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043B1 - 블래더, 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 Google Patents

블래더, 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043B1
KR930004043B1 KR1019910003484A KR910003484A KR930004043B1 KR 930004043 B1 KR930004043 B1 KR 930004043B1 KR 1019910003484 A KR1019910003484 A KR 1019910003484A KR 910003484 A KR910003484 A KR 910003484A KR 930004043 B1 KR930004043 B1 KR 93000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type
bladderless
tire
cente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473A (ko
Inventor
야스히꼬 후지에다
센조 후나꼬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91001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7Tempering units for temperature control of moulds or cores, e.g. comprising heat exchangers, controlled valves, temperature-controlled circuits for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2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the vulcanising mediu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2Means for sealing the tyre against the mould in the bead areas
    • B29D2030/0621Means for sealing the tyre against the mould in the bead areas to seal the bead portions against the mould i.e. by using pressing devices
    • B29D2030/0627Means for sealing the tyre against the mould in the bead areas to seal the bead portions against the mould i.e. by using pressing devices the pressing devices being ring-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66Heating by using fluids
    • B29D2030/0667Circulating the fluids, e.g. introducing and removing them into and from the mould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66Heating by using fluids
    • B29D2030/0667Circulating the fluids, e.g. introducing and removing them into and from the moulds; devices therefor
    • B29D2030/0669Circulating the fluids, e.g. introducing and removing them into and from the moulds; devices therefor the fluids being circulated by a turbine type pump associated with the mould, e.g. positioned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66Heating by using fluids
    • B29D2030/0667Circulating the fluids, e.g. introducing and removing them into and from the moulds; devices therefor
    • B29D2030/067Circulating the fluids, e.g. introducing and removing them into and from the moulds; devices therefor the vulcanizing fluids be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75Controlling the vulcaniza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블래더, 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상부 센터기구의 하부 부분을 부분 단면도.
제3도는 타이어 가황기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4도는 타이어 가황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5도는 블래더타입 가황기로서 사용된 타이어 가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6도는 그 설명도 및,
제7도는 제3도의 주요부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하반부 4 : 하부 플래튼
11 : 하부센터기구 13 : 하부 비이드링
22 : 상반부 23 : 상부 플래튼
26 : 상부센터기구 29 : 상부 비이드링
본 발명은 블래더·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가황기에는 블래더타입과, 블래더리스타입의 2가지 타입이 있다. 오늘날 타이어의 대량생산용으로 실제사용중에 있는 대부분의 타이어 가황기는 블래더를 사용하는 블래더 타입이다.
이 블래더타입 타이어 가황기는 소모성 부품인 블래더를 사용하고 있으며, 블래더의 비균일성 때문에 타이어의 품질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블래더를 사용하지 않는 블래더리스타입은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점에서 블래더 타입보다 훨씬 더 잇점이 있다.
여러가지 타입의 블래더리스타입 타이어 가황기가 제안되어 왔으며, 이들은 순조롭게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블래더리스타입 타이어 가황기는 여러가지 잇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블래더리스타입 타이어 가황기의 실제적인 사용을 위하여 그리고 타이어의 대량생산에의 전임을 위하여는 해결되어야 할 여러가지 많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조작에 관한 기술적인 노우하우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노우하우의 축적후에 타이어 가황기는 블래더 타입으로 부터 블래더리스타입으로 전환될 것이다.
