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656B1 -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 Google Patents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56B1
KR930002656B1 KR1019890012070A KR890012070A KR930002656B1 KR 930002656 B1 KR930002656 B1 KR 930002656B1 KR 1019890012070 A KR1019890012070 A KR 1019890012070A KR 890012070 A KR890012070 A KR 890012070A KR 930002656 B1 KR930002656 B1 KR 930002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magnetic pole
color
brown tub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954A (ko
Inventor
미치오 츠키이
쿠니오 시마다
에이이치 니시야마
다쿠미 카라사와
후미아키 요나이
히로시 요시오카
다카시 아토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69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30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84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308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69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3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69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3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16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897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90000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4Arrangements for centr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편향요크부분의 확대 측면도
제3도는 편향요크의 깔때기부쪽에 위치된 고정수단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고정수단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사시도
제5도는 어댑터의 배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편향요크와 어댑터의 결합부의 사시도
제8도는 마그네트장치의 부분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마그네트장치의 좌측면도.
제10도는 넥부 장착부재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넥부 장착부재의 측면도
제12도는 자극편홀더의 평면도
제13도는 제9도의 XIII-XIII선 단면도로서, 넥부 장착부재와 자극편홀더와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14도(a) 내지 제17도(c)는 자극편의 착자상태와 전자빔의 이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4도(a) 내지 제14도(h)는 8개의 자극편을 가진 제1실시예의 설명도
제15(a) 내지 제15도(c)는 6개의 자극편을 가진 제2실시예의 설명도
제16도는 6개의 자극편을 가진 제3실시예의 설명도
제17도(a) 내지 제17도(c)는 상기 제2실시예의 6개의 자극편을 대칭으로 배치한 경우의 설명도
제18도(a)는 4개의 자극편을 가지고, 시트형상 마그네트와 함께 사용된 제4실시예의 설명도
제18도(b)는 제18도(a)의 자극편과 시트형상마그네트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를 설명하는 도면
제20도는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의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
제21도(a) 및 제21도(b)는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보정용 마그네트에 의한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
제22도는 마그네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제22도의 XXII-XXII선 단면도
제24도는 편향요크와 마그네트장치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러브라운관 1a : 깔때기부
1b : 넥부 2 : 편향요크
2a : 요크장착부재 3 : 마그네트 장치
4 : 어댑터 4K : 암나사부
5 : 탭볼트 5b : 중심구멍
5d : 슬릿 5g : 드라이브용 홈
5h : 구멍 6 : 선단패드
7, 16 : 클램프밴드 8 : 클램프스크루
9A, 9B : 활형상미스콘버젼스보정용 마그네트
10 : 넥타장착부재 10b : 클로
10c : 절연부 10d : 슬릿
10e : 클램프설편부 11 : 록링
12 : 마그네트링 14, 14A∼14H : 자극편
15, 22 : 자극편홀더(자극편지지수단)
15a : 부 15b : 내벽
17 : 클램프볼트 18b, 18g, 18r : 전자빔
21 : 시트형상마그네트 22a : 자극편삽입구멍
본 발명은 컬러브라운관의 스태틱 콘버젼스(정집중) 및 퓨리티를 외부로부터의 착자에 의해서 조정하기위한 마그네트장치를 갖춘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에 관한 것이다.
스태틱 콘버젼스의 조정이라 함은 적(R), 녹(g), 청(b)의 순서로 나란히 배열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3개의 전자빔이 컬러브라운관 중심에서 1점으로 겹치도록 조정되는 것이다.
퓨리티의 조정이라 함은 새도 마스크를 통과한 전자빔의 스폿이 형광발광체의 화소와 가능한 한 작은 편차로 겹치도록 조정되는 것이다.
