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81B1 - 병용성 카세트들의 조합체와 그를 사용하는 타자기 - Google Patents

병용성 카세트들의 조합체와 그를 사용하는 타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781B1
KR930004781B1 KR1019880011401A KR880011401A KR930004781B1 KR 930004781 B1 KR930004781 B1 KR 930004781B1 KR 1019880011401 A KR1019880011401 A KR 1019880011401A KR 880011401 A KR880011401 A KR 880011401A KR 930004781 B1 KR930004781 B1 KR 93000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ribbon
calibration tape
ink ribb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922A (ko
Inventor
베에 뮬러 한스
디이 캡포토 사뮤엘
Original Assignee
스미스 코로나 코오포레이션
허버트 에이취 이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4232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3000478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스 코로나 코오포레이션, 허버트 에이취 이글리 filed Critical 스미스 코로나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00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22Mechanisms permitting the selective use of a plurality of ink ribbons
    • B41J35/23Mechanisms permitting the selective use of a plurality of ink ribbons with two or more ribb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병용성 카세트들의 조합체와 그를 사용하는 타자기
제1도는 스위치 작동 수단을 가진 제1타자 리본 카세트,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 리본 카세트와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지탱하는 이동 가능한 브래킷의 일부분, 및 온-오프 스위치 기구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이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스위치 작동 수단을 가진 제2타자 리본 카세트,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 리본 카세트와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지탱하는 이동 가능한 브래킷의 일부분, 및 온-오프 스위치 기구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이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타자 리본 카세트에 배치된 스위치 작동 수단의 일부분, 리본 카세트와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지탱하는 이동 가능한 브래킷의 일부분, 및-온프 스위치를 나타내는, 이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타자기에 동력이 공급될 수 없도록 평상시 폐쇄되어 있는 온-오프 스위치를 나타내는, 이 발명의 측면도.
제5도는 타자기에 동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에 있는 온-오프 스위치를 나타내는, 이 발명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 : 제1 및 제2타자 리본 카세트 4,4a : 하우징
6,6a : 제1 및 제2타자 리본 8,44 : 탭
10,10a : 제1 및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 12,12a : 제1 및 제2교정 테이프
14,14a : 평탄 부위 16,46 : 개구부
18 : 브래킷 부분 28 : 클립
30 : 온-오프 스위치 록커 32,38 : 제1 및 제2핑거
50 : 아암 52,54 : 우측 및 좌측 핑거
56 : 스프링 수단 60 : 스위치
62,64 : 제1 및 제2스위치 접점 66 : 전자 장치
68 : 도선
이 발명은 타자 리본 카세트 및 교정 카세트와 같은 적어도 2개의 다른 카세트들을 병용하는 타자기와 같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2개의 카세트들이 기능상 서로 병용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카세트들이 기능상 서로 병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장치의 작동을 조정하므로써 달성된다.
타자기나 프린터에 제공된 카세트의 상태나 형태에 따라 타자기나 프린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이 여러 종래 기술들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636,097호는 카세트의 타자 리본의 끝이 감지되거나 프린터에 카세트가 없을때 그 프린터가 작동되지 못하게 하는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1982년 9월호 IBM 기술보고서 25권 제4호에는 그러한 다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 보고서에 개시된 카세트는 그 카세트의 내용물을 나타내는 신호를 타자기와 같은 장치에 보내어, 카세트 내용물의 특성들에 따라 장치가 조정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그러한 장치가 미합중국 특허 제4,516,137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열(熱)식 리본 카세트의 유무가 프린터에 의해 감지된다. 열식 리본 카세트가 존재할때, 프린터가 일방향으로만 프린트할 수 있는 반면, 리본 카세트가 없으면, 프린터가 양방향으로 프린트한다.
또한, 리본 카세트를 교정 카세트에 연결하는 수단을 개시하고 있는 종래 기술들이 있다. 그러한 종래 기술들의 예들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4,239,107호와 제4,302,118호가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302,118호는 리본 카세트를 교정 카세트와 정렬시켜 배치하는데 적합하게된 수단과, 교정 카세트 이송 및 리본 카세트 상승 기구의 선택을 제어하도록 카세트에 제공된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은 리본 카세트 및 교정 카세트와 같은 적어도 2개의 다른 카세트들을 병용할 수 있는 타자기와 같은 장치에서 그 카세트들이 기능상 서로 병용될 수 있게 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타자 리본 카세트는 리본과 여러 부품들이 편리하게 내장되는 플라스틱 덮개를 포함한다. 이들 부품들로는, 일정량의 타자 리본이 위치되는 공급 스푸울, 타자 리본이 이 공급 스푸울에서 타자기 프린트 지점으로 일정하게 잡아당겨지게 하는 기구 및, 타자된 리본이 감기는 권취 스푸울이 있다. 타자기 구동기구가 권취 스푸울을 회전시켜 공급 스푸울의 새 리본을 프린트 지점으로 전진시키도록 한다. 이런 형태의 타자 리본 카세트가 미합중국 특허 제4,302,11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타자 리본 카세트는 여러 타입의 리본들을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리본은 단일타(打) 카본 리본 타입이나 다중타 카본 리본 타입일 수 있다. 리본이 단일타 카본 리본인 경우, 그 리본은 그의 일부에 한 문자가 타자된때 그 리본의 새로운 부위에 다음번 문자가 타자되도록 전진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증분적으로 공급된다.
