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04Y1 -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904Y1
KR910000904Y1 KR2019880001669U KR880001669U KR910000904Y1 KR 910000904 Y1 KR910000904 Y1 KR 910000904Y1 KR 2019880001669 U KR2019880001669 U KR 2019880001669U KR 880001669 U KR880001669 U KR 880001669U KR 910000904 Y1 KR910000904 Y1 KR 910000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ose connector
leakage
inle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818U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19880001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904Y1/ko
Publication of KR890017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3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4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by means of a signalling fluid enclosed in a doubl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종단면도로써, (a)는 가스의 미세한 누출도 없는 상태, (b)는 가스가 미세하게 누출되는 상태, (c)는 가스를 조금 사용하는 상태, (d)는 가스를 많이 사용하는 상태, (e)는 가스가 역류되는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체 1´: 통로
2 : 투명몸체 3 : 입구호오스연결구
3´: 가스유입파이프 4 : 내통
5 : 외통 6 : 연동캡
7 : 공간 8 : 흡입액실
9 : 출구호오스 연결구 10 : 투명액체
본 고안은 LPG 또는 도시가스를 사용함에 있어 본 장치의 출구측을 포함하여 그 이후에 설치된 모든 부분에 대한 가스의 미세한 누출여부와 그 흐름의 양을 별도의 조작 없이 수시로 육안으로 확인 점검할 수 있게 한 가스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각종 가스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가스누출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확인시 호오스와 콕크의 연결 부분에 비누물을 약간 칠하여 비누거품이 발생하면 가스가 누출되고 있다고 판별하였으나, 이는 검사 방법이 번거롭고 또 부분적인 검사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잘 이용하지 않고 있어 종종 가스누출에 의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스파이프가 옥내로 배관되는 지점에 설치하여 가스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가스의 누출여부를, 가스의 사용시는 가스의 유출량을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구호오스연결구(3)와 일체로 된 가스유입파이프(3´)를 통로(1´)가 형성된 하부체(1)에 결합하고 내통(4)과 외통(5)으로 형성된 연동캡(6)의 내통(4)에 통공(4´)을 형성하여 가스유입파이프(3´) 내경과 내통(4)의 외경사이에 미세한 공차의 공간(7)을 만들어 삽입하며 외통(5) 내경과 가스유입파이프(3´) 외경사이에 흡입액실(8)을 만들고 출구호오스연결구(9)가 결합된 투명몸체(2)를 하부체(1)와 결합시켜 투명몸체(2) 내부에 투명액체(10)를 일정량 넣어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1”은 가스용기 “12”는 가스기기 “13”은 콕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이 실내로 들어온 입구에 수직으로 설치하며 입구에 연결된 호스를 입구호오스연결구(3)에 결합하고 출구호오스연결구(9)는 가스콕크와 가스기기(12)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본 고안의 출구측을 포함한 그 이후의 어느 부분에서도 미세한 가스의 누출이 없을 경우에는 제4a도와 같이 입구호오스연결구(3)의 가스압력과 출구호오스연결구(9)의 가스압력이 같게 되어 연동캡의 무게에 의하여 연동캡은 액속에 잠겨진 상태로 정지하여 있다.
이런 상태에서 미세한 가스의 누출이 있을 경우 제4b도와 같이 가스는 연동캡(6)의 내통(4)외경과 가스유입파이프(3´)의 내경사이에 생긴 미세한 공차의 공간(7)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흡입액실(8)을 지나 하부체(1)의 통로(1´)를 지나면서 투명액체(10)를 연동캡(6) 외통(5) 밑바닥까지 밑으로 밀어내고 끝부분에서 액속의 기포로 변하여 위로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통로(1´)를 형성하지 않으면 연동캡 외통 끝부분의 어느 곳에든 불규칙적으로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만일 뒷부분에서 기포가 발생하면 앞쪽에서 기포발생 유두가 쉽게 확인할 수 없게 되어 앞쪽에 통로(1´)를 형성하여 주므로 항상 앞쪽의 통로(1´)에만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미세한 공간(7)으로는 가스가 다량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제4c도와 같이 출구호오스연결구(9)측 가스압력이 입구호오스연결구(3)측 가스압력보다 현저히 낮게 되고 그 압력의 차이로 인하여 내통(4)을 위로 밀어 연동캡(6)을 올리면 내통(4)의 통공(4´)이 가스유입파이프(3´) 상단에서 열리면서 가스는 흡입액실(8)을 지나 투명 액체를 거치지 않고 투명몸체(2) 내부를 통해 출구호오스연결구(9)쪽으로 유출된다.
