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67B1 -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67B1
KR930003167B1 KR1019900003173A KR900003173A KR930003167B1 KR 930003167 B1 KR930003167 B1 KR 930003167B1 KR 1019900003173 A KR1019900003173 A KR 1019900003173A KR 900003173 A KR900003173 A KR 900003173A KR 930003167 B1 KR930003167 B1 KR 93000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line segment
character
compart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324A (ko
Inventor
김준모
Original Assignee
김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모 filed Critical 김준모
Priority to KR101990000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167B1/ko
Publication of KR91001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3/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inting of data in the shape of alphanumeric or other characters from a record carrier, e.g. interpreting, printing-out from a magnetic tape
    • G06K3/02Translating markings on a record carrier into printed data on the same record carrier, i.e. interpr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제1 도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블록도.
제 2 도는 종래에 관한 문자 입력장치의 키보드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한글, 영문자, 특수문자 입력판넬 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한글, 영문자, 특수문자 판넬에서 엔코더를 거쳐 기억장치에 연결된 회로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표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5(a)도는 한글문자 표기 상태도, 제5(b)도는 영문자 표기 상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 전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영문자 입력 전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입력장치 CT : 제어장치
KBD : 키보드 KB : 한글문자 판넬
UB : 영문자 판넬 OB : 특수문자 판넬
IN1,IN3: 인터페이스 EC : 엔코더
a,n : 한글문자 선분구획 1,14 : 영문자 기입선분구획
SP : 기입센서펜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한 각 문자의 구획을 가진 판넬을 형성하여 이 판넬상에 문자를 기입센서펜으로 입력시킬 수 있게하여 문자 입력 장치 자체를 소형화시키고, 누구나 문자 입력을 손쉽게 입력시킬 수 있게하며, 이와 같은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는 계산기나 컴퓨터 및 타자기를 소형화 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사요자가 원하는 문자를 쉽게 입력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에 주안점을 두고 안출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 입력장치는 주로 계산기나 컴퓨터에서는 데이타를 입력시키는데 사용되고 타자기에서는 문자를 타이핑 하고자 사용된다.
이와 같이 컴퓨터나 타자기에서 사용되는 문자 입력장치는 제 2 도와 같이 문자판으로 이루어진 키보드(KBD)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키보드(KBD)의 각 문자를 터치하면 해당하는 문자의 터치신호가 엔코더(EC)를 거쳐서 문자를 부호화하여 입력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키보드(KBD)의 문자를 사용자가 인식하여 처치하여야만 하는데 이 키보드(KBD)의 문자배열의 순서적으로 배치된 것이 아니라 많이 사용되는 순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문자판을 모두 손에 익혀야만 어느 정도 속도를 가지고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써, 상기 키보드(KBD)의 문자판을 익히기 위해서 소정기간(약 2개월) 이상의 교육을 필요로 할 정도로 키보드(KBD)의 문자판을 익히는데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키보드(KBD)의 문자를 터치하여 입력시킴에 따라 입력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제약을 받게 된다.
즉, 하드웨어적인 회로내에서는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사용자가 키보드(KBD)에 문자를 터치하여 입력시키는 속도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 장치의 속도가 늦게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키보드(KBD)에 각 문자버턴을 설치하여야 되기 때문에 입력장치의 생산원가가 고가이고, 입력장치의 각 문자버턴이 일정한 규격 이상이 되어 사용자가 정확하고 쉽게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입력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입력장치 자체의 크기가 일정크기 이하로는 형성할 수 없으므로서 일정크기 이상으로 밖에 형성할 수 없기 대문에 소형화 시키는데 문제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문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기호를 표기한 선분을 가진 구획을 판넬상에 형성하여 이 판넬상에 사용자가 기입 센서펜으로 기입할때 문자가 입력될 수 있게 한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 3 도와 같이 한글문자 판넬과, 영문자 판넬, 그리고 특수문자 판넬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문자판넬에 기입 센서펜으로 기입하여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게 하므로써, 누구나 별도의 교육이 필요없이 쉽게 인식하여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입력장치 자체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장치를 컴퓨터나 타자기 및 계산기에 이용할시에 컴퓨터나 타자기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고, 문자 입력에 다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 것에 목적을 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을 참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는 컴퓨터의 기본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인데 계산기나 타자기에서도 문자 입력장치(B)에 엔코더(EC)를 거쳐 입력된 문자나 데이타가 처리된다.
