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056B1 - 수격흡수기 - Google Patents

수격흡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056B1
KR930003056B1 KR1019880009073A KR880009073A KR930003056B1 KR 930003056 B1 KR930003056 B1 KR 930003056B1 KR 1019880009073 A KR1019880009073 A KR 1019880009073A KR 880009073 A KR880009073 A KR 880009073A KR 930003056 B1 KR930003056 B1 KR 93000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e
small diameter
passage
water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590A (ko
Inventor
주우세이 핫도리
도시아끼 요시미
도시오 후꾸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13618U external-priority patent/JPS641869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7591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188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5920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5661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이낙스
Publication of KR89000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16K47/023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for preventing water-hammer, e.g. damping of the valv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 F16L55/052Pneumatic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20Arrangements or systems of devices for influencing or altering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e.g. for damping pulsations caused by opening or closing of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21Discriminating outlet for liquid
    • Y10T137/304With fluid responsive valve
    • Y10T137/3052Level responsive
    • Y10T137/3068Flo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18Surge suppress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격흡수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태양을 도시한 흡수기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도의 흡수기의 작동 설명도.
제 3 도는 종래의 흡수기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흡수기를 구비한 세면기를 도시한 측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흡수기를 확대해서 도시한 측단면도.
제 6 도는 첵밸브의 장착상황의 다른 태양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흡수기를 구비한 탕수혼합수 꼭지를 도시한 평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흡수기의 정면단면도(제 7 도의 A-A선 단면도)
제 9 도는 다른 태양에 관한 흡수기의 평면도.
제10도는 제 9 도의 B-B선 단면도.
제11도는 또 다른 태양에 관한 수격흡수기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7 : 공급관 5 : 중교관
5a : 조인트부 5c, 22, 42, 68 : 소직경관부
6, 36, 63 : 본체부 7, 24, 44, 70 : 압력흡수실
7a, 23, 43, 71 : 주수로 7b : 밸브시이트
9 : 플로우트밸브 20, 41 : 유입부조인트
21, 40 : 유출부조인트 25, 45, 72 : 첵밸브
35 : 탕수혼합수전
본 발명은, 물(水)이나 탕(湯)의 공급관 등에 발생하는 수격현상(water hammer)을 흡수해서, 상기 공급관에 접속된 토수전(吐水栓)이나 지수전(止水栓) 등의 수전(水栓)기구 및 상기 공급관 자체를 보호하도록한, 신규의 수격흡수기에 관한 것이다.
제 3 도는, 종래의 수격흡수기(3)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수격흡수기(3)은, 세면대나 설겆이대 등(도시생략)에 설치된 토수전(도시생략)에 물 또는 탕을 공급하는 배관부분(이하, 물공급관(1)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에 개설된 것으로서, 구(球) 형상케이스(4)와 조인트파이프(2)로 이루어져 있었다. 상기 구형상 케이스(4)내에는 케이스내를 가압실(4A)와 압축실(4b)로 구획하도록 다이아프램(4c)가 착설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압축실(4b)내에는 질소가스가 봉입되어 있으며, 그 내압은 4kg/㎠ 전후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질소가스는 또한 만일 누설하여도 인체에 안전하다고하는 점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또, 상기 가압실(4a)는, 조인트 파이프(2)를 개재해서 상기 공급관(1)에 연통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공급관(1)에 접속된 수전기구(도시생략)등을 급격히 꼭지잠그는 조작을 해서, 공급관(1)내에 이상승압한 충격파가 전파되었을 경우는, 수격흡수기(3)의 가압실(4a)내에 유입되어 있는 물 또는 탕이 다이아프렘(4c)를 압축실(4b)쪽으로 만곡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충격파에 대한 반사파는 발생하지 않고, 수격현상은 해소된다.
종래의 수격흡수기(3)은 물이 충만된 가압실(4a)과, 다이아프램(4c)의 변형을 허용하는 내용적의 압축실(4b)를 구비하고 있으며, 용량이 컸기 때문에, 벽속 등에 배관된 급수관(1)등에 사후에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상기 급수관(1)이 건물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토수전이나 탕수혼합수전등(도시생략)과의 접속부분에 수격흡수기(3)을 장착하는 일이 고려되었으나, 외관상, 극히 나쁘며, 거의 행하여지지 않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격흡수기(3)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즉, 다이아프램(4c)에는 니트릴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압축실(4b)에서의 가스누설방지용의 패킹을 겸하고 있었다. 그러나, 완전한 시일을 기대할 수는 없고, 또 니트 릴고무자체가 질소가스를 미량이나마 투과하는 것이였기 때문에, 약 6개월에서부터 1년정도의 비교적 빠른 주기로, 수격흡수기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얻을 수 없게 되어있었다. 따라서, 그때마다 가스보충을 하거나, 또는 수격흡수기(3) 자체를 교환하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어, 러닝코스트가 높아지고 있었다.
