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65B1 -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 Google Patents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765B1
KR930004765B1 KR1019890007226A KR890007226A KR930004765B1 KR 930004765 B1 KR930004765 B1 KR 930004765B1 KR 1019890007226 A KR1019890007226 A KR 1019890007226A KR 890007226 A KR890007226 A KR 890007226A KR 930004765 B1 KR930004765 B1 KR 93000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anel
tiles
bol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486A (ko
Inventor
아끼오 이와다
노리가즈 타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7153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7993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548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40181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ublication of KR90001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제1도는 대형타일패널을 이면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제2도는 타일패널을 정면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X-X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Y-Y선 단면도.
제5도는 대형타일의 부분단면 사시도.
제6도는 대형타일의 부분종단면 측면도.
제7도는 타일패널의 조립도중을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대형타일을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대형타일을 사용한 벽면의 종단면도.
제10도는 대형타일의 이면의 조립사시도.
제11도는 다른 태양을 도시한 패널의 이면쪽의 사시도.
제12도는 L자형 금구의 사시도.
제13도는 대형패널귀퉁이부의 볼트 사이에 또 볼트를 추가해서 세워 설치한 패널을 표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 : 대형타일패널 (12) : 대형타일
(16),(36) : 볼트 (17) : 핀
(19) : 임시메지 (20) : 평판형상연결부재
(21),(38) : 너트 (22) : 프레임부재(H형강)
(23) : 크로스프레임 (33) : H강프레임
(34) : 4각파이프프레임 (35) : L자형 금구
(35a),(35b) : 긴 구멍 (39) : 볼트
(F) : 프레임부재 (M) : 메지재
본 발명은 300㎜×300㎜ 이상의 크기인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소정의 메지간격을 두고 배열하고, 이것을 1개의 집합체로 한 대형타일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00㎜×300㎜ 이상의 대형타일은, 예를들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다. 동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두께가 15mm 이상인 타일본체(1)를 형성하고, 이 타일본체(1)의 이면쪽에, 핸드레이업법이나 스프레이업법 등에 의해 섬유강화 플라스틱(이하는, 단순히 FRP라고 함)(3)을 접착하고 있다. FRP(3)는, 타일본체(1)가 파손하였을 경우에, 그 파편이 비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FRP 대신에 고무 아스팔트시트를 사용하는 일도 있다.
이와같은 대형타일(A)을 건물몸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다. 습식공법은 건물몸체에 모르타르 등으로 밀바탕을 형성하고, 또 이 밀바탕에 모르타르 등의 접착제를 개재해서 대형타일(A)을 각각 부착하는 것이다.
또 종래의 건식공법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상위 및 하위에 인접하는 대형타일(A), (A)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타일부착용 금구(5)를 사용하고 있다. 이 금구(5)는, 레일형상이고, 양 타일(A),(A)의 이면쪽에 부착된 FRP(3)에 당접하는 당접면(5d) 및 (5e)과, 상위의 대형타일(A)을 얹어놓기 위한 재치변(5c)과, 이 재치변(5c)으로부터 각각 상하방향으로 뻗은 지지편(5a) 및 (5b)을 가지고 있다. 대형타일(A)의 건물몸체(4)에의 부착은, 먼저, 타일부착용 금구(5)를 비스(7)등으로 건물몸체(4)에 부착하고, 계속해서 하위에 위치하는 대형타일(A)의 상부 쪽이면을 양면 접착테이프(8)등의 탄성을 가진 접착제료를 개재해서 타일부착용 금구(5)의 당접면(5e)에 접착함과 동시에, 타일 상단면(1a)쪽의 홈(6a)에,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경화된 후에 탄력성을 지니는 접착제(9)를 개재해서 타일부착용 금구(5)의 지지편(5b)을 꽂아 넣고 있다. 그런 연후에는, 상위에 위치하는 대형타일(A)의 타일본체하단면(1b)에 형성된 홈(6b)에, 접착제(9)를 개재해서 타일부착용 금구(5)의 지지편(5a)를 끼워맞춤시키는 동시에, 하단면(1b)을 재치변(5c)위에 얹어놓고 대형타일(A)의 하부쪽이면을 양면 접착테이프(8)등을 개재해서 타일부착용 금구(5)의 당접면(5d)에 붙이고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같은 열의 대형타일(A)의 배열을 마치고, 순차, 상위열의 대형타일(A)을 배열한다. 그리하여, 최후에 대형타일(A),(A)끼리의 사이의 메지부에 실링재(10)를 충전하고 있다.
