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621B1 -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 조정방법과 트래킹 제어장치 및 거기에 사용되는 기록담체 - Google Patents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 조정방법과 트래킹 제어장치 및 거기에 사용되는 기록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621B1
KR930003621B1 KR1019890018719A KR890018719A KR930003621B1 KR 930003621 B1 KR930003621 B1 KR 930003621B1 KR 1019890018719 A KR1019890018719 A KR 1019890018719A KR 890018719 A KR890018719 A KR 890018719A KR 930003621 B1 KR930003621 B1 KR 93000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ck
target position
tracking control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672A (ko
Inventor
미쯔로우 모리야
마사유끼 시바노
히로유끼 야마구찌
신이찌 야마다
가쯔야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3190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92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226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50385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8Track changing or selec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21/081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 G11B21/083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on discs
    • G11B21/085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on discs with track following of accessed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or switching or masking the transducers in or out of their operative position
    • G11B11/10563Access of indexed parts
    • G11B11/10565Marks for track change, e.g. prepits, gray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7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transducers for maintaining alignment or spacing relative to the carrier
    • G11B11/10578Servo format, e.g. prepits, guide tracks,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3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ervo format, e.g. guide tracks, pilot signal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 조정방법과 트래킹 제어장치 및 거기에 사용되는 기록담체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 조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불록도.
제 2 도는 차동증폭기(32)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트래킹 편차간의 관계를 도시한 관계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분리회로의 블록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기록담체상의 목표위치 조정용 트랙의 확대도.
제 5 도는 기록담체(7)의 부분 확대평면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각각, 제 1 도에 도시한 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목표위치 조정용 트랙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장치의 개략블록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담체의 제2 실시예의 전체도.
제10도는 제 9 도에 도시한 기록담체상의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의 확대도.
제11도는 제 9 도에 도시한 기록담체를 사용한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조정에 적합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블록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의 블록도.
제13도는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38)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원 (2) : 광빔
(6) : 렌즈 (7) : 기록담체
(8) : 모터 (9) : 트래킹 작동기
(14),(15) : I/V변환기 (10) : 2분할 광검출기
(16),(32) : 차동증폭기 (17),(20),(23) : 가산회로
(18) : 제산회로 (21) : 위상보상회로
(22),(36) : 스위치 (24),(25) : 구동회로
(26) : 마이크로컴퓨터(MPU) (31) : 본리회로
(33) : A/D 변환기 (34) : D/A 변환기
(37) : 어드레스판독회로 (38) :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
(40) : 신호재생회로 (62a)~(62d) : 어드레스 데이터
(64) : 조정용 신호
(113),(133),(143) : 목표위치조정용 트랙
(116),(117) : 위치조정용 신호
본 발명은 신호가 기록된 트랙이나 데이터신호를 기록가능한 트랙을 지니고 있는 기록담체(擔體)를 사용해서 트랙편차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이송수단을 구동함으로써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위치가 트랙상에 정확하게 설정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신호기록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트래킹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설계된 관련장치 및 기록담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위상변화형 광디스크 혹은 광자기디스크등의 재기록 가능한 기록담체를 사용하고, 기록/재생시 정보트랙의 중심에서 광점이 출동하는 위치에서 기록담체상에 집속된 광빔을 유지화는 트래킹제어수단을 구비한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제57-503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록담체상에는 요철 구조형태의 트랙이 형성되고, 그 위에 기록 매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2분할 감지수단을 갖는 2분할 광검출기는 기록담체로부터의 반사광이나 투과광을 수광하고, 상기 2분할 광검출기로 검출한 광량차가 기록담체상의 트랙과 광빔간의 위치편차를 타나내는 신호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분할 광검출기로 검출한 광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전압차를 차동층폭기로 계산하여 트랙편차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트래킹제어회로로 처리된 후, 기록담체상의 광빔이 트랙에 위치하도록 트랙폭 방향으로 기록담체상의 광빔을 인도하는 트래킹 작동기에 트랙편차신호가 가해진다. 트래킹제어의 제어목표는 대략, 트랙편차신호를 발생하는 차동증폭기로부터의 출력이 소정값에 도달하는 트랙상의 위치 즉, 2분할 광검출기로 수광된 광량이 서로 등가인 트랙상의 위치이며, 디록담체상에 광빔은 목표위치에 항상 위치하도록 적절히 제어된다.
상기 언급한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기록담체를 교체하기 위해서 대응장치들 사이에서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대응하는 다른 장치에 의해 기록된 신호를 신뢰성 좋게 재생하고, 또 새로운 신호를 기록하기 전에 다른 장치에 의해 기록된 잔류신로를 정확하게 완전히 소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만족할 만한 호환성을 얻기 위해서는, 모든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예를들면, 트랙중심과 같은 트랙의 기준위치에서 정확하게 광점이 충돌될 수 있는 위치에서 기록담체상에 수속된 광빔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트래킹제어계에 대한 목표위치가 동일해야만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트래킹 제어계는 트랙편차신호를 발생하는 차동증폭기의 출력이 소정치에 도달하도록 동작하나, 트래킹 제어게의 목표위치는 다른 광디스크 기록/재생시스템간에는 서로 다르다. 이러한 차를 발생하는 원인으로서는, 2분할 광검출기의 감광차, 광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 대 전압(I/V) (이하 I/V로 표기) 변환기의 변환율의 차 또는 각각 트랙편차시호를 발생하는 차동증촉기의 이득차가 있다.
또한,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록담체로부터의 반사광이나 투과광을 2분할 광검출기로 인도할때 광학계의 성능에 다소의 차이가 생긴다. 이것에 의해 2분할 광검출기상의 광빔의 상태가 변동한다. 이러한 것이 일어나면, 트래킹 동작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목표위치도 변하여, 호환성이 저하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든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트래킹 제어계의 목표위치를 정확히 조정하는 수단이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목표 위치가 각 장치마다 변동하여, 그 결과, 각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간의 호환성은 여전히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완전히 제거하고, 트랙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소정의 목표위치에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는 신규한 조정방법 및 양호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뢰성이 극히 높은 트래킹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기록담체는 트랙의 한쪽면에 인접해서 제 1 조정용 신호가, 다른쪽면에 인접해서 제 2 조정용 신호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목표위치정용 트랙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방법은, 재생수단의 재생위치가 목표조정용 트랙상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트래킹제어계를 동작시키면서,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제1, 제 2 조정용 신호에 의거해서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정확히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구조를 근거로, 본 발명의 트래킹제어계는 기록담체상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용 신호를 효율적으로 이용해서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정확히 조정한다. 그 결과,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는 소정위치에 정확히 조정될 수 있어,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 사이의 호환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성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기하였다.
