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595B1 -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595B1
KR920000595B1 KR1019860011517A KR860011517A KR920000595B1 KR 920000595 B1 KR920000595 B1 KR 920000595B1 KR 1019860011517 A KR1019860011517 A KR 1019860011517A KR 860011517 A KR860011517 A KR 860011517A KR 920000595 B1 KR920000595 B1 KR 92000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framework
bui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885A (ko
Inventor
프란시스 우드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드라이 비트 시스템 아이엔씨.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라이 비트 시스템 아이엔씨.,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드라이 비트 시스템 아이엔씨.
Priority to KR101986001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595B1/ko
Publication of KR880007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열차단성 파넬의 뒷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열차단성 파넬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 파넬의 부착상태를 설명하는 정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파넬의 부착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건물외부에 사용되는 열차단성 파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량 보강된 파넬과 파넬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건축용 폴리스티렌 외부파넬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건물의 외부표면에 부착된다. 이 파넬은 건축물 실지 구조적 요소 역할을 할 경우에도 볼트 및 나사와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경우 파넬들은 그 자체 유지력이 약하기 때문이며, 특히 못밖기총을 사용하여 파넬과 콘트리트벽을 뚫었을 경우에는 콘크리트벽에 비하여 파넬이 너무 약하기 때문이다. 또 나사못이나 볼트의 둘레에 워셔를 끼워 보강한다하여도 해결되지 않는 것이다. 그 이유는 워셔가 공기에 노출되어 녹이쓸어 가면서 파넬을 지지하는 능력이 약해져서 파넬이 움직이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숙련공에 의해 시공되어야 하며, 이 접착제는 환경조건에 따라 또는 파넬규격에 따라서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파넬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그 파넬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뿐만아니라, 접착제로 부착하는 때에는 폴리스티렌 파넬의 보강이 곤란하여 뒤틀려 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부착작업의 간소화 및 건축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큰 규격의 발포파넬은 가요성이 내재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폴리스티렌에 인접시켜 백바(back-bar)를 가압부착한 건축용 외부파넬들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백마들은 대부분의 경우 볼트나 나사로서 벽면에 고정시켜 이 볼트나 나사못이 벽면을 관통하여 나오게 되었다. 부착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서는 건물벽과 파넬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없이 파넬을 벽면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나 나사못이 건물내부로 나오게 되면 파넬과 벽을 통과하여 열이 전도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생긴다. 또한 백바의 배열이 벽에서 파넬이 떨이지게 부착한 상태에서는 파넬을 직선 상태로 지지하기가 곤란하고, 강력한 바람에도 지탱하기나 충분치 못하며, 일부의 파넬을 교체할 때에도 볼트조립체를 전부 벽면에서 제거해야하는 난점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일본공개 실용신안 소58-159336의 파넬 부착방법을 보면 U-형 체널로 된 브라케트를 사용하여 열차단성 파넬을 벽면에 부착시키고 있다. 이 파넬은 별도의 L형 걸고리를 파넬의 내부에 결착 또는 매설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 브라켓트 및 L형 걸고리의 부착구는 건물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또 이 파넬은 실지 표면을 형성하는 또 하나의 층이 적층되어 무게를 증가시킨다. 이와같은 파넬은 단열체를 덮는 별도의 외장재가 없이는 상기 브라케트들의 열전도경로를 제공하게 되어 파넬의 열차단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선된 열차단성 건물용 파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또 하나의 목적은 파넬을 통하여 건물벽까지 열전도를 일으키지 않는 열차단성 파넬을 건물외벽에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용 파넬을 건물벽에 부착하는데 구조적으로 간소화된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외부파넬로서 구조적인 강성을 증가시키는 배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원가가 적고 설치기간이 단축되고 쉽게 교체가능한 건물용 파넬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여러 가지 목적은 다음과 같은 건물용 열차단성 발포파넬의 제공으로 달성한다. 즉, 이 파넬에는 파넬을 부착하기 위한 골격재가 파넬의 뒷면에 형성된 끼움부에 끼워져 있다. 파넬을 벽면에 부착하는데 있어서는 나사못이 사용되며, 이 파넬의 골격재는 파넬이 각 측면으로 접동가능하게 끼워진다. 파넬을 적절히 위치시키면서 나사못을 벽에 박으므로서 파넬을 건물외벽에 고정시킨다. 파넬의 끼움부에는 골격재의 플랜지가 끼워지는 플렌지홈을 구비하여 골격재가 고정되어 지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도는 파넬(10)의 뒷면(16)을 보여준다. 이 파넬 여러개를 건물외벽에 부착하는 것이며, 부착된 파넬들은 독립된 열차단성 구조적 표면을 형성하여 광범위한 환경조건에 대해 직접 내구력을 발휘하는 건물외벽재가 된다. 파넬자체가 기후에 저항하는 표면을 형성하며, 추가적인 표층은 필요로하지 않는다.