리본이 “스미스 코로나 코퍼레이션”(Smith Corona Corporation)에 의해 판매되는 “다중타” 리본과 같은 다중타 리본인 경우, 그 리본은 리본에 한 문자가 타자된때 그 타자된 리본 부위와 새로운 리본 부위 모두를 포함하는 리본 부위에 다음번 문자가 타자되도록 작은 거리만큼 전진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증분적으로 공급된다. 이런식으로 하여, 단일타 리본보다 상당히 더 많은 문자들이 다중타 리본에 타자될 수 있다.
또한, 타자 교정 카세트 역시 교정 테이프와 여러 부품들을 편리하게 내장하는 플라스틱 덮개를 포함한다. 타자 리본 카세트에서와 같이, 교정 카세트의 부품들도 공급 스푸울, 교정 테이프가 공급 스푸울에서 일정하게 풀려나가게 하는 수단 및 권취 스푸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교정 테이프 역시, 원치 않는 문자를 쳤을때 이 테이프가 종이에서 그 문자를 떼어내는 “제거” 테이프와 원치 않는 문자를 쳤을때 이 테이프상의 분말물질이 종이상의 그 문자로 옮겨져 그 오타된 문자를 덮어버리는 “덮어씌움” 테이프로 통상 불리는 2가지 타입으로 될 수 있다.
현재의 시중에서는, 약간의 예외가 있겠지만, 제거 교정 테이프는 단일타 카본 리본하고만 병용되고, 덮어씌움 교정 테이프는 다중타 카본 리본하고만 병용되고 있다. 병용될 수 있는 리본 테이프와 교정 테이프를 가진 카세트들의 조합체가 카세트 조합체로 불린다. 따라서, 단일타 리본과 다중타 리본 둘다뿐 아니라 제거 교정 테이프와 덮어씌움 교정 테이프 모두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타자기에서, 제거 교정 테이프가 단일타 카본 리본하고만 사용되고 덮어씌움 교정 테이프가 다중타 카본 리본하고만 사용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제거 테이프 카세트가 단일타 리본 카세트하고만 사용될 수 있고, 덮어씌움 테이프 카세트가 다중타 리본 카세트하고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타자기에 배치되어 타자기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 수단과, 리본 카세트에 배치되어, 타자기의 상기 온-오프 스위치 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이 발명에 따르면, 리본 카세트의 상기 작동 수단은 기능상 병용할 수 없는 카세트들이 타자기에 있을때는 타자기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리본 카세트의 작동 수단은, 단일타 리본 카세트와 덮어씌움 교정 테이프 카세트가 타자기에 있을때 또는 다중타 리본 카세트와 제거 교정 테이프 카세트가 타자기에 있을때에만 타자기의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잉크리본인 제1타자 리본(6)(단일타 카본 리본 타입일 수 있음)과 여러가지 다른 부품들이 내장되는 하우징(4)을 가지는 제1타자 리본 카세트(2)가 도시되어 있다. 탭(8)이 후술되는 목적을 위해 하우징(4)의 바닥 오른쪽 부위에서 뻗어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타 카본 리본은, 한 리본 부위에 문자가 타자된때 그 리본의 새로운 부위에 다음번 문자가 타자되도록 그 리본이 전진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증분적으로 공급되는 타입으로 되어 있다. 상기 다른 부품들(도시안됨)로는, 타자 리본 공급부가 위치되는 공급스푸울, 리본이 공급 스푸울에서 타자기 프린터 지점으로 일정하게 풀려나가게 하는 기구, 및 타자된 리본이 감기는 권취 스푸울이 포함되며, 이들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도시가 생략되었다. 상기 탭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 카세트와 유사한 단일타 리본 카세트가 현재 “H Correctable”이란 상표로 “스미스 코로나 코퍼레이션”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제1도에는, 또한, 제1타자 리본 카세트(2)와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거 테이프 타입의 제1교정 테이프(12)가 여러가지 다른 부품들과 함께 내장되는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가 도시되어 있다. 작동시, 서류에서 오타된 문자를 지우기 위해서, 제거 테이프가 그 문자 위의 프린트 지점으로 상승되고 타이프 요소상의 그 오타된 문자가 제거 테이프를 가격하도록 위치된다. 타자기 작동 수단이 타이프 요소로 하여금 제거 테이프를 서류상의 오타된 문자에 대해 타격하게 하면, 그 제거 테이프가 서류에서 오타 문자를 지워버린다.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의 상기 다른 부품들(도시안됨)로는, 교정 테이프 공급 스푸울, 교정 테이프가 그 공급 스푸울에서 일정하게 풀려나가게 하는 수단, 및 권취 스푸울이 포함되며, 이들 부품 역시 통상적인 것이므로, 그들의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는 오른쪽 부위에 개구부(16)가 있는 평탄 부위(14)를 포함하며, 카세트들이 타자기에 끼워질때 이 개구부를 통하여 제1타자 리본 카세트(2)의 탭(8)이 연장한다.