우선, 한글문자는 초성, 중성, 종성의 각 자소가 조합되어 하나의 음절이 형성되는데 기존에는 이 초성, 중성, 종성의 자소를 한번씩 타(打 : 터치)를 요구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한번의 타 대신에 획을 그름으로써 타의 역할이 수행되게 한 것이다.
제 3(a)도와 같이 한글문자를 선분으로 구획하고자 좌빗금선분구획(a), 우빗금선분구획(b), 이용구획(c), 장쌍수평선분구획(d), 장수평선분구획(e), 단쌍수평선분구획(f), 단수평선분구획(g), 장수직선분구획(h), 장쌍수직선분구획(i) 단쌍수직선분구획(j), 단수직선분구획(k), 장수평선분구획(l), 장쌍수평선분구획(m), 외부구획(n)을 가진 한글문자판넬(KB)을 구성하되, 각 선분(a-n)에 대칭하는 접점스위치(도시생략)를 내설하여 한글문자판넬(KB)를 형성하고 이 판넬(KB)의 각 선분(a-n)의 접점신호가 제 4 도에서와 같이 인터페이스(IN1)를 거쳐 엔코더(EC)에 인가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영문자는 제 3(b)도와 같이 I자형과 8자 형태로서 기입선분(1-14)을 구획하되, 이 역시도 각 기입선분(1-14)에 대칭하는 접점스위치(도시생략)를 내설하여 영문자판넬(UB)를 형성하고, 이 판넬(UB)의 기입선분(1-14)의 접점신호가 제 4 도와 같이 인터페이스(IN2)를 거쳐 엔코더(EC)에 인가되도록 연결구성하며, 또한 특수기호, 산술기호 및 숫자를 갖는 특수문자의 선분에도 대칭하는 접점스위치(도시생략)를내설하여 특수문자 판넬(CB)를 형성하되, 이 판넬(OB)의 접점신호가 인터페이스(IN3)를 거쳐 엔코더(EC)에 인가되도록 연결하고, 기입센서펜(SP)으로서 상기 문자판넬(KB)(UB)(OB)의 각구획을 터치하는 형식으로 문자가 입력하게 한다.
상기 문자판넬(KB)(UB)(OB)의 기입은, 제 3(c)도와 같이 통상의 펜모양으로된 필기구인 기입센서펜(SP)으로서 내부는 일측선이 접지되어 이 기입센서펜(SP)으로 상기 문자판넬(KB)(UB)(OB)에 표기선 선분형태로 획을 그음으로써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제 5(a)도는 한글문자의 자음과 모음의 기입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제 5(b)도는 영문자의 알파벳을 기입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제 6 도와 제 7 도는 한글문자 및 영문자의 입력과정을 나타낸 전이도이다.
상기 제 6 도의 한글문자 입력전이도에서 첫획에 구분되는 것(ㅂ,ㅅ,ㅇ,ㅛ)들은 생략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문자 입력에 대하여 제 5(a)도 및 제 6 도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 영문자는 풀어쓰기가 가능하므로 문자 입력이 쉽지만,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된 모아쓰기 방법으로 써야만 완전한 한글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빵”자를 입력시킬 경우, “ㅂ+ㅂ+ㅏ+ㅇ”의 자음, 모음을 차례로 입력시켜야만 비로서“빵”자로 인식하게 된다.
