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12Y1 -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 Google Patents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12Y1
KR930003112Y1 KR9226147U KR920026147U KR930003112Y1 KR 930003112 Y1 KR930003112 Y1 KR 930003112Y1 KR 9226147 U KR9226147 U KR 9226147U KR 920026147 U KR920026147 U KR 920026147U KR 930003112 Y1 KR930003112 Y1 KR 930003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lock
ice making
making
im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26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노리 모치즈키
히로시게 고니시
Original Assignee
시키 모리야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08444A external-priority patent/KR890004143A/ko
Application filed by 시키 모리야,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키 모리야
Priority to KR9226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제1도는 본원 고안의 제빙용 냉동실의 일실시예를 갖춘 냉동냉장고의 도어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제2도는 본원 고안의 제빙용 냉동실의 다른 실시예를 갖춘 냉장고의 도어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일부확대도.
제6도는 제4도의 횡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평면도.
제8도, 제9도 및 제11도는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10도는 제11도의 사시도.
제12도는 제10도의 횡단면도.
제13도는 다른 고안의 제빙용 냉동실의 일실시예를 갖춘 냉동냉장고의 도어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제14도는 본원 고안의 제빙용 냉동실의 다른 실시예를 갖춘 냉동 냉장고의 도어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종단면도.
제16도는 종래의 제빙용기를 내장한 냉동냉장고의 도어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종단면도.
제18도는 종래의 2중구조의 제빙용기를 나타낸 평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동실 3 : 팬
5 : 냉각기 7 : 팬그릴
12 : 제빙용기 13 : 상제빙접시
14 : 하제빙접시 15 : 격벽
16 : 연통공 17 : 공간부
18 : 간극공간부 19 : 빙괴형성실
20 : 저면 21 : 냉장실
22 : 야채실 23 : 제빙실
24 : 빙온실 25 : 상부 중간간막이
26 : 하부 중간간막이 27 : 세로 중간간막이
28 : 급속제빙접시 29 : 간막이벽
30,54 : 제빙용기 31 : 저빙용기
32 : 제빙실용 분출구 33 : 제빙실용 흡입구
35 : 냉기풍로 38 : 제빙블록
40 : 연통공 41 : 불순물블록
43 : 상부공간 44 : 하부공간
45 : 제1내측벽 46 : 수위면
47 : 제2내측벽 49 : 밀폐공간층
51 : 외주벽 52,55 : 외측벽
53 : 외저벽 56 : 손잡이용 개구
57 : 저전열율층 58,59,60 : 단열벽
61 : 가열원(가열히터)
본원 고안은 가정용 냉장고의 냉동실등에 있어서 간단히 투명하고 맛있는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製氷)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에 관한 것이다.
제16도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57(1982)-120977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냉장고의 도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17도는 그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냉동실, (2)는 냉동실(1)의 하부에 설치한 냉장실, (3)은 이 냉장실(2)의 상부의 냉동실(1)내에 냉기를 분출하기 위한 팬(fan), (4)는 이 팬(3)의 구동용 모터, (5)는 이 모터(4)의 아래쪽에 설치한 냉각기, (6)은 이 냉각기(5)로 냉각된 냉기를 팬(3)에 의해 냉동실(1)내에 분출하여 이 냉기로 제빙하는 제빙접시이고, 이 제빙용기로서의 제빙접시(6)는 단지 주위를 에워싼 측벽과 저면(底面)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7)은 이 제빙접시(6)를 배설한 냉동실(1)의 팬그릴(fan grill), (8)은 이 팬그릴(7)의 상부에 배설된 냉동실용 분출구, (9)는 이 냉동실분출구(8)에서 분출된 냉기로 냉동실(1)내의 제빙접시(6)를 냉각하고, 이 냉기를 냉각기(5)에 흡입하는 냉동실용 흡입구, (10)은 이 냉동실 흡입구(9)에 연통된 풍로(風路), (11)은 이 풍로(10)를 가지며, 제빙접시(6)를 내장하는 제빙코너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기(5)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모터(4)로 구동되는 팬(3)에 의해 냉동실용 분출구(8)로부터 냉동실(1) 내에 분출되어 냉동실(1) 하면에 구성된 제빙코너(11)에 냉기의 일부를 받아들여서, 제빙접시(6)의 주위를 통하여 냉동실 흡입구(9)를 거쳐 냉각기(5)에 되돌아온다. 그리고, 이 순환중의 냉기에 의해 전체 주위로 부터 냉각된 제빙접시(6)에서 제빙이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예의 제빙접시(6)는 다수의 빙괴(氷塊)형성실을 구비한 단일의 제빙접시(6)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냉동냉장고에 사용되는 제빙용기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5(1980)-35438호 공보에 기재된 제18호, 제19도와 같이, 상면개구의 상제빙접시(13)를 외형치수가 약간 큰 하제빙접시(14)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2중구조의 제빙용기(12)가 알려져 있다. 도면중, (19)는 상제빙접시에 형성된 격벽(15)에 의해 다수 형성된 빙괴형성실, (16)은 각 빙괴형성실(19)의 수평의 저면부(20)에 각각 형성된 연통공, (17)은 상기 상제빙접시(13)를 하제빙접시(14)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공간부이다. (18)은 상기 상제빙접시(13)의 빙괴형성실(19)의 격벽(15)의 배면측에 형성된 간극공간부이다.