제1도는 또한, 제1타자 리본 카세트(2)와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를 지탱하는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은 제1타자 리본(6)이나 제1교정 테이프(12)중 하나를 타자기 프린트 지점으로 보내도록 타자기에 제공된 통상의 수단(도시안됨)에 의해 피봇점들(20)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1 및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에는 앞부위(26)에 구멍(22)과 구멍(24)이 있다. 클립(28)이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에 물려 있다. 온-오프 스위치 록커(rocker)(30)(이의 작동은 후술될 것임)가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의 구멍(24)을 통하여 뻗어있는 제1핑거(32)(온-오프 스위치 록커(30)의)에 의해 상기 브래킷 부분(18)에 조립되어 있다. 온-오프 스위치 록커(30)의 노치(34)가 구멍(24)의 벽 부위(36)를 수용한다. 이 벽 부위(36)에 기대어 안착된 제1핑거(32)가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위한 제1피봇점을 제공해 준다.
온-오프 스위치 록커(30)의 제2핑거(38)가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의 구멍(22)을 통하여 뻗어나가고, 구멍(22)의 벽 부위(40)에 맞닿아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위한 제2피봇점을 제공한다. 제2핑거(38)는, 그 제2핑거(38)가 구멍(22)의 벽 부위(40)쪽으로 밀어붙여져 제1핑거(32)가 구멍(24)의 벽 부위(36)쪽으로 밀어붙여지므로 브래킷 부분(18)에 조립된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온-오프 스위치 록커(30)와 일체로 성형된다. 제1핑거(32)의 제1피봇점은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에 대해 피봇시키기 위한 공통 축선(42)을 제공하도록 제2핑거(38)의 제2피봇점과 사실상 일치하여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제1타자 리본 카세트(2) 및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와 구조가 대략 비슷한 제2타자 리본 카세트(2a)와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10a)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볼때, 제1도에 사용된 것과 같은 참조 번호가 제2도에도 사용되지만, 제2도의 참조번호에는 문자 “a”가 첨가되었다.
제2도에 도시된 제2타자 리본 카세트(2a)는 다중타 카본 리본 타입일 수 있는 제2타자 리본(6a)과 여러 다른 부품들이 내장되는 하우징(4a)을 가지며, 탭(44)이 후술되는 목적을 위해 하우징(4a) 바닥의 좌측부위에서 뻗어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타 카본 리본은, 한 리본 부위에 한 문자가 타자된때 그 타자된 리본 부위와 새로운 리본 부위 모두를 포함하는 리본 부위에 다음번 문자가 타자되도록 그 리본이 전진되게끔 증분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다른 부품들(도시안됨)로는, 타자 리본 공급부가 위치되는 공급 스푸울, 리본이 공급 스푸울에서 타자기 프린트 지점으로 일정하게 풀려나가게 하는 기구, 및 타자된 리본이 감기는 권취 스푸울이 포함된다. 상기 탭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 카세트와 유사한 다중타 리본 카세트가 “H Multi-Strike”라는 상표로 “스미스 코로나 코퍼레이션”에 의해 현재 시판되고 있다.
또한 제2도에는, 제2타자 리본 카세트(2a)와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덮어씌움 테이프 타입의 제2교정 테이프(12a)가 여러 다른 부품들과 함께 내장되는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10a)가 도시되어 있다. 작동시, 서류에서 오타된 문자를 지우기 위해서, 덮어씌움 테이프가 그 문자 위의 프린트 지점으로 상승되고, 타이프 요소상의 그 오타된 문자가 덮어씌움 테이프를 타격하도록 위치된다. 타자기 작동 수단에 의해 타이프 요소가 덮어씌움 테이프를 서류상의 오타된 문자에 대해 타격하여, 그 덮어씌움 테이프의 교정 물질이 그 오타된 문자로 옮겨져 그 문자를 덮어버리게 한다.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10a)의 상기 다른 부품들(도시안됨)로는, 교정 테이프 공급 스푸울, 교정 테이프가 공급 스푸울에서 일정하게 풀려나가게 하는 수단, 및 권취 수푸울이 포함된다.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10a)는 좌측 부위에 개구부(46)가 있는 평탄 부위(14a)를 포함하며, 카세트들이 타자기 안으로 끼워질때 제2타자 리본 카세트(2a)의 탭(44)이 그 개구부(46)를 통하여 연장한다.