파넬(10)은 골결재(20)의 끼움부(12)를 구비하며, 이 끼움부들은 파넬의 뒷면(16)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가급적 끼움부(12)는 양측이 각각 L-형의 플렌지(14)(14)를 만드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되도록 서로 대향케 하는 것이 좋다. 즉, 끼움부(12)의 플렌지(14)는 파넬(10)의 길이를 가로지르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파넬을 부착하기 위한 골격재(20)는 그 끼움부(12)내에 끼워지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면, 골격재(20)는 양측에 플렌지(24)·(24)를 가진 U-형 또는 C-형으로 된 압축물이며, 이 골격재(20)의 상면판(22)과 양측에 L-형으로 되는 플렌지(24)를 구비한다. 양측의 플렌지(24)들은 끼움부(12)내에 끼워지게끔 형성되있다. 골격재(20)는 끼움부(12)의 한쪽끝에서부터 끼워져서 파넬(10)에 부착되는 것이다.
파넬(10)은 건물의 열차단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스티렌 발포물질을 사용하여 파넬을 형성시키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이다. 파넬의 끼움부(12)는 가열선 절단기술에 의하여 형성시키면 중앙부위(18)의 형성에 손상을 주지않아 정확하게 형성된다. 중앙부위(18)는 골격재(20)를 지지하는 동시에 적극적으로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개개의 파넬(10)의 노출될 표면과 측표면들은 보통 아크릴을 기재로 하는 표피나 시멘타이트 물질의 피막시키는 것이므로, 예를들어 박판등의 중복피막을 추가적으로 보강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골격재(20)는 본 발명의 부착방법으로 인하여 강성이 적은 물질의 사용을 가능케한다. 예를 들면 종전의 파넬 배열방법은 발포파넬의 내재적인 가요성과 뒤틀려 휘는 특성으로 인하여 4평비트(전방표면) 이하로 그 규격이 제한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거의 규격 제한없이 발포파넬을 사용할 수 있어 생산원가와 설치기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파넬표면이 특히 크거나 또는 가요성이 큰 물질이 사용될 경우는 골격재(20)를 서로 평행되게 여러개의 파넬(10)의 뒷면에 부착시킨다.