제 3 도에서와 같이 한글문자판넬(KB)의 해당선분구획(a-n)을 기입센서펜(SP)으로 기입할때와 같이 한번에 긋는다.
한글문자판에 나타내어진 좌빗금선분구획(a), 우빗금선분구획(b), 이 응선분구획(c), 장수평선분구획(e.l), 단수평선분구획(g), 장수직선분구획(h)의 단수직선분구획(k)들은 한글자음과 모음을 구성하는 한획에 해당되며, 장쌍수평선분구획(d,m), 단상수평선분구획(f), 장쌍수직선분구획(i), 단쌍수직선분구획(j)들은 각각 인접한 획의 중복을 나타낸다.
문자판에는 상기한 선분들의 조합으로 한글자음과 모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가장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능한한 모든 문자 입력 순서가 한글자음과 모음의 획순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는데, 즉 한글문자판넬(KB)의 선분(a-n)에 대한 기입센서펜(SP)의 압입순서가 자음과 모음순 또는 자음, 모음과 자음순 또는 자음, 모음(자음 아래측), 모음(자음 우측), 자음순으로 기입하되, 자,모음의 획순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굳이 문자판을 외울 필요가 없다.
각 한글 자음, 모음 문자를 표시한 제 5(a)도에 따라서 각 문자를 기입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ㄱ : (-(e)+ㅣ(h)) : 선분구획(e)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h)까지를 기입센서펜(SP)으로 긋고 문자판에서 기입센서펜(SP)을 떼어내면 “ㄱ”이 입력된다.(제 6(a)도 참조)
ㄴ : (ㅣ(h)+-(l)) : 선분구획(h)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l)까지를 긋고 기입센서펜(SP)을 떼어내면 입력된다.(제 6(b)도 참조)
ㄷ : (-(e)+ㅣ(h)+-(l)) : 선분구획(e)에서 시작하여 선부구획(h)을 지나 선분구획(l)까지를 긋고 뗀다.(제 6(a)도 참조)
ㄹ : (-(e)+ㅣ(h)+-(l)+(h)+-(e)) : 선분구획(e)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h)을 지나고, 선분구획(l)에 이르러 다시 선분구획(h)을 지나 선분구획(e)까지를 긋고 뗀다.(제 6(a)도 참조)
ㅁ : (ㅣ(h)+-(l)+ㅣ(h)+-(e)) : 선분구획(h)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l)을 지나 다시 선분구획(h)으로 해서 선분구획(e)까지를 긋고 뗀다.(제 6(b)도 참조)
ㅂ : (ㅣㅣ(i)+=(m)) : 선분구획(i)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m)까지를 긋고 뗀다.
ㅅ : (/(a)+\(b)) : 선분구획(a)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b)까지를 긋고 뗀다.
ㅇ : (ㅇ(c)) : 선분구획(c)을 터치한다.
ㅈ : (-(e)+/(a)+\(b)) : 선분구획(e)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a)을 지나 선분구획(b)까지를 긋고 뗀다.(제 6(a)도 참조)
ㅊ : (=(d)+/(a)+\(b)) : 선분구획(d)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a)을 지나 선분구획(b)까지를 긋고 뗀다(제 6(d)도 참조)
ㅋ : (-(e)+ㅣ(h)+-(e)) : 선분구획(e)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h)을 돌아 다시 선분구획(e)까지 긋고 뗀다.(제 6(a)도 참조)
ㅌ : (=(d)+ㅣ(h)+-(l)) : 선분구획(d)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h)을 지나 구획(l)까지 긋고 뗀다.(제 6(d)도 참조)
ㅍ : (-(e)+ㅣㅣ(i)+ㅣ(h)+-(e)) : 선분구획(e)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i)을 지나 선분구획(h), 선분구획(e)까지 긋고 뗀다.(제 6(a)도 참조)
여기서, 쌍장수직선분구획(i)외에 장수직선분구획(h)가 겹쳐져도 쌍장수직선분구획(i)로 인식된다.(제 6(a)도 참조)
ㅎ : (=(d)+외부구획(n)+ㅇ(c)) : 선분구획(d)에서 시작하여 외부구획(n)을 거쳐 선분구획(c)까지를 긋고 뗀다.(제 6(d)도 참조)
ㅏ : (ㅣ(h)+-(g)) : 선분구획(h)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g)까지 긋고 뗀다.(제 6(a)도 참조)
ㅑ : (ㅣ(h)+-(g)=(f)) : 선분획(h)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g)을 지나 선분구획(f)까지 긋고 뗀다.