제 1 도는 광디스크기록/재상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 조정장치의 일시시예인 개략블폭도이다. 예를들면 반도체레이저 등의 광원(1)에 의해 발생된 광범(2)은 결합렌즈(3)에 의해 평행빔으로 변환되고, 편광빔 스플리터(4)에 의해 반사되어,
Figure kpo00001
파장판(5)을 경유하여 렌즈(6)에 인도된다. 그후 수속된 광범(2)는 원반형상의 기록담체(7)의 데이터 담체표면에 대해서 조사된다. 요철의 홍형상의 트랙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담체(7)는 모터(8)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기록담체(7)에 의해 빈사된 광범(2)의 반사광(9)은 2분할 광검출기(10)와 대항하여 발산되기 전에 렌즈(6),
Figure kpo00002
파장판(5) 및 편광빔 스플리터(4)를 통과해서 2분할 광검출기(10)상에 조사된다.
상기 렌즈(6)는 트래킹 작동기(11)의 가동부상에 장착되어 있고, 이 트래킹 작동기(11)는 상기 렌즈(6)를 기록담체(7)의 반경방향 즉 기록담체(7)상의 트랙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원(1), 결합렌즈(3), 편광비스폴리터(4),
Figure kpo00003
파장판(5), 광검출기(10) 및 트랙킹작동기(11)는 각각 이송대(12)상에 장착되어, 선형모터(13)에 의해 기록담체(7)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검출기(10)로부터 축력된 광전류는 I/V 변환기(14) 및 (15)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 후 차동증폭기(16) 및 가산회로(16)에 입력된다. 차동증폭기(16)는 I/V 변환기(14), (15)로부터 출력된 전압신호의 차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가산회로(17)는 상기 출력된 잔압신호의 합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광검출기(10)를 두분으로 분할하는 분할선은 광검출기(10)의 수광면에서의 트랙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차동증폭기(16)는 기록담체(7)상의 광빔(2)과 트랙간의 위치편차에 대응한 신호 즉, 트랙편차신호를 출력한다.
차동증폭기(16)로부터 축력된 신호와 라인(19)을 경우한 가산회로(17)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제산회로(18)로 입력된다. 이 제산회로(18)는 차동증폭기(16)로부터의 신호를 가산회로(17)로부터 축력된 신호로 제산한 값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라인(19)을 경유해서 출력된 가산회로(17)로부터의 신호는 I/V 변환기(14),(15)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산하고, 이 가산된 신호로부터 50KHz이상의 고주파성분을 저역통과필터에 의해 제거한다. 고주파성분이 제거된 결과, 요철형태로 트랙상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어드레스신호 또는 기록담체상의 잡음이나 손상으로 인한 외부교란도 제거되어, 트래킹 동작을 보다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산회로(18)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가산회로(20), 트래킹제어계의 위상을 보상하기 위한 위상보상회로(21), 트래킹제어동작을 비활성상태로 하는 스위치(22), 가산회로(23) 및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구동회로(24)를 경유하여 트래킹 작동기(11)에 입력된다. 따라서, 스위치(22)의 출력신호는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구동회로(25)를 경유하여 선형모터(13)에 입력된다. 따라서, 스위치(22)가 단락되면, 트래킹 작동기(11)와 선형모터(13)는 기록담체(7)상의 광범(2)이 트랙상에 위치하도록 차동증폭기(16)의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다음에, 제산회로(18)의 기능적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단위트랙편차를 처리하는 차동증폭기의 신호출력, 즉, 트랙편차검출감도는 광원(1)에 의해 발생된 광범(2)의 광량, 기록담체의 반사율, 광검출기(10)의 감도 또는 광학계의 광전도율에 따라서 가변된다. 트랙편차의 검출감도가 변화하면, 제한회로(18)가 없는 경우에는 트래킹제어계의 이득 또한 변하여, 트래킹 제어가 불안정하게 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진동이 발생하여 트래킹 제어동작을 완전히 금지해 버릴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랙편차검출감도가 상기 언급된 이유로 N 배로 변동하더라도, 라인(19)을 경유해서 출력되는 가산회로(17)의 신호의 크기도 N배로 증가되기 때문에, 단위 트랙편차에 대한 제산회로(18)의 신호출력은 안정하며, 트래킹제어계의 이득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 트랙킹 동작은 매우 안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다음에, 소망하는 트랙의 검색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어드레스신호는 요철 형태로 기록담체(7)의 트랙상에 미리 기록되어 있고, 소망하는 트랙은 상기 어드레스신호를 기초로 해서 검색된다. 어드레스회로(17)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해서, 어드레스 판독회로(도시생략)는 어드레스를 판독한다.
마이크로컴퓨터(MPU) (26)는 어드레스판독회로로 판독된 어드레스를 기초로 해서 광빔(2)의 위치하고 있는 기록담체(7)의 트랙의 어드레스를 식별하고, 소망하는 트랙의 어드레스와 현행트랙의 어드레스 사이의 차를 계산한다. 그 차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MPU(26)는 어드레스를 대충 검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MPU(26)는 라인(27)을 경우하여 구동회로(25)에 상기 어드레스차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라인(28)을 경우하여 스위치(22)를 개방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트래킹제어를 불활성상태로 한다. 그런다음, 선형모터(13)는 기록담체(7)의 반경방향으로 이송대(12)를 구동한다. 광빔(2)이 소망하는 트랙에 근접한 위치로 되면, MPU(26)는 라인(27)를 경우한 신호전송을 정지하고, 스위치(22)를 단락시켜 트래킹제어 동작을 활성화시켜, 기록담체(7)상의 광빔(2)의 위치하고 있는 트랙의 어드레스를 판독한다. 이 트랙이 소망하는 트랙이 아닌 경우에는, MPU(26)는 다시 현행트랙과 소정트랙과의 어드레스차를 계산하고, 이 계산치가 소정값보다 적으면, MPU(26)는 어드레스차에 해당하는 횟수로 점프주사를 반복수행하여 소망하는 트랙을 면밀히 검색한다. 점핑에 의해 각 트랙을 주사할 경우, MPU(26)는 스위치(22)를 개방하는 동시에, 라인(29)을 경유해서 신호를 출력하여 트래킹 작동기를 구동한다. 그 결과, 기록담체(7)상의 광빔(2)은 인접하는 트랙으로 이동되고, MPU(26)는 다시 스위치(22)를 단락시킨다.