제2도의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은 제1도의 브래킷 부분과 같다. 제3도의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는 후방으로 연장하는 2개의 아암들(50)이 있는 대략 평탄한 부위(48)를 가지며, 이 아암들상에, 상방으로 연장하는 우측 핑거(52)와 상방으로 연장하는 좌측 핑거(54)가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수단(56)이 그의 일단부에서 온-오프 스위치 록커(30)에 연결되고, 그의 반대측 단부에서는 스프링 구멍(58)에서 브래킷 부분(18)에 연결된다. 그 스프링 수단(56)은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공통 축선(4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면에서 볼때)으로 탄력적으로 당긴다.
스위치(60)는 제1스위치 접점(62)과 제2스위치 접점(64)을 가진다. 제1스위치 접점(62)은 온-오프 스위치 록커(30)에 고착되어 있다. 제1스위치 접점(62)에는 그 길이가 공통 축선(42)에 대해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 기다란 접촉면이 있다. 제2스위치 접점(64)은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에 조립된 클립(28)에 고착되어 있다. 제2스위치 접점(64)에는 그 길이가 제1스위치 접점(62)에 대해 사실상 수직하게 배열된 기다란 접촉면이 있다. 이 접점들은 각기 다른 형태로 될 수 있지만, 처음 조립중에 그리고 그후의 계속적인 타자기 작동중에 제1스위치 접점(62)을 제2스위치 접점(64)과 효율적으로 접촉시키는데 필요한 제조 공차들을 줄이기 위해 그 형태들을 기다랗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혀졌다. 제1 및 제2스위치 접점들(62, 64)은 도선들(68)에 의해 타자기에 장착된 전자 장치(66)에 연결되고, 이 전자 장치(66)는 타자기로 가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전원에 연결된다.
제4도에서, 스프링 수단(56)은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당겨, 제1스위치 접점(62)을 제2스위치 접점(64)과 접촉하도록 당김으로써 스위치(60)를 폐쇄시킨다. 제1타자 리본 카세트(2)와 제2타자 리본 카세트(2a)중 어느 것이라도 타자기에 끼워지지 않으면, 스위치(60)가 폐쇄되어 유지되고, 전자 장치(66)는 스위치(60)의 폐쇄 상태를 감지하므로써 타자기로 가는 전류의 흐름을 막는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타자 리본 카세트(2)(제1도)가 타자기 안에 끼워지면, 탭(8)이 우측 핑거(52)와 닿고,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이동 가능한 브래킷 부분(18)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피봇시켜 스위치(60)를 개방한다. 마찬가지로, 제2타자 리본 카세트(2a)(제2도)가 타자기 안에 끼워지는 경우, 탭(44)이 좌측 핑거(54)와 닿고,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시계방향으로 피봇시켜 스위치(60)를 개방한다. 이때, 전자 장치(66)가 스위치(60)의 개방을 감지하면, 그 전자 장치가 타자기에 전류가 흐르게 한다.
제1타자 리본 카세트(2)의 탭(8)의 하향 이동과 그에 따른 타자기로의 전류 흐름은, 그 우측 탭(8)이 그 제1타자 리본 카세트와 병용될 수 있는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의 평탄 부위(14)의 우측 개구부(16)를 통하여 연장할 수 있을 때에만 발생한다. 그러나, 타자기에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가 장착되는 대신, 평탄 부위(14a)에 좌측 개구부(46)만 있어 제1타자 리본 카세트와 병용될 수 없는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10a)가 장착된 경우에는, 탭(8)이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키도록 아래로 연장할 수 없어서 타자기로의 전류 흐름도 일어날 수 없다.