종래의 블래더 및 블래더리스타입 타이어 가황기는 상이한 기체로서 건조되고 전혀 별개로 사용되고 있다. 블래더리스타입 타이어 가황기가 장래에 채용될때 모든 현존하는 블래더리스타입 타이어 가황기는 폐기교체될 필요가 있다. 현존하는 타이어 가황기의 평균수명은 대략 20년이기 때문에, 블래더리스타입의 잇점에도 불구하고 이를 교체시키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볼때 어렵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달성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단지 기계의 부품은 대체시킴으로서 블래더 타입으로부터 블래더리스타입으로 전환될 수 있는 블래더·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가황기는, 블래더 타입용 하부 센터기구(44) 및 블래더리스타입용 하부 센터기구(11)가 모울드의 하반부(3)를 지지하는 하부 플래튼(4)상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블래더리스타입용 상부 센터기구(26)는 모울드(22)는 상반부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23)상에서 작동 위치와 상부 대기위치와의 사이에 수직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반부(22)상에는 블래더 타입용 상부 비이드링(48) 및 블래더리스타입용 상부 비이드링(29)이 교환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타이어 가황기가 블래더타입으로부터 블래더리스타입으로 교체될때는 하부 플레이트(4)의 하부 센터기구(11)가 대체되어져야 한다. 블래더리스타입의 경우에, 상부 센터기구(26)는 상부 센터기구(26) 및 하부 센터기구(11)에 의해 미가황 타이어의 상부 및 하부 비이드부가 압력하에 유지되는 작동위치만큼 낮게 하강된다.
반면에, 블래더 타입의 경우에는 상부 센터기구(26)는 불필요하게 대기위치만큼 높게 상승이동되며, 블래더 타입용 상부 비이드링(48)이 상반부(22)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 부터 명백하여질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래더·블래더리스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를 도시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블래더·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의 일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블래더리스타입 가황기로 사용된 타이어 가황기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1은 가황기의 몸체 프레임이며 참조번호 2는 미가황 타이어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3은 모울드의 하반부를 나타내며 차모번호 4는 모울드의 하반부(3)를 지지하며 안내부재(5)를 통하여 몸체 프레임(1) 상에 장착된 하부 플래튼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6은 실린더플레이트(7)에 장착된 체결 실린더이다. 이 체결 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8)는 하부 플래튼(4)의 하부측에 체결된다. 실린더플레이트(7)는 타입로드를 통하여 하부 클램프돔(10)에 연결된다. 참조번호 11은 블래더 타입용 하부 센터기구를 나타내며, 이는 하부 플래튼(4)의 중앙에 형성된 장착 보어(12)내에 수직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하부 센터기구(11)의 상단부에서 하부 비이드링(13) 및 하부 섹터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미가황 타이어(2)의 하부 비이드부가 압력하에 유지된다. 하기 설명되는 바와같이 하부 섹터 플레이트(14)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된 2종의 크고 작은 섹터들을 가지며 각각의 섹터는 수직이동가능하며 확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15는 하부 센터기구(11)를 승강이동시키는 리프트아암이며, 피봇축(16)에 의해 몸체 프레임(1)상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리프트아암(15)은 한쪽 끝부분에는 몸체 프레임(1)상에 장착된 리프트 실린더(17)가 연결되며, 다른쪽 끝부분에는 링크(19)가 핀(18)에 연결된다. 링크(19)에는 2개의 볼트구멍(20)이 구비되어 있다. 블래더리스타입의 경우에 링크(19)는 모울드구멍(20)에 삽입된 볼트(21)에 의해 하부 센터기구(11)에 연결된다.