상기한 습식공법에서는, 1매씩을 손으로 붙이는 작업이기 때문에 타일표면이 평면맞추기가 곤란하고, 또한 비능률적이다. 또한, 밑바탕의 양생에 여러날이 소요되어, 시공기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결점과, 대형타일(A)을 부착한 후에 대형타일(A)이 자체무게에 의해 까져서 떨어지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이 습식공법에서는, 일단 대형타일(A)을 건물몸체에 부착한 후는, 용이하게 대형타일(A)을 벗겨낼 수 없으므로, 보수작업이나 모양변경 등이 대규모로 되고,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건식공법에서는 모르타르 등의 접착제가 불필요하며, 또한 모양변경등에 있어서, 대형타일(A)의 탈착은 어느정도 자유롭게 행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도 역시 대형타일(A)을 1매씩 부착해서 시공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서도 통상의 크기의 복수매의 타일을, 소정의 메지간격을 두고서 형틀내에 배열하고, 타일의 이면을 따라서 철근을 배치한 후, 철근이 묻히도록 타일이면에 콘크리트를 흘려넣고, 이어서 콘크리트를 경화시킴으로써, 타일끼리를 연결해서 일체적인 타일패널로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연결한 타일패널은, 타일중량외에, 또 철근과 콘크리트의 중량이 가해진 중량의 것이 되어 매우 무거워, 건물몸체의 부담이 크다.
본 발명은,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일체로 해서 패널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복수매의 타일의 벽면에의 부착시공을 일괄해서 한꺼번에 행할수 있는 대형타일의 패널형상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량의 대형타일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공능률이 뛰어난 대형타일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대형타일을 정밀도 좋게 설치할 수 있는 대형타일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서는, 이면쪽의, 또는 그 근처에 볼트가 세어 설치되고, 소정의 메지간격을 두고서 복수개가 배열된 대형타일과, 세로 또는 가로방향의 메지열에 있어서 각 대형타일의 4개의 귀퉁이부가 집합하는 부분의 각 볼트에 체결되어, 대형타일끼리를 연결하는 평판형상의 연결부재와 이 평판형상 연결부재에 평행한 대형타일집합체의 대향변에 있어서 상기 대형타일의 볼트에 체결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평판형상연결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의 대형타일집합체의 대향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 연결된 크로스프레임에 의해서 대형타일의 패널형상 집합체를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형타일집합체로 이루어진 패널은 프레임부재와 평판형상연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打設)해서 패널로 하는 경우보다도 매우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 대형타일에 의한 벽면의 구축은, 상기 집합체를 건물몸체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장착해 가면 되며, 시공작업성이 좋아,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정반(定盤) 위에 대형타일을 배열하여 집합체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타일표면의 면맞추기(표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각 타일의 표면을 맞추는 일)가 용이하다.
