점화가 Psd에서 행해져도 충분한 통전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제2도(f)). 이 통전개시시기를 앞당기는 조작에의해, 상술한 1000rpm 부근에서 1점화주기에 100rpm의 회전수상승상태를 고려하면 (3)식에서 점화진각도치 θ가 0일때의 통전시간의 부족 Δt는 0.7(ms)로 되나, 이 부족분은 (12)식에 의해 일직 통전되기 때문에 결국 통전 시간의 부족은 발생치 않는다.
또 1000rpm로 일정하게 엔진이 연속 운전되고있을때 상기 (7)식에 의해 점화진각도치 θ가 0일 때에 상기 0.7(ms)만큼 통전이 일직되나, 이 시간 증량(時向增量)은 통상 사용되는 점화장치에 있어서 소비전력의 이라는 점으로 봐서도 극히 근소할뿐 별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엔진회전전역에 있어서 통전시간의 부족을 보완하고 2차출력전압의 부족에 의한 엔진의 상태약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정량 자체도 필요 최소한의 값이되도록 구성하고 있음으로 점화장치에서의 소비전력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면, 크랭크기준각도위치를 검출키위해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전자픽업(4C)(4D)의 2개의 검출기를 사용했으나 이것은 예를들어 기준위치 Pc에서 저레벨에서 고레벨로 변화하고, 기준위치 Pd에서 고레벨에서 저레벨로 변화하는 각도검출기를 사용하여 두 개의 크랭크기준위치를 검출하여도 좋고, 한개의 전자픽업으로 Pc, Pd의 양기준위치를 시계일적(時系佾的)으로 검출하여 이것과는 별개의 검출기로 Pc, Pd의 판별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화시기가 엔진의 회전주기에 따라 설정되는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때는 점화코일의 통전개시시기를 점화시기에 따르지 않고 엔진의 회전주기 또는 이회전주기 및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에 따라 결정하고 미리 가속시의 통전시간부족을 보상하도록 앞당겨 통전을 개시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가속시의 회전주기축소때에도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의 부족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점화코일의 2차출력전압 부족에 의한 엔진의 성능저하가 불연속연소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통전시간의 증가에 따른 점화장치의 소비전력의 증가나 점화코일의 발열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엔진의 소정의 크랭크각도위치에서 제1기준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제1기준위치검출수단과, 상기 크랭크각도와는 다른 소정의 크랭크각도위치에서 제2기준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제2기준위치검출수단과, 적어도 상기 제1 또는 제2의 기준위치신호에서 엔진의 회전주기를 구하는 회전주기계측수단과, 점화코일의 1차전류가 소정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기본통전시간을 구하는 기본통전시간연산수단과, 이 기본통전시간을 엔진의 회전주기 또는 회전주기와 점화시기에 따라 보정하여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을 결정하는 통전시간보정수단과,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른 점화시기를 연산하는 점화시기연산수단과, 상기 회전주기와 점화시기에서 상기 제1기준위치에서 점화시기까지의 점화시간을 연산하는 점화연산수단과, 상기 점화시간과 점화코일의 통전시간에서 상기 제1기준위치로부터 점화코일의 통전개시시기까지의 통전개시시간을 연산하는 통전개시시간연산수단과, 상기 제1기준위치신호발생지점에서 상기 통전개시시간경과 후에 점화코일의 통전을 개시하는 통전지령신호를 발생하는 통전지령출력수단과, 상기 제1기준위치신호 발생시점에서 상기 점화시간경과 후에 점화코일의 통전을 차단하는 제1점화지령신호를 발생하는 제1점화지령출력수단과, 상기 제2기준위치신호발생시에 점화코일의 통전을 차단하는 제2점화지령신호를 출력하는 제2점화지령출력수단과, 상기 통전지령신호에 의해 점화코일에 통전을 개시하고 상기 제1점화지령신호 또는, 제2점화지령신호중 시간적으로 먼저 발생한 점화지령신호에 의해 점화코일의 통전을 차단하는 점화제어신호는 점화장치에 출력하는 점화제어신호출력수단을 갖춘 점화시기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개시시간연산수단에 점화시기가 회전주기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범위에 있을 때는 엔진회전주기와 기본 통전시간에 의해 통전개시기간을 연산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기 제어장치.