종래의 냉동냉장고에 사용되는 제빙접시 또는 제빙용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 가정의 수돗물과 같이 클로로칼키 냄새의 근원인 잔류염소 또는 경도분(硬度分)등의 불순물을 함유한 물을 제빙접시로 결빙하면, 이 불순물질은 결빙됨에 따라 미결빙내로 이행하여 최종결빙부에 농축되어 백탁부(白濁部)로 되고, 수질에 따라서는 백탁부가 많은 맛없는 얼음이 제빙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상제빙접시(13) 및 하제빙접시(14)로 이루어지는 2중구조의 제빙용기(12)가 개발되어 있으나, 상제빙접시(13)의 빙괴형성실(19)의 저면부(20)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불순물이 혼합된 물이 빙괴형성실(19)의 연통공(16)에서 아래쪽의 공간부(17)에 집중되지 않고, 빙괴형성실(19)의 저면부(20)에 침적되어 백탁빙으로 되어 버려서, 전술한 문제점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실정에 있다.
그리고, 상제빙접시 위의 각 빙괴주의의 간극에 들어간 물이 결빙된 간극얼음은 하제빙접시의 빙괴의 연결되어 상제빙접시와 하제빙접시를 분리하는데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며, 간극얼음은 상제빙접시의 변형을 저해하므로, 얼음을 떼어내기가 매우 어렵고, 또한 불순물이 충분히 분리되어 있지 않은 간극얼음이 얼음을 떼어낼 때에 상제빙접시의 빙괴에 섞여버리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제19도와 같이 제빙용기를 2중구조로 해도,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종래의 냉동냉장고를 사용하여 제빙하게 되면, 제빙용기는 순환냉기에 의해 전체주위에서 냉각되게 되므로, 상제빙접시(13) 내가 완전히 결빙되기 전에 하제빙접시(14)내로 결빙을 개시한다. 그러므로, 불순물을 가진 최종결빙부가 상제빙접시(13)의 저부근처에 위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수질이 나쁜 물을 결빙해도 불순물질이 농축된 백탁부가 없는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용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2중구조의 제빙용기에 의한 제빙시의 불순물질 분리능력이 충분히 발휘되는 제빙용 냉동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는 주위를 에워싼 제1내측벽과 저면을 가진 제빙블록과, 그 제빙블록의 주위를 에워싼 제2내측벽과 저면을 가진 불순물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제빙블록과 상기 불순물블록을 착탈할 수 있게하고,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과 상기 불순물블록의 저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의 일부에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위의 공간과,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 아래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빙블록 또는 상기 불순물블록에 상기 제빙용기의 최소한 3면을 막는 외측벽을 배치한 것이다.
또한, 본원 고안의 제빙용 냉동실은 상기 제빙용기의 외측벽 대신에 냉동실의 저면에 제빙용기의 최소한 3면측을 막는 벽을 가진 요부를 배설하거나, 가열원(加熱源)을 배열하도록 한 것이다.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에 있어서는 제빙블록의 저면부에 불순물블록측과 연통하는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불순물질을 함유한 물을 제빙블록의 빙괴형성실에 주입한 경우, 물속에 함유된 불순물질은 순수(純水)와 비교하여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모여 저면부의 경사에 따라서 연통공을 통과하여 불순물질이 농축된 백탁부를 하제빙접시 측으로 유도할 수 있어서, 빙괴형성실에서는 투명한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는 연통 2중층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용기의 최소한 3면을 막는 외측벽을, 또한 본원 고안의 제빙용 냉동실은 그 저면에 제빙용기의 최소한 3면을 막는 벽을 가진 요부 또는 가열원을 배설하도록 하였으므로, 제빙용기내에서의 결빙은 확실히 상면으로 부터 결빙하고, 저면측을 최후에 결빙시킬 수 있어서, 불순물을 제외한 순수의 투명얼음을 확실히 만든다.
