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633B1 - 심인발(deep drawing)성이 우수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인발(deep drawing)성이 우수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633B1
KR930003633B1 KR1019890020296A KR890020296A KR930003633B1 KR 930003633 B1 KR930003633 B1 KR 930003633B1 KR 1019890020296 A KR1019890020296 A KR 1019890020296A KR 890020296 A KR890020296 A KR 890020296A KR 930003633 B1 KR930003633 B1 KR 93000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teel sheet
less
ho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013A (ko
Inventor
사이지 마쓰오까
스즈므 사또
도시유끼 가또
히데오 아베
이꾸오 야리따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쯔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383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04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550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96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972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48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786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342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쯔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1Warm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심인발(deep drawing)성이 우수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제1도는 r 값에 미치는 롤 직경의 영향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r 값에 미치는 R2×t의 영향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r 값에 미치는 t/R4의 영향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r 값에 미치는 마찰계수의 영향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r 값에 미치는 log(R/t)의 영향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강판등에 사용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열연 강판 및 그것에 각종 표면처리를 행한 표면처리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강판등에 사용되는 심 인발용 박강판에는 그 특성으로서 높은 랭크포드값(r값)과 높은 연성(E1)이 요구된다.
이와같이 심인발용 강판은 Ar3변태점 이상에서 열간 압연을 종료한 후 냉간 압연으로 최종 두께의 박판으로 하고, 그후 재결정 어니일링을 실시하여 제조하는 냉연 강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런 최근 저 코스트화를 목적으로 종래 냉연 강판을 사용해온 부재를 열연 강판으로 대체하도록 하는 요구가 높아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가공용 열연강판은 가공성 특히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 재결정 페라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피하고, Ar3변태점 이상에서 압연을 종료해 왔다. 그 때문에 보통 γ에서 α로의 변태시에 집합 조직이 밴덤화 하기 때문에 열연 강판의 심인발성은 냉연 강판에 비해 현저히 열등하고, 전술한 r값은 열연 강판에서 기껏해야 0.8-0.9였다.
최근 냉간 압연을 행하지 않고 심인발성이 우수한 열연강판을 얻는 방법이 몇개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면 일본특개소 59-226149호 공보에서 C/0.002%, i/0.02%, Mn/0.23%, P/0.009%, S/0.008%, Al/0.025%, N/0.0021%, Ti/0.10% 의 저탄소 길드강을 500-900℃에서 윤활유를 도포해서 76%의 압연에서 1.6mm 판두께의 강대로 함으로서 r=1.21의 특성을 갖는 열연 강판의 제조예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열간 압연시에 강 윤활 압연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압연시에 강판에 슬립이 생기는 등 조업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소 62-192539호 공보에서 C/0.008%, Si/0.04%, Mn/1.53%, P/0.015%, S/0.004%, Ti/0.068%, Nb/0.024% 의 저탄소 길드강을 Ar3~Ar3+150℃에서 92%의 압연을 실시함으로서 r=1.41의 특성을 갖는 박 강판의 제조예가 나와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γ 지역에서 열연을 종료하고, 그후의 γ에서 α로의 변태에 의해 변태 집합 조직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1,1,2]방위가 증가해서 r값의 이방성을 나타내는 △r이 △r=-1.2로 대단히 크게되어 실용상 문제가 있었다.
심인발성에 대해서는 연간 압연에서 조업상 문제가 없이 특히 이방성을 일으키지 않는 방법으로 적어도 R
Figure kpo00001
1.4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자동차용 강판등에 사용되는 박 강판에 있어서는 그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종 표면처리를 한 표면 처리 강판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그 가운데 용융아연 도금 강판은 그 제조 코스트 및 특성으로 보아 가장 우수한 표면처리 강판의 하나이다. 그런데, 용융아연 도금 강판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우수한 내식성은 물론 심 인발성도 중요한 인자이다. 즉 자동차의 외판 및 내판은 강도의 프레스 성형이 실시되기 때문에 랭크 포드값(r)값이 높고, 신축성이 큰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필요로 한다.