또, 수격흡수기(3)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깊숙한 개소 또는 벽면내부 등의 배관부분 혹은 세면대나 설겆이대 등에 있어서의 하부수납고내의 배관부분 등에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보충작업, 교환작업 등은 극히 귀찮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로서, 질소가스의 보충작업이나 수격흡수 기자체의 교환작업이 불필요하고, 또한 러닝코스트를 불필요화할 수 있는 수격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급수관 또는 급탕관과 온수혼합수전등과의 접속부분에 장착할 수있는 탕수혼합수전용의 신규한 수격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세면대에 적용하는데 호적한 수격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병은, 건물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급수관 또는 급탕관과 온수혼합수전등과의 접속부분에 장착할 수 있는 탕수혼합전용의 신규한 수격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세면대에 적용하는데 호적한 수격흡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물 또는 탕의 공급토에 착설된 물 또는 탕의 유통에 의해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도록 유로단면적이 물 또는 탕의 흐름방향을 향해서 차차로 작게되고, 내경이 가장 작은 최소직경부를 거쳐서 재차 물 또는 탕의 흐름방향을 향해서 차차로 유로단면적이 커지는 부분과, 상기 최소직경부 또는 그근처이고 또한 그것보다 하류쪽의 부분에 있어서 공급로내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압력흡수실과, 이 압력흡수실은 대기에 통하는 통로와, 이 통로에 착설되어 압력흡수실내 방향으로만 공기가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첵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물 또는 탕의 공급로중에 소직경관부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중교관(中絞管)과,상기 중교관의 소직경 관부에 주수로(注水路)를 개재해서 세워설치된 압력흡수실이 형성된 본체부로 구성되고, 이 본체부의 압력흡수실내에는 상기 주수로 와의 연통부주위에 밸브시이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흡수실내에는 상기 밸브시이트에 대응하는 플로우트밸브가 장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중교관의 소직경관부에 테이퍼형상의 짧은 관을 다음과 같이 착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교관내에 유입된 물의 전량이 테이퍼형상 짧은 관내를 통과하도록, 그리고, 테이퍼형상 짧은 관을 물이 통과하므로서 부압이 발생하고, 이 부압이 소직경관부를 개재해서 주수로 전달되도록 소직경관부의 내면과 테이퍼형상 짧은 관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지금, 물 또는 탕의 공급로에, 돌발적승압에 의한 충격파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본체부의 압력흡수실내는, 상기 물 또는 탕의 공급로에 착설된 중교관내가 유통상태에 있을 때는 공기가 충만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중교관내에 도달한 충격파는, 물 또는 탕의 실질적인 흐름으로 되어서 주수로를 거쳐서 상기 압력흡수실내에 유입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파는 흡수되어서 반사파는 발생되지 않고, 수격현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체부의 압력흡수실에 있어서, 중교관내가 유통상태에 있을 때에 실내가 공기로 충만되고 있는 이유는,상기 압력흡수실이, 중교관의 소직경관부에 연통되어 있다는 것이 있다. 즉, 물 또는 탕의 공급로 내가 유통상태에 있을 때는, 이 공급로내와 상기 중교관의 소직경관부내와의 사이에 차압이 발생한다. 당연한일로,소직경관부내의 압력은, 공급로내의 압력에 대해서 부의 상태에 있고, 이 부압상태가, 상기 압력흡수실내로 유입할려고하는 탕 또는 물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압력흡수실은, 돌발적 승압에 의해 충격파에 대해서,항상 흡수준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력흡수실내에 장전되는 플로우트밸브는, 중교관의 소직경관부내가 부압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압력흡수실내의 충만공기를 과잉흡인해버리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이며, 물 또는 탕이 충격파로서 압력흡수실내에 유입할 때에는, 부력에 의해서 이 유입을 저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세면대, 설겆이대 등에 설치된 토수전의 배관부분에 개설되는 수격흡수기로서, 급수관, 지수전, 공급관, 토수전 등에 대한 유입부조인트 및 유출부조인트를 구비하고, 양 조인트사이를 상호연통하는 수로중에 소직경관부가 착설되고, 이 소직경관부의 둘레부에 주수로를 개재해서 압력흡수실이 형성되어 있는 수격흡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탕수혼합수전에 장착되는 수격흡수기로서, 건물벽속 등에 배설된 급수관 또는 급탕관에 접속되는 유입부조인트 및 수전본체에 접속되는 유출부조인트를 구비하고, 양조인트사이를 상호 연통하는 수로중에 소직경관부가 착설되고, 이 소직경관부의 둘레부에 주수로를 개재해서 압력흡수실이 형성되어 있는 수격흡수기를 제공한다. 지금, 혼합수전이나 세면대 등에 설치된 토수전을 급격히 꼭지를 잠그는 조작등을 해서, 수전의 배관부분(예를 들면 물공급관)내에, 돌발적승압에 의한 충격파가 발생하였다고 하자. 상기 물공급관의 내부가 흐르는 상태였을 때는,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압력흡수실내에는 공기가 충만한 상태 또는 공기의 덩어리가 발생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격흡수기의 소직경관부내에 도달한 충격파는, 물의 실질적인 흐름으로 되어서 주수로를 거처서 상기 압력흡수실내에 유입한다. 이 때문에, 상기 충격파는 공기를 압축하는 작용으로 되어서 흡수되고, 반사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격현상은 해소된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수격 흡수기는 중교관(5)와 본체부(6)으로 이루어진다.