유사하게, 제2타자 리본 카세트(2a)의 경우에도, 좌측 탭(44)이 그 제2리본 카세트와 병용될 수 있는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10a)의 평탄 부위(14a)의 좌측 개구부(46)를 통하여 연장할 수 있을 때에만 타자기로의 전류 흐름이 일어난다. 그러나, 타자기에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10a)가 장착되는 대신, 평탄 부위(14)에 우측 개구부(16)만 있어 제2타자 리본 카세트와 병용될 수 없는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가 장착된 경우에는, 탭(44)이 온-오프 스위치 록커(30)를 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키도록 아래로 연장할 수 없어서 타자기로의 전류 흐름도 일어날 수 없다. 따라서, 제1~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타자 리본 카세트(2)와 제2교정 테이프 카세트(10a)의 조합이나, 또는 제2타자 리본 카세트(2a)와 제1교정 테이프 카세트(10)의 조합중 어느 하나의 카세트 조합체가 타자기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타자기에의 전류 흐름이 일어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Claims (43)

  1. 잉크 리본을 가진 제1카세트와 교정 테이프를 가진 제2카세트가 선택적으로 조합된 카세트 조합체들에서, 한 카세트 조합체의 제1카세트내 잉크 리본은 다른 카세트 조합체의 제2카세트내 교정 테이프와 서로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없는 것으로된 카세트 조합체를 이용하는 타자 시스템으로서,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있는 선택된 한 조합체의 제1 및 제2카세트들이 작동을 위해 삽입되는 장치와, 상기 제1카세트내 잉크 리본이 제2카세트내 교정 테이프와 병용될 수 있지 않는한 제1카세트의 적절한 장착을 방지하고 그 병용성이 있을 때만 상기 장치가 작동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카세트들에 제공된 수단들로서,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가 서로 병용될 수 없는 조합의 카세트들이 상기 장치내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카세트내 잉크 리본의 타입과 제2카세트내 교정 테이프의 타입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카세트들상의 특정 위치들에 배치되는 상기 수단들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카세트들상의 상기 수단들의 위치에 의해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 사이의 병용성이 확인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성 카세트들의 조합체를 사용하는 타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세트가 하우징을 가지며, 제1카세트상의 상기 수단이 상기 하우징으로 부터 연장하도록 그 하우징에 배치된 상기 타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1카세트상의 상기 수단이, 제2카세트에 제공된 상기 수단과 협동하여 제1 및 제2카세트들이 상기 장치에 삽입된때 제1카세트내 잉크 리본과 제2카세트내 교정 테이프의 기능적 병용성을 확인하도록 제1카세트에 제공된 성형물인 상기 타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각 카세트 조합체의 상기 수단이, 각 카세트 조합체에 독특한 제1 및 제2카세트의 부분들에 배치된 상기 타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제1카세트가 단일타 카본 리본을 가지며, 제2카세트가 제거 교정 테이프를 가지는 상기 타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제1카세트가 제1카세트상의 상기 수단으로서 탭을 가지고, 제2카세트가 제2카세트상의 상기 수단으로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탭이 상기 개구부에 결합하도록 된 상기 타자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제1카세트가 다중화 카본 리본을 가지며, 제2카세트가 덮어씌움 교정 테이를 가지는 상기 타자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제1카세트가 제1카세트상의 상기 수단으로서 탭을 가지고, 제2카세트가 제2카세트상의 상기 수단으로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탭이 상기 개구부에 결합하도록 된 상기 타자 시스템.
  9. 잉크 리본이 수용되어 있고, 그 잉크 리본의 특정 타입에 따라 이 제1카세트의 적어도 두 부분들중 한 부분에 위치되는 탭을 가진 제1카세트와, 교정 테이프가 수용되어 있고, 그 교정 테이프의 특정 타입에 따라 이 제2카세트의 두 부분들중 한 부분에 위치되는 개구부를 가진 제2카세트를 포함하고, 제1카세트의 탭의 위치와 제2카세트의 개구부의 위치는, 제1카세트내 특정 타입의 잉크 리본이 제2카세트내 특정 타입의 교정 테이프와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있는 것일 때만 제1카세트의 탭이 제2카세트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서로 일치하여 있는 카세트 조합체.
  10. 잉크 리본을 가진 제1카세트와 교정 테이프를 가진 제2테이프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 및 제2카세트들이 작동을 위해 삽입되는 장치와, 상기 장치에 설치되고, 그 장치에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전원에 연결된 스위치와, 상기 제1카세트내 잉크 리본이 제2카세트내 교정 테이프와 병용될 수 있지 않는한 제1카세트의 적절한 장착을 방지하고, 제1카세트내 잉크 리본과 제2카세트내 교정 테이프 사이의 기능적 병용성이 확인될때만 상기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전원으로부터 상기 장치로 전류가 흐르게 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제1 및 제2카세트들에 제공된 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및 제2카세트들을 이용하는 타자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카세트들이 상기 장치에 삽입된때 제1카세트의 잉크 리본과 제2카세트의 교정 테이프가 서로 병용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들에 제공된 상기 수단들이, 제1카세트에 위치된 수단과, 상기 장치에 전류가 흐르게 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카세트상의 상기 수단을 수용할 수 있게 제2카세트에 위치된 수단인 상기 타자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전류가 흐르게 하도록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카세트에 배치된 상기 수단이 탭 부분인 상기 타자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분이 제1카세트의 저면에 배치된 상기 타자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분이 통과하여 연장하는 개구부가 제2카세트에 제공된 상기 타자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카세트가 상기 장치의 브래킷 부분에 의해 지탱되고, 상기 브래킷 부분이 상기 스위치를 가지고 있는 상기 타자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분이 제1카세트의 우측부위에 위치되고, 제2카세트의 개구부가 제2카세트의 우측부위에 위치되는 상기 타자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분이 제1카세트의 좌측부위에 위치되고, 제2카세트의 개구부가 제2카세트의 좌측부위에 위치되는 상기 타자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타자기이고, 제1카세트가 단일타 리본을 가지며, 제2카세트가 상기 단일타 리본과 병용될 수 있는 제거 교정 테이프를 가지는 상기 타자 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타자기이고, 제1카세트가 다중타 리본을 가지며, 제2카세트가 상기 다중타 리본과 병용될 수 있는 덮어씌움 교정 테이프를 가지는 상기 타자 시스템.