또 제3도에서와 같이 파넬(10)은 골격재(20)에 끼워지는 부착판(28)에 의하여서도 건물벽에 부착시킨다. 예를들면 부착판(28)은 납작한 스트립으로서 형성되며, 골격판(20)에 부착판(28)이 끼워진 부위(32)는 골격판(20)의 상면판(22)내에 끼워진다. 끼움부(12)의 깊이는 상면판(22)의 두께만큼 깊지않기 때문에 상면판(22)의 파넬(10)의 뒷면(1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며, 또 골격재(20)가 파넬(10) 뒷면(16)의 끼움부(12)에 끼워진때에는 골격재(20)의 상면판(22) 내부에 공간부(26)가 중앙부위(18)의 상면사이에 형성된다. 골격판(20)에 부착판(28)이 끼워진 부위(32)는 골결판(20)의 공간부(26)내에 접동식으로 끼워진다. 이와는 달리,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골격판(20)이 파넬(10)에 부착되었을 때, 그 골격판(20) 상면판(22)의 뒷면이 파넬(10)의 뒷면(1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상면판(22)내에 부착판(28)을 끼워넣으면 끼움부(12)의 중앙부위(18)가 압축된다. 이러한 현상은 파넬(10)과 골격재(10)사이에 완전한 연결구조를 가져다주는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넬(10)을 볼트 또는 나사구멍(30)에 의해 부착판(28)을 처음에 느슨하게 건물표면(도시되지 않음)에 부착시킨다. 이렇게 처음에 파넬(10)을 배치하였을대 부착판(28)은 건물표면으로부터 골격재(20) 상면판(22)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생기는 것이나, 이때 파넬(10)의 측면을 화살표 “A”방향으로 부착판(28)의 끼움부위(32)쪽으로 밀게되면 이 부착판(28) 골격판(20)의 상면판(22)내에 끼워진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파넬(10)을 건물표면에 확고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제2의 부착판(29)을 화살표 “B”방향으로 파넬(10)의 골격재(20)의 상면판(22)내에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 제2부착판(29)은 제1부착판(28)과 같은 방식으로 볼트 또는 나사못(도시되지 않음)으로 건물표면에 쉽게 고정시킨다.
이렇게하여 다음의 파넬(10)(도시되지 않음)을 부착판(29)의 끼워진 부위(32)에 밀어넣어서 여러장의 파넬(10)을 고르게 부착하여 예정된 배열형태를 구성한다. 부착된 각 파넬(10)의 여러개의 골격재(20)를 구비할 경우에는 여러개의 부착파네(28)(29)을 각 파넬(10)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착한 모든 파넬(10)을 고정위치에 놓이게 부착판(28)(29)에 의하여 볼트 또는 나사못을 벽체에 조여 박아서 파넬(10)을 견고하게 제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파넬(10)과 파넬(10)사이의 간격이 거의 없게 배치할 수 있다. 인접하는 파넬(10)사이의 밀접한 배열은 장식적인 목적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 이 간격의 폭은 부착판(28)(29)의 나사못을 박는데 필요한 공구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모든 파넬(10)을 최종적으로 제위치에 고정시킨 후에는 각 파넬(10)들의 간격을 메워서 건물벽에 대해 완전한 단열장벽을 형성시킨다. 이와같이 하므로서 비록 골격재(20) 부착판(28)(29) 및 나사못을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었다 하더라도 이것들은 대기환경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물내부의 난방시스템, 냉방시스템등의 열손실을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파넬(10)의 배열부착방법은 부착판(28)(29)을 총으로 쏜 나사못에 의하여 파넬(10)을 안전하게 부착하게 된다. 또한 파넬(10)을 부착판(28)(29)에 의하여 건물외벽면에 열차단성 파넬에 구성을 뚫지않고 부착배열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서지기 쉬운 파넬재질도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다.