중교관(5)는, 물 또는 탕의 공급관(1)의 경로중에 개설되는 것으로서, 그 양관의 단부에는 공급관(1)용의 조인트부(5a), (5a)가 착설되어 있다. 또, 양조인트부(5a), (5a) 사이의 관부중앙부에는, 그 내부에 소직경관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소직경관부(5c)는, 양쪽의 조인트부(5a), (5a)로부터, 그 내경을 테이퍼형상으로 직경을 작게한 것으로서, 상기 물 또는 탕의 공급관(1)의 내경에 비해서, 약 반분정도의 내경으로 죄어든 것으로 되어있다. 상기 소직경관부(5c)에는, 위쪽으로의 분기관부(5b)가 돌설되어 있다 이 분기부(5b)는, 관내면에 암사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부(6)용의 조인트부로 되고 있다.
본체부(6)은 세로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통부(6a)와 하통부(6b)로 분할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통부(6a)는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하통부(6b)와의 결합상태에 의해서 압력흡수실(7)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하통부(6b)에는 상기 중교관(5)의 분기관부(5b)에 나합하는 숫나사단부(6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숫나사단부(6c)의 내부에는 주수로(注水路) (7a)가 뚫려형성되어 있다. 또,이 주수로(7a)에서의 압력흡수실(7)쪽의 개구주위에는, 원추형상의 밸브시이트(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통부(6a)와 하통부(6b)와의 결합상태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압력흡수실(7)내에는, 구형상의 플로우트밸브(9)가 장전되어 있다. 이 플로우트밸브(9)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물에 뜬다.
또한, 상기 본체부(6)의 숫나사단부(6c)와 중교관(5)의 분기관부(5b)와의 나합상태에 있어서, 본체부(6)에 있어서의 숫나사단부(6c)의 하단면에, 미나합에 의한 공동이 형성된다. 이 공동의 내경은, 중교관(5)의 소직경관부(5c)의 내경보다 꽤크며, 그 때문에 상기 소직경관부(5c)의 내경을 실질적으로 대경화하고, 이대로는 부압화 작용을 저감시킬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교관(5)에 있어서의 한쪽단부쪽의 조인트부(5a)에, 테이퍼형상 짧은 관(8)을 삽입하고 있다. 이 테어퍼 형상 짧은 관(8)은, 그 직경이 큰쪽이 중교관(5)의 일단, 즉 물의 유입쪽의 단부에 꽉끼워져 있으며, 중교관(5)에 유입하는 물은, 전체량이 이 짧은 관(8)을 통과한다. 짧은관(8)은, 소직경관부(5c)의 가장 직경이 가늘어진 부분을 통과하는 길이를 가지며, 짧은관(8)의 다른쪽 단부, 즉 직경이 작은 유출쪽의 단부로부터는, 물이 중교관(5)의 유출영역 (5f)으로 유출된다. 짧은관(8)로부터 물이 유출영역(5f)로 유통하면, 영역(5f)에 부압이 발생하고, 이부압은 짧은관(8)의 외주면과 소직경관부(5c)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개재해서 주수로(7a)에전달된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횐색화살표시 A방향을 따라서 물 또는 탕이 흐르토록 장착된다. 제 2 도와 같이, 공급관(1)내에 있어서 물 또는 탕이 비 유통상태에 있을 때는, 본체부(6)의 압력흡수실(7)내에는, 상기공급관(1)의 영역(5f)로부터 화살표시 B와 같이 유입한 물 또는 탕이 전류하고 있다. 공급관(1)에 접속된 수전기구(도시생략)등을 사용해서, 이 공급관(1)내가 물 또는 탕의 유통상태로 되면, 중교관(5)에서는, 그 유출쪽의 조인트부(5a)와 소직경관부(5c)와의 사이에서 차압이 발생하여, 이 소직경관부(5c)가 부압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체부(6)의 압력흡수실(7)내에 당초 유입되어 있던 물 또는 탕은 흡인배출되어, 제 1 도와 같이 플로우트밸브(9)가 주수로(7a)를 폐색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수전기구(도시생략)를 급격히 꼭지 잠그는 조작 등을 해서, 공급관(1)에 돌발적 승압에 의한 충격파가 전파되었다고 하자. 이 충격파는, 물 또는 탕의 실질적인 흐름으로서, 주수로(7a)를 폐색하는 플로우트 밸브(9)를 밀어올려 압력흡수실(7)에 유입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파는 그 세력이 흡수되고, 이 충격파에 대한 반사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액 수격현상은 해소된다.