컬러브라운관에 있어서는 부품의 오차나 제조상의 불일치를 흡수하기 위하여 스태틱 콘버젼스와 화면중앙부에서의 퓨리티를 조정하기 위한 마그네트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마그네트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51-45936호 공보(RCA코오포레이숀에 의해서 1972년 6읠 10일 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2,4 또는 6극으로 미러 착자된 복수의 마그네트 링을 컬러브라운관의 넥(neck)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들 마그네트 링을 회전시켜서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부품수가 매우 많고, 또 각각의 마그네트링을 정밀하게 착자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 또, 조정은 고도의 숙련자에게 의뢰할 필요가 있어 단시간에 조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미국특허제 3,725,831호, 제4,138,628호, 제4,159,456호 및 제4,162,470호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륨페라이트시트(Sheet)를 넥부주위에 직접 감고, 이것을 타이밴드 등을 사용해서 고정하고, 상기 바륨페라이트시트의 복수개소에 제어된 소정의강도로 착자하고, 소망의 보정을 실현하는 실자계를 발생시키도록 다극 착자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착자용의 마그네트부재로서 바륨페라이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자속밀도의 온도변화량이 -0.2%/℃로 커서, 넥부 및 캐비닛의 온도상승에 의해서 특성이 변하여, 스태틱 콘버젼스변화가 크고, 또 작은 문자를 표시할 경우에 필요로 하는 온도특성을 고정밀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온도특성이 뛰어난 희토류코발트나 Fe-Cr-Co계 등의 마그네트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마그네트재는 종래의 마그네트재와 달리 플렉시 불한 시트형상재료는 얻을 수 없고 일체형의 구조는 더욱 곤란하다. 또 일체화해도 재료의 투자율이 높기 때문에 조정에 필요한 자계분포를 얻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것에 의거하여, 복수개의 독립된 자극편을 넥부 주위에 배치하여 착자량을 조정해서 스태릭 콘버젼스 및 퓨리티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종래의 편향요크의 고정은 컬러브라운관의 깔때기부의 외주부와 편향요크의 안쪽 상이에 쐐기를 삽입함으로써 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는, 도쿄 시바우라전기(주)에 의해서 1974년 10월 25일자 출원된 일본국 실개소 51-55224호, 덴키온쿄오(주)에 의해서 1975년 8읠 29일자 출원된 일본국 실개소 52-33215호, 덴키온쿄오(주)에 의해서 1975년 11읠 17일자 출원된 일본국 실개소 52-68118호, 덴키온쿄오(주)에 의해서 1975년 12월 l4일자 출원된 일본국 실개소 52-66517호 및 마쓰시다덴기(주)에 의해서 1977년 5월 23일자 출원된 일본국 특개소 53-144620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쐐기를 삽입하는 방법은 쐐기삽입시에 편향요크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콘버젼스 및 퓨리티의 조정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스태틱 콘버젼스 및 퓨리티의 온도특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조정을 위한 자극의 위치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고, 또 외부로부터 착자할 수 있고, 착자량에 의한 자극간의 영향이 없으며 착자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마그네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편향요크의 위치어긋남이 적고, 또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는 편향요크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목적은 복수의 자극편을 링형상의 자극편홀더(자극편지지수단)에 원주형상으로 고정하고, 이 자극편홀더를 다른 미세조정용 마그네트링 등과 함께 넥부 외경부에 고정하여, 전자빔의 어긋남의 형태에 따라서 외부에 설치된 착자기에 의해 극성과 착자량을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목적은 편향요크의 깔때기쪽 또는 상기 편향요크의 깔때기쪽 외주에 고정된 어댑터에 깔때기부와 대략 수직으로 3개 이상의 암나사(니트)부를 배치하고, 상기 암나사부에 탭볼트를 조임으로써 달성된다.
이 탭볼트는 깔때기쪽에 쿠션재로서의 탄성재로 조임으로써, 이 탄성재가 깔때기 외벽을 압압하도록 되어있다.