이와같은 심인발성이 우수한 용융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예를들면 일본 특개소 57-29555호 공보에는 C : 0.006wt%(이하%로 나타낸다)
N : 0.0045%, Si : 0.008%, Nb : 0.043%를 함유하는 강을 열연후, 산 세척 처리를 거쳐 냉연하고, 또 연속용융 아연 도금 라인에서 재결정 어니일링과 도금 처리를 행함으로서 r=2.1 Ei=51% 정도의 특성값을 얻는 기술이 각각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심인발성이 우수한 용융아연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뛰어난 것이나, 최종제품에 이르기 까지의 공정이 길어서 그 결과 제품을 얻기까지 요하는 에너지, 사람 및 시간이 막대하게 쓰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강성분과 압연조건, 특히 마무리 압연시의 롤 직경과 초기 판두께 및 마찰게 계수를 적절하게 규제함으로서
1. 열간 압연 상태로 높은 랭크포드값(r값) 특히 R
Figure kpo00002
1.4 이상의 심 인발용 강판을 얻는 방법.
2. 또 2차원 가공 취성이 없는 심인발용 강판을 얻는 방법.
3. 또 심인발 성이 뛰어난 표면 처리 강판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 Ar3변태점 이하에서의 압연조건
(1) 롤 반경 및 판 두께와 r값과의 관계
이하 본 발명의 수치한정의 기초로된 연구 결과를 서술한다.
r : 0.002%, Si : 0.01%, Mn : 0.1%, P : 0.012%, S : 0.012%, N : 0.002%, Ti : 0.04%, Nb : 0.010%로 되는 조성의 열강판을 700℃에서 가열 균열후, 1패스에 60%의 압연을 행하고 계속해서, 700℃ -1시간의 권치 자기 어니일링 처리를 실시했다.
또 마무리 압연은 무 윤활 압연으로 하고 또 초기판 두께는 1.2mm로 했다. 이때 압연 롤 반경 R(mm)을 50-300으로 변화시켰다. 열연판의 r값에 미치는 롤 반경의 영향을 제 1 도에 나타낸다.
r은 롤 반경에 크게 의존하고, R
Figure kpo00003
200으로 함으로서 현저하게 향상했다. 또한 동일한 압연 강판을 사용해서 700℃에서 가열-규열후 1패스에서 60%의 압연을 행하고, 계속해서 700℃-1 시간의 권취 자기 어니일링 처리를 행했다.
또 마무리 압연은 무 윤활 압연으로 하고, 또 사용한 롤 반경은 180(mm)로 일정하게 하여 초기판 두께를 1~20mm로 변화시켰다.
열연판의 r값에 미치는 롤 반경과 초기 판두께 : R2×
Figure kpo00004
의 영향을 제2도에 나타낸다. r은 R2×
Figure kpo00005
에 크게 의존하고 R2×t
Figure kpo00006
100000으로 함으로서 현저하게 향상했다.
압연 조건을 한정한 이유는 이하와 같다.
통상의 압연 조건(열간압연에서는 R>300)에서는 Ar3변태점 미만에서 압연을 행하면 롤과 강판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강판 표층부에 부가적 전단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강판 표층부에 심인발성에 양호하지 않은 [110]방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심인발성이 열화한다.
그러나 R
Figure kpo00007
200에서 R2×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100000으로 함으로서 강판표충부의 [110] 방위가 감소하고 또 [111] 방위도 증가하는 것이 판명되어 R
Figure kpo00010
200에서 R2×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100000으로 한정했다.
또 C : 0.002%, Si : 0.02%, Mn : 0.1%, P : 0.011%M, S : 0.013%, N : 0.002%, Ti : 0.04%, Nb : 0.013%로 되는 조성의 열연판을 700℃에서 1패스에 60%의 압연을 행하고 계속해서 700℃-1 시간의, 권취 자기 어니일링 처리를 했다.
또 마무리 압연은 무윤활 압연으로 하고, 또 초기 판두께t(mm)를 1~30mm, 압연롤 반경 R(mm)을 100~350mm로 변화시켰다.
열연판의 r값에 미치는 초기판두께와 롤 반경을 제3도에 나타낸다.
r값은 t/R4에 많이 의존하고 t/R4
Figure kpo00013
6×1001±으로 함으로서 현저하게 향상했다.
또 마무리 압연기의 가운데 후단 스탠드(예를들면 6스탠드면 후의 2스탠드 또는 7스탠드면 후의 3스탠드를 가르킨다)의 롤 반경 R 만을 R
Figure kpo00014
200으로 해도 좋다.