참조번호 22는 모울드의 상반부이며, 참조번호 23은 이 상반부(22)를 지지하고 있는 상부 플래튼을 나타낸다. 상부 플래튼(23)은 센터에서 안내튜브섹션(24)을 가진다. 이 안내튜브섹션(24)의 내측에는 스플릿 모울드 작동축(25) 및 블래더리스타입용 상부 센터기구(26)가 상대적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스플릿 모울드 작동축(25)과 안내튜브(24)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상부 플래튼(23)에 대하여 스플릿 모울드 작동축(25)을 승강시키기 위한 스플릿 모울드 작동 실린더(27)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센터기구(26)와 스플릿모울드 작동축(25)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작동위치와 상부대기위치 사이에서 상부 센터기구(26)를 수직 이동시키기 위한 상부 센터기구 리프트실린더(28)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센터기구(26)의 바닥끝에는 상부 비이드링(29) 및 상부 섹터 플레이트(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비이드링(29)과 상부플레이트(20)과의 사이에서 미가황 타이어(2)의 상부 비이드부를 압력하에 유지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 비이드링(29)은 외부 튜브(26a)의 바닥끝에 제거가능하게 나사식으로 부착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 섹션 플레이트(20)는 둘레방향쪽으로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되며 교대로 배열된 대섹터 및 소섹터(32)를 가진다. 이 섹터(31, 32)는 지지플레이트(33)에 의해 직경방향쪽으로 확개 가능하게 지지되며 캠 종동자(34,35)를 통하여 캠플레이트(36, 37)와 연동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33)는 리프트축(38)의 바닥끝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는 반면에, 캡플레이트(36)는 회전축(39)의 바닥끝에 너트(40)에 의해 역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캠플레이트(37)는 튜브형 축(41)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 축(39, 41)은 모터(42)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때, 캠플레이트(36, 37)는 축(39,40)을 통하여 회전될 것이며, 섹터(31,32)는 캠종동자(34,35)를 통하여 확개 또는 축폐될 것이다. 하부 섹터 플레이트(14) 측은 또한 매우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43은 상부 클램프돔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50은 조정나사기구이다. 상부 플래튼(23) 측은 몸체 프레임(2)상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부 비이드링(13)은 이중목적타입이며, 하부 센터기구(11)의 외부 튜브상에 해제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에, 미가황 타이어 가황방법의 한예가 이후 설명될 것이다. 이 가황방법은 한쌍의 개폐형 스플릿 모울드내로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하여 타이어 몸체 내부를 포함하고 있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밀폐된 공간으로 고온-가압 매체의 직접적 첨가를 통하여 타이어의 블래더리스 가황기내에 있는 밀폐된 공간에 고온-압력 매체의 공급하기전에 가열장치에 의해 필요온도까지 가스 고온-압력 매체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압력공급 및 방출라인 그리고 분기 및 순환부재를 통하여 밀폐된 공간쪽으로 이 가스 고온-압력 매체를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의해 미가황타이어를 블래더리스-타입 타이어 가황기에 의해 가황시킨다.
이 방법에 따라 예컨대 밀폐된 공간으로 CO 또는 N 비활성 가스를 주입시키기 이전에 고온-압력 매체는 외부에 설치된 가열기에 의해 필요온도까지 가열되며, 이 고온-압력 매체가 개방 및 밀폐될 수 있는 스플릿 모울드내에 장전된 미가황 타이어 몸체를 포함하고 있는 밀폐된 공간으로 내측 및 외측에 연결된 압력공급 및 방출라인을 통하여 밀폐된 공간으로 계속 공급되며, 그리고 이 고온-압력 매체는 미가황 타이어의 내부표면과 확고한 접촉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분기되며 순환되어, 이에의해 가스 고온-압력 매체를 가진 타이어의 균일한 가황처리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한다. 즉, 미가황타이어의 각부분을 균일하게 가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분기 및 순환 수단을 가진 상기 언급된 구성 때문에 밀폐된 공간의 내부는 자유공간으로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때문에 예컨대 미가황 타이어의 밀폐식으로 밀봉된 구조에 기인하여 광폭공간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특정온도로 제어된 가스고온-압력 매체를 각각의 가황기의 프레스의 외부에 장착된 가스 가열기로부터 가황기에 직접 또는 독립 가열기로부터 다수의 가황기로 배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극히 용이한 온도 제어를 또한 확보 가능하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황타이어(101)가 가동상반부(102)로 충전되어 개폐될 수 있는 스플릿모울드의 하반부(103)으로 고정된다. 제3도에서 참조번호 102a는 타이어(101)의 상부 비이드부를 지지하는 상부 비이드링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03a는 하부 비이드부를 지지하는 하부 비이드링을 표시한다. 참조번호 107은 상부 지지디스크를 표시한다. 참조번호 108은 하부 지지디스크를 표시한다.
지지디스크(108)는 가황기 모울드의 하반부(103)의 중앙에 배열된 센터기구(109)의 상단부상에 확고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지지디스크(107)은 지지디스크(108) 측상에서 고정된 간격을 두고 유지되어 있다. 이 디스크(107, 108) 상에는 예시되지 않은 전기히터와 미가황타이어(101)의 비이드부를 가압함으로써 밀폐 밀봉된 시일링 구조가 장착되어 있다.