여기서, 단수평선분구획(g)과 단쌍수평선분구획(f)의 중복에 관계없이 “ㅘ”로 인식된다.(제 6(b)도 참조)
ㅓ : (-(g)+ㅣ(h)) : 선분구획(g)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h)까지를 긋고 뗀다.(제 6(c)도 참조)
ㅕ : (=(f)+-(g)+ㅣ(h)) : 선분구획(f)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g)을 지나 구획(h)까지를 긋고 뗀다.
여기서, 단쌍수평선분구획(f)와 단수평선분구획(g)의 중복에 관계없이“ㅘ”로 인식된다.(제 6(e)도 참조)
ㅗ : (ㅣ(k)+-(l)) : 선분구획(k)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l)까지를 긋고 뗀다.(제 6(f)도 참조)
ㅛ : (ㅣㅣ(j)+ㅣ(k)+-(l)) : 선분구획(j)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k)을 지나 구획(l)까지 긋고 뗀다.
여기서, 단쌍수직선분구획(j)와 단수직선분구획(k)의 중복에 관계없이 “ㅘ”로 인식된다.
ㅜ : (-(l)+ㅣ(k)) : 선분구획(l)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k)까지 긋고 뗀다.(제 6(g)도 참조)
ㅠ : (-(l)+ㅣ(k)ㅣㅣ(j)) : 선분구획(l)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k)을 지나 구획(j)까지를 긋고 뗀다.
여기서, 단수직선분구획(k)와 단쌍수직선분구획(j)의 중복에 관계없이 “ㅠ :”로 인식된다.
ㅡ : (-(e) 또는 -(l)) : 선분구획(e) 또는 선분구획(l)을 터치한다.(제 6(g)도 참조)
ㅣ : (ㅣ(h)) : 선분구획(h)을 터치한다.(제 6(b)도 참조)
ㅘ : (ㅣ(k)+-(l)+ㅣ(h)+-(g)) : 선분구획(k)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l), 선분구획(h)을 지나 선분구획(g)까지를 긋고 뗀다.(제 6(f)도 참조)
ㅝ : -(l)+ㅣ(k)+-(g)+ㅣ(h)) : 선분구획(l)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k), 선분구획(g)을 선분구획(h)까지를 긋고 뗀다.(제 6(g)도 참조)
ㅙ : (ㅣ(k)+-(l)+ㅣ(h)+-(g)+ㅣ(h)) : 선분구획(k)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ㅣ), 선분구획(h), 선분구획(g)을 지나 선분구획(h)까지를 긋고 뗀다.(제 6(f)도 참조)
ㅖ : (=(f)+-(g)+ㅣ(h)+ㅣㅣ(i)) : 선분구획(f)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g), 선분구획(l)을 지나 선분구획(i)까지를 긋고 뗀다.
여기서, 단쌍수평선분구획(f)와 단수평선분구획(g), 장수직선분구획(h)와, 장쌍수직선분구획(i)의 중복에 관계없이 “ㅖ”가 인식된다.(제 6(e)도 참조)
ㅔ : (-(g)+ㅣ(h)+ㅣㅣ(i)) : 선분구획(h)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h)를 지나 선분구획(i)까지 긋고 뗀다.