(2) 마찰계수와 r값과의 관계
C : 0.002%, Si : 0.02%, Mn : 0.1%, P : 0.011%, S : 0.013%, N : 0.002%, Ti : 0.04%, Nb : 0.013%로 되는 열연판을 700℃에서 1패스 60%의 압연을 행하고, 연속해서 700℃-1 시간의 권취 자기 어니일링 처리를 행했다. 이때, 롤 반경 : 300mm, 판두께 : 3mm로 하고, 윤활조건을 여러가지로 바꿈으로서 마찰계수를 0.1-0.25의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열연판의 r값에 미치는 마찰계수의 영향을 제4도에 나타낸다.
r값은 마찰계수에 많이 의존하고, μ
Figure kpo00015
0.15로 일정하게 하고 롤 반경 및 판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서 log(R/T)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켰다.
어니일링의 열연판의 r값에 미치는 log(R/T)의 영향을 제5도에 나타낸다. r값은 log(R/t)에 많이 의존하고 log(R/t)
Figure kpo00016
2.0 으로 함으로서 현저하게 향상했다.
이상에서 롤 반경과 압연전 판두께 및 마찰계수가 μ
Figure kpo00017
-0.21log(R/t)+0.55 로 할필요가 있다.
즉, Ar3변태점 미만에서 μ<-0.21log(R/t)+0.55의 조건에서 압연을 행하면 롤과 강판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강판 표층부에 부가적 전단력을 작용하고, 그 결과 강판 표층부에 심인발성이 우수하지 않은[110]방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심인발성이 나빠진다. 그러나 μ
Figure kpo00018
-0.21log(R/t)+0.55 로 함으로서 강판표층부의 [110]방위가 감소하고 또 [111]방위도 증가하는 것을 명백하게 한 것으로 μ
Figure kpo00019
-0.21log(R/t)+0.55 로 한다.
(3) Ar3변태점 미만의 압하율
Ar3변태점 미만의 함계 압하율을 60%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압연시에 [111]방위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r값이 얻어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합계 압하율이 좋다.
(4) Ar3변태점 이하에서 압연조건 요약
이상의 결과에서 롤 반경을 R
Figure kpo00020
200에서 롤 반경과 압연전 판두께가 R2×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100000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 윤활 압연을 행하으로서 보다 한층 심인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에, 롤 표면성상의 개선 및 압연하중이 감소된다. 또한 롤 반경과 압연전 판두께가 t/R4
Figure kpo00023
6×10-10으로 하면 좋다.
즉, t/R4
Figure kpo00024
6×10-10의 조건에서 롤링을 행함으로서 강판 표충부의 [110]방위가 감소하고, 또 [111]가 증가하여 r값이 향상한다. 또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 압하율 6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b. 화학적인 영향
이하 각각의 성분에 대해 한정 이유를 나타낸다.
(1) 탄소(Carbon)
C는 적으면 적을수록 심인발성이 좋아지므로 바람직하나 그 함유량이 0.008wt% 에서는 그렇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0.008wt% 이하로 한정한다.
(2) 실리콘
Si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고, 원하는 강도에 따라 필요량 첨가되나 그 첨가량이 0.5wt%를 넘으면 심인발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0.5wt% 이하로 한정했다.
(3) 망간
Mn은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고, 원하는 강도에 따라 필요량 첨가되나 그 첨가량이 1.0wt%를 넘으면 심인발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1.0wt% 이하로 한정했다.
(4) 인
P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고, 원하는 강도에 따라 필요량 첨가되나 그 첨가량이 0.15wt%를 넘으면 심인발성에 악 영향을 미치므로 0.15wt% 이하로 한정했다.
(5) 황
S는 적을수록 심인발성이 향상하여 바람직하나 그 함유량이 0.02wt% 이하에서는 그렇게 악역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0.02wt% 이하로 한정했다.
(6) 알루미늄
Al은 탈산을 행하고, 탄 질화물 형성 원소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필요에 따라 첨가되나 0.010wt% 이하이면 첨가 효과가 없고 한편 0.10wt%를 넘어서 첨가해도 더욱 탈산 효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0.010-0.10wt%로 한정했다.
(7) 질소
N은 적을수록 심인발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나 그 함유량이 0.008wt% 이하에서는 그렇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0.008wt% 이하로 한정했다.
(8) 티타늄
Ti는 탄질화물 형성 원소이고, 강중의 고용(C,N)을 감소시켜 심 인발성에 유리한 [111]방위를 우선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 첨가된다. 그 첨가량이 0.01wt% 미만에서는 효과가 없고, 0.20wt%를 넘어서 첨가해도 그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역으로 강판 표면성이 나빠지므로 0.01-0.20wt%로 한정했다.