다음에,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산회로(17)는 I/V변환기(14),(15)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고, 이 가산된 신호로부터 10KHz 이하의 저주파성분을 고역통과필터에 의해 제거하여, 최후로 라인(30)을 경우하여 분리회로(31)에 상기 저주파성분이 제거된 신호를 전송한다.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은 기록담체(7)의 통상 사용되지 않는 내주부 또는 외주부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은 그의 한쪽 면에 인접한 위치에 제1조정용 신호가, 그리고 다른 쪽 면에 인접한 위치에 제 2 조정용 신호가 미리 기록되어 있다. 이 제1, 제 2 조정용 신호는 각각 단일주파수신호(F1), (F2)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제 1 조정용 신호의 주파수는 1.0KHz이고, 제 2 조정용 신호의 주파수는 1.5KHz이다. 이들 신호는 요철형태로 미리 기록되어 있다.
기록담체(7)상의 트랙이 동심원 형상이면, 1개의 트랙은 1개의 동심원트랙을 의미한다. 기록담체(7)상의 트랙이 나선형이면, 1개의 트랙은 트랙상의 점(A)에서 시작하여 기록담체(7)를 완전히 회전한 후 점(A)과 기록담체(7)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점(B)에서 끝나는 원의 1 개의 원트랙을 의미한다.
목표위치를 조정할 경우, 우선, MPU(26)는 상기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검색하고, 기록담체(7)상의 광빔(2)이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에 위치하도록 트래킹제어계를 구동시킨다. 기록담체(7)상의 트랙이 나선형이면, 광빔(2)의 위치는, 기록담체(7)가 1회전할 때마다 1개의 트랙분만큼 후진시켜 동일원주에 그대로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기록담체(7)상의 광빔(2)의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에 위치하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MPU(26)에 의해 주파수 신호(F1),(F2) (누화성분이 발생하면 서로 혼합됨)를 검파함으로써 목표위치가 조정된다.
분리회로(31)는 라인(30)을 경유하여 가산회로(17)에 입력된 신호로부터 주파수 신호(F1),(F2)를 분리한 후, 엔빌로프신호를 검파하여, 이 검파신호를 파동증폭기(32)에 전송한다. 차동증폭기(32)는 상기 입력신호의 차에 대응하는 신호를 애널로그 대 디지틀(이하 A/D 표기)변환기(33)로 출력하고, 상기 A/D 변환기(33)는 상기 차동증폭기932)로부터의 애널로그신호를 디지틀신로호 변환하여 MPU(26)로 출력한다. MPU(26)는 A/D 변환기(33)로부터 입력된 값에 따라서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의 편차방향을 검출한다. 이 편차목표위치를 소정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MPU(26)는 디지틀 대 애널로그(이하 D/A로 표기)변환기(34)로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라인(35)을 경유해서 스위치(36)를 단락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스위치(36)에 출력한다.
D/A 변환기(34)의 출력신호는 스위치(36)를 경유하여 가산회로(20)에 전송된다. 제산회로(18) 및 스위치(36)로부터의 신호를 가산한 후, 가산회로(20)는 위상보상회로(21)에 상기 가산된 신호를 전달한다. 그 결과,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는 D/A 변환기(34)의 신호에 따라 변화한다. MPU(26)는 목표위치가 소정점에 점차 접근하도록 A/D 변환기에 점차로 증가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도는 목표위치의 편차에 대한 차동증폭기(32)의 출력신호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평축은 목표위치의 편차를, 수직축은 차동증폭기(32)의 출력신호를 나타낸다. 제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제 목표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 편차가 발생하면, 차동증폭기(32)의 출력신호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며, 반대방향으로 편차가 생기면, 차동증폭기(32)의 출력신호의 절대치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목표위치의 편차를 X, 차동증폭기(32)의 출력신호를 Y라고 하면, 다음 식으로 표시된 관계를 거의 만족한다. 즉
Y=K1*SIN(2π×/P)
여기서, K1은 상수, π는 원주율, P는 트랙피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단위 트래킹 편차에 대한 제산회로(18)의 출력신호는 거의 일정하며, A/D 변환기(33)의 출력신호차와 목표 위치의 편차량과의 관계 또한 거의 일정해진다. 구체적으로, MPU(26)는 A/D 변환기(33)의 출력치에 해당하는 목표위치의 편차량을 쉽게 계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U(26)는 A/D 변환기(33)의 값에 대한 D/A 변환기(34)에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레이블을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회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편차량을 쉽게 계측할 수 있다. 다음에, MPU(26)는 A/D 변환기(33)의 값에 해당하는 값(D0)을 D/A 변환기(34)에 출력하여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변위시키고, 다시 A/D 변환기(33)의 값을 계측한다. 이 값이 소정치의 범위를 벗어나면, A/D 변환기(33)의 값에 해당하는 데이터(D1) (D/A 변환기(34)에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후, D/A 변환기(34)에 값(D0+D1)을 출력한다. MPU(26)는 A/D 변환기(33)의 값이 소정범위내에 들어갈 때까지 상기 언급한 이들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언급한 이러한 절차를 순차 수행함으로써, MPU(26)는 반복횟수를 줄여, 목표위치를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목표위치 설정절차를 소정 횟수 반복해서 수행한 후에도 A/D 변환기(33)의 값이 여전히 소정범위를 벗어나면, MPU(26)는 이 상태를 비정상으로 간주하여, 비정상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적어도 기록동작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장치의 비정상상태는 외부에서 쉽게 식별될 수 있으며, 또 장치는 신호의 착오기록을 방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계산시스템을, A/D 변환기(33)의 값과 D/A 변환기(34)에 전달되어야 할 값간의 관계를 함수적으로 설정하여, A/D 변환기(33)의 값을 근거로 D/A 변환기(34)에 전달되어야 할 값을 계산해서, 그 계산된 값을 D/A 변환기(34)에 보내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A/D 변환기(33)의 값을 X1, D/A 변환기(34)에 전달되어야 할 값을 Y1으로 한 경우, 식 Y1=K2*SIN(K3*K1)으로 표현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단, K2, K3는 정수이다. 상기 절차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계산시스템은 레이블에 필요한 메모리를 생략할 수 있어 단가를 절약할 수 있다.