파넬(10)의 파손을 당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간단히 볼트나 나사못을 풀고 부착판(28)(29)에서 파넬(10)을 쉽게 들어낼 수 있는 것으로, 부착판(28)(29)을 파손시키지 않으며, 또한 특정 파넬을 제거할 때 전반적인 파넬 배열상태를 파손시키지도 않는다. 그 밖에 본 발명에 의한 파넬(10)은 쉽게 미리 성형할 수 있고, 파넬(10)을 부착하기 위한 골격재(20)는 미리 파넬에 끼워서 작업장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파넬(10)은 표준건물규격에 사용하기에 알맞게 그 한벌을 주문에 의하여 미리 만들어 공급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것은 기존 파넬배열 상태를 보수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큰 규격으로 미리 성형한 구조물의 파넬 조립체이다. 골격재(20)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렌지를 구비하여 파넬(10)을 지지하며 또한 여러개의 인접한 파넬(10)속에 연장되었다. 그러므로 장식용의 작은 파넬(10)들을 다수조립할대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체벽(또는 그 상당한 부분)에 부착할 수 있게끔 제작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비교적 적은 수의 골격재(20)가 사용된다. 이 다수 파넬 조립체들은 나사못(34)을 골격재(20)에 직접 박으므로서 건물구조(4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나사못(34)이 박히는 부위는 골격재(20)에 설치된 개개 파넬(10) 사이에 위치한다. 다시, 이 나사못(34)에 의해 생긴 간격들은 충전재(45)를 채워서 열차단벽을 형성시킴으로써, 파넬(10)이 골격재(20)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파넬의 부착을 위한 골격재(20)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부착판(28)(29)에 의하거나 또는 골격재(20)를 파넬의 조립체의 측면까지 연장된 곳에 볼트나 나사못(34)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종래에 모서리 및 가장자리 캡을 씌운 파넬배열체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들이 달성된다는 것을 분명히 한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9)

  1. 파넬(10)의 뒷면(16)에 그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양 측면을 관통되게 형성한 플렌지를 갖는 끼움부(12)에 상기 파넬(10)을 보강부착하기 위한 플렌지를 가진 골격재(20)를 끼워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파넬(10)은 열차단성 발포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3.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파넬(10)은 표면 및 상하, 좌우의 측면이 씨멘타이트로 피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4.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골격재(20)는 플렌지(24)(24)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5. 청구범위 4항에 있어서, 파넬(10)는 뒷면(16)에 두개의 L-형 홈으로 되는 끼움부(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6.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골격재(20)가 끼워지는 끼움부(12)는 파넬(1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7.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골격재(20)는 금속성 압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8. 청구범위 7항에 있어서, 압출물로 되는 골격재(20)는 파넬(10)의 뒷면(16)에 형성한 끼움부(12)의 L-형홈에 일치하는 플렌지(24)(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9.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골격재(20)의 L-형 플렌지(24)(24)들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10. 청구범위 9항에 있어서, 골격재(20)는 파넬(10)의 일측면을 벗어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11. 파넬(10)의 뒷면(16)에 그 길이방향으로 위치하여 양측면중 일측으로 연장되게 위치한 골격재(20)가 파넬(10)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접동식으로 결합시킨후, 상기 파넬(10)을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장치.
  12. 청구범위 11항에 있어서, 파넬(10)이 열차단성 발포물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 장치.
  13. 청구범위 12항에 있어서, 파넬(10)은 그 표면 및 상하, 좌우의 측면을 씨멘타이트로 피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장치.
  14. 청구범위 13항에 이어서, 부착장치는 납작한 부착판(28)(29)과 나사못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장치.
  15. 청구범위 14항에 있어서, 부착판(28)(29)은 파넬(10) 골격재(20)의 상면판(22)내에 위치하며, 상기 부착판(28)(29)이 상기 골격판(20)의 상면판(22)에 끼워진 부위(32)의 끼움부(12) 중앙부위(18)가 압축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장치.
  16. 청구범위 15항에 있어서, 부착판(28)(29)을 볼트나 나사못으로 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장치.
  17. 청구범위 16항에 있어서, 부착판(28)(29)으로 두개이상의 인접 파넬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장치.
  18. 청구범위 17항에 있어서, 인접한 파넬(10)사이의 간격을 열차단성 몰탈(45)로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장치.