(9) 니오븀
Nb 탄화물 형성 원소이고, 강중의 고용 C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마무리 아연전 조직의 미세화에 유효하다. 즉 고용 Nb는 압연시의 왜곡을 축척함에 따라, [111]방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어 심인발성을 향상시킨다.
그 함유량이 0.001wt% 미만에서는 효과가 없고 한편 0.040wt%를 넘으면 재결정 온도가 상승하므로 0.001-0.040wt% 로 한정했다.
(10) 탄소, 질소, 티타늄, 니오븀의 관계
마무리 압연전에 고용(C,N)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압연-어니일링 후에[111]방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어 심인발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는 1.2(C/12+N/14)
Figure kpo00025
(Ti/48+Nb/93)과 C 및 N에 대해 당량 이상의 Ti 및 Nb를 첨가함으로서 마무리 압연전에 고용(C, N)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발견했다. 또 그때 r값이 향상하는 것이 명백했다. 때문에 1, 2(C/12+N/14)
Figure kpo00026
(Ti/48+Nb/93)으로 한정했다.
(11) 붕소
B는 내 2차가공취성의 개선에 유효하다. 그 첨가량이 0.0001wt% 미만에서는 효과가 없고 한편 0.0020wt%를 넘으면 심인발성이 나빠지므로 0.0001-1.0020wt%로 한정했다.
(12) 안티몬
Sb는 뱃치 어니일링시의 질화방지에 유효하다. 그 첨가량이 0.001wt% 미만에서는 효과가 없고, 한편 0.020wt%를 초과하면 심인발성이 나빠지므로 0.001-0.020wt% 로 한정했다.
(13) 화학적 성분과의 관계 요약
C)0.008wt% 이하, Si : 0.5wt% 이하, Mn : 1.0wt% 이하, P : 0.15wt% 이하, S : 0.02wt% 이하, Al : 0.010-0.10wt% 이하, N : 0.008wt% 이하에서 또 Ti 또는 Nb Nb의 1종 또는 2종의 첨가량이 1.2(C/12+N/14)
Figure kpo00027
(Ti/48+Nb/93) 이어야 한다.
또 내2차 가공취성의 개선을 위해 B : 0.0001-0.0020wt% 또 뱃치 어니일링시의 질화방지를 위해 Sb : 0.001-0.020wt%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관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우수한 심인발성을 얻을 수 없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연소재는 전술한 화학적 조건을 만족하는 한 통상의 연속 주조에 의해 제조된 슬랩 또는 시트 바 캐스터에 의해 제조된 시트바가 적용가능하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연속 주조와 열간 압연을 연속시킨 CC-DR가 유효하다.
C. 열연온도조건
(1) 열연 마무리 온도와 권취온도
본 발명에 있어서, 한층 나은 심인발성을 얻기 위해서는 열연 마무리 온도(FDT)와 권취온도(CT)가 (FDT)-(CT)
Figure kpo00028
100℃ 또한 (CT)
Figure kpo00029
600℃로 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권하거나 또는 압연 공정 후 재결정 어니일링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무리 압연을 Ar3변태점 이상의 온도영역에서 종료하면 γ에서 α로의 변태에 의해 집합 조직이 랜덤화 하여 우수한 심인발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마무리 온도를 500℃ 이하로 내려도 더욱 심인발성의 향상을 바랄 수 없고 압연 하중만 증대하므로 압연온도를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으로 했다.
(2) 조(祖)압연 조건과 핫 트립(hot strip) 밀 마무리에서의 압연개시온도(FET)
심인발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데는 조 압연을 950℃ 이하 Ar3변태점 이상에서 종료하고 또 열연개시 온도(FET)를 8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950℃ 이하 Ar3변태점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 조 압연을 종료한 경우에는 마무리 압연전 조직이 미세하게 되기 때문에 마무리 압연시에 도입되는 왜곡이 축척되기 쉽게 되고, 그 결과 [111]방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어 심인발성이 향상한다. 또 조 압연시에 압하율은 조직 미세화를 위해 5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FET를 800℃ 이하로 한 경우에는 저온 영역에서의 압하율이 높게 되기 때문에 압연시에 도입되는 [111]방위 입자의 왜곡량이 증대하여 재결정 어니일링후에 [111]방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고 그 결과 r값이 향상한다.