또한, 다음에 수전기구(도시생략)를 사용하면, 공급관(1)내를 물 또는 탕이 유통하기 때문에, 본체부(6)의 압력흡수실(7)내로부터 물 또는 탕이 흡인배출되고, 상기 수격흡수기는 순시에 리세트상태로 복귀한다.
그런데, 압력흡수실(7)로부터 물 또는 탕이 흡인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압력흡수실(7)내에 필요한 공기까지도 공급관(1)으로 흡인되어 말려들어갈 염려가 있다. 그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6)의 상통부(6a)에 흡기용첵밸브(10)을 장착하였다. 이 첵밸브(10)은, 압력흡수실(7)로부터 물 또는 탕이 흡인배출됨과 동시에, 대략 동일한 양의 외기를 흡입하게되어, 물 또는 탕의 배출로 촉진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테이퍼형상 짧은관(8)이나 첵밸브(10)은, 반드시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체부(6)의 외형상은, 4각기둥형상이나 원반형상이라도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수전기구의 직전부를 포함한, 배관경로중의 어디에 장착해도 좋은 것이며, 수전기구(토출관등), 순간열탕기 또는 온수기 등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짜넣도록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구성 및 형상은, 실시의 태양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제 4 도는, 다른 태양에 관한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를 구비한 세면기(15)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수격흡수기는, 세면기(15)위에 설치된 토수전(16)에 물 또는 탕을 공급하는 배관부분중, 공급관(17)과 지수전(18)과의 접속관을 개설되어 있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를 확대해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한단부쪽에, 지수전(18)과 접속시키기 위한 유입부조인트(21)가 형성되고, 상단부쪽에, 공급관(17)과 접속하기 위한 유출부조인트(20)이 형성되어 있다. 양 조인트(21), (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는, 그 대략 중앙부가 가장 죄어지도록, 상하 양쪽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장죄어진 부분은, 소직경관부(22)로 되어 있다. 이 소직경관(27)에는, 그 내외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형상의 주수로(23)이, 1개 내지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직경관부(22)를 중앙에 개재시켜서 양쪽의 테이퍼부분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일체적 형성부분은, 스테인레스, 황동, 놋쇠등의 내식성 금속재나 고무, 합성수지 등을 사용해서 형성된다.
상기 소직경관부(22)의 외주부에는, 압력 흡수실(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력흡수실(24)는, 상기 소직경관부(22)의 옆쪽으로 팽출해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자형상부분의 상부에는 흡기전용의 첵밸브(25)가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첵밸브(25)의 상부에는, 방진캡(2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첵밸브(25)는, 그 밸브동작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따르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수전(18)과 급수관(19)과의 접속부활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부분에는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를 개재설치할 경우는, 첵밸브(25)의 장착구조를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하면 된다.
본 발명 수격흡수기의 작용을 제 5 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휜색화살표시 C방향을 따라서 물이 흐르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수격흡수기의 소직경관부(22)가 배유수상태에 있을 때는, 압력흡수실(24) 내가 대략 만수상태로 되어있다. 세면기(15) (제 4 도 참조)위의 토수전(16)을 열어서, 소직경관부(22)내가 유수상태로 되었다고 하자. 이때, 급수관(19) 또는 공급관(17)의 내압에 대해서, 본 발명수격흡수기에 있어서의 소직경관부(22)의 내압은 부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압력흡수실(24)내에 충만되어 있던 물은, 소직경관부(22)의 주수로(23)을 거쳐서, 공급관(19)으로 빨려나가게 되는 작용을 받는다. 또 동시에, 압력흡수실(24)내에는 첵밸브(25)를 개재해서 외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해서, 압력흡수실(24)내에는 공기가 충만하게 된다.
지금, 상기 토수전(16)을 급격히 잠그고, 공급관(17)내의 역류방향으로 돌발적승압에 의한 충격파가 전파되었다고 하자. 이 충격파는, 물의 실질적인 흐름으로 되어서, 주수로(23)로부터 압력흡수실(24)내에 유입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파는 그 세력이 흡수되고, 이 충격파에 대한 반사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격현상은 해소된다.
또한, 다음에 토수전(16)을 열면,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소직경관부(22)는 재차유수상태로 되므로, 압력흡수실(24)내도 재차 공기가 충만된 상태로되어, 다음의 충격파의 흡수에 대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장착위치는, 공급관(17)과 지수전(18)과의 사이 (제 5 도 참조)나, 지수전(18)과 급수관(19)와의 사이 (제 6 도 참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급관(17)과 토수전(16)과의 사이(도시생략)라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설치한 급수관(19)이, 그대로 세면기(15)위의 토수전(16)에 접속된 것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급수관(19)의 중간부나 급수관(19)와 토수전(16)과의 접속간등이라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압력흡수실(24)는, 개별적인 통체형상으로 형성해 놓고, 소직경관부(22)의 바깥쪽으로부터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유로에 착설되는 소직경관부(22)의 위치결정이나, 이 소직경관부(22)에 뚫어 형성하는 주수로(23)의 구멍수, 구멍직경 및 위치결정 등도, 물 또는 탕의 공급압 등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가능한 것이다.