제3도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비활성가스가열장치(110)가 각각의 가황가압을 위하여 장착되어 있다. 도시되지않은 가황프레스의 지지프레임 내측과 이 프레스(모울드의 외부) 외측은 CO2또는 N2비활성가스 가열장치(110)에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111)에 의해서 특정압축치로 압축되는 CO2또는 N2비활성가스는 밸브(112)가 삽입된 공급라인(113)을 통과하여 가열장치(110)으로 이송되며, 그 다음에 예컨대 스팀을 사용하는 열교환기와 같은 가열수단에 의해서 밀폐공간으로 이송하기 전에 적어도 가열온도 이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가열된 이 고온압축가스매체는 지지디스크(108)에 제공된 공급포오트(104)로부터 센터기구(109)를 사용하는 공급라인(114)를 통하여 미가황타이어로 주입된다.
더욱이, 고온압축매체는 확실하게 교반되어 상부지지디스크(107)과 하부지지디스크(108) 사이에 배치된 팬(106)과 같은 교반수단에 의해서 고온압축매체가 타이어의 내부표면과 접촉되는 방식으로 미가황타이어(101) 내를 순환하며, 이에따라 스플릿 모울드의 가열과 함께 가황을 통하여 미가황타이어(101)를 형성하게 된다.
밀폐공간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된 고온-압축 가스매체는 타이어(101)를 고온-압축한후에 스플릿 모울드로부터 상부 지지디스크(107) 측상에 제공된 방출포오트(105)와 동일한 방출포오트(105)에 연결된 방출라인(114), 및 쓰로틀 밸브(115)를 통하여 방출되며, 복귀된다. 이 경우에 복귀라인(116)에 의해서 예시된 바와같이 이 라인(116)은 상기 설명된 압축기(111) 측에 연결되어, 복귀가스의 재사용을 위하여 쉽게 순환될 수 있다.
제3도에서, 참조번호 114a는 공급라인(114)로부터 분기된 공급회로이며, 이것은 고온-압축가스매체를 가황프레스내의 스플릿모울드의 2개의 세트를 포함한 쌍둥이형 모울드중의 다른 분할모울드로 공급하는데 마찬가지로 사용된다. 참조번호 117은 요구된 파이프라인상에 제공된 단열 및 열보존층을 표시한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기(111)로부터 뻗어있는 공급라인(113)은 가황프레스(M1, M2)의 각각에 대해 밸브(112)를 가진 파이프라인(113a, 113b)의 연결을 위하여 타이어 가황기의 센터기구측으로 뻗어있다. 이 경우에 큰용량의 비활성 가스가열장치(110)는 필요하면 사용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장치(110)의 하나의 스탠드는 각각의 가황프레스로부터 별개로 제공된다. 압축기(111)로부터 불활성 가스압축매체는 이 가열장치(110)로 보내지며, 이에 따라 압축매체는 고온-압력 매체의 특정온도로 가열되며, 그 다음에 이것은 밸브(112)를 갖춘 각각의 분기라인(113a 내지 113d)을 통하여 각각의 가황프레스(M)으로 공급될 것이며, 이것은 공통공급라인(113)에서 분기되어진다.
제3도의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가열장치(110) 뒤에 공급라인(114) 및 분기공급라인(114a)가 단열 및 열보존재질을 갖추고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가열장치(110) 뒤에 라인(113, 113a, 113a, 113b)이 단열 및 열 보존재질을 마찬가지로 갖추고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어떤 형태의 타이어 가황기는 미가황 타이어(101)를 포함하는 밀폐공간으로 이송하기전에 모울드의 외측에 장착된 가열장치(110)에 의해서 바람직한 압력으로 압축되어 바람직한 온도로 가열된 고온 압축가스매체의 공급 및 순한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온-압력 매체는 가열 및 압축을 타이어 내측표면에 적용시킴으로써 가황의 효과적인 달성뿐만아니라 스플릿 모울드를 가열하는 목적으로 고온-압력 매체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교반된다.