(3) 자기 어니일링등
또 압연후 재결정 어니일링을 행하지 않은 권취 자기 어니일링재에서는 권취온도가 600℃ 이상이 아니면 재결정이 완료하지 않기 때문에 CT
Figure kpo00030
600℃ 로 했다.
또한 심인발성의 향상에는 압연온도는 낮은쪽이, 또 권취온도는 높은 쪽이 유리하다.
그 때문에 압연 마무리 온도(FDT)와 권취·온도(CT)가 (FDT)-(CT)
Figure kpo00031
100℃를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압연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열간 압연후 재결정 어니일링을 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권취 자기 어니일링은 필요없기 때문에 열연 종료 온도를 500℃ 이상으로 하고 또 권취 온도도 저온으로 좋다.
또한 압연후 자기 어니일링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열연판은 재결정 어니일링이 행해지는 경우 재결정 어니일링의 방법은 연속 어니일링 또는 상자형 어니일링의 어느쪽이라도 좋다.
어니일링 온도는 550-950℃의 범위가 적당하다. 또 가열속도도 10℃/시~50℃/s의 범위가 좋다.
D. 산 세척, 어니일링 및 응용 아연 도금 처리
본 발명에서는 열연온도가 Ar3변태점 미만으로 낮은데 열연판의 스케일 두께는 3μm 이하로 얇고, 때문에 통상의 산 세척라인을 통하지 않고 용융 아연 도금 라인의 전 처리 공정으로서 설치한 산세척조에서 산세척 처리가 가능하다.
또 산 세척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산세척 이외에 쇼트 또는 레벨러 등의 메카니컬 디 스케일링을 병용하면 한층 산세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700-900℃에서 1초-20분간의 어니일링을 실시한 후 연속해서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행한다.
또 산 세척-어니일링-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연속해서 행하면 도금 처리전의 강판 표면이 활성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금 밀착성이 양호하게된다.
한편 열연판을 산 세척후, 수시간 이상 방치한 후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한 것은 도금 밀착성이 약간 나쁘다.
또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산 세척 라인을 통한후, 가벼운 산세척-어니일링-용융아연 도금 처리를 연속해서 행해도 좋다.
또 용융 아연 도금처리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합금도금, 혹은 비 합금도금의 어느것도 좋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조성강 슬랩 ①,②를 1150℃에서 가열 균열 후, 조 압연을 행한후 마무리 압연을 행했다.
이때의 조 압연 온도(RDT),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FDT), Ar3변태점 미만 600℃ 이상의 온도 지역에서의 압하율, 권취 온도(CT), 윤활의 유무 및 후단 3스탠드의 롤 직경, 압연전 판두께를 표 2에 나타낸다.
또 마무리 판두께는 1.2mm로 한다.
산 세척후의 열연판의 재료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의 2,3번은 R
Figure kpo00032
200· R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100,000를 만족하고 있으므로 비교예 1에 비해 r값이 충분히 높다.
또한 표 1의 조성강 슬랩 ①은 B를 포함하고, 표 2의 2번의 내 2차 가공 취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제조한 열연 강판은 우수한 심인발성 및 내 2차 가공 취성을 갖는것을 알았다.
[실시예 2]
표 2에 나타낸 조성강 슬랩 ①,②를 1150℃에서 가열 균열후, 조 압연을 행한후 마무리 압연을 행했다.
이때의 조 압연 종료온도(RDT),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FDT), Ar3변태점 미만 500℃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 권취온도(CT), 윤활의 유무 및 후단 3스탠드의 롤 반경 및 압연전 판 두께를 표 3에 나타낸다.
또 마무리 판두께는 1.6mm이다.
압연판은 산 세척후 750℃~5시간의 상자모양 어니일링을 실시했다.
어니일링후의 열 연판의 재료 특성을 표 3에 나타낸다.
본 발명범위내에서 제조한 열연 강판은 우수한 심인발성을 갖는다.
[실시예 3]
표 1에 나타낸 조성강 슬랩 ③,④,⑤를 1150℃에서 가열, 균열 후 조 압연을 행한 후 마무리 압연을 행했다.
이때의 조 압연 종료온도(RDT), 마무리 압연종료온도(FDT) Ar3변태점 미만 600℃ 이상의 온도의 영역에서의 압하율, 권취온도(CT), 윤활의 유무 및 후단 3스탠드의 롤 직경, 압연전 판두께를 나타낸다.