제 7 도는, 급수관용의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30) 및 급탕관용의 수격흡수기(31)을 구비한 탕수혼합수전(35)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탕수혼합수전(35)에 있어서, 부호(36)은 수전본체부이고, 부호(37)은 토출관이고, 부호(38)은 토출량 및 토출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버이다.
제 8 도는, 급수관용의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를, 제 7 도중의 A-A선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정면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장방형상의 상자를 비스듬하게 경사지게한 것과 같은 것으로서, 그 내부는, 아래쪽의 유입구부(41a)로부터, 위쪽의 유출구부(40a)에 걸쳐서, 경사한 L자형상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부(41a)는 도면 안쪽을 향해서 연설되어 있으며, 그 연설부분의 외부 구조는, 제 7 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급수관(도시생략)과 접속하기 위한 유입부조인트(41)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유출구부(40a)는,제 8 도의 정면쪽을 향해서 연설되어 있으며, 그 연설부분의 외부구조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본체부(36)과 접속하기 위한 유출부조인트(40)으로 되어있다.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조인트(41), (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는. 경사 L자를 이루고 있는 중에서 굽이치는 하단부분이 가장 죄어지도록, 상하양쪽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이 가장 죄어진 부분은, 소직경관부(42)로 되어있다. 이 소직경관부(42)에는, 그 내외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형상의 주수로(43)이, 1개 내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직경관부(42)를 중앙에 개재형성한 양쪽의 테이퍼부분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일체적형성부분은, 스테인레스,황동, 놋쇠 등의 내식성 금속재외의, 고무,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유입구부(41a)에는, 유량조절 및 정비시의 지수(止水)를 하기 위한 지스밸브(제 7 도의 부호(47) 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소직경관부(42)의 외주부에는, 압력흡수실(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력흡수실(44)는, 상기 소직경관부(42)의 비스듬한 위쪽으로 팽출하여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자형상부분의 상부에는 흡기전용의 첵밸브(45)가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첵밸브(45)의 상부에는, 방전캡(46)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휜색화살표시 D,E방향을 따라서 물이 흐르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소직경관부(42)가 비유수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력흡수실(44)내가 대략 만수상태로 되어 있다. 탕수혼합수전(35)의 레버(38) (제 7 도 참조)를 꼭지여는 조작을 해서, 소직경관부(42)내가 유수상태로 되었다고 하자. 이때, 급수관의 내압에 대해서,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에 있어서의 소직경관부(42)의 내압은 부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압력흡수실(44)내에 충만되어 있던 물은, 소직경관부(42)의 주수로(43)를 거쳐서, 유출구부(40a)에 빨려나가게되는 작용을 받는다. 또 동시에, 압력흡수실(44)내에는 첵밸브(45)를 개재해서 외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해서, 압력흡수실(44)내에는 공기가 충만하게 된다.
지금, 상기 레버(38)을 급격히 꼭지닫는 조작을 하여, 수전본체(36)내의 역류 방향으로 돌발적승압에 의한 충격파가 전파되었다고 하자. 이 충격파는 물의 실질적인 흐름으로 되어서, 주수로(43)로부터 압력흡수실(44)내에 유입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파는 그 세력이 흡수되고, 이 충격파에 대한 반사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격현상은 해소된다.
또한, 다음에 레버(38)을 꼭지여는 조작을 하면,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소직경관부(42)는 재차 유수상태로 되므로, 압력흡수실(44)내도 재차 공기가 충만된 상태로되어, 다음의 충격파의 흡수에 대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유도에 설치하는 소직경관부(42)의 위치 결정이나 이 소직경관부(42)에 뚫어형성하는 주수로(43)의 구멍수, 구멍직경 및 위치결정등도, 물 또는 탕의 공급압 등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구성 및 형상은, 실시의 태양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제 9 도와 제10도는 본 발명의 극히 호적한 태양을 도시하고 있으며, 물 또는 탕의 유입구부(61)과 유출구부(62)를 가진 본체부(63)의 속에 공급로를 형성하는 통수관(64)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 유이브, 유출구부(61), (62)의 근거에 형성된 내주면이 원형의 부분(65), (66)에 관(64)의 양단부가 감합되어 있다. 관(64) 벤튜리관의 구성을 가지며, 물의 흐름방향 G에 대해서 차차로 내경이 작게되는 부분(67)과, 가장 내경이 작은 최소직경관부(68)과, 차치로 내경이 커지는 부분(69)를 갖추고 있다. 본체부(63)의 내부의 관(64)의 바깥주위는 압력흡수실(70)로 되어있으며, 최소직경관부(68)보다도 극히 약간 하류쪽의 부분에 뚫려 형성된 개구(71)에 의해서 압력흡수실(70)과 관(64)의 내부가 연통되어 있다. 본체부(63)에는, 첵밸브(72)가 착설되어 있으며, 통기성의 방진캡(73)으로 씌워져 있고, 이 책밸브(72)는 대기가 압력 흡수실(70)내에 유입하는 것만을 허용하고, 압력흡수실(70)으로부터 본체부(63) 외부로의 유체유출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흰화살표시 G방향을 따라서 물이 흐르도록 장착된다. 상기관(64)가 비유수상태에 있을 때는, 압력흡수실(70)내가 대략 만수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수격흡수기의 하류쪽의 기기(도시하지않음)를 꼭지를 여는 조작을 해서, 관(64)내가 유수상태로 되었다고 하자. 이때, 급수관의 내압에 대해서,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에 있어서의 최소직경관부(68) 또는 그 근처의 하류쪽의 내압은 부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압력흡수실(70)내에 충만되어 있던 물은, 주수로(71)을 거쳐서, 관(64)내에 빨려나가게되는 작용을 받는다. 또 동시에, 압력흡수실(70)내에는 첵밸브(72)를 개재해서 외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해서, 압력흡수실(70)내에는 공기가 충만하게 된다.