다음에, 본원 고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제3도는 본원 고안의 제빙용 냉동실의 일실시예를 갖춘 냉동냉장고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1도, 제2도는 도어를 분리한 냉동냉장고의 정면도, 제3도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냉동냉장고를 나타낸 부호 (1)∼(11)은 제16도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21)은 냉장실, (22)는 이 냉장실(21)의 아래쪽에 설치한 야채 등을 넣는 야채실, (23)은 냉장실(21)과 냉동실(1)의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도록 설치한 제빙실, (24)는 제빙실(23)과 좌우로 병설한 빙온실(氷溫室), (25)는 이 병설된 제빙실(23), 빙온실(24)의 상부와 냉동실(1)의 사이에 설치한 상부중간간막이, (26)은 제빙실(23), 빙온실(24)의 하부와 냉장실(21) 사이에 설치한 하부중간간막이, (27)은 이 하부중간간막이(26)의 상부에 설치한 제빙실(23)과 빙온실(24)의 사이에 설치한 세로중간간막이다. (28)은 제빙실(23)의 상부에 위치하는 종래의 제빙용기인 급속제빙접시이고, 그 하부에 간막이벽(29)을 통해 설치되어 있는 (30)은 제빙용기이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막이벽(29) 대신에 저빙(貯氷) 용기(31)를 설치해도 된다.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2)는 급속 제빙접시(28)의 배면의 제빙실용 분출구, (33)은 제빙용기(30) 배면에 위치한 제빙실용 흡입구이다.
그리고, (35)는 간막이벽(29) 또는 저빙용기(31)의 하면과 제빙용기(30)의 상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냉기풍로(冷氣風路)이다. (36)은 제빙실용 분출구(32)에 냉기를 도입하는 덕트(37)를 구성하는 에어가이드이다.
(34)는 냉동실(1)의 저면에 배설되고, 내설(內設)된 제빙용기(30)의 최소한 3면을 막는 벽을 가진 요부이며, 내설된 제빙용기(30)의 측면 및 저면은 요부의 벽에 의해 냉기의 흐름이 방해되므로, 제빙용기(30)는 냉기풍로(35)를 흐르는 냉기에 의해 상면으로부터 냉각된다.
다음에, 이 냉동냉장고의 제빙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냉각기(5)에 의해 냉각된 냉기의 일부는 냉동실(1)의 배면의 팬그릴(7)에 만들어진 냉동실용 분출구(8)로 부터 분출되어 냉동실(1)을 냉각한다. 또, 냉기의 일부는 팬그릴(7)과 에어가이드(36) 사이의 덕트(37)를 통해 제빙실용 분출구(32)에 의해 제빙실(23)에 분출되어 제빙실(23)의 상부에 위치하는 급속 제빙접시(28)를 냉각하고, 간막이벽(29) 또는 저빙용기(31)의 하면과 제빙용기(30)의 상면 사이의 냉기풍로(35)를 통하여 제빙실용 흡입구(33)에서 냉각기(5)로 되돌아가서 냉기가 순환하고 있다. 이와같이 냉기를 순환함으로써 급속 제빙접시(28)는 분출구(32)로부터의 냉기가 급속제빙접시의 측면과 저면을 포함하는 주위를 흐르므로, 전체가 냉각되어 시간도 단축된다. 한편, 제빙용기(30)는 냉동실(1)의 좌우 및 후방의 3면을 벽으로 막은 요부(34)에 내설되어 있으므로, 제빙용기(30)의 주위를 냉기가 흐르지 않으며, 또한 하면은 하제빙접시(41)와 연료재료(48)로 만들어진 공간충(49)에 의해 단열되어 있으므로, 제빙용기(30)는 냉기풍로(35) 내를 흐르는 냉기에 의해 상면부터 서서히 냉각되어 결빙해 간다.