특히, 고온-압력 매체의 교반 순환은 타이어가열에 필요한 가스의 활성 내부유동 및 외부유동(순환)할 수 있도록 저열용량 고온가스를 요구한다. 그밖에 스팀을 사용한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볼때, 가스는 안전하고 용이하게 다루어진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고온-압력 매체의 사용은, 상기 설명되 잇점이외에도 미가황타이어(101)내의 효과적인 공간을 제공하는것, 상기 설명된 타이어비이드부내의 압축시일을 사용한 밀폐빌봉구조의 설계 변형을 크게 제공하는 것, 큰 사이즈로 압축된 시일부재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에따라 확고하게 밀봉된 구조가 이 형태의 가황 프레스를 위하여 모울드의 내부 구조를 실현할 수 있어 극히 간단하게 될 수 있다는 잇점을 가진다.
더욱이, 고온-압력 매체가 타이어를 그 내부표면으로부터 가열시키기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될 상부 센터기구 있기 때문에 히터사용에 있어 복사열의 발생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따라 균일하고 안전하고 순일한 가황을 보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각각의 가황프레스에 가스가열장치를 장치하는것 또는 통상의 사용을 위하여 하나의 독립적으로 장착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급 및 방출라인(114, 114, 115, 116)이 예시된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공급포오트(104), 방출포오트(105) 및 교반 및 순환용팬이 구조 및 형상이 예시된 실시예에 단지 제한되지 않는것은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종래의 블래더리스타입의 타이어 가황기에 의해 가황될때 타이어에 전적으로 사용된 히터구조는 고온프레스 매체로서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미가황 타이어의 밀폐된 공간내로 가스를 공급하기 전에 스플릿 모울드의 외부에 장착된 가열장치에 의해 가스를 가열함으로써 그리고 공급 및 방출라인과 분기 및 순환부재를 통해서 가스 고온 프레스 매체를 연속으로 그리고 화기히 분기시키고 순환시킴으로써 실시될 수 있어서, 타이어의 좁은 내부공간의 폭넓은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비이드부의 중요한 시일 구조의 설계를 조장하고, 요구되는 대형의 크기와 견고한 구조의 사용을 실현시키며, 가열용 가스고온프레스 매체의 효과적인 분기 및 순환으로 인하여 내부표면의 안정되고 조화로운 가열을 행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우수한 가황품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장치의 요구되는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으며 광범위하게 촉진할 수 있다.
제5도는 블래더타입으로서 사용된 타이어 가황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에서, 44는 블래더 타입의 하부 센터기구이며, 하부 플래튼(4)의 장착구멍(12)에 수지가동 및 교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센터기구(44)는 상부 볼트 구멍에 삽입된 볼트(21)에 의해 링크(19)에 연결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센터기구(44)에서 블래더(45)의 상부 및 하부끝을 유지하는 상부클램프링(46)과 하부클램프(47)은 수직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모울드의 상반부(22)의 중앙에 블래더리스타입을 위해 상부 비이드링(29) 대신에 볼투(49)에 의한 상부 비이드링(48)이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다음, 블래더 및 블래더리스의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타이어 가황기가 블래더리스타입으로서 사용될때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래더리스타입용 하부 센터기구(11)를 하부 플래튼(4)에 장착하고, 그리고 실린더(28)에 의해서 작동위치 만큼 낮게 상부 플래튼(23) 축상에 블래더리스타입용 상부 센터기구(26)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타이어(2)의 상부 및 하부 비이드는 상부 및 블래더(26, 11)의 상부 및 하부 섹터 플레이트(30, 14)와 상부 및 하부 비이드링(29, 13) 사이에서 압력하에 유지된다. 모울드의 상반부 및 하반부(2, 3)가 체결된후 고온 프레스 매체는 타이어의 직접 가황을 위해 마가황 타이어(2)내로 충전된다. 이러한 경우에 하부 비이드링(13)은 블래더 및 블래더리스타입 양자에 사용 가능한 한편, 사용될 상부 비이드링(29)을 블래더리스타입용으로 배타적으로 사용된다. 가황된 타이어가 분리될때, 제거된 하부 센터기구(11)의 하반부(3)는 리프트아암(15)을 통해서 실린더(17)에 의해 상승한다.