또 마무리 판두께는 1.2mm이다. 산 세척후의 열연 강판의 재료 특성을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1번은 권취온도 CT<600, (FDT)-(CT)>100로 r값이 낮다.
그밖에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조한 열연 강판은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심인발성을 갖고, 또 B를 함유하는 경우는 내 2차 가공 취성에 우수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4]
또한 표 1에 나타낸 조성강 슬랩 ④,⑤를 1150℃에서 가열, 균열후 조 압연을 행한 후 마무리 압연을 행했다.
이때의 조 압연 종료온도(RDT),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FDT) Ar3변태점 미만 500℃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 권취 온도(CT), 윤활의 유무 및 후단 3스탠드의 롤 반경 및 압연전판 두께를 표 5에 나타낸다.
또 마무리 판 두께는 1.6mm이다.
압연판은 산 세척후 750℃-5시간의 상자형 어니일링을 행했다.
어니일링후의 열연판의 재료특성을 표 5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범위내에서 제조한 열연 강판은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심인발성을 갖는것을 알았다.
[실시예 5]
표 1에 나타낸 조성강 슬랩 ⑥,⑦을 1150℃에서 가열후 조 압연을 행한후 마무리 압연을 행했다.
이때의 조 압연 종료온도(RDT), 마무리 압연개시 온도(FDT),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FDT), 권취온도(CT) 및 각 스탠드의 롤 직경; 압여전 판두께, 마찰계수를 표 6에 나타낸다.
또 마무리 판 두께는 1.2mm이다.
산 세척후 또는 산 세척후 재결정 어니일링을 행한 열연판의 재료 특성을 표 6에 나타낸다.
마찰계수 μ가 μ
Figure kpo00035
0.2 log(R/t)+0.55를 만족하지 않는 3번은 r값이 낮다.
본 발명 범위내에서 제조한 열연강판은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심인발성을 갖는것을 알았다.
[실시예 6]
표 1에 나타낸 조성강 슬랩 ⑧,⑨를 1150℃에서 가열, 균열후 조 압연을 행한 후 마무리 압연을 행했다. 이때의 조 압연 종료 온도(RDT),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FDT) Ar3변태점 미만 500℃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 윤활의 유무, 후단 3스탠드의 롤 직경 및 압연전 판두께를 표 7에 나타낸다.
다음에 얻어진 열 연판에 산세척 어니일링-용융아연 도금 처리를 행했다.
이때 일부의 시료를 제외하고는 통상의 산세척 공정을 거치지 않고 용융아연 도금 라인의 전처리 공정에서 가벼운 산세척을 행하고 이어서 어니일링 용융아연 도금 처리를 행했다.
그때 메카니컬 디스케일링을 가벼운 산세척과 병행했다.
또 어니일링 조건은 830℃-40s이다.
표 7에서 얻어진 용융아연 도금 강판의 재료 특성을 나타낸다.
아연 도금 밀착성은 도금면에 점착 테이프를 밀착한 강판을 90°로 2번 8굽힌후, 점착 테이프를 박리해서 Zn 박리량을 형광 X선에 의해 측정해서 평가했다.
본 발명 범위내에서 제조한 열연 강판은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심인발성 및 도금 밀착성을 갖고 또 B를 포함한 경우에는 높은 2차 가공 취성을 갖는다.
또 조압연의 온도(RDT)가 950℃를 넘는 2번은 1번에 비해 r값이 낮다.
[실시예 7]
표 1에 나타낸 조성강 슬랩 ⑩을 연속 주조에 의해 연속적으로 조압연을 행한후, 마무리 압연을 행했다(CC-DR).
이때의 조 압연 종료온도(RDT), 마무리 압연개시 온도(FET)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FDT), 권취온도(CT), 롤직경(R) 압연전 판두께(t), 마찰계수(μ)열연판 어니일링의 유무 및 열연판의 산 세척후의 재료 특성을 표 8에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내에서 제조한 열연판은 우수한 심인발성을 갖는것을 알았다.
본 발명에서는 냉연 강판과 동등의 2차 가공 취성이 없는 심인발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고 종래의 냉연강판의 제조에 비해 대폭적인 코스트 다운이 실현 가능하다.