다른 태양에 관한 대형타일패널은, 이면쪽에 볼트가 세워설치된 대형타일을 소정의 메지간격을 두고서 복수개 배열하고, 1쌍의 H강프레임과, 이 H강프레임 사이에 크로스상태로 소정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는 4각파이프 프레임에 의해 프레임 조립된 프레임 부재를 상기 복수개의 대형타일의 이면쪽에 얹어놓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각 대형타일의 볼트를 복수의 L자형 공구에 의해 연결하여 조립해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태양에 관한 패널에서는 대형타일의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하면서 간단용이하게 대형타일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 L자형 금구에 의해 용접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각 대형타일의 이면쪽의 이면보강제가 파손되는 일도 없다. 또 종래와 같은 플랫바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체를 경량으로 조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귀퉁이부 또는 그 근처란, 귀퉁이의 정점에서부터 1변의 길이의 약 1/3 이내의 범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대형타일이란, 그 크기가 최소 300×300㎜, 최대 1200×11200㎜인 것이다. 대형타일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일로서 사용하는데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대형타일패널(11)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타일패널(11)을 이면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제2도는 타일패널(11)을 정면쪽으로부터 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X-X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Y-Y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대형타일패널(11)은, 제5도, 제6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600×600×16㎜의 대형타일(12)을 사용하고 있다. 이 대형타일(12)은, 그 이면쪽에 스프레이도포 등에 의해 FRP층 또는 고무아스팔트층(13)을 형성하고, 타일자체의 보강과 파손되었을 경우의 파편의 비산을 방지 하고 있다. 또 대형타일(12)은 그 이면쪽의 4개의 귀퉁이부에, 볼트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타일끝면(12a)에 상기 볼트구멍(14)과 직교하는 핀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구멍(14)에 삽입고정된 볼트(16)는, 핀구멍(15)에 끼여 고정되고, 볼트(16)의 관통구멍(16a)을 관통하는 핀(17)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이와같은 대형타일(12)은, 예를들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반(18)위에 탄성고무 등의 임시메지(19)를 개재해서 소정간격마다에 복수개가 배열된다. 도면에서는, 세로 6열, 가로 4열 배열하여 합계 24매의 대형타일(12)을, 그 타일표면이 정반(18)쪽에 면하도록 배열하여, 2400㎜×3600㎜크기의 패널(11)로 하였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7도와 같이 세로열의 메지부에 평판형상의 연결부재(강판)(20)를 배치하고, 각 대형타일(12)의 4개의 귀퉁이부가 집합하는 부분의 각 볼트(16) 및 상하단쪽에 위치하는 대형타일(12)의 각 볼트(16)를 , 연결부재(20)의 볼트구멍에 관통시켜서 너트(21)에 의해서 체결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연결부재(20)에 평행한 대형타일패널(11)의 대향변에, 경량 H형강 등의 프레임부재(22)를 배치하고, 그 볼트구멍에 각 타일(12)의 볼트(16)를 끼워 고정하고, 너트(21)에 의해서 체결하도록 하고 있다. 제7도는, 상기 너트(21)를 체결완료한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이후는, 제1도 및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가로열의 메지부와, 대형타일패널(11)이 대향하는 상하변과의 각각에 4각파이프 등의 경량형강으로 이루어진 크로스프레임(23)을 배치하고 있다. 이 크로스프레임(23)은, 평판형상의 연결부재(20)의 상부면과, 프레임부재(22)의 평판부(플랜지부)(22a) 위에 놓이고, 각각은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대형타일(12)끼리의 사이의 메지부에 백업제를 삽입한 후, 더욱 메지재를 충전하면 된다.
본 실시예의 대형타일패널(11)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각 대형타일(12)의 이면쪽에 세워 설치된 볼트(16)에, 평판형상의 연결부재(20)와, 프레임부재(22)와, 크로스프레임(23)을 연결해서 조립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타일패널과 같이, 콘크리트를 사용해서 복수개의 타일을 연결할 경우에 비해서 매우 경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대형타일패널(11)과, 이것과 같은 대형타일(12)을 같은 개수 사용해서 형성한 콘크리트를 사용한 타일패널과의 중량을 비교하였던 바, 본 실시예에 관한 대형타일패널(11)의 중량은 70㎏/㎡였으나, 종래기술의 콘크리트제 타일패널의 중량은 200~250㎏/㎡이었으며, 이로부터 본 실시예의 효과가 얼마나 우수한지가 명백하다. 또한, 타일(12)의 볼트(16)와 경량형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각 부재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전체의 강성도 높아지고, 강도적으로도 우수하다.