여기서, 장수직선분구획(h)와 장쌍수직선분구획(i)의 중복에 관계없이 “ㅔ”로 인식된다.(제 6(c)도 참조)
ㅐ : (ㅣ(h)+-(g)+ㅣ(h)) : 선분구획(h)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g)을 지나 다시 선분구획(h)까지 긋고 뗀다.(제 6(b)도 참조)
ㅐ : (ㅣ(h)+-(g)+=(f)+-(g)+ㅣ(h)) : 선분구획(h)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g), 선분구획(f)을 지나 다시 선분구획(g)을 지나 선분구획(h)까지 긋고 뗀다.(제 6(b)도 참조)
ㅟ : (-(l)+ㅣ(k)+외부구획(n)) : 선분구획(l)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k)를 거쳐 외부구획(n)까지 긋고 뗀다.(제 6(g)도 참조)
ㅚ : (ㅣ(k)+-(l)+ㅣ(h)) : 선분구획(k)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l)을 지나 선분구획(h)까지 긋고 뗀다.(제 6(f)도 참조)
ㅞ : (-(l)+ㅣ(k)+-(g)+ㅣ(h)+ㅣㅣ(i)) : 선분구획(l)에서 시작하여 선분구획(k), 선분구획(g), 선분구획(h)을 지나 선분구획(i)까지 긋고 뗀다.
여기서, 장수직선분구획(h)와 장쌍수직선분구획(i)의 중복에 관계없이 “ㅞ”로 인식된다.(제 6(g)도 참조)
둘째, 영문자 입력방법을 제 5(b)도 및 제 7 도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 영문자 입력은 알파벳을 직선화시킨 모양으로 인식판넬의 각 해당 기입선분구획(이하 구획이라 함)을 기입 센서(SP)으로 글자의 해당부위를 삭제, 모양에 맞게 인식 해당부분을 추가시킴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각 문자의 입력방법은 아래와 같다.
a :
Figure kpo00001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영문자 판넬의 구획(4) 또는 구획(7)을 터치한다.(제 7(b)도 참조)
b :
Figure kpo00002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 또는 구획(2)에서부터 시작해서 구획(14)을 지나 구획(5) 또는 구획(8)까지 긋고 센서펜을 뗀다.
c :
Figure kpo00003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5) 또는 구획(8)에서 시작해서 구획(14), 구획(9) 다시 구획(14)을 지나 구획(12)까지를 긋고 뗀다.
여기서 구획(5) 또는 구획(8)에서부터 구획(14)을 지나 구획(9)까지만 그어도 “c”로 인식된다.(제 7(e)도 참조)
d :
Figure kpo00004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 또는 구획(2)에서 시작하여 구획(14), 구획(4) 또는 구획(7)까지 긋고 뗀다.(제 7(i)도 참조)
e :
Figure kpo00005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2)을 터치한다.(제 7(c)도 참조)
f :
Figure kpo00006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5) 또는 구획(8)에서 시작하여 구획(14), 구획(12), 다시 구획(14), 구획(13)까지를 긋고 뗀다.(제 7(h)도 참조)
g :
Figure kpo00007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0)을 터치한다.(제 7(g)도 참조)
h :
Figure kpo00008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 또는 구획(2)에서 시작하여 구획(14)을 지나 구획(5) 또는 구획(8)에서 떼고 구획(13)에서 점찍는다.(제 7(i)도 참조)