먼저, 편향요크의 넥부쪽을 종래와 마찬가지로, 예를들면 클램프밴드와 클램프스크루로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탭볼트를 토크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키면, 탭볼트의 선단부가 깔때기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압한다. 즉, 넥부쪽의 클램프부와 탭볼트의 선단부로부터 인가된 압압력에 의해서 편향요크를 컬러브라운관의 깔때기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태틱 콘버젼스 및 퓨리티조정을 넥부에 설치된 자속변화의 온도계수가 적은 복수개의 독립된 자곡편에 의해서 행하므로, 브라운관의 온도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 자극편의 착자는 R, G, B 전자빔의 어긋난 상태에 따라서 착자의 극성과 강도가 외부에 설치된 착자기에 의해 제어되어서 자동적으로 착자가 행해진다. 이로 인해서 종래의 수동조정이 자동화 되었다.
편향요크의 고정에 대해서는 편향요크쪽에 설치된 3개 이상의 탭볼트의 선단에 의해서 깔때기부의 외주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압함으로써, 편향요크의 고정이 행해지므로, 편향요크의 위치어긋남이 적어져서 스태틱 콘버젼스 및 퓨리티의 조정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탭볼트의 조임은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수동작업에 의한 쐐기의 고정 작업은 폐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브라운관(1)에는 편향요크(2)와 스태틱 콘버젼스 및 퓨리티를 조정하기 위한 마그네트장치(3)가 장착되어 있다. 먼저, 편향요크(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후 마그네트장치(3)의 구조에 대해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편향요크(2)의 요크장착부재(2a)의 깔때기부(1a)쪽의 외주부에는 어댑터(4)가 고정되어 있다. 어댑터(4)는, 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의내경이 요크장착부재(2a)의 외경보다도 작고 또한 깔때기부(1a)에 삽입되는 크기의 깔때기부삽입구멍을 가지고, 그 어댑터(4)의 측면에는 요크장착부재(2a)의 측면(2b)(제7도 참조)과 결합하는 8개의 클로(claw)(4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요크장착부재(2a)에는, 어댑터(4)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4d)가 들어가는 위치결정용 절결홈(2C)(제7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결홈(2C)에 돌기부(4d)를 맞추어서 어댑터(4)를 요크장착부재(2a)에 압압하면, 클로(4C)의 테이퍼부가 요크장착부재(2a)의 외주부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클로(4C)의 선단부가 요크장착부재(2a)의 측면(2b)에 위치하면, 클로(4C)가 탄성적으로 복귀해서 측면(2b)과 결합한다. 즉, 클로(4C)가 측면(2b)에 결합함으로써 어댑터(4)는 요크장착부재(2a)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또, 돌기부(4d)가 절결홈(2C)에 들어감으로써 요크장착부재(2a)에 대해서 어댑터(4)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회전방향이 위치결정된다. 또, 리브(4f)의 내측면에는 요크장착부재(2a)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결합해서 요크장착부재(2a)의 비틀림, 외주부의 어긋남을 흡수하는 돌기부(4i)가 형성되어 있다. 또, 어댑터(4)의 외주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정기기에 부착, 고정할 때에 컬러브라운관(1)과 편향요크(2)를 위치결정가는 위치결정용 노치(4j)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4f)에 의해서 보강되어서 어댑터(4)에 형성된 4개의 지지체(4e)에는 암나사부(4k)가 배치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4k)의 측면은 깔때기부(1a)의 외면접촉부와 대체로 수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4e)의 암나사부(4k)에는 탭볼트(5)가 조여진다. 탭볼트(5)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부가 상기 암나사부(4k)에 나사결합하는 숫나사부(5a)로 되어 있고, 중심에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한 중심구멍(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선단부(5c)에는 상기 중심구멍(5b)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슬릿(5d)이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5c)에는 고무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선단패드(6)가 압입되어 있다. 또,선단부(5c)쪽의 외주에는 접착제에 의한 고정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베벨부(5e)가 형성되고, 이 베벨부(5e)에는 상기 슬릿(5d) 사이에 슬릿(5f)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슬릿(5d)은 슬릿(5f)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가 슬릿(5d)(5f)를 통해서 베벨부(5e)의 하부전체에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 탭볼트(5)의 후단부에는 토크드라이버등이 삽입되는 드라이브용 홈(5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중심구멍(5b)의 중간부에는 직각으로 구멍(5h)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편향요크(2)의 컬러브라운관(1)에의 고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단패드(6)가 부착된 탭볼트(5)의 숫나사부(5a)를 지지체(4e)의 암나사부(4k)에 나사 결합시켜서, 미리 탭볼트(5)를 어댑터(4)에 부착해둔다.