통상, 트랙킹제어의 목표위치의 편차는 약 0.1μm이므로, 근사식 Y1=K2*K3*K1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사화하면, 사인파계산보다 편차가 고속으로 계산될 수 있어, 극히 짧은 시간에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말할 필요없이,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는 또한 제산회로(18)가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요한 값을 테이블화 또는 함수화하여 고속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음에, 제 3 도를 참조하여 분리회로(31)의 상세를 이하 설명한다. 분리회로(31)는 등화기(101), 단일 주파수(F1),(F2)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여파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102),(103) 및 대역통과필터(102),(103)로부터 여파된 신호의 엔빌로프를 각각 검파하기 위한 검파회로(104),(105)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담체(7)상의 신호를 재생할 경우, 기록되어 있는 신호의 주파수에 의해서, 재생신호의 진폭은 변한다. 재생신호의 진폭은 또한 I/V 변환기(14),(15) 혹은 가산회로(17)의 주파수특성에 의해서도 변하나, 기록담체(7)상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의 공간주파수에 의해 재생신호의 진폭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기록담체(7)상의 광빔(2)의 직경과 신호의 비트길이에 의해서 재생신호의 진폭의 주파수특성은 거의 결정된다. 등화기(101)는, 이 재생신호의 특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분리회로(31)에 내장되어 있다. 등화기(101)는 재생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보상하기 때문에,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가 정확한 지점에 있으면, 검파회로(104),(105)는 각각, 서로 동등한 신호를 출력한다. 즉,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는 차동증폭기(32)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정확하게 조정된다.
다음에, 제 4 도를 참조하여, 기록담체(7)상에 미리 형성되어있는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4 도는 기록담체(7)의 부분확대도를 과장해서 도시한 것이다. 트랙(111)은 다일주파수(f1)를 포함하느 위치조정용 신호의 비트(116)로 구성되고, 트랙(112)은 당일주파수(f2)를 포함하는 위치조정용 신호의 비트(117)로 구성되어 있다. (113)은 트랙(111)과 (112)사이의 위치조정용 트랙, (114) (115)는 각각 신호를 기록하는 통상의 트랙, (W1)은 트랙(113),(114),(115)의 폭, (W2)는 트랙(111),(112)의 폭이다. 트랙폭이 W1<W2로 정해지면, 광빔(2)의 상기 트랙(113)바로 위쪽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트랙(111),(112)의 누화성분량이 커지므로, 대역통과필터(102),(103)로부터 여파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S/N)비를 향상시켜, 트랙의 목표 위치의 조정을 매우 정밀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담체(7)의 경사도는 장소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는, 기록담체(7)는 내주부에서 약간 경사지고 의주부에서 급격하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목표위치 조정용 트랙을 기록담체(7)의 사용되지 않는 내주부 및 외주부의 2부분으로 초기에 설정해 놓고, 내주부에서 조정된 값의 평균치를 도입하여 D/A 변환기(34)로 전송하고, 외주부에서 조정된 다른 값의 평균치를 도입하여 D/A 변환기(34)에 전송하여 기록이나 재생을 행하도록 하면 보다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장치의 신뢰성은 다음의 공정을 순차 수행함으로써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우선,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예를들면 기록담체(7)의 반경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복수개소에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언급한 조정절차를 모든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에 대해 수행하고, 수행된 모든 조정치를 기억하여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에 사용된 트랙마다 D/A 변환기(34)에 전달하기 위한 값을 변화시킨다. 어러한 절차를 수행할 경우, 각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에 대해서 기록/재생트랙의 범위를 미리 결정해 놓고, 소망하는 트랙을 검색하면서 D/A 변환기(34)에 상기 값을 설정하면, D/A 변환기(34)에 값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MPU(26)가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에 미리 기록해 놓으면, MPU(26)는, 신호의 드롭아웃 등에 의해 어드레스 신호가 판독 될 수 없는 경우나 부정확하게 판독될 경우에도 정확히 판별할 수 있어,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치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형성하면, 트랙(111)과 (112)에 인접하는 트랙(114) 및 (115)상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할 경우, 재생신호는 목표위치조정용 신호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랙(114) 및 (115)상에서 신호가 기록될 수 없도록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하면 된다. 제 4 도와 마찬가지로, 제 5 도는 기록담체(7)의 부분 확대평면도를 과장해서 도시한 것이다. (121)은 단일주파수(F1)의 비트로 구성된 트랙의 중심, (122)는 단일주파수(f2)의 비트로 구성된 트랙의 중심, (123)은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의 중심이다. 또, (124),(125)는 각각, 단일주파수(f1),(f2)의 비트로 각각 구성된 상기 트랙에 인접하는 트랙의 중심이다. (P1)은 중심 (121)/(123)과 중심 (122)/(123)사이의 거리 즉, 트랙피치를 나타내어, (P2)는 중심(121)/(124)과 중심 (122)/(125)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트랙피치는 P1〈P0〈P2(여기서, P0는 통상의 트랙피치이다)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빔(2)이 중심(124) 또는 (125)상에 있으면, 제1 및 제 2 위치조정용 신호의 누화성분량이 적으므로, 데이터 신호는 단일주파수(f1),(f2)의 비트로 구성된 트랙과 인접한 트랙상에도 기록될 수 있어, 기록용량의 자체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6 도와 같이 기록담체(7)상에 미리 형셩되어 있는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형성할 수도 잇다.
제 6 도는 기록담체(7)의 부분확대도를 과장해서 도시한 것이다. (131)은 단일주파수(f1)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 (132)는 단일주파수(f2)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 (133)은 트랙(131),(132)사이에 형성된 목표위치조정용 트랙, (134),(135)는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에 인접한 트랙, (136)은 트랙사이의 간격을 표시한다. 트랙(131),(132)에 형성되어 있는 비트(137)의 깊이는
Figure kpo00004
λ(λ는 광빔(2)의 파장)로서, 슬릿의 깊이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랙간격(136)의 바닥면은 비트(137)의 바닥면과 동일한 면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 기록담체(7)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137)의 깊이를
Figure kpo00005
λ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S/N비가 향상되므로, 트랙의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을 매우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제 7 도와 같이 같이 기록담체(7)상에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형성해도 된다. 제 7 도는 기록담체(7)의 부분확대평면도를 과장해서 도시한 것이다. (143)은 트랙(144)과 (145)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이고, (141)은 트랙 (143)과 (144)사이에 기록되어 있는 단일주파수(f1)를 지닌 비트열이며, (142)는 트랙(143)과 (145)사이에 기록되어 있는 단일주파수(f2)를 지닌 비트열이다.
상기와 같이, 트랙사이에 단일주파수(f1),(f2)를 포함하는 목표위치조종용 신호를 기록해도 된다. 이 경우, 트랙편차신호가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의 파형은 기록재료층에 기록되는 신호의 파형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도는 광데이터 기록/재생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블록도이다. 여기서, 제 1 도에 도시한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40)은 광검출기(10)로 부터 출력된 광전류를 완전히 검출해서 기록담체(7)에 기록되어 있는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신호재생회로이다. 광검출기(10)는 예를 들면 PIN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신호재생회로(40)를 경우하여 역바이어스 전압(Vcc)를 받는다. 광전류의 변동에 의거해서, 신호재생회로(40)는 기록담체(7)상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한다. 광검출기(10)로부터 출력된 광전류는 I/V 변환기(14'),(15')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된 후, 이 변환된 전압은 차동증폭기(16)와 가산회로(17)로 입력된다.