또한, 이대형타일패널(11)의 건물몸체쪽으로의 장착은, 상기 H형강의 프레임 부재(22)를 건물몸체에 장착한 L자형 앵글재나 철골지주 등에 볼트 또는 용접등에 의해 장착하면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크로스프레임(23)은 적어도 대형타일패널(11)의 대향하는 상하의 변에 배치해두면 되며, 반드시 가로열의 메지부분의 모두에 배치할 필요는 없다. 또 프레임부재(22)는 H형강이외에도, L자형의 앵글 또는 4각 파이프 등이 가능하다. 또, 대형타일(12)의 크기는, 한 변이 900㎜인 것이라도, 패널을 형성해서 실제로 건물몸체 벽면에 시공하는 일이 가능하며, 건물몸체의 크기 등에 따라서 결정하면 된다. 또한, 내화구조물로 할 경우는, 볼트(16)를 세워설치한 대형타일(12)을 배열한 후, 평판형상의 연결부재(20), 프레임부재(22) 및 크로스프레임(23)등을 장착하여 패널(11)을 조립하고, 그후, 이 면쪽을 록을 등의 내화 피복재로 덮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관한 패널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제11도에 있어서, 대형타일패널(31)은, 복수개의 대형타일(12)과, 이 이면쪽에 배치되는 프레임부재(F)와, 프레임부재(F)와 각 대형타일(12)을 연결하는 복수의 L자형 금구(35)로 구성되어 있다. L자형 금구(35)는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31)을 형성하려면, 먼저, 대형타일(12)을 평판형상의 패널대위에 자등을 개재해서 복수개 배열시키고, 각 대형타일(12)사이에는 가로세로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메지간격을 형성해 두고, 그 위쪽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재(F)를 얹어 놓는다.
또한, 이 프레임부재(F)는, 1쌍의 경량철골로 이루어진 H강프레임(33)과, H강 프레임(33)사이에 소정간격을 두고서 크로스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4각 파이프프레임(3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각 H강프레임(33)과 각 4각 파이프프레임(34)은 미리 공장 등에서 용접 등에 의해 프레임조립고정된 것이다. 또, 각 H강프레임(33)의 소정개소 및 각 4각 파이프프레임(34)의 소정개소에는 미리 볼트삽입통과용의 구멍뚫기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 프레임부재(F)에는 용융아연도금이 실시되어서 완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프레임부재(F)를 패널대위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대형타일(12)의 이면쪽에 얹어 놓은 후에, 제12도에 도시한 L자형 금구(35)를 사용하여, 이 L자형 금구의 긴 구멍(35a)을 상기 각 대형타일(12)의 볼트(36)에 삽입시키고, 각 볼트(36)의 너트(38)를 체결해서 각 대형타일(12)의 귀퉁이부에 L자형 금구(35)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 L자형 금구(35)의 긴 구멍(35b)에 볼트를 통과시키고, 이 볼트를 4각파이프프레임(34)의 각 볼트구멍에 통과시켜 각 L자형 금구(35)를 각 파이프프레임(34)에 고정시킬수 있다. 이때에 위치어긋남등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L자형 금구(35)의 긴 구멍(35a), (35b)에 의해서 적당한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전체의 위치정밀도를 비교적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같이 위치조절을 하면서 각 L자형 금구(35)에 의해 프레임부재(F)와 각 대형타일(12)을 연결고정시켜서 짜붙일 수 있다. 이 짜붙이기 후에 대형타일패널(31)의 이면쪽에는 내회보드 등을 붙이는 일이 있다. 또, 그후에 대형타일패널(31)을 반전시켜서 표면쪽의 각 대형타일(12) 사이의 메지틈 사이에 메지재(M)를 충전하여 대형타일패널(31)이 완성된다. 이 메지재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술파이드수지등이 사용된다.
이와같이 완성된 대형타일패널을 건식공법에 의해 건물의 벽면에 배치시켜, 양호한 타일벽면을 구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대형타일패널(31)은 L자형 금구(35)를 사용해서 각 대형타일(12)과 프레임부재(F)를 고정짜붙이는 것이므로 타일(12)을 프레임부재(F)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장착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은 플랫바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체를 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각 대형타일의 이면쪽에서 용접작용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각 대형타일(12)의 이면보강제가 파손되는 일이 없고 양호한 대형타일패널로 할 수 있다.