지금, 상기 기기를 급격히 꼭지를 잠그는 조작을 해서, 역류 방향으로 돌발적승압에 의한 충격파가 전과되었다고 하자. 이 충격파는, 물의 실질적인 흐름으로 되어서, 주수로(71)로부터 압력흡수실(70)내에 유입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파는 그 세력이 흡수되어, 이 충격파에 대한 반사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수격현상은 해소된다.
또한, 다음에 상기 기기를 꼭지를 여는 조작을 하면, 상기 수격흡수기의 관(64)는 재차 유수상태로되기때문에, 압력흡수실(70)내로 재차 공기가 충만된 상태로 되어, 다음의 충격파의 흡수에 대비하게 된다.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물 또는 탕의 상향으로 흐르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이 설치자세에 있어서 압력 흡수실(70)의 위쪽부분에 책밸브(72)가 배치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 9 도, 제10도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분 또는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또한, 제10도, 제12도에 있어서, 주수로(71)은 최소직경관부(68)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에 의하면, 질소가스 등의 특수기체를 상기 비축해두는 구조는 아니므로, 가스누설 등의 염려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가스누설에 따른 가스보충이나 수격흡수기 자체의 교환도 필요없게 된다. 또, 첵밸브 등의 부속부품을 제외하면 기계적 가동부분은 전혀없기때문에, 고장의 걱정은 거의 없다. 즉,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러닝코스트도 전혀없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수격흡수기는, 압축실내에 충만되어있던 질소가스를 압축시키므로서, 물 또는 탕의 유입중간을 확보하여, 충격파를 흡수하는 것이였다. 그 때문에, 충격파를 흡수하기 위한 압력받는 면적(다이아프램의 면적)을 넓게 필요로하며, 또 압축실에 있어서 질소가스의 압축용적을 충분히 확보해두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상당히 대형의 것으로 되어있었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수격흡수시기는, 압력흡수실내의 공기를, 물 또는 탕과 혼합시키도록 해서, 충격파를 흡수하는 것이므로, 압력흡수실내의 스페이스가, 충격파에 대해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압력흡수실에의 물 또는 탕의 실질적인 흐름으로서 충격파를 흡수한 것이므로, 흡수가능한 압력이 커진다. 따라서, 복수의 토수전이 분기접속된 공급관에 있어서도, 각각의 토수전에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를 부설할 필요는 없으며, 분기전의 본관부분에 1개만 장착해두면 된다. 또 이것을 바꾸어말하면, 1개의 토수전에 대해서 장착하는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는, 극히,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등, 많은 뛰어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 유입부조인트를, 건물벽면속 등에 배설된 급수관 또는 급탕관과 접속하고, 유출부조인트를 탕수혼합수전의 수전본체와 접속하면, 본 발명의 수격흡수기의 외관상은, 탕수혼합수전이 보통갖추는 장착다리와 구분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것을 보는 사람에게 위화감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수격흡수는 이미 설치된 탕수 혼합수전에 대해서도 장착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 급수관쪽에만 장착하거나, 반대로 급탕관쪽에만 장착하거나 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Claims (12)

  1. 물 또는 탕의 공급로에 장착된, 물 또는 탕의 유통에 의해 부압을 발생시키도록 유로단면적이 물 또는 탕의 흐름방향을 향해서 차차로 작아지고, 내경이 가장 작은 치소직경부를 거쳐서 재차 물 또는 탕의 흐름방향을 향해서 차차로 유로단면적이 커지는 부분과, 상기 최소직경부 또는 그 근처이고 또한 그것보다 하류쪽의 부분에 있어서 공급로내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압력흡수실과, 이 압력흡수실은 대기에 통하는 통로와, 이 통로 착설되어 압력흡수실내 방향으로만 공기가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첵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수격흡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내와 압력흡수실을 연통하는 연통로에는, 압력흡수실로부터 공급로내에 물 또는 탕만을 유입시키고, 공기는 유입시키지 않도록 기능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수격흡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플로우트밸브와, 이 플로우트밸브가 착좌하는 밸브시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수격흡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연통로는, 공급로의 관벽에 뚫려 형성된 주수로인 개구를 포함한 수격흡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연통로는, 공급로의 관의 둘레방향으로 뻗는 슬릿형상의 통로를 포함한 수격흡수기.