다음에,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신호재생회로(40)는 재생신호의 저주파성분(예를 들면, 10KHz 이하)을 고역통과필터에 의해 제거한 신호를 분리회로(31)에 전달한다.
목표위치를 조정할 경우, MPU(26)는 먼저,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검색하고 기록담체(7)상의 광빔(2)이 상기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트래킹제어계를 구동시킨다. 광빔(2)이 기록담체(7)의 위치조정용 트랙상에 위치되어 있는 잇는 상태에서 누화성분의 존재로 인해 서로 혼합된 단일주파수(f1),(f2)의 위치조정용 신호를 검출하여 목표위치의 조정을 수행한다.
분리회로(31)은 처음에 신호재생회로(40)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단일주파수(f1),(f2)의 신호를 분리한 후, 엔빌로프를 검파해서, 이 엔빌로프 검파신호를 차동증폭기(32)에 전송한다. 차동증폭기(32)는 입력된 신호간의 차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를 애널로그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33)에 전달한다. A/D 변환기(33)는 차동증폭기(32)의 에널로그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하여, MPU(26)로 전송한다. 이 A/D 변환기(33)의 값에 의거해서, MPU(26)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가 어긋나는 방향을 검출하고, 그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라인(41)을 경우하여 I/V 변환기(14') (15')에 신호를 출력한다. I/V 변환기(14'),(15')의 회로 이득을 MPU(2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가변된다. MPU(26)는 I/V 변환기(14')의 이득을 N1배 중배하고, 다른 I/V 변환기(15')의 이득을 1/N1배 중배한다. 그 결과, MPU(26)의 신호에 응답하여,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는 변한다.
MPU(26)는 목표위치가 서서히 원하는 위치로 접근할 수 있도록 A/D 변환기의 출력신호를 체크하면서, I/V 변환기(14'),(15')의 이득을 변화시켜, 최종적으로 A/D 변환기(33)의 값을 소정의 범위내에서 설정한다. 이 경우, MPU(26)가 A/D 변환기(33)의 값을 참고로 하여 목표위치의 편차량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MPU(26)가 A/D 변환기(33)의 값에 대한 I/V 변환기(14'),(15')에 전달되어야 할 값을 미리 테이블로 해서 기억할 수 있다. 예를들어, I/V 변환기(14'),(15')의 이득을 설정할 경우, MPU(26)는 값(GO)과 (GO') (이 값은 A/D 변환기(33)의 값에 따라 미리 기억되어 있음)을 I/V 변환기(14'),(15')에 보낸다. I/V 변환기(14')와 (15')의 이득이 각각 변화할 때, 이 변화에 따라,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도 변환한다.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변동시킨 후, MPU(26)는 A/D 변환기(33)의 값을 다시 계측한다. 이 계측값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면, MPU(26)는 I/V 변환기(14'),(15')에 전달되어야 할 값(G1)과 (G1') (이 값은 A/D 변환기(33)의 값에 따라 미리 기억되어 있음)을 계산한다. 그후 MPU(26)는 (G0'+G1')값을 I/V 변환기(14')에 보내고, (g0'+G1')값을 I/V 변환기(15')에 보낸다. MPU(26)는 상기의 처리를 A/D 변환기(33)의 값이 최종적으로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갈때까지 반복한다. 상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MPU(26)의 반복처리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목표위치를 매우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의 공정을 순차 실행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우선,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통상 사용하지 않는 내주부와 외주부상의 두곳에 형성한다. 그후, 목표위치가 내주부상에서 정확히 조정될 때 MPU(26)는 I/V 변환기(14')와 (15')에 설정해야 할 값을 계산하며, 이와 동시에, 목표위치가 외주부상에서 조정될 때 MPU(26)는 I/V 변환기(14'),(15')에 설정해야 할 값을 계산한다. 그후, MPU(26)가 상기 평균값을 I/V 변환기(14'),(15')에 설정하고 나서 장치는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한다.
또, 다음의 공정을 순차 실행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좀더 향상할 수 있다. 우선,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복수개소, 예를들면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한다. 그후, MPU(26)는 모든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의 목표위치를 정정하고 그 트랙조정값을 기억해 놓고, 기록 혹은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트랙마다 I/V 변환기(14'),(15')에 설정될 값을 변화시킨다. 이 경우에, 기록 혹은 재생에 사용되는 트랙의 영역을 1개의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에 대하여 사전에 결정해 놓고, 원하는 트랙을 탐색하는 동안 I/V 변환기(14'),(15')에 전송하도록 하면,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 요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제 8 도에 나타낸 I/V 변환기(14'),(15')의 이득은 변화된다. 그러나, 이들의 이득중 어느 하나만 변화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렇지만, 이득이 변하면, 주파수 특성도 변화하며, 이득이 넓은 영역에 걸쳐서 변화할 경우, I/V 변환기(14'),(15')의 이득을 변화시킴으로써 개별이득의 변화범위를 좁힐 수 있으므로, 주파수특성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A/D 변환기(33)의 값과 I/V 변환기(14'),(15')에 전송해야 할 값과의 관계를 사전에 함수적으로 설정하여 A/D 변환기(33)의 값에 의거해서 I/V 변환기(14'),(15')에 전송해야 할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데이터의 테이블화에 요하는 메로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결국 원가가 절약된다.
차동증폭기(16)의 출력신호(V0)와 I/V 변환기(14'),(15')의 출력신호(V1), (V2)간의 관계는 다음에 나타낸 식으로써 표현된다. G2와 G3는 각각 상수를 나타낸다.
V0=V2*V1-G3*V2=G2(V1-G3/G2*V2)
또한, G3/G2값 즉, 차동이득을 변화시킴)으로써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해도 된다. 또한, I/V 변환기(14'),(15')의 이득을 변화시키는 대신, 광검출기 표면상의 트랙방행과 수직인 방향으로 광검출기(10)를 이동시킴으로써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에 대한 조정을 실행해도 된다.