  20. 리본 카세트와 교정 테이프를 수용한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본 카세트가 상기 장치의 작동을 위해 그 장치내에 삽입되는 타자 시스템용의 리본 카세트로서, 상면과 저면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잉크 리본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특정 측부 부위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가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하도록 교정 테이프 카세트의 상응하는 측부 부위에 위치된 개구부에 결합하여 연장하는 탭 부분으로서, 그 탭 부분이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지 않는 때는 상기 리본 테이프와 교정 테이프가 서로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없는 것임을 나타내도록된 탭 부분을 포함하는, 타자 시스템용의 리본 카세트.
  21. 교정 테이프를 가진 교정 테이프 카세트와 함께 사용되는 리본 카세트로서, 저면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잉크 리본과, 상기 잉크 리본이 교정 테이프 카세트내 교정 테이프와 병용될 수 있지 않는한 이 제1카세트의 적절한 장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제공된 수단을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하우징내 잉크 리본의 타입에 상응하는 상기 수단의 위치에 의해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 사이의 병용성이 확인되도록된 리본 카세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탭인 리본 카세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상기 하우징내에 단일타 카본 리본이 수용되어 있음을 나타내도록 상기 저면의 우측부위에 위치된 리본 카세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상기 하우징내에 다중타 카본 리본이 수용되어 있음을 나타내도록 상기 저면의 좌측부위에 위치된 리본 카세트.
  25. 리본 카세트와 교정 테이프를 가진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하고,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가지며 전류가 흐를때 작동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타자 시스템용의 리본 카세트로서, 저면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잉크 리본과, 상기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가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교정 테이프 카세트의 개구부에 결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에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타자 시스템용의 리본 카세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전기 타자기인 리본 카세트.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탭인 리본 카세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측부 부위로부터 연장하는 리본 카세트.
  29. 잉크 리본 카세트와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전기 타자기용의 교정 테이프 카세트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교정 테이프와, 상기 교정 테이프와 잉크 리본 사이의 기능적 병용성을 확인 하기 위해 리본 카세트의 상응하는 측부 부위로부터 연장한 탭을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특정 측부 부위에 배치되는 개구부로서, 상기 탭이 개구부와 정렬되어 수용되지 않을 경우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가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없는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기 타자기용의 교정 테이프 카세트.
  30. 잉크 리본을 가진 리본 카세트와 함께 사용되는 교정 테이프 카세트로서, 상면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교정 테이프와, 상기 리본 카세트내 잉크 리본이 교정 테이프 카세트내 교정 테이프와 병용될 수 있지 않는한 리본 카세트의 적절한 장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제공된 수단을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하우징내 교정 테이프의 타입에 상응하는 상기 수단의 위치에 의해 상기 교정 테이프와 잉크 리본 사이의 병용성이 확인되도록된 교정 테이프 카세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개구부인 교정 테이프 카세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내에 제거 타입의 교정 테이프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 상면의 우측 부위에 위치된 교정 테이프 카세트.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내에 덮어씌움 타입의 교정 테이프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 상면의 좌측 부위에 위치된 교정 테이프 카세트.
  34. 전류가 흐를때 작동하고,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하우징과 잉크 리본을 가진 리본 카세트와, 교정 테이프를 가진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가지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본 카세트가,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가 서로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하고 상기 장치에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여 배치된 탭을 가지는 타자 시스템에 사용되는 교정 테이프 카세트로서, 상기 탭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테이프 카세트.
  35. 제34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가지며, 이 하우징에 상기 수단이 배치된 교정 테이프 카세트.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개구부인 교정 테이프 카세트.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삽입되는 상기 탭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된 교정 테이프 카세트.