  6. 물 또는 탕의 공급로속에 소직경관부가 착설되고, 이 소직경관부에 물이 유통할때에 소직경관부에 부압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중교관과, 이 중교관의 소직경관부에 주수로를 개재해서 세워설치되어 압력 흡수실이 형성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압력흡수실내에는 상기 주수로와의 연통부주위에 밸브시이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 흡수실내에는 상기 밸브시이트에 대응하는 플로우트 밸브가 장전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서, 상기 소직경관부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플로우트밸브가 밸브시이트에 착좌하고, 그리고, 상기 공급로속의 수격에 의해 물이 플로우트밸브를 밀어올려서 압력흡수실내에 유입하고, 이것에 의해서 수격이 흡수되는 수격흡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중교관의 소직경관부에 테이퍼형상의 짧은관을 착설하여, 중교관내에 유입한 물의 전량이 테이퍼형상 짧은관내를 통과하도록 하고, 그리고, 테이퍼형성 짧은관을 물이 통과하므로서 부압이 발생하고, 이 부압이 소직경관부를 개재해서 주수로에 전달되도록 소직경관부의 내면과 테이퍼형상 짧은관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게한 수격흡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압력흡수실내에 부압이 발생하면 밸브가 열려서 대기의 상기 흡수실내로의 유입을 허용하는 첵밸브가 착설되어 있는 수격흡수기.
  9. 세면대, 설것이대 등에 설치된 토수전의 배관부분에 개재설치되는 수격흡수기로서, 급수관, 지수전,공급관, 토수전 등에 대한 유입부 조인트 및 유출부조인트를 구비하고, 양 조인트사이를 상호 연통하는 수로속에 소직경관부가 착설되고, 이 소직경관부의 둘레부에 주수로를 개재해서 압력흡수실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등 용의 수격흡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압력흡수실내에 부압이 발생했을 때에 대기가 상기 압력흡수실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첵밸브가 착설된 수격흡수기.
  11. 탕수혼합수전에 장착되는 수격흡수기로서, 건물벽면속 등에 배설된 급수관 또는 급탕관에 접속되는 유입부조인트 및 수전본체부에 접속되는 유출부조인트를 구비하고, 양 조인트사이를 상호 연통하는 수로속에 소직경관부가 착설되고, 이 소직경관부의 둘레부에 주수로를 개재해서 압력흡수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탕수혼합수전용의 수격흡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압력흡수실내에 부압이 발생하였을 때에 대기가 상기 압력흡수실내에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첵밸브가 착설된 수격흡수기.
KR1019880009073A 1987-07-24 1988-07-20 수격흡수기 KR930003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13618U JPS6418698U (ko) 1987-07-24 1987-07-24
JP?62-113618 1987-07-24
JP62-113618 1987-07-24
JP?62-175919 1987-11-18
JP1987175919U JPH0421884Y2 (ko) 1987-11-18 1987-11-18
JP?62-175920 1987-11-18
JP62-175920 1987-11-18
JP17592087U JPH0515661Y2 (ko) 1987-11-18 1987-11-18
JP62-175919 1987-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590A KR890002590A (ko) 1989-04-11
KR930003056B1 true KR930003056B1 (ko) 1993-04-17

Family

ID=2731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073A KR930003056B1 (ko) 1987-07-24 1988-07-20 수격흡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20565A (ko)
EP (2) EP0428237B1 (ko)
KR (1) KR930003056B1 (ko)
DE (2) DE3865910D1 (ko)
ES (2) ES205035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78285T3 (es) * 1989-11-29 1995-12-16 Inax Corp Amortiguador de golpe de ariete.