이하, 제 9 도를 참조하여, 기록담체(7)상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에 대한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제 9 도는 기록담체(7)의 전체도이다. 나선형의 안내흠(트랙)이 외주부로부터 내주부에 걸쳐 기록담체(7)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록담체(7)상의 트랙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다. 각 섹터의 선단은 오목형과 블록형의 섹터번호와 트랙번호에 따른 기록데이터를 포함한다. 제 9 도는 기록담체(7)상의 트랙이 4개의 섹터로 분할된 것을 타나내는데, 상기의 섹터는 어드레스섹터(S0)~(S3)와 데이터기록 영역(A)~(D)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어드레스 섹터(S0)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데이터기록영역(A)에 기록된다.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은 기록담체(7)의 통상 사용되지 않는 내주부와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10도를 참조하여,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0도에는 트랙은 선형으로 나타냈다. (61a)~(61c)는 각각 트랙을 나타내고, (62a)~(62d)는 각각 어드레스데이터를 나타내고, (63a)~(63d)는 각각 데이터기록영역을 나타낸다. 실제로, 이들 트랙은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트랙(61a)의 후단과 트랙(61b)의 선단. 트랙(61b)의 후단과 트랙(61c)의 선단은 각각 서로 연결되어 있다. (61b)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할 때 광빔(2)이 설정되는 위치의 트랙을 나타낸다. 소정의 동일 주파수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조정용 신호는 트랙(61a)의 데이터기록영역(61b) (63d)과 트랙(61c)의 데이터기록영역(63a) (63c)상에 기록되어 있다. 이들 조정용 신호(64)는 기록담체(7)의 반경방향으로 증첩되지 않도록 트랙(61a) (61c)상에 선택적으로 기록된다.
다음에, 제1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록담체(7)를 사용한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할 경우,MPU(26)는 먼저 제10도에 도시한 목표위치조정용 트랙(61b)을 검색한 후, 기록담체(7)상의 광빔(2)이 목표위치조정용 트랙(61b)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트래킹제어계를 구동시킨다. 기록담체(7)상의 트랙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담체(7)가 1회전 할 때마다 1트랙분만큼 후퇴시켜 광빔(2)이 목표위치조정용 트랙(61b)상에 항상 위치하도록 MPU(26)는 광빔(2)의 이동을 제어한다.
기록담체(7)상의 광빔(2)이 트랙(61b)상에 항상 위치되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MPU(26)는 트랙(61a) (61c)으로부터 누화성분을 통하여 혼합된 조정용 신호(64)를 검출함으로써,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한다.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38)는 라인(30)을 통하여 공급된 가산회로(17)의 신호로 부터 조정신호(64)를 추출한 후, 그의 엔빌로프파형을 검파한다. 다음에, 리인(39)을 통해 공급된 어드레스 판독회로(37)의 샘플·홀드신호에 의거해서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38)는 제10도에 나타낸 트랙(61a) (61c)으로부터 누화신호의 진폭을 유지하고, 진폭차에 대응하는 신호를 A/D 변환기(33)에 보낸다. A/D 변환기(33)는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38)로부터 애널로그신호를 디지틀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틀적으로 변환된 신호를 MPU(26)에 보낸다. A/D 변환기(33)로부터의 디지틀신호에 의거해서 MPV(26)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가 어긋나는 방향을 검출한다. 이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MPU(26)는 D/A 변환기(34)에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라인(35)을 통하여 스위치(36)를 단락시킨다.
MPU(26)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가 점차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접근하도록 A/D 변환기(3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체크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된 신호를 D/A 변환기(34)에 보내어 A/D 변환기(33)의 값이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한다.
MPU(26)는 A/D 변환기(33)의 값에 의거해서 목표위치의 판차량을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제 1 도에 나타낸 일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언급한 처리의 반복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MPU(26)가 A/D 변환기(33)의 값에 대한 D/A 변환기(34)에 전달되어야 할 값의 테이블을 사전에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목표위치는 매우 짧은 시간내에 설정될 수 있다.
장치자체의 온도변화에 의해서,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도 변화한다. (41)은 장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기이다. MPU(26)는 온도감지기(41)를 통하여 장치의 온도를 검출하여,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한다. 장치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다시 증가할 경우, MPU(26)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다시 조정한다. 결국, 장치를 장시간 가동하는 동안에 장치의 온도가 변화해도,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가 많이 변할 염려는 없다.
이제 제12도를 참조하여,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38)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38)는 간산회로(17)로부터 출력된 엔빌로프신호를 검파하는 검파회로(51)와, 입력신호의 전압의 샘플을 유지하는 샘플·홀드회로(52) (53)와, 샘플·홀드회로(52) (53)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대한 차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54)로 구성된다.
제10도에 도시한 트랙(61a)상에 기록되어 있는 위치조정용 신호(64)로부터의 누화성분과 트랙(61a)에기록되어 있는 위치조정용 신호(64)로부터의 누화성분은 선택적으로 가산회로(17)에 전송되고, 이 가산회로(17)로부터 출력된 누화성분의 엔빌로프는 엔빌로프는 검파회로(51)에 의해 검파된다.
샘플·홀드회로(52)는 트랙(61a)상에 기록되어있는 위치조정용 신호(64)로부터 출력된 누화성분신호의 검파된 엔빌로프에 대한 샘플을 유지한다. 샘플·홀드회로(53)는 트랙(61a)상에 기록되어 있는 위치조정용 신호(64)로부터 출력된 누화성분신호의 검파된 엔빌로프에 대한 샘플을 유지한다.
제10도에 나타낸 섹터(63b) (63d)를 재생하고 제10도에 나타낸 트랙(61a)상에 기록된 위치조정용 신호(64)로부터 출력된 누화성분을 검출할 때, 어드레스판독회로(37)는 기록담체(7)상에 기록된 섹터번호를 판독하고 샘플·홀드지령신호를 라인(39)을 통해 샘플·홀드회로(52)에 보낸다. 또, 제10에 나타낸 섹터(63a) (63c)를 재생하고 트랙(61c)상에 기록된 위치조정용 신호(64)로부터 누화성분을 검출할때, 어드레스판독회로(37)는 라인(39b)을 통하여 샘플·홀드회로(52)에 샘플·홀드 지령신호를 보낸다. 결구, 트랙(61a) (61c)으로부터 추출된 이들 누화성분신호의 차에 대응한 신호는 차동증폭기(54)로 출력된다.
제13도는 제12도에 나타낸 목표위치편차검출회로(38)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파형(a)는 가산회로(1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나타내며, 파형(b)는 검파회로(5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나타내며, 파형(c)는 어드레스 판독회로(37)로부터 샘플·홀드회로(53)에 출력되는 샘플·홀드지령신호를 나타내며, 파형(d)는 어드레스판독회로(37)로부터 샘플·홀드회로(52)에 출력되는 샘플·홀드지령신호를 나타낸다.
제10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면, 목표위치조정용 트랙(61b)의 양면에 선택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목표위치조정용 신호(64)는 동일 주파수를 포함하므로, 주파수 특성에 대한 보상을 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회로구성이 매우 간단해지므로, 목표 위치의 조정정밀도가 향상된다.