i :
Figure kpo00009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인식시킨다는 생각으로 구획(1) 또는 구획(2)에 점찍고 구획(4) 또는 구획(7)에 점을 찍거나 선을 긋는다.(제 7(i)의 참조)
j :
Figure kpo00010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인식시킨다는 생각으로 구획(1) 또는 구획(2)에 점찍고 구획(5) 또는 구획(8)에 점을 찍거나 선을 긋는다.(제 7(i)도 참조)
k :
Figure kpo00011
K자 모양의 “〈”부분을 첨가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 또는 구획(2)에서 시작하여 구획(14)을 지나 구획(4) 또는 구획(7), 다시 구획(14), 구획(9)까지를 긋고 뗀다.(제 7(i)도 참조)
l :
Figure kpo00012
모양으로 해당부분을 인식시킨다는 생각으로 구획(13) 또는 구획(6)을 터치한다.(제 7(d)도 참조)
m : 구획(6), 구획(7), 구획(8)과 함께
Figure kpo00013
모양으로 해당부분을 첨가한다는 생각으로 구획(3)에서 시작하여 구획(14)을 지나 구획(4)까지 긋고 뗀다.제 7(d)도 참조)
n : 구획(6)과 구획(7)과 함께
Figure kpo00014
모양으로 해당부분을 첨가한다는 생각으로 구획(3)에서 구획(4)까지를 긋고 뗀다.(제 7(d)도 참조)
o :
Figure kpo00015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9)을 터치한다.(제 7(e)도 참조)
p :
Figure kpo00016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2)에서 시작하여 구획(14)을 지나 구획(13)까지 긋고 뗀다.(제 7(c)도 참조)
q :
Figure kpo00017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0)에서 시작하여 구획(14)을 지나 구획(13)까지 긋고 뗀다.(제 7(g)도 참조)
r : r자의
Figure kpo00018
모양을 인식시킨다는 생각으로 구획(10)에서 시작하여 구획(14)을 지나 구획(9)까지 긋고 뗀다.(제 7(g)도 참조)
s :
Figure kpo00019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5) 또는 구획(8)을 터치하고, 다음 구획(10)을 터치한다.(제 7(h)도 참조)
t :
Figure kpo00020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삭제한다는 생각으로 구획(1) 또는 구획(2)에서 시작하여 구획(5), 구획(8), 구획(14)을 지나 구획(12)까지를 긋고 뗀다.(제 7(i)도 참조)
u : 구획(3)과 구획(5)과 함께
Figure kpo00021
자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인식시킨다는 생각으로 구획(6)에서 구획(4)을 지나 구획(7)까지는 굿고 뗀다.(제 7(f)도 참조)
v : 구획(4)과 구획(5)과 함께
Figure kpo00022
자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인식시킨다는 생각으로 구획(7)에서 구획(14)을 지나 구획(8)까지는 긋고 뗀다.(제 7(b)도 참조)
w : 구획(3)과 구획(4)과 구획(5)과 함께
Figure kpo00023
모양이 되게 해당부분을 구획(6)에서부터 구획(14)을 지나 구획(7), 다시 구획(4)을 지나 구획(8)까지를 긋고 뗀다.(제 7(f)도 참조)
x : 구획(9)에서 시작하여 구획(14), 구획(11), 다시 구획(14)을 지나 구획(13)까지를 긋고 뗀다.