또 대형타일(12)이 대형형상(예를들면 1×1m 이상)으로 되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형타일(12)의 귀퉁이부의 볼트(16)에 추가해서 이를 볼트(16)사이에 또 볼트(39)를 세워설치한다.

Claims (7)

  1. 이면쪽의 귀퉁이부 또는 그 근처에 볼트(16)가 세워 설치되고, 소정의 메지간격을 두고서 복수개가 배열된 대형타일(12)과, 세로 또는 가로방향의 메지열에 있어서 각 대형타일의 4개의 귀퉁이부가 집합하는 부분의 각 볼트(16)에 체결되어, 대형타일끼리를 연결하는 평판형상의 연결부재(20)와, 이 평판형상의 연결부재(20)에 평행한 대형타일패널의 대향변에 있어서 상기 대형타일의 볼트(16)에 체결된 프레임부재(22)와, 상기 평판형상의 연결부재(20)와 직교하는 방향의 대형타일(12) 집합체의 대향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 연결된 크로스프레임(23)에 의해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의 대형타일(12)을 포함하는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타일(12)끼리의 사이의 메지간격에 메지재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의 대형타일(12)을 포함한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타일(12)은, 1변의 크기가 3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귀퉁이부 또는 그 근처에 세워 설치된 상기 볼트(16)끼리의 사이에, 또 다른 볼트(39)가 세워 설치되고, 이 볼트(39)도 상기 프레임 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5. 1쌍의 H강프레임(33) 및 이 H강프레임 사이에 크로스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4각파이프프레임(34)에 의해 프레임조립된 프레임부재(F)와, 이면쪽에 볼트(36)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메지간격을 두고서 배열되며, 이면쪽이 상기 프레임부재에 장착된 복수매의 대형타일(12)과, 상기 대형타일과 상기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L자형 금구(35)를 구비하고, 상기 L자형 금구(35)는 한편쪽의 각 대형타일의 볼트(36)와 걸어맞춤되어, 이 볼트에 체결된 너트(38)에 의해 대형타일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편쪽이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타일(12)은, 1변의 크기가 3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지간격에는 메지재(M)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KR1019890007226A 1988-05-30 1989-05-30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KR930004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26548 1988-05-24
JP63-71534 1988-05-30
JP1988071534U JPH01179933U (ko) 1988-05-30 1988-05-30
JP12654888U JPH0540181Y2 (ko) 1988-09-28 1988-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486A KR900018486A (ko) 1990-12-21
KR930004765B1 true KR930004765B1 (ko) 1993-06-05

Family

ID=2641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226A KR930004765B1 (ko) 1988-05-30 1989-05-30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7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486A (ko) 199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1338A (en) Building wall panel
EP3933136A1 (en) Architectural bracket, building wall structure, and board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KR100191887B1 (ko) 외벽패널과 그 지지구조
KR940000545B1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 복합 패널 블럭
US4045933A (en) Prefabricated panel structure
US11319709B2 (en) Support arrangement for covering elements of a building
KR930004765B1 (ko)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JP2826043B2 (ja) プレート部材の取付片
JPH02225745A (ja) 外壁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US4548008A (en) Tile panel having convex and concave portions around substrate board,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061925B2 (ja) 硬質壁材の開口部取付構造
JPH08312042A (ja) Alcパネル壁の取付構造
JP2522080B2 (ja) 外壁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H0316987Y2 (ko)
JP4546979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EP1889984A2 (en) Facade panel comprising flexible stud frame connection configuration
JPH0120092Y2 (ko)
JP7215941B2 (ja) 改修外壁構造における胴縁の継ぎ部取付金具
JP2000297490A (ja) 壁構築方法およびその壁構造
JP3004605B2 (ja) 建築用パネル
JP3076183B2 (ja) セラミックス製複合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520362Y2 (ja) ガラスブロック集合体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H0326817Y2 (ko)
KR100219885B1 (ko) 벽면 마감재
KR920000595B1 (ko)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