제10도에서, 목표위치조정용 신호는 섹터단위에 의거해서 선택적으로 트랙(61a) (61b)에 제공된다. 또한, 목표위치조정용 신호는 소정의 간격으로 각 섹터에 대해 제공되어도 된다. 이 경우, 어드레스데이터에 의거해서, 어드레스 판독회로(37)는 소정의 간격으로 샘플·홀드지령신호를 샘플·홀드회로(52) (53)에 선택적으로 출력해도 된다.
물론, 목표위치조정용 신호(64)는 트랙사이에 제공된다.
기록담체(7)의 경사각도는 장소에 따라 변화된다. 그러나, 목표위치를 내주부에서 조정할때 D/A 변환기(34)에 설정해야 할 값과, 목표위치를 외주부에서 조정할때 D/A 변환기(34)에 설정해야 할 값의 평균치를 D/A 변환기(34)에 내부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담체(7)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상의 조정 위치에 평균값을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장치의 전원공급스위치를 ON으로 절환한 직후나 기록담체(7)를 교체한 직후에 목표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의 off-주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각 소정시간의 주기마다 정확히 조정하면, 시스템은 온도감지기가 필요없으며, 장기의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는 자동적으로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에 광빔이 위치하도록 하여, 장치의 온도변화 등에 의해 목표위치가가 편위된 경우에 재조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4 도에 도시한 트랙(111) (112)상에 기록된 신호(116) (117)의 형태는 예를들면 농도가변기록형식과 같이 기록담체(7)상에 기록된 신호와 동일한 형태를 지녀도 된다. 이 경우, 기록담체(7)를 완성한 후 결정된 기준장치를 이용하여 기록을 실행함으로써, 동일신호를 이용가능한 모든 기록담체상에 항상 기록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각 반사형 광학계를 사용하였으나, 이것 대신, 빔투과형 광학계를 사용해도 된다. 실제로, 여러 종류의 광학계가 고안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결코 광학계의 방식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적용하였다하더라도,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가 정확히 소정의 위치에 조정되므로, 재생신호의 품질과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광자기식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용량식 재생장치 및 VTR, 하드디스크장치 그리고 플로피디스크 장치 등을 포함하는 장치기록 재생장치 등에 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조정할 수 있다. 본발명은 데이터기록/재생시스템간의 호환성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데이터기록/재생기술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극히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사전에 기록담체상에 기록된 위치조정용 신호에 의거해서 목표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경우, 본 기록담체 자체가 기준이 되므로, 모든 관련된 장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서 좀더 안정된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1)

  1. 트랙의 한쪽 면에 인접해서 제 1 조정영 신호(116)가, 다른쪽 면에 인접해서 제 2 조정용 신호(117)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 조정용 트랙(113)을 지닌 기록담체(7)상에 광원(1)으로부터 발생한 광빔을 수속해서 조사하기 위한 수속수단(6)과, 상기 기록담체상의 광빔 혹은 상기 기록담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트랙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11)과, 광빔이 상기 기록담체를 투과한 투과광 혹은 반사한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검출수단(10)과, 상기 광검출수단의 신호로부터 상기 기록담체상의 광빔과 트랙과의 위치 편차를 검출하고, 이 트랙편차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을 구동해서 상기기록담체상의 광빔이 트랙상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킹제어수단(14,15,16,18,20,21,22,23,24)과, 상기 광검출수단의 신호로부터 상기 기록담체상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수단(14,15,17)을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에 광빔이 위치하도록 상기 트래킹제어를 동작시키는 스텝과, 상기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제1 및 제 2 조정용 신호의 진폭차를 측정하는 스텝과, 상기 진폭차에 의거해서 상기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조정용 신호의 진폭차가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갈 때까지 반복해서 생기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이 외주부 및 내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반형상의 기록담체를 사용하고, 외주부 및 내주부에 있어서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값을 각각 구하고, 양 값의 평균치에 의해 상기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기록담체가 교환된 경우에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방법.
  5. 트랙의 한쪽 면에 인접해서 제 1 조정용 신호(116)가, 다른 쪽 면에 인접해서 제 2 조정용 신호(117)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목표위치조정용 트랙(11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조정용 신호를 다른 단일 주파수의 신로(116,117)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7. 제 5 항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의 단일 신호로 하고, 또 트랙의 폭방향으로 중첩하지 않도록 간혈적으로 제1 및 제 2 조정용 신호(6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원반형상의 기록담체의 통상 사용하지 않는 외주부 혹은 내주부의 어느 1개소에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9. 제 5 항에 있어서, 원반형상의 기록담체의 통상 사용하지 않는 외주부 및 내주부의 2개소에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10. 제 5 항에 있어서, 원반형상의 기록담체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11. 제 5 항에 있어서,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으로서 판별될 수 있는 정부(62)가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12. 제 5 항에 있어서, 제1조정용 신호 및 제2조정용 신호의 폭(W2)을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의 폭(W1)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13.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조정용 신호 및 제 2 조정용 신호와 목표위치조정용 트랙간의 거리를 P1, 통상의 트랙의 피치를 P0로 한 경우에, P0>P1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제 1 조정용 신호 또는 제 2 조정용 신호와 그것과 인접한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을 제외한 이외의 트랙과의 거리를 P3로 한 경우에, P3>P0>P1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담체.