다음 타이어 가황기가 블래더타입으로서 사용될때 먼저 상부 플래튼(23)측이 상향 스트로크의 상한 만큼 높이 상승되며, 다음에 블래더리스타입용 블래더(11)가 하부 플래튼(4)의 장착보어(12)로부터 상향으로 당겨지며, 블래더타입용 하부 센터기구(44)는 위에서부터 상기 장착보어(12)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삽입될 블래더타입용 하부 센터기구(44)는 장착보어(12)의 크기를 고려하여 블래더리스타입용의 것과 동일한 외경이 되어야한다. 링크(17)와 하부 센터기구(44)는 링크(15)의 상부볼트구멍(20)에 삽입된 볼트(21)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작용은 블래더타입용 하부 센터기구(44)와 일크(17)의 장착위치가 블래더리스타입용 하부 센터기구(11)와 다르기 때문에 필요하다. 모울드가 가황된 타이어를 꺼내는데 충분하게 넓게 개방되지 않는다면, 하부 센터기구(44)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가공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상부 센터기구(26)가 필요치 않으므로 상부 섹터 플레이트(30)는 너트(40)의 제거후 제거되고 상부 비이드링(29)은 분리된다. 그리고 상부 센터기구(26)는 실린더(28)에 의해서 상부 플래튼(23)의 바닥끝상의 상부 대기위치까지 크기(L)만큼 상승된다. 결과적으로 블래더 타입용 상부 비이드링(13)은 제거된 상부 비이드링(29) 대신에 상반부(22)에 부착된다.
하부 비이드링(13)은 블래더 및 블래더리스타입용으로 사용가능하여 타이어 가황기는 블래더리스타입에서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블래더(45)의 사용으로 타이어 가황기(2)를 가황시키기 위한 블래더 타입으로 전환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블래더리스타입을 갖춘 가황기는 상세히 개시된 블래더 타입으로 전환된다. 역으로 블래더 타입은 상기한 절치를 역으로 함으로써 블래더리스타입으로 전환될 수 있다.
블래더 타입 또는 블래더리스타입용 특정타입의 하부 비이드링(13)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블래더 타입용 블래더(44)와 블래더리스타입용 하부 센터기구(11)는 모울드의 하반부(3)를 지지하는 하부 플래튼(4)상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블래더리스타입용 상부 센터기구(26)는 모울드의 상반부(22)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23)상에 작동위치와 상부대기위치사이에 수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반부(22)상에 블래더타입용 상부 비이드링(48)과 블래더리스타입용 상부 비이드링(29)이 교환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부 센터기구(11)를 바꿈으로써 그리고 블래더(29)을 상승한 상부 센터기구(26)로 바꿈으로써 경제적으로 블래더타입과 블래더리스타입 사이에 호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지 어떤 실시예가 개시된 한편, 당해 분야에 숙련된자는 청구된 본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 부터 이탈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블래더 타입용 하부 센터기구 및 블래더리스타입용 하부 센터기구가 하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플래튼상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블래더타입용 상부 센터기구는 작동위치와 상부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수직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블래더 타입용 상부 비이드링 및 블래더리스타입용 상부 비이드링은 상반부상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래더·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센터기구는 하부 비이드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래더·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래튼을 밀폐시키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래튼을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돔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래더·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KR1019910003484A 1990-03-03 1991-03-04 블래더, 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KR930004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2346 1990-03-03
JP52346 1990-03-03
JP2052346A JP2750193B2 (ja) 1990-03-03 1990-03-03 ブラダ型・ブラダレス型兼用タイヤ加硫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473A KR910016473A (ko) 1991-11-05
KR930004043B1 true KR930004043B1 (ko) 1993-05-19

Family

ID=1291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484A KR930004043B1 (ko) 1990-03-03 1991-03-04 블래더, 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64199A (ko)
JP (1) JP2750193B2 (ko)