  38. 타자기와 같은 장치와 선택적으로 조합된 제1 및 제2카세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체를 포함하는 타자 시스템에서 상기 장치의 작동을 위해 그 장치내에 상기 카세트 조합체를 삽입하는 방법으로서, 잉크 리본과 그 잉크 리본의 타입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향 연장 수단을 상기 제1카세트에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카세트 조합체의 상기 제1카세트의 잉크 리본과 병용될 수 있는 교정 테이프와, 상기 카세트 조합체의 상기 제1카세트의 하향 연장 수단만을 수용하고 상기 카세트 조합체들을 서로 구분하는 위치에 배치된 수용 수단을 상기 제2카세트에 제공하고, 상기 제2카세트를 상기 장치에 삽입하고, 제1카세트의 잉크 리본이 제2카세트의 교정 테이프와 기능적으로 병용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제1카세트의 상기 하향 연장 수단이 제2카세트의 상기 수용 수단에 결합하도록 제1카세트를 상기 장치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타자 시스템에서의 카세트 조합체 삽입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세트에 단일타 카본 리본이 제공되고, 제2카세트에 제거 교정 테이프가 제공되는, 상기 카세트 조합체 삽입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세트에 다중타 카본 리본이 제공되고, 제2카세트에 덮어씌움 교정 테이프가 제공되는, 상기 카세트 조합체 삽입 방법.
  41. 타자기와 같은 장치와 잉크 리본을 가진 잉크 리본 카세트와 교정 테이프를 가진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포함하는 타자 시스템에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 카세트의 교정 테이프의 병용성을 확인하고 상기 장치의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잉크 리본 카세트 및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하는 방법으로서, 잉크 리본 카세트내 잉크 리본이 교정 테이프 카세트내 교정 테이프와 병용될 수 있지 않는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적절한 장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잉크 리본 카세트에 제공하고, 잉크 리본 카세트의 상기 수단이 통과하여 연장하는 수용 수단을 교정 테이프 카세트에 제공하고, 상기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는 스위치를 상기 장치에 제공하고, 교정 테이프 카세트를 상기 장치내에 삽입하고, 잉크 리본 카세트의 상기 수단이 교정 테이프 카세트의 상기 수용 수단에 결합하고 상기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를 조직하여 잉크 리본과 교정 테이프 사이의 병용성이 확인되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잉크 리본 카세트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타자 시스템에서의 잉크 리본 및 교정 테이프 카세트들의 삽입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리본 카세트의 상기 수단이 탭으로 형성되는, 상기 잉크 리본 및 교정 테이프 카세트들의 삽입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테이프 카세트의 상기 수용 수단이 잉크 리본 카세트의 상기 수단을 수용하는 칫수로 된 개구부로 형성되는, 상기 잉크 리본 및 교정 테이프 카세트들의 삽입 방법.
KR1019880011401A 1987-11-30 1988-09-03 병용성 카세트들의 조합체와 그를 사용하는 타자기 KR930004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26,152 US4900171A (en) 1987-11-30 1987-11-30 Ink ribbon and correction tape cassette compatibility
US126,152 1987-11-30
US126152 1987-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922A KR890007922A (ko) 1989-07-06
KR930004781B1 true KR930004781B1 (ko) 1993-06-08

Family

ID=2242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401A KR930004781B1 (ko) 1987-11-30 1988-09-03 병용성 카세트들의 조합체와 그를 사용하는 타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00171A (ko)
JP (1) JPH0739200B2 (ko)
KR (1) KR930004781B1 (ko)
CA (1) CA1309371C (ko)
MX (1) MX1711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477A (ja) * 1989-10-06 1991-05-28 Brother Ind Ltd リボンカセット
US5160204A (en) * 1990-04-24 1992-11-03 Canon Kabushiki Kaisha Ribbon adapter and ribbon cassette capable of mounting the ribbon adapter and recording apparatus
JPH045074A (ja) * 1990-04-24 1992-01-09 Canon Inc 記録装置
US5069563A (en) * 1990-06-29 1991-12-03 General Ribbon Corporation Ribbon cartridge mounting movable power switch tab
US5122002A (en) * 1990-06-29 1992-06-16 General Ribbon Corporation Ribbon cartridge with correction cartridge lock-out circumvention power switch projection
US5131769A (en) * 1991-06-28 1992-07-21 Pelikan, Inc. Ribbon cartridge
US5411339A (en) * 1993-12-09 1995-05-02 Kroy, Inc. Portable printer and cartridge therefor
GB0230196D0 (en) * 2002-12-24 2003-02-05 Esselte Nv Identifying compatible combination for a thermal printer
USD823387S1 (en) * 2016-08-08 2018-07-17 Dover Europe Sàrl Distance measuring guide for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1781A (en) * 1968-07-16 1973-05-08 Ibm Ribbon supply cartridge
DD128712A1 (de) * 1976-04-01 1977-12-07 Bernd Schlieder Kassettensystem,insbesondere fuer farb-,carbon-sowie korrekturbaender
US4347007A (en) * 1977-05-27 1982-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ypewriter cartridge and feed mechanism therefor