  15. 트랙의 한쪽 면에 인접해서 제 1 조정용 신호(116)가, 다른쪽 면에 인접해서 제 2 조정용 신호(117)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 조정용 트랙(113)을 지닌 기록담체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빔을 상기 기록담체상에 수속해서 조사하기 위한 수속수단(6)과, 상기 기록담체상의 광빔 혹은 상기 기록담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트랙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11)과, 광빔이 상기 기록담체를 투과한 투과광 혹은 반사한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검출수단(10)과, 상기 광검출수단의 신호로부터 상기 기록담체상의 광빔과 트랙과의 위치 편차를 검출하고, 광검출수단(10)과, 이 트랙편차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을 구동해서 상기 기록담체상의 광빔이 상기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킹제어수단(14,15,16,18,20,21,22,23,24)과, 상기 광검출수단의 신호로부터 상기 기록담체상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수단(14,15,17)과, 상기 트래킹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목표위치조정용 트랙상에 광빔이 위치하도록 제어해서 상기 재생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제1 및 제 2 조정용 신호의 차를 검추하는 신호레벨차 검출수단(31,32)과 상기 신호레벨차 검출수단의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트래킹제어수단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26,33,34,3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 2 조정용 신호는 상이한 단일 주파수의 신호해서 기록해놓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 2 조정용 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보정수단에 의해 보정된 후의 양신호의 진폭이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의 단일신호이고, 또 트랙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간헐적으로 제1 및 제2조정용 신호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조정용 신호의 진폭이 대략 동등하게 되도록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트래킹제어수단에 일정 신호를 가함으로써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제어수단은, 광검출수단의 신호로부터 반사 또는 투과광량을 검출하는 광량검출회로와, 트랙편차신호를 상기 광량검출회로의 신호로 제산하는 제산회로와, 상기 제산회로의 신호와 조정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조정신호를 가산하는 가산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가산회로에 일정 신호를 가함으로써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제1조정용 신호와 제2조정용 신호의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가해야 할 신호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며, 계측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상기 기억회로에 기억하고 있는 값(D0)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값(D0)을 가한 상태에서 제차 재생진폭차를 계측하고, 이 계측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기억회로에 기억하고 있는 값(D1)을 구하고, 값(D0+D1)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제 1 조정용 신호와 제 2 조정용 신호의 재생진폭차와 가해야 할 신호의 관계식에 의거해서, 계측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한 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값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수단을 제1 및 제 2 광검출기로 구성하고, 상기트래킹제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 2 광검출기의 출력차에 의해 트랙편차신호를 검출하는 차동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증폭기는 차동이득이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차동증폭기의 차동이득을 변화시킴으로써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싱기 조정수단은 제1 및 제 2 조정용 신호의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이득을 변화시키는 값을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며, 계축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상기 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값(G0)을 차동진폭기에 전달하여 이득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값(G0)을 전달하여 이득을 변화시킨 상태에서 재차 재생진폭차를 계측하고, 이 계측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값(G1)을 구하고, 값(G0+G1)을 차동증폭기에 전달하여 이득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조정수단은 제 1 조정용 신호와 제2조정용 신호의 재생진폭차와 가해야 할 신호의 관계식에 의거해서, 계측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한 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값을 차동증폭기에 전달하여 이득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수단을 제1 및 제 2 광출기로 구성하고, 상기 트래킹제어수단을 상기 제1 및 제 2 광검출기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및 제 2 증폭회로와 상기 제1 및 제 2 증폭회로의 신호의 차로부터 트랙편차신호를 검출하는 차동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 2 증폭회로의 쌍방의 증폭을 또는 어느 한쪽의 증폭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트래킹제어의 목표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조정용 신호와 제 2 조정용 신호의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이득을 변화시키는 값을 미리 기억하고 있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며, 계측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상기 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값(G0)을 증폭기에 전달하여 이득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값(G0)을 전달하여 이득을 변화시킨 상태에서 제차 재생진폭차를 계측하고, 이 계측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해서 기억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값(G1)을 구하고, 값(G0+G1)을 증폭기에 전달하여 이득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제 1 조정용 신호와 제 2 조정용 신호의 재생진폭차와 가해야 할 신호의 관계식에 의거해서, 계측한 재생진폭차에 대응한 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값을 증폭기에 전달하여 이득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제어장치.
  3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장치의 온도를 계측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온도의 상승이 소
KR1019890018719A 1988-12-16 1989-12-16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 조정방법과 트래킹 제어장치 및 거기에 사용되는 기록담체 KR930003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319031 1988-12-16
JP63319031A JP2839270B2 (ja) 1988-12-16 1988-12-16 トラッキング制御の目標位置調整方法
JP63-319031 1988-12-16
JP63-322618 1988-12-21
JP88-322618 1988-12-21
JP63322618A JP2650385B2 (ja) 1988-12-21 1988-12-21 トラッキング制御の目標位置調整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72A KR900010672A (ko) 1990-07-09
KR930003621B1 true KR930003621B1 (ko) 1993-05-08

Family

ID=2656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719A KR930003621B1 (ko) 1988-12-16 1989-12-16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 조정방법과 트래킹 제어장치 및 거기에 사용되는 기록담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57250A (ko)
KR (1) KR930003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141A (en) * 1993-04-13 1996-10-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ck retrieving method for making a light beam jump and scan from one track to another
US5859980A (en) * 1996-02-08 1999-01-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Network interface having adaptive transmit start point for each packet to avoid transmit underflow
KR100288781B1 (ko) * 1997-11-27 2001-05-02 구자홍 광픽업의 이동거리 결정장치 및 결정방법
US6430119B1 (en) * 1999-05-10 2002-08-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rive apparatus capable of searching an optimum target position
US8270264B2 (en) * 2007-11-29 2012-09-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head apparatus, optical disk apparatus and optical dis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0330A (en) * 1980-09-11 1982-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DE3515472A1 (de) * 1984-04-27 1985-11-07 Pioneer Electronic Corp., Tokio/Tokyo Automatischer plattenspieler
JPS61151843A (ja) * 1984-12-25 1986-07-10 Nec Home Electronics Ltd 光メモリデイスク
NL8500153A (nl) * 1985-01-22 1986-08-18 Philips Nv Registratiedragerlichaam voorzien van een reliefstruktuur van optisch detekteerbare servospoorgedeelten en sektoradressen en inrichting voor het aanbrengen van deze struktuur.
US4974221A (en) * 1987-07-17 1990-11-27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by varying a sensitivity of a phase-locked loop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state of a reproduced signal
JPH01296443A (ja) * 1988-05-25 1989-11-29 Sharp Corp 光メモリ素子用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72A (ko) 1990-07-09
US5257250A (en) 199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546B1 (ko) 트랙검색장치 및 트래킹제어장치
US4817069A (en) Tracking control system of an optical pick-up
US6816443B1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optical disc and method therefor
EP07459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correction and optical disk for use therein
EP0185549B1 (en) Tracking control system for optical record disc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910003459B1 (ko) 트래킹 에러 신호중의 오프셋트를 감소시킨 광학 디스크 기록 재생장치
JP2820808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カス制御機構
JPS61117737A (ja) フオ−カスサ−ボ装置
JPH0731820B2 (ja) 光デイスク駆動装置
KR930003621B1 (ko) 트래킹 제어의 목표위치 조정방법과 트래킹 제어장치 및 거기에 사용되는 기록담체
CN100394490C (zh) 光盘装置、环路增益设定方法和环路增益设定程序
EP0740293B1 (en) Tracking servo circuit
JP4284725B2 (ja) 光学記録媒体からの読み出し又は該媒体への書き込みのための装置
KR100244772B1 (ko) 디브이디알 시스템의 트래킹 서보 장치
JPH0565938B2 (ko)
JP2839270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の目標位置調整方法
JP2650385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の目標位置調整方法
JPH06111349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254156A (ja)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の信号処理回路
JP2510411B2 (ja) フオ−カスサ−ボ装置
JP2733695B2 (ja) 光ピックアップの移送制御装置
JP3401458B2 (ja) チルト検出装置
JP3401460B2 (ja) チルト検出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チルト制御方法
JPS6040578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
KR20020072136A (ko) 광디스크의 틸트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