GB2341421B (en) * 1998-09-09 2002-10-23 John Terrance Crill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luid systems
US6173458B1 (en) * 1999-03-03 2001-01-16 Cambro Manufacturing Company Portable self contained sink and water storage cart
CN101311525A (zh) * 2007-12-14 2008-11-26 庄扶西 具有多样能源输入的水电系统
WO2011097516A2 (en) * 2010-02-04 2011-08-11 Coors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undesired fluid vibration
US20130092278A1 (en) * 2011-10-18 2013-04-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pparatus for improving flow between intersecting passageways
US9441874B2 (en) * 2013-10-15 2016-09-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ter hea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NO337676B1 (no) * 2014-09-12 2016-06-06 Fire Prot Engineering As Sikkerhetsanordning for redusering av fluidtrykkstøt i et fluidrøropplegg
CN104929087B (zh) * 2015-06-22 2017-01-18 西华大学 一种阻尼阻抗式调压装置
NO20150883A1 (en) * 2015-07-07 2016-03-14 Fire Prot Engineering As Safety device for reducing fluid hammer in a fluid piping
CN105909977B (zh) * 2016-06-30 2018-06-22 扬中市众成管路配件有限公司 一种用于仪表的阀件
CN110332367B (zh) * 2019-07-02 2020-12-08 浙江拓真洁具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水渍的水龙头
CN112066260B (zh) * 2020-07-21 2022-05-24 安徽红星阀门有限公司 压力罐
CN114482186B (zh) * 2021-12-31 2023-08-25 河海大学 一种双连通阀多阻抗调压室联合防护的水锤防护结构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6904B (de) * 1966-03-04 1969-06-04 Bleasdale William J Druckstossdaempfer fuer Fluessigkeitsleitungen mit einer eine ein Druckgas enthaltende Kammer begrenzenden Membran
DE34876C (de) * 1885-09-26 1886-03-15 G. RICHERT in Gothenburg, Schweden Vorrichtung zur vermeidung der hydraulischen stösse beim schliessen von ausflusshähnen
US3018799A (en) * 1958-02-20 1962-01-30 Willy B Volkmann Water surge arrester
US3146796A (en) * 1961-10-11 1964-09-01 Wilhem S Everett Fluid pulsation dampener
US3137316A (en) * 1962-05-17 1964-06-16 Wilhelm S Everett Fluid pulsation dampener
DE1253973B (de) * 1963-07-04 1967-11-09 Pulsation Controls Corp Druckstossdaempfer mit Venturiduese fuer Fluessigkeitsleitungen
US3444883A (en) * 1967-02-03 1969-05-20 William M Slaughter Liquid storage system
DE1775217A1 (de) * 1968-07-17 1971-07-22 Rheinisches Metallwerk Gmbh Einrichtung zum Verhindern oder Reduzieren von Druckschlaegen in Leitungsnetzen
DE1924047A1 (de) * 1969-05-10 1970-11-12 Westinghouse Bremsen Und Appba Einrichtung zum Daempfen von Druckschwingungen,insbesondere in hydraulischen Rohrleitungen
JPS521126B1 (ko) * 1969-07-23 1977-01-12
US3942549A (en) * 1974-06-17 1976-03-09 Morris Tobin Water hammer arrestor
CH608873A5 (ko) * 1976-07-20 1979-01-31 Escher Wyss Gmbh
US4344752A (en) * 1980-03-14 1982-08-17 The Trane Company Water-in-oil emulsifier and oil-burner boiler system incorporating such emulsifier
US4518005A (en) * 1982-04-29 1985-05-21 Koomey, Inc. Guided float accum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8237A1 (en) 1991-05-22
ES2050358T3 (es) 1994-05-16
EP0300791B1 (en) 1991-10-30
DE3887351D1 (de) 1994-03-03
DE3865910D1 (de) 1991-12-05
ES2027384T3 (es) 1992-06-01
EP0300791A1 (en) 1989-01-25
US5020565A (en) 1991-06-04
KR890002590A (ko) 1989-04-11
EP0428237B1 (en) 1994-01-19
DE3887351T2 (de) 199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056B1 (ko) 수격흡수기
FI85057B (fi) Blandare med slangstrilmunstycke.
US6192911B1 (en) Venturi injector with self-adjusting port
US4821777A (en) Device for damping pressure surges in pipelines, especially sanitary installations
CA2041497A1 (en) Sanitary fitting
JPS52116931A (en) Aggregate of preventing back flow
MXPA01003511A (es) Alojamiento de valvula mezcladora para grifo con valvulas de retencion y filtros.
JPH04213634A (ja) 給水栓装置
US6059193A (en) Fitting housing device for a water heater
JPS5944547B2 (ja) 自動止水栓
JPH0421884Y2 (ko)
JPH08145236A (ja) 逆圧減衰弁
US3565112A (en) Means for water conditioning
US3704857A (en) Water flow silencing means
JPH0515661Y2 (ko)
JPH09257140A (ja) 逆圧減衰弁
KR200267751Y1 (ko) 정유량제어밸브
RU38883U1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бокового отвода трубопровода
KR910000904Y1 (ko)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KR200207071Y1 (ko) 서드 세척 효율성을 갖는 고압 세척 장치
KR950010481Y1 (ko) 유니온 조인트(union joint)겸용 첵 밸브(check valve)
JPH08284219A (ja) 水撃吸収機能付き水栓
JPH0430470Y2 (ko)
KR200322082Y1 (ko) 수도와 저장수조의 용수 자동 개.폐장치
RU1813853C (ru) Насадка к водопроводному кран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