US4302118A (en) * 1977-05-27 1981-1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ypewriter cartridge and feed mechanism therefor
US4239107A (en) * 1979-02-01 1980-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tridge assembly apparatus for typewriters
US4247210A (en) * 1979-10-30 1981-0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ibbon feed and lift mechanism for a typewriter
US4329072A (en) * 1979-10-30 1982-05-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ibbon feed and lift mechanism for a typewriter
JPS56144985A (en) * 1980-04-15 1981-11-11 Brother Ind Ltd Typewriter
US4636097A (en) * 1980-05-20 1987-01-1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Replaceable inking cartridge with depletion counter
US4350453A (en) * 1980-07-03 1982-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tridge for correction media or tacky tape with a wrap spring
US4353651A (en) * 1980-07-31 1982-10-12 Moore William H Method of mixing chemically bonded foundry sand by vibratory action
DE8108981U1 (de) * 1981-03-27 1981-08-27 Nixdorf Computer Ag, 4790 Paderborn "vorrichtung zur funktionskontrolle des farbbandes einer farbbandkassette"
US4397575A (en) * 1981-09-25 1983-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ibbon lift and feed mechanism for a typewriter
JPS5978879A (ja) * 1982-10-28 1984-05-07 Brother Ind Ltd プリンタのリボンカセツト判別装置
JPS5993376A (ja) * 1982-11-18 1984-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
JPS59123683A (ja) * 1982-12-28 1984-07-17 Brother Ind Ltd サ−マルプリンタ
JPS59120488A (ja) * 1982-12-28 1984-07-12 Canon Inc サ−マルプリンタ
DE3301933C2 (de) * 1983-01-21 1985-03-07 Triumph-Adler Aktiengesellschaft für Büro- und Informationstechnik, 8500 Nürnberg Vorrichtung zum Farbbandhub und -transport in Schreib- und ähnlichen Maschinen
JPS59136268A (ja) * 1983-01-26 1984-08-04 Brother Ind Ltd サ−マルプリンタ
JPS6131284A (ja) * 1984-07-25 1986-02-13 Hitachi Ltd 熱転写プリンタ
JPS61146576A (ja) * 1984-12-20 1986-07-04 Ricoh Co Ltd ライン熱転写記録装置
US4616945A (en) * 1985-01-31 1986-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rrection feed mechanism in a correction tape cartridge
DE8525775U1 (de) * 1985-09-10 1985-12-12 Triumph-Adler Aktiengesellschaft für Büro- und Informationstechnik, 8500 Nürnberg Vorrichtung zum Erkennen des Bandendes in Farbbandkassetten für Schreib- und ähnliche Maschinen
DE3539443C1 (de) * 1985-11-07 1987-02-12 Triumph Adler Ag Vorrichtung fuer Farb- und Korrekturbaender in elektronisch gesteuerten Schreib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00171A (en) 1990-02-13
MX171119B (es) 1993-10-01
JPH0739200B2 (ja) 1995-05-01
JPH01166980A (ja) 1989-06-30
KR890007922A (ko) 1989-07-06
CA1309371C (en) 199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781B1 (ko) 병용성 카세트들의 조합체와 그를 사용하는 타자기
CA1179893A (en) Ribbon loading system for printers
EP1308299B1 (en) Cartridge and cartridge-based printer
JP4059282B2 (ja) カセット及びテープ印字装置
JP3580332B2 (ja) テープ・リボン複合カセット
EP0607023A2 (en) Tape printing apparatus
EP0448184B1 (en) Correction tape cassette having compatibility arrangement
JPS6026718B2 (ja) タイプライタ−及び類似の機械における訂正リボンのための装置
US4971462A (en) Plural cassettes having compatibility arrangement
EP0330777B1 (en) Tape cassette for metering correction tape feed
US5069563A (en) Ribbon cartridge mounting movable power switch tab
US5083877A (en) Tape feed control apparatus for a correction tape cassette for a typewriter
US5267803A (en) Cassette having compatibility arrangement
US5249874A (en) Ribbon cartridge
US4265553A (en) Ribbon threading assembly for an impact printer
US5088845A (en) Ribbon cassette for mechanically unlocking a printing mechanism upon insertion of the ribbon cassette into a printing device
JPS622129Y2 (ko)
US5122002A (en) Ribbon cartridge with correction cartridge lock-out circumvention power switch projection
US4061220A (en) Correcting device for typewriters
JPS62222872A (ja) 電子タイプライタ
US5131769A (en) Ribbon cartridge
JPH09188051A (ja) テープ・リボン複合カセット
JPS5884787A (ja) リボンカセツト
JP3757300B2 (ja) テープ・リボン複合カセット
US4384798A (en) Manually positionable correction media holder and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