또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스를 더 많이 사용하면 입구호오스연결구(3)측과 출구호오스연결구(9)측 가스압력 차이가 더 많아지고 제4d도와 같이 연동캡(6)을 더 위로 밀어 올리게 되며 내통의 통공(4´)은 가스유입파이프(3´) 상단에서 더 열리게 되어 가스유출을 더 많이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후 가스를 사용하지 않으면 입구호오스연결구(3)측과 출구호오스연결구(9)측의 가스압력은 같아지고 연동캡(6)은 무게에 의하여 제4a도와 같이 복원되는 것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 가스의 유입이 출구호오스연결구(9)측에서 입구호오스연결구(3)측으로 역류되는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출구호오스연결구(9)측에 연결된 가스기기(12)를 완벽하게 잠그고 입구호오스연결구(3)측에 연결된 가스용기(11)의 코트를 완벽하게 잠겼을 경우라 하더라도 출구호오스연결구(9)측 가스기기(옥내설치) 및 호스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고 입구호오스연결구(3)측 가스용기(옥외설치)의 호오스 내부는 기온이 떨어진다고 할 경우 온도차이로 인한 가스수축으로 인하여 출구호오스연결구(9)측 보다 입구호오스연결구(3)측의 가스압력이 낮아지므로 그 차이만큼 역류하게 되고 또 입구측에 연결된 호오스를 뽑을 경우에도 출구호오스연결구(9)측 보다 입구호오스연결구(3)측의 가스압력이 낮아지므로 가스가 조금 역류한다.
본 고안은 가스가 역류를 할 경우에도 투명몸체(2)속에 투명액체(10) 유실을 막는 것으로써 제4e도와 같이 출구호오스연결구(9)에서 가스가 역류하여 유입되어도 가스가 유입되면서 투명몸체(2) 저면에 모여 있던 투명액체(10)를 하부체(1) 통로(1´)를 따라 흡입액실(8)내로 밀어넣고 연동캡(6)의 밑바닥 끝부분에서 기포로 변하여 흡입액실(8)을 통과하고 다시 미세한 공간(7)을 지나 입구호오스연결구(3)쪽으로 유입되나 투명액체(10)는 흡입액실(8)내부에 머무르게 되고 가스유입파이프(3´)내에도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가스의 미세한 누출은 투명액체속의 기포로 나타나고 가스기기의 사용중 유출량은 연동캡의 상승높이에 따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입구호오스연결구(3)와 일체로 가스유입파이프(3´)를 통로(1´)가 형성된 하부체(1)에 결합하고 내통(4)과 외통(5)으로 구분된 연동캡(6)의 내통에 통공(4´)을 형성하여 가스유입파이프와 미세한 공차의 공간(7)을 만들어 삽입하며 흡입액실(8)을 만들고 출구호오스연결구(9)가 결합된 투명몸체(2)를 하부체와 결합하고 내부에 투명액체(10)를 약간 주입하여서 된 가스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KR2019880001669U 1988-02-11 1988-02-11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KR910000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669U KR910000904Y1 (ko) 1988-02-11 1988-02-11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669U KR910000904Y1 (ko) 1988-02-11 1988-02-11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818U KR890017818U (ko) 1989-09-08
KR910000904Y1 true KR910000904Y1 (ko) 1991-02-13

Family

ID=1927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669U KR910000904Y1 (ko) 1988-02-11 1988-02-11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9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818U (ko) 198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565A (en) Water hammer absorber
KR840006519A (ko) 플로우트 밸브
US2916042A (en) Float ball check valve
KR910000904Y1 (ko) 가스 누출 및 유출 점검장치
US6026842A (en) Float activated shutoff valve
ATE344898T1 (de) Druckentlastungsvorrichtung
KR102392031B1 (ko) 가스기구용 중간밸브
US2595937A (en) Water supply inlet means for toilet flush tanks
KR200480120Y1 (ko) 타이어 보수 리퀴드 캔
US3942549A (en) Water hammer arrestor
US7025079B1 (en) Air bleed-off valve
US2270447A (en) Tank testing device
KR910000906Y1 (ko) 가스누출 및 유출량 점검장치
CN217458813U (zh) 一种防漏水的吸油烟机水箱安装结构及吸油烟机
US752453A (en) Hebee a
US6223771B1 (en) Overfill prevention device for liquefied gas tanks
US1943805A (en) Valve
TWI673435B (zh) 泵浦水機身改良結構
CN211600659U (zh) 一种受限空间使用的窄通道排水装置
KR900000447Y1 (ko) 가스사용상태 감시기
CN2434492Y (zh) 检漏式燃气阀
US2696218A (en) True level flow pickup
JPS5854704Y2 (ja) 気体検知器
RU2110004C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422262A (en) Cathet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