KR1019890002669A 1988-03-07 1989-03-03 점화시기 제어장치 KR930005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54304? 1988-03-07
JP63-54304 1988-03-07
JP63-54305 1988-03-07
JP63054303A JPH07101028B2 (ja) 1988-03-07 1988-03-07 点火時期制御装置
JP63-54303 1988-03-07
JP???63-54305? 1988-03-07
JP???63-54303? 1988-03-07
JP63054304A JPH01227870A (ja) 1988-03-07 1988-03-07 点火時期制御装置
JP5430588A JPH0786345B2 (ja) 1988-03-07 1988-03-07 点火時期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77A KR890014877A (ko) 1989-10-25
KR930005035B1 true KR930005035B1 (ko) 1993-06-12

Family

ID=2729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669A KR930005035B1 (ko) 1988-03-07 1989-03-03 점화시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07397A (ko)
KR (1) KR930005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8764B2 (ja) * 1990-03-15 1999-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点火通電時間制御装置
US5233961A (en) * 1991-12-04 1993-08-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92754A (en) * 1993-12-16 1995-02-28 Delco Electronics Corp. Method of suppressing ringing in an ignition circuit
JP3595085B2 (ja) * 1996-11-18 2004-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点火制御システム
EP1471240A2 (en) * 1997-05-21 2004-10-27 Nissan Motor Co., Ltd. Transient control between two spark-ignited combustion states in engine
DE19906391A1 (de) * 1999-02-16 2000-08-17 Bosch Gmbh Robert Zünd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DE19906390A1 (de) * 1999-02-16 2000-08-17 Bosch Gmbh Robert Zünd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US6357427B1 (en) * 1999-03-15 2002-03-19 Aerosance, Inc. System and method for ignition spark energy optimization
DE10041443A1 (de) * 2000-08-23 2002-03-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
US8997723B2 (en) * 2012-06-29 2015-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e-ignition control
JP6319161B2 (ja) 2015-04-15 2018-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706A (en) * 1976-10-18 1979-08-14 Nippon Soken, Inc. Rotational position detector utilizing an FET blocking oscillator
DE3009821A1 (de) * 1980-03-14 1981-10-0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uendanlage fuer brennkraftmaschinen
JPS56135754A (en) * 1980-03-26 1981-10-23 Nippon Denso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current feeding time period at the time of acceleration
DE3034440A1 (de) * 1980-09-12 1982-04-2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uendanlage fuer brennkraftmaschinen
US4351306A (en) * 1981-05-26 1982-09-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nic ignition system
DE3129184A1 (de) * 1981-07-24 1983-02-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zur schliesswinkelregelung bei zuendanlagen fuer brennkraftmaschinen
US4520781A (en) * 1981-09-16 1985-06-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gnition control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38585A (en) * 1982-08-02 1985-09-03 Fairchild Camera & Instrument Corporation Dynamic ignition apparatus
JPS60119372A (ja) * 1983-11-30 1985-06-26 Hitachi Ltd 電子進角式点火装置
JPS62178770A (ja) * 1986-01-30 1987-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07397A (en) 1991-04-16
KR890014877A (ko) 198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035B1 (ko) 점화시기 제어장치
JPS6460774A (en) Ignition timing controller
JPS5945833B2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KR890014875A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100669001B1 (ko) 점화 제어 장치 및 점화 제어 방법
JP2762433B2 (ja) デイーゼル機関用燃料噴射率制御方法
JPH03145571A (ja) 内燃機関用点火制御方法
US20050045165A1 (en)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30005033B1 (ko) 전자식 점화시기 제어장치
JP2878028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H0786345B2 (ja) 点火時期制御装置
JPS5851155B2 (ja) 内燃機関用電子式点火制御装置
US4969438A (en) Ignition timing controll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834371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S5632076A (en) Ignition timing correc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1227870A (ja) 点火時期制御装置
JPS56141061A (en) Ignition time control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6141055A (en) Ignition time correc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101028B2 (ja) 点火時期制御装置
JPH07117028B2 (ja) 点火時期制御装置
JPH0772525B2 (ja) 点火時期制御装置
JPH01227872A (ja) 電子式点火時期制御装置
US5010865A (en) Ignition timing controll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01838B1 (ko) 차량용 엔진의 아이들 제어 방법
JPH034747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