  19. 파넬(10)의 뒷면(16)에 형성한 끼움부(12)에 골격재(20)를 끼워서 상기 파넬(10)을 보강시키는 동시에 부착판(28)(29)을 벽면에 장착하며, 파넬(10)을 상기 부착판(28)(29)에 접동식으로 끼워서 파넬(10)을 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0. 청구범위 19항에 있어서, 부착판(28)(29)에 의하여 파넬(10)의 뒷면(16)으로부터 벽면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1. 청구범위 19항에 있어서, 부착판(28)(29)에 의하여 파넬(10)의 표면이 건물의 외층이 되게 벽면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2. 청구범위 21항에 있어서, 부착판(28)(29)에 의하여 벽면에 차례로 밀어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3. 청구범위 19항에 있어서, 와이어커팅 방법에 의해 골격재(20)를 파넬(10)의 몸체내에 형성시켜 상기 골격재(20)는 두개가 대향하는 L-형 홈으로 되는 끼움부(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4. 청구범위 23항에 있어서, L-형으로 된 끼움부(12)에 플렌지(24)를 가진 L-형이 서로 대향하여 일체된 골격재(20)를 접동되어 끼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5. 청구범위 24항에 있어서, 부착판(28)(28)은 골격재(20)와 파넬(10) 사이에 접동되어 들어가고 벽면에 나사못(34)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부착판(280(29)이 들어가는 부위(32)인 끼움부(12)의 중앙부위(18)가 압축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6. 청구범위 25항에 있어서, 인접되는 파넬(10)을 부착판(28)(29)에 의하여 밀어넣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7. 청구범위 26항에 있어서, 인접되는 파넬(10)사이에 간격을 둘때에는 그 간격에 충전재(45)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넬의 고정방법.
  28. 가로지르는 골격재(20)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파넬(10)로서, 상기 골격재(20)는 파넬(10)의 표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파넬(10)의 몸체내에 들어가 파넬(10)의 지지역할 및 구조적 강성을 제공하는 골격재(20)의 상면판(22)내에 들어가 끼워지는 부착판(28)(29)에 의하여 대기환경으로부터 건물벽면으로 향하는 열전도경로를 형성시키지 못하게 파넬(10)을 건물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성 외부파넬.
  29. 건물벽면에 작용하는 열을 차단시키기 위한 여러개의 파넬(10)의 노출된 외부표면이 건물표면이 되게 벽면에 직접 설치하는 파넬(10)의 제1표면을 가로지르게 형성된 골격재(20)을 구비하며, 이 골격재(20)는 상기 제1표면에서 내부로 뻗어 표면과는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파넬(10)의 물체를 지지하고 구조적 강성을 부여하도록 파넬(10)을 건물외벽에 부착하여 외부에서 건물벽으로 통하는 열전도경로를 형성하지 못하게 한 건물의 외부구성체.
KR1019860011517A 1986-12-30 1986-12-30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KR92000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517A KR920000595B1 (ko) 1986-12-30 1986-12-30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517A KR920000595B1 (ko) 1986-12-30 1986-12-30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85A KR880007885A (ko) 1988-08-29
KR920000595B1 true KR920000595B1 (ko) 1992-01-16

Family

ID=1925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517A KR920000595B1 (ko) 1986-12-30 1986-12-30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5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85A (ko) 198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469A (en) Prefabricated insulating panels
US4603531A (en) Structural panels
US8429866B2 (en) Modular system for cladding exterior walls of a structure and insulating the structure walls
US4531338A (en) Building wall panel
EP1662581B1 (de) Wandverkleidungsplatte für eine Gebäudeaussenwand mit einem Solargenerator
EP0927323B1 (de) Kühldecke, elemente für kühldecke und kühlrohrmatte zur anwendung bei einer kühldecke
KR940000545B1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 복합 패널 블럭
KR20200103985A (ko) 건축용 단열패널 시공시스템
US10024054B2 (en) Facade construction
KR920000595B1 (ko) 열차단성 파넬, 파넬장치 및 그의 고정방법
US20040020148A1 (en) Panel
AU2001240899A1 (en) Panel
US20220243463A1 (en) Fire retarding polymer bracket
KR102303438B1 (ko)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CN112814180A (zh) 一种金属基层保温构造
JPH0768735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5878867B2 (ja) ファサードを断熱するための補助的断熱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522080B2 (ja) 外壁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3061925B2 (ja) 硬質壁材の開口部取付構造
JP2854326B2 (ja) 壁耐火目地構造
CN214497918U (zh) 一种金属基层保温构造
US6339906B1 (en) Frontage element with decorative facing
US20220243860A1 (en) Insulation system, method of installing the insulation system, and clips disposed between insulation panels
KR930004765B1 (ko) 복수매의 대형타일을 포함한 패널
FI93250C (fi) Liitoselementti ja sen käytt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