여기서 사용하는 제빙용기는 제18도 및 제19도에 나타낸 종래의 제빙용기(12)를 사용해도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다음에 설명하는 본원 고안에 의한 제빙용기를 사용하면 보다 한층 확실히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얼음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5온도식 냉동냉장고의 제빙실에 급속제빙접시와 제빙용기를 상하로 병설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원 고안의 제빙용 냉동실은 결빙가능한 공간 또는 풍로이면 어떠한 공간풍로구조라도 투명비와 백탁빙을 분리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리고, 상면부터 동결되므로, 물의 동결에 따른 체적팽창을 흡수하기 위해 제빙용기(12)는 폴리에틸렌 등의 가요성 재료로 성형하면 좋다.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제4도∼제7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38)은 주위를 에워싼 제1내측벽(45)과 저면(39)을 가진 독립된 복수개의 블럭의 개구에지를 연속시킨 제빙블록이고, 각 제빙블록(38)의 저면(39)에 복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연통부(40)를 가지고 있다. (41)은 제빙블록(38)의 상부개구부 이외의 외주를 덮어서 제빙블록(38)에서 착탈할 수 있는 불순물블록이며, 제빙블록(38)의 제1내측벽(45)과 면접촉하는 제2내측벽(47)을 가지고 있으며, 면 접속하는 제1내측벽(45)과 제2내측벽(47)으로 2중벽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제빙블록(38)의 저면(39)과 불순물블록(41)의 저면(42)과의 사이에는 농축된 불순물로 된 얼음을 만들기 위한 하부공간(44)이 형성되고, 제빙블록(38)의 저면(39)보다 위쪽에는 불순물이 제거된 얼음을 만들기 위한 상부공간(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내측벽의 주위에는 외주벽(51)이 배설되어 있고, 이 외주벽(51)은 상부가 불순물블록(41)과 이어지는 외측벽(52)과, 외측벽(52)과 이어져서 불순물블록(41)의 저면(42)을 덮는 외저벽(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불순물블록(41)에 있어서 제1내측벽(45)의 높이를 제빙블록(38)의 수위면(46)보다 높게 하여 아래쪽의 하부공간(44)에서 형성된 불순물이 섞인 백탁빙이 독립된 복수개의 얼음의 이빙(離氷)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제빙용기(30)내의 물이 측면이나 저면에서 냉각되어 측면이나 특히 저면측으로부터 결빙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제빙블록(38) 내의 결빙완료 후, 불순물블록(41) 내의 결빙이 완료되도록 불순물블록(41)의 제2내측벽(47), 및 저면(42)의 외측에 제2내측벽(47), 저면(42), 외측벽(52), 외저벽(53)으로 에워싸인 전열율이 낮은 밀폐공간층(4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밀폐공간층(49)과 같은 전열율이 낮은 층으로 불순물블록(41)의 주위를 에워쌈으로써, 농축불순물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얼음의 부분이 제빙용기(30)의 위쪽에 위치하거나, 그 농축불순물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얼음의 부분이 제빙블록(38)의 저면(39)보다 위쪽으로 와서, 농축불순물을 함유하는 얼음을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얼음과 분리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염려가 해소된다. 이 밀폐공간층(49)은 단지 공기층으로 해도 되고, 또한 전열율이 낮은 액체나 기체를 충전해도 된다. 그리고, 이 불순물블록(41)은 제빙블록(38)에 대해 불순물블록(41)의 분리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연질재료로 만드는 것이 좋다.
먼저,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30)의 상면개구 즉 제빙블록(38)의 상면에서 물을 부으면, 물은 상부공간(43)과 하부공간(44)에 고인다. 여기서, 제빙블록(38)의 제1내측벽(45)과 불순물블록(41)의 제2내측벽(47)은 면접촉하고 있어서, 수미상태(水密常態)로 되어 있으므로, 하부공간(44)의 물이 제1내측벽(45)의 외주를 에워싸는 것이 방지되고, 결빙후는 하부공간(44)내의 빙괴는 상부공간(43) 내의 빙괴와 연통부(40)에만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빙블록(38)과 불순물블록(41)은 약간의 힘으로도 분리할 수 있고, 제1내측벽(45) 사이에 변형을 방해하는 빙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빙블록(38)의 비틀림등의 변형을 간단히 할 수 있으므로, 제빙블록(38)의 상부공간(43)내의 빙괴를 떼어내는 것도 간단히 할 수 있고, 얼음을 떼어낼 때 불순물을 함유하는 빙괴가 섞일 염려도 없다.