KR (1) KR930004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2461A1 (de) * 1997-11-27 1999-06-10 Continenta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e mit einem dampfförmigen Heizmedium betriebene Heizpresse für Fahrzeugluftreifen oder für einen torusförmigen Teil von Fahrzeugluftreifen,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e mit einem flüssigen Heizmedium betriebene Heizpresse für Fahrzeugluftreifen oder für einen torusförmigen Teil von Fahrzeugluftreifen
JP2001079851A (ja) * 1999-09-17 2001-03-27 Kobe Steel Ltd 加硫機
JP4496614B2 (ja) * 2000-07-18 2010-07-07 横浜ゴム株式会社 ホットエアまたはホットガスによるタイヤのインフレーション成形方法
US6854963B2 (en) * 2002-01-28 2005-02-1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adially expandable bead molding ring for a tire mold
EP1509385B1 (en) * 2002-04-29 2006-11-29 Pirelli Tyre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moulding and curing a tyre for vehicle
JP4951525B2 (ja) * 2004-12-28 2012-06-13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空気入りタイヤ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631107B2 (ja) * 2010-08-19 2014-11-26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5627010B2 (ja) * 2011-06-14 2014-11-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およびタイヤ加硫方法
DE102015001732A1 (de) * 2014-04-30 2015-11-05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Heizeinrichtung für Reifenvulkanisiermaschinen
CN106696144A (zh) * 2015-07-29 2017-05-24 桂林橡胶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轮胎无胶囊硫化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483A (en) * 1971-06-16 1980-01-01 Semperit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the bellowless vulcanization of tire blanks
US3918861A (en) * 1974-10-11 1975-11-11 Cooper Tire & Rubber Co Vulcanizing press with rotary locking mechanism
US4236883A (en) * 1979-07-05 1980-12-02 Nrm Corporation Tire press
US4400342A (en) * 1981-03-23 1983-08-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ladderless, clampless curing
JPS62164106U (ko) * 1986-04-07 1987-10-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473A (ko) 1991-11-05
US5164199A (en) 1992-11-17
JP2750193B2 (ja) 1998-05-13
JPH03253311A (ja) 199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7918A (en) Apparatus to print an embossed pattern along the peripheral band of a toroidal article
EP2535173B1 (en) Tire vulcanizer and tire vulcanizing method
US5127811A (en) Bladderless type moulding apparatus
KR930004043B1 (ko) 블래더, 블래더리스타입 이중목적 타이어 가황기
US8662871B2 (en) Tire vulcanizing device
US3770858A (en) Method for retreading tires
US3553309A (en) Method for producing the tread band of flexible tread rings while in a plastic state
US3584335A (en) Tire curing press with loader and removal devices
CN114290581A (zh) 一种轮胎电磁感应微波硫化装备及方法
JP3983378B2 (ja) タイヤ加硫方法及びタイヤ加硫機
KR20010050105A (ko) 타이어 가황방법 및 타이어 가황기
US3632712A (en) Method for curing of pneumatic tires
US4446093A (en) "Piggyback" heat exchanger for dome presses
US1996971A (en) Apparatus for vulcaniziing tires
US2791805A (en) Liner sleeve for tire retreading mold
JP5036419B2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予熱装置及びタイヤ製造装置
JP5068131B2 (ja) 加硫モールドの予熱方法
EP1435287B1 (en) Partial depth-wise cure of a tire innerliner
JPS6233611A (ja) タイヤの加硫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9738043B2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2606342A (en) Vulcanizing apparatus for retreading tires
US3830605A (en) Vulcanizing device
US4028029A (en) Retreading mold with bladder for creating annular vacuum gap
JP2006027208A (ja) タイヤの加硫方法、およびタイヤ加硫プロセスの設定方法、ならびに、タイヤ加硫用ブラダ
JPS613436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