또 심인발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도금 강판을 냉연공정 또는 산세척, 냉연 공정을 생략해서 제조 가능하며, 대폭적인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표 1]
Figure kpo00036
X : (Ti/48+Nb/93)-1.2(C/12+N/14)
[표 2]
Figure kpo00037
F : 압연스탠드
E1 : 신장율(%)
Figure kpo00038
: 랭크포드값
△r : 이방성
: 비교예
[표 3]
Figure kpo00039
[표 4]
Figure kpo00040
[표 5]
Figure kpo00041
[표 6(1)]
Figure kpo00042
Z=-0.2log(R/t)+0.55
μ : 마찰계수
[표 6(2)]
Figure kpo00043
[표 7]
Figure kpo00044
[표 8(1)]
Figure kpo00045
[표 8(2)]
Figure kpo00046

Claims (1)

  1. 0.008wt%이하의 C, 0.5wt%이하의 Si, 1.0wt%이하의 Mn, 0.15wt%이하의 P, 0.02wt%이하의 S, 0.010-0.10wt%의 Al, 0.008wt%이하의 N, 0.0001-0.0020wt%의 B를 함유하며, 또한 0.01-0.20wt%의 Ti와 0.001-0.040wt의 Nb중 1종류 또는 2종류를 포함하며, Ti와 Nb중 1종류 또는 2종류의 첨가량이
    1.2(C/12+N/14) ≤ (Ti/48+Nb/93)
    의 관계를 만족하는 심인발성이 우수한 박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1패스를 Ar3변태점 미만, 500℃이상의 온도영역에서 롤의 반경 R(mm)과 그 롤에 의한 압연전의 판두께 t(mm) 및 마찰계수 u가 R
    Figure kpo00047
    200이고 U
    Figure kpo00048
    -0.2log(R/t) +0.55으로 되는 관계를 만족하고, 또 Ar3변태점 미만의 전압하율이 60%이상의 압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심인발성이 우수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KR1019890020296A 1988-12-28 1989-12-28 심인발(deep drawing)성이 우수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KR930003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29217 1988-12-28
JP32921788 1988-12-28
JP88-329217 1988-12-28
JP1-38376 1989-02-20
JP1038376A JPH0730411B2 (ja) 1988-12-28 1989-02-20 深絞り性に優れた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89-38376 1989-02-20
JP1055048A JP2809671B2 (ja) 1989-03-09 1989-03-09 深絞り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89-55048 1989-03-09
JP1-55048 1989-03-09
JP1-97284 1989-04-19
JP1097284A JPH06104863B2 (ja) 1989-04-19 1989-04-19 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89-97284 1989-04-19
JP1278655A JPH07103424B2 (ja) 1989-10-27 1989-10-27 深絞り性に優れた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89-278655 1989-10-27
JP1-278655 1989-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013A KR900010013A (ko) 1990-07-06
KR930003633B1 true KR930003633B1 (ko) 1993-05-08

Family

ID=6766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296A KR930003633B1 (ko) 1988-12-28 1989-12-28 심인발(deep drawing)성이 우수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58B1 (ko) * 2005-12-09 2007-04-27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 소부경화성 및 도금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및 용융아연도금강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013A (ko) 199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2412B1 (en) Cold rolled steel sheet exhibiting excellent press work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612857A1 (en) Ferrite single phase cold rolled steel sheet or fused zinc plated steel sheet for cold non-ageing deep draw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528407B1 (en) Cold-rolled high-tension steel sheet having superior deep drawability
KR100254671B1 (ko) 이방성이 적은 고강도 캔용 박강판의 제조방법
US497336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eep-drawability
JP2800541B2 (ja) 深絞り用高強度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2503224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厚物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930003633B1 (ko) 심인발(deep drawing)성이 우수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JPS6235463B2 (ko)
JP3304747B2 (ja) 焼付硬化性と延性および常温時効性とのバランスに優れた冷延鋼板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781297B2 (ja) 耐2次加工脆性に優れ面内異方性の少ない冷延薄鋼板の製造方法
JP3404798B2 (ja) 焼付硬化性を有する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H0826411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4094498B2 (ja) 深絞り用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48416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2755014B2 (ja) 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深絞り用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809671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4280943A (ja) 深絞り性、化成処理性、耐2次加工脆性及びスポット溶接性の良好な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043901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3399748B2 (ja) プレス加工性及び化成処理性に優れた冷延鋼板並びにプレス加工性及び耐パウダリング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2942032B2 (ja) 深絞り用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3049147B2 (ja) 化成処理性及び深絞り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578783A (ja) 成形性の良好な高強度冷延鋼板
JPH0776381B2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7103424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熱延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