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274Y1 -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 Google Patents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274Y1
KR930004274Y1 KR2019910012203U KR910012203U KR930004274Y1 KR 930004274 Y1 KR930004274 Y1 KR 930004274Y1 KR 2019910012203 U KR2019910012203 U KR 2019910012203U KR 910012203 U KR910012203 U KR 910012203U KR 930004274 Y1 KR930004274 Y1 KR 930004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secondary air
cabinet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035U (ko
Inventor
조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12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274Y1/ko
Publication of KR930003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2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5/00Extinguishing-devices, e.g. for blowing-out or snuffing candle fl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제1도는 종래의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구성을 나타낸 종면도.
제4도는 본 고안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가스가 버너에서 연소될 때의 연소 특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캐비넷 12 : 염공
13 : 버너 14 : 흡입구
15 :버너박스
본 고안은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에 관한 것으로 버너에 공급되는 2차 공기의 흡입구를 버너 아래로 유도하여 2차 공기의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소화시 불꽃을 빨리 소멸시켜 소화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오븐 캐비넷(1)의 중앙 하부내에는 염공(2)이 뚫린 버너(3)를 형성하고 캐비넷(1)의 하단에는 2차 공기 흡입구(4)가 뚫린 버너박스(5)가 구성되어 있으며 버너(3)의 상부에는 배플(Baffle)(6)이 형성된 것으로써 개스오븐 레인지에 유입된 가스는 버너(3)에 뚫린 염공(2)으로 배출되면서 연소된다.
이때 오븐 캐비넷(1)의 내부는 밀폐되어 있으므로 가스가 연소할때는 필요한 공기가 2차 공기 흡입구(4)를 통하여 유입된다.
그리고 연소된 연소가스는 오븐 캐비넷(2)의 내부를 순환하다가 배기구(6)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오븐 캐비넷(2)의 내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연소가 중단이 되고, 온도가 떨어지면 가스가 다시 연소를 개시하는 것으로서 점화와 소화가 운전중에 계속 반복된다.
여기서 2차 공기의 흐름은 제2도에서와 같이 연소중에는 찬 공기가 2차 공기 흡입구(4)를 통하여 버너(3)의 염공(2)까지 도달하지만, 소화직후에는 버너(3)에 불꽃이 없어지므로 2차 공기는 직상승되므로 찬 공기가 염공(2)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점화 또는 소화가 반복되면서 소화될 때 퍽 하는 소화음이 발생된다. 이 소화음은 제5도의 연소특성도 상에서와 같이 ″가″열량으로 사용되던 버너(3)가 닫혀 연소가 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열량이 줄어 ″나″열량으로 되었을 때 ″역화″영역에 들게된다.
이 상태에서 염공(2)에 불꽃이 있으므로 염공(2)을 통하여 버너(3) 내부로 불꽃이 들어가서 버너(3)의 내부에 남아 있던 잔류가스가 폭발하면서 폭발음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버너의 바로 밑에 2차 공기 흡입구를 형성하여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찬 공기가 염공을 지나면서 잔류 불꽃을 재빨리 소멸시켜 주므로 폭발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구성을 제3도 및 제4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오븐 캐비넷(11)의 중앙 하부에 염공(12)이 뚫린 버너(13)를 형성하고, 캐비넷(11)의 하단에는 2차 공기 흡입구(14)가 형성된 버너박스(15)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버너박스(15)에 뚫린 2차공기 흡입구(14)를 버어링(Burring) 형태의 2차공기 흡입구(14)로 형성하고, 2차 공기 흡입구(14)의 상부에 근접되게 버너(13)를 설치하여 소화시에 버너(13)의 불꼿을 빨리 소화시켜 소화음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버플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스 오븐 레인지에 유입된 가스는 버너(13)에 뚫린 염공(2)으로 배출되면서 연소된다.
이때 오븐 캐비넷(11)의 내부는 밀폐되어 있으므로 가스가 연소할때는 필요한 공기가 2차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유입된다.
그리고 연소된 연소가스는 오븐 캐비넷(2)의 내부를 손환하다가 배기구(16)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캐비넷(11)내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연소가 중단이고, 온도가 떨어지면 가스가 다시 연소를 개시하는 것으로서 점화가 소화가 운전중에 계속 반복된다.
연소중에는 2차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유입된 찬공기가 버너(13)의 염공(12)에 도달하며, 소화시에도 찬공기가 버너(13)의 염공(12)을 지나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제5도와 같이 ″가″열량에서 사용하던 버너(13)를 소화시 점선을 따라 연소상태가 변화하여 ″나″열량으로 줄었을 때 ″역화″영역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상상태에서는 불꽃이 너무 작아서 염공(12)에 겨우 붙어있는 상태로서 2차 공기 흡입구(14)를 따라 염공(12)을 지나는 상승기류 때문에 염공(12)의 불꽃은 쉽게 날려 꺼져 버린다.
따라서 소화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오븐 캐비넷(11)의 중앙 하부에 염공(12)이 뚫린 버너(13)를 형성하고, 캐비넷(11)의 하단에는 2차 공기흡입구(14)가 형성된 버너박스(15)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버너박스(15) 일측부에 소화시 버너(13)의 불꼿을 빨리 소화시켜 소화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어링 형태의 2차 공기 흡입구(14)를 버너(13) 하부측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KR2019910012203U 1991-07-31 1991-07-31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KR930004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203U KR930004274Y1 (ko) 1991-07-31 1991-07-31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203U KR930004274Y1 (ko) 1991-07-31 1991-07-31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035U KR930003035U (ko) 1993-02-26
KR930004274Y1 true KR930004274Y1 (ko) 1993-07-10

Family

ID=1931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203U KR930004274Y1 (ko) 1991-07-31 1991-07-31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2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035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3620A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oil burner
US5246365A (en) Reignition device for a gas burner
KR930004274Y1 (ko) 가스오븐 레인지의 버너
KR920003223Y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 버어너의 안전장치
US4480987A (en) Combustion apparatus for liquid fuels
KR0154299B1 (ko) 그릴실의 배기구조
US1539324A (en) Ignition device for gas ranges, etc.
US3645248A (en) Constant burning pilot for double burner oven
KR0127096B1 (ko) 그릴장치
KR100208308B1 (ko) 가스 버어너
KR200261877Y1 (ko) 연돌의 배출가스 점화용 버너
JP2684867B2 (ja) ポット式バーナ
JPS6321409A (ja) コンロバ−ナ
JPS58133525A (ja) 石油燃焼器
JPH05203119A (ja) 調理器
KR920003238Y1 (ko) 장작형 난방기
KR890005871Y1 (ko) 가스 버너
KR0114827Y1 (ko) 그릴/오븐가스레인지
KR890002126Y1 (ko) 가스버어너
JP2831224B2 (ja) 燃焼装置
JPH0141028Y2 (ko)
KR960001233Y1 (ko) 가스렌지의 점화플러그 보호수단
EP0651206A1 (en) Ignition device
JPS6014099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950005740Y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부 분할버어너의 역화 및 불날림방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