그리고, 제빙블록(38)의 제1내측벽(45)과 불순물블록(41)의 제2내측벽(47)이 면접촉에 의해 그 부분이 2중 벽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제빙접시의 독립되 제빙블록의 저면(39)에 배설된 복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연통부(40)를 통해 상하로 2개의 공간(43),(44)을 형성하고 있으며, 개방상면으로 부터 서서히 냉각되므로, 제빙블록(38)의 공간(43)으로 부터 결빙이 개시되어 최후로 불순물블록(41)의 공간(44)이 결빙된다. 일반 가정의 수돗물 을 사용하면 잔류염소 또는 경도분 등 불순물질은 제빙중에 미결빙부로 이행하여 최종 결빙부에 농축되어 백탁이 생긴다. 따라서 처음에 결빙된 부분은 불순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손수에 가깝고, 투명하고 맛있는 얼음으로 된다. 따라서, 제빙블록(38)의 공간(43)에 투명한 얼음이 생성되고, 불순물블록(41)의 공간(44)에는 백탁빙이 생성된다.
그리고, 불순물블록(41)의 측벽(45)높이는 제빙블록(38)의 수위면(46)보다 높게 하고, 불순물블록(41)의 얼음을 독립된 하나하나의 제빙블록으로 하였으므로, 종래의 1중구조의 제빙접시와 마찬가지로 제빙접시의 양끝에 힘을 가하여 상제빙접시와 하제빙접시를 동시에 비트는 것만으로 제빙접시가 변형하여 얼음이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상부공간(43)과 하부공간(44)은 연통부(40)만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빙후의 상부공간(43)내의 얼음과 공간(44)내의 얼음은 동시에 분리된다.
제8도는 제4도에 나타낸 밀폐공간층 아래에 다시 전열율이 낮은 층(57)을 배설하도록 한 실시예이며, 냉동고의 저벽으로부터의 냉기가 전달되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9도는 제4도에 나타낸 밀폐공간층을 구성하는 불순물블록(41)측의 제2내측벽(47), 저면(42)과 외주벽(51)측의 외측벽(52), 외저벽(53)을 별개체로 구성한 것이다. 제4도에 나타낸 밀폐공간층(49)을 가진 불순물블록(41)은 제조상 최소한 2공정을 필요로 하지만, 제9도에 나타낸 것은 1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연통부(40)는 구멍 또는 슬릿이 제빙블록(38)의 저면(39)의 전체면에 복수개 있는 편이 상부공간(43)에서 하부공간(44)으로의 결빙시의 불순물의 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런데, 제4도∼제9도에 나타낸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의 일실시예는 제빙용기 자체가 불순물블록을 덮는 공간측을 가지고 있으나, 제4도∼제7도의 제빙용기의 밀폐공기층을 가진 불순물블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2내측벽과 외주벽측을 각각 별개로 만들고, 그 후 양쪽을 접착하는 2공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제8도의 제빙용기는 또 다른 층(57)을 붙인다고 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며, 제9도의 제빙용기는 공정수는 증가하지 않으나, 부품개수를 3개 필요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조공정도 적고, 부품개수도 적은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제10도∼제1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4도∼제6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10도∼제12도에 나타낸 제빙용기의 제4도∼제6도에 나타낸 제빙용기와의 상이점은 외저벽이 없고, 냉동실 내에 내설했을 때 냉동실의 앞면 도어측에 위치하는 외측벽(55)에 손잡이용 개구(56)가 배설되어 있는 것이다. 이 실시에의 제빙용기(54)는 외측벽(55)으로 좌우 양측과 후방의 3면이 막혀 있으므로, 외측벽(55)으로부터 안쪽으로 불순물블록(41)의 제2내측벽(47)의 주위에 위치하는 공간(57)내를 냉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어 있어서, 역시 이 제빙용기에 있어서도 제빙블록(38)의 위쪽부터 냉각되고, 불순물블록이 제일 최후에 결빙되므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빙괴를 확실히 만들 수 있다.