y : 구획(9)에서 시작하여 구획(14)을 지나 구획(11)까지를 긋고 뗀다.(제 7(e)도 참조)
z : 구획(11)을 터치한다.(제 7(a)도 참조)
셋째, 특수 문자 입력은 제 3(c)도와 같이 원하는 특수문자를 터치하면 그에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 되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계산기나 타나지 그리고 컴퓨터의 입력장치에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각 선분구획을 갖고 문자를 구성할 수 있는 한글문자판넬, 영문자판넬, 특수문자판넬을 안출하여 기입센서펜으로 기입하도록 하므로서 문자를 누구나 별도의 교육을 필요치 않고 쉽게 인식하여 입력시킬 수 있게 하며, 문자입력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고, 문자판넬 자체를 소형화 시킬 수 있으며, 생산원가 역시 저렴하고, 이와 같은 문자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는 기기(계산기, 컴퓨터, 타자기)를 소형화 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4)

  1. 터치식 접점의 출력신호를 엔코딩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문자 및 한글문자의 획(劃)형태로 선분(1-14),(a-n)을 구획 표기하여 된 기재식판넬(UB)(KB)(OB)을 두고, 이 판넬(UB)(KB)(OB)에 구획표기된 선분(1-14)(a-n)의 규정방향으로 센서펜(SP)을 기입식 압(壓)시켜 기입선분에 대한 펄스생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2. 터치접점의 출력신호를 엔코딩시켜 한글, 영문 및 특수기호를 입력시키는 문자 입력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글자모음의 획형태로 좌우 빗금 선분(a,b)과 이응자 형태의 선분(c)과 수평선분(d-g,l,m) 및 수직선분(h-k)으로 구획하여 된 한글문자 판넬(KB)과, I자 형태의 기입선분(3,6)과 8자 형태의 기입선분(1,2,4,5,7-13)으로 구획하여된 영문자 판넬(UB)과, 산출, 특수기호 및 숫자로 배열 구획된 특수문자 판넬(OB)과 상기 각 문자판넬(KB)(UB)(OB)에 표기형성된 선분(a-n)(1-13) 및 숫자를 기입식 압시켜 선분(a-n)(1-13) 및 각 기호, 숫자에 대칭되는 접점을 터치하는 기입센서펜(SP)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한글문자판넬(KB)의 각 선분(a-n)과, 영문자판넬(UB)의 기입선분(1-14)과, 특수문자판넬(OB)의 기호, 숫자선분구획은 인터페이스(1N1-1n3)를 거쳐 엔코더(EC)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한글문자판넬(KB)의 선분(a-n)에 대한 기입센서펜(SP)의 압입순서가 자음과 모음순 또는 자음, 모음과 자음순 또는 자음, 모음(자음 아래측), 모음(자음 우측), 자음순으로 기입하되, 자, 모음의 획순으로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KR1019900003173A 1990-03-09 1990-03-09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KR93000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173A KR930003167B1 (ko) 1990-03-09 1990-03-09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173A KR930003167B1 (ko) 1990-03-09 1990-03-09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24A KR910017324A (ko) 1991-11-05
KR930003167B1 true KR930003167B1 (ko) 1993-04-23

Family

ID=1929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173A KR930003167B1 (ko) 1990-03-09 1990-03-09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125B1 (ko) * 2003-05-15 2008-02-27 주식회사 엔터기술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125B1 (ko) * 2003-05-15 2008-02-27 주식회사 엔터기술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24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7304B2 (ja) 仮想キーボード
CN101021763A (zh)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CN103235696A (zh) 一种基于具有触摸感应设备的快速拼音输入法及其实现系统
CN207799620U (zh) 一种新型键位布局的键盘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CN103488426A (zh) 一种基于触摸屏的虚拟键盘及输入法
CN105260124B (zh) 六按键汉字及英文触摸屏滑行输入方法
KR930003167B1 (ko)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US8174409B2 (en) Lineographic alphanumeric data input system
CN85100588A (zh) 声韵式全音节同步输入电脑健盘
CN1045496C (zh) 笔画输入的键位分布及其屏幕提示
KR100966142B1 (ko)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10138050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101176280B1 (ko) 투 클릭 모오스코드가 할당된 기본자판 영역내의 터치 또는 다수의 기본자판 영역 간의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JP3099210B2 (ja) 拗音を伴う50音入力装置用キーボード
CN110806835A (zh) 一种用于触摸屏的英文和拼音拼形输入键盘
CN1032939C (zh) 汉字阴阳双极声形码输入系统
JPS623369A (ja) 漢字入出力方法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CN214670487U (zh) 计算机bpmf键盘
JPH0521247B2 (ko)
CN106406558B (zh) 数字键实现双拼、五笔字根输入和配套键盘
JPS60235233A (ja) 漢字を表示する素点画の構成法
JPH08179868A (ja) キー入力装置
JP2592020B2 (ja) 記録または表示用仮名キーを備えた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