전술한 밀폐공간층을 가진 제빙용기 쪽이 역시 제빙블록(38) 측의 냉각방식과 불순물블록(41)측의 냉각방식의 차는 크지만, 이 제빙용기는 손잡이용 개구(56)를 가지고 있으므로, 냉동실내에의 출입이 매우 용이하고, 제빙블록(38)과 불순물블록(41)의 2부품밖에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점착, 접착 등의 제2공정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제빙블록(38)이 비틀림 등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제빙블록(38) 내의 공간(43)의 빙괴를 떼어내는 것이 간단히 되는 동시에, 불순물블록(41)도 비틀림 등의 변형이 가능하므로, 불순물블록(41) 내의 공간(44)의 빙괴도 간단히 떨어져 나오며, 또한 불순물블록(41)의 빙괴를 식용이 아닌 냉각용으로서의 이용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는 새로운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제빙용기의 외측벽(55)은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소한 불순물블록(41)의 저면(42)의 근방까지 있으면 된다. 또한, 이 제빙용기의 외측벽(55)은 제10도∼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소한 3면에 배설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 제빙용기의 외측벽(55)은 불순물블록(4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빙블록(38)측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전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본원 고안은 어느 것이나 위쪽보다 아래쪽의 냉각방식을 지연시킨 것이나, 다음에 아래쪽으로 적극적으로 열을 공급함으로써, 아래쪽의 결빙을 위쪽의 결빙보다 지연시킨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제13∼제15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1도∼제3도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58),(59),(60)은 요부(34)의 양측면 및 저면을 막은 단열벽이다. (61)은 제빙용기(30)의 저면에 근접한 저벽인 단열벽(60)에 설치된 가열원으로서의 가열히터이다. 제빙용기(30)로서는 제18도 및 제19도에 나타낸 종래의 제빙용기, 전술한 제4도∼제12도의 제빙용기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기(5)에 의해 냉각된 냉기의 일부는 냉동실(1)의 배면의 팬그릴(7)에 만들어진 냉동실용 분출구(8)로 부터 분출되어 냉동실(1)을 냉각한다. 그리고, 냉기의 일부는 팬그릴(7)과 에어가이드(36) 사이의 덕트(37)를 통해서, 제빙실용 분출구(32)에서 제빙실(23)의 상부에 위치하는 급속제빙접시(28)를 냉각하고, 그 귀환냉기는 간막이판(29) 또는 저빙용기(31)의 하면과 제빙용기(30)의 상면 사이의 냉기통로를 통하여, 제빙실용 흡입구(33)에서 냉각기(5)로 되돌아와서 냉기가 순환되고 있다.
이와같이 제빙실(23)의 풍로를 구성함으로써, 급속제빙접시(28)에는 직접 온도가 낮은 냉기가 풍속도 빨리하여 냉각하므로, 제빙시간은 단축된다. 한편, 제빙용기(30)는 비교적 온도가 올라간 귀환냉기가 상면을 통과 하고, 단열벽(58),(59),(60)에 의해 양측면과 저면이 막혀 있는 요부(34)내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제빙용기(30) 상면부터 서서히 완만히 동결되어 간다. 또한, 저면을 가열히터(61)에 의해 단속적으로 일정시간 가열해 줌으로써, 상면부터 서서히 동결시켜 가는 것이 확실해진다.
냉기를 받은 제빙용기(30)는 위쪽의 제빙블록의 상면부터 확실하게 동결되어 가고, 가열히터(61)의 정지후 불순물블록이 동결된다. 즉, 제빙블록의 동결시에 일반 가정의 수돗물 내의 클로로칼키 냄새의 원인인 잔류염소 또는 경도분 등의 불순물질이 미결빙수가 괴어 있는 불순물블록내의 공간으로 이행하여 농축되고, 가열히터(61)로 가열된 불순물블록의 공간이 최후로 동결된다.
이와같이 최후에 동결되는 불순물블록의 공간부분에 불순물질이 석출되고, 얼음속에 들어가서 백탁부가 생기고, 처음에 결빙된 부분은 이들 불순물질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순수의 얼음에 가까워서 투명하고 맛있는 얼음으로 된다. 제빙용기가 약간 변형되어 얼음이 압력으로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5도어의 냉동냉장고의 제빙실에 급속제빙접시와 제빙용기를 상하로 병설하였으나, 제빙용기의 저면근방에 가열원만 있으면 어떠한 풍로구조라도 투명빙과 백탁빙을 분리하는 것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빙용기의 측면에 냉기가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벽(58),(59)은 없어도 된다.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에 있어서는, 제빙블록의 저면부에 불순물블록측과 연통하는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불순물질을 함유한 물을 제빙블록의 빙괴형성실에 주입한 경우, 수중에 함유된 불순물질은 순수와 비교하여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모여서 저면부의 경사에 의해 연통구멍을 통해 불순물질이 농축된 백탁부를 하제빙접시측으로 도입할 수 있어서, 빙괴형성실에 있어서는 투명한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 고안의 제빙용기는 연통2중층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용기의 최소한 3면을 막는 외측벽을, 그리고 제빙용 냉동실은 그 저벽에 연통 2중층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용기의 최소한 3면측을 막는 벽을 가진 요부 또는 가열원을 배설하도록 하였으므로, 제빙용기내에서의 결빙은 확실히 상면부터 이루어지고, 저면측을 최후로 결빙시킬 수 있으며, 불순물을 제거한 순수의 투명빙을 확실히 만들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1)

  1. 주위를 에워싼 제1내측벽과 저면을 가진 제빙블록과, 그 제빙블록의 주위를 에워싼 제2내측벽과 저면을 가진 불순물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제빙블록과 상기 불순물블록을 착탈할 수 있게하고,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과 상기 불순물블록의 저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의 일부에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위의 공간과,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 아래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를 형성한 제방용기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블록의 주위의 최소한 3면을 막는 외측벽을 설치하고, 상기 불순물블록내의 제빙블록을 복수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내측벽과 제2내측벽을 면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불순물블록의 아래쪽을 외측벽과 연속되는 외저벽(外底壁)으로 막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불순물블록의 최소한 저면에 전열율이 낮은 층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전열율이 낮은 층을 밀폐공간층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연통부를 복수의 구멍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연통부를 슬릿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기.
  8. 주위를 에워싼 제1내측벽과 저면을 가진 제빙블록과, 그 제빙블록의 주위를 에워싼 제2내측벽과 저면을 가진 불순물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제빙블록과 상기 불순물블록을 착탈할 수 있게하고,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과 상기 불순물블록의 저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의 일부에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위의 공간과, 상기 제빙블록의 저면 아래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를 형성한 제방용기를 내설하는 제빙용기 냉동실에 있어서, 냉동실의 저면에 상기 제빙용기의 최소한 3면측을 막는 벽을 가진 요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냉동실.
  9. 제8항에 있어서, 제빙용기의 위쪽에 냉기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냉동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의 저면근방의 냉동실의 저벽에 제빙시에 소정시간 가열하는 가열원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냉동실.
  11. 제10항에 있어서, 제빙용기의 위쪽에 냉기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냉동실.
KR9226147U 1987-08-21 1992-12-23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KR930003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26147U KR930003112Y1 (ko) 1987-08-21 1992-12-23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748487 1987-08-21
JP87-207484 1987-08-21
JP87-236603 1987-09-21
JP23660387 1987-09-21
KR1019880008444A KR890004143A (ko) 1987-08-21 1988-07-07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KR9226147U KR930003112Y1 (ko) 1987-08-21 1992-12-23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444A Division KR890004143A (ko) 1987-08-21 1988-07-07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112Y1 true KR930003112Y1 (ko) 1993-05-27

Family

ID=2747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26147U KR930003112Y1 (ko) 1987-08-21 1992-12-23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1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720B1 (en) Clear ice tray
US5375432A (en) Icemaker in refrigerator compartment of refrigerator freezer
CA2638347C (en) Icemaker for a refrigerator
US2774224A (en) Ice cube making refrigerator
GB2208917A (en) Ice making container and ice making freezing compartment
JP2004101028A (ja) 冷蔵庫
KR930003112Y1 (ko) 제빙용기 및 제빙용 냉동실
JPS5817674B2 (ja) 製氷及び製水を行なう冷蔵装置
JP2524811B2 (ja) 製氷用冷凍室
US2971346A (en) Refrigeration
JP3599946B2 (ja) 冷蔵庫
KR101871713B1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3942455B2 (ja) 冷却庫
CN219531319U (zh) 冷藏冷冻装置
JP3119905B2 (ja) 冷蔵庫
KR20000005166U (ko) 냉장고용 제빙 그릇
JP2003279211A (ja) 冷凍冷蔵庫
KR20000001440U (ko) 냉장고용 제빙 그릇
KR200331934Y1 (ko) 냉장고용 제빙용기
JP6557547B2 (ja) 冷蔵庫
JP3983565B2 (ja) 冷却庫
JP2546672Y2 (ja) 噴水式製氷機の製氷室組立体
JP2002156176A (ja) 冷蔵庫
US1736648A (en) Refrigerating plant
JPH0560446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