편향요크(2)의 위치조정을 완료한 후, 편향요크(2)의 넥부(1b)쪽을 종래와 마찬가지로 클램프밴드(7)와 클램프스크루(8)로 고정한다. 다음에 지지체(4e)에 부착된 탭볼트(5)의 드라이브용 홈(5g)에 토크드라이버등을 삽입해서 탑볼트(5)를 회전시키면, 선단패드(6)는 깔때기부(1a)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압된다. 이 경우, 선단패드(6)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깔때기부(1a)와의 밀착성이 좋다. 즉, 넥부(1b)쪽의 클램프부와 탭볼트(5)의 선단패드(6)에 인가된 압력에 의해 편향요크(2)에 컬러브라운관(1)의 깔때기부(1a)에 고정된다.
다음에, 중심구멍(5b)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를 외력으로 압입한다. 이경우, 중심구멍(5b)에 주입된 접착제는 슬릿(5d)을 통해서 베벨부(5e)내로 들어가서 슬릿(5f)쪽으로 흐른다. 여기에서, 슬릿(5d)과 슬릿(5f)은 위치가 어긋나 있으므로 베벨부(5e)내에 접착제가 충전되기 때문에 슬릿(5f)을 통해서 외부로 접착제가 홀러나온다. 따라서, 베벨부(5e)는 깔때기부(1a)에 밀착한 상태가 되어, 편향요크(2)는 탭볼트(5)에 의해서 깔때기부(1a)에 고정된다. 또 중심구멍(5d)에 충전된 접착제의 일부는 중심구멍(5d)의 중간부에 형성된 구멍(5h)을 통해서 나사부(4k)(5a)에 흐르므로, 나사부(4k)(5a)의 역회전동에 의한 위치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댑터(4)에 4개의 암나사부(4k)가 형성되고, 4개의 탭볼트(5)를 이 암나사부(4k)에 장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암나사부(4k)는 3개 이상이면 고정기능은 충분하다. 또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댑터(4)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요크장착부재(2a)자체에 암나사부(4k)를 형성해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어댑터(4)를 사용하면, 종래의 편향요크(2)도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선단패드(6)은 방사되는 X선에 대해서 변질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계 고무를 사용하고 있다.
또, 편향요크장착부재(2a)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용 마그네트(9)(9A, 9B)가 넥부(1b)에 대하여 대칭으로 1개씩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마그네트장치(3)를 제8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브라운관(1)의 넥부(1b)에 장착되는 플라스틱 등의 전기절연재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넥부장착부재(10)가 있고, 이 넥부장착부재(10)는 칼라부(10a)를 가지고, 이 칼라부(10a)에 대하여 편항요크(2)쪽에는 2매로 이루어진 고정용 록링(11)과, 스페이서(13A)와, 재조정용 마그네트링(12)과, 스페이서(13B)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록링(11) 및 마그네트링(12)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13A)(13B)는, 록링(11)이 클램프되었을 때의 마그네트링(12)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13A)(13B)의 내부의 일부를 블록하게 형성하고, 넥부장착부재(10)에 오목하게(제11도의 (10h))형성하여, 마그네트링(12)이 관측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나,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넥부장착부재(10)의 선단부 외주에는 스태틱 콘버젼스 및 퓨리티를 조정하기 위하여 착자된 복수개의 자극편(14A)∼(l4H)이 원주형상으로 매립된 플라스틱등의 전기절연재로 이루어진 자극편홀더(자극편지지수단)(15)가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자극편(14A)∼(14H)은 자속밀도의 온도변화가 작은 것이 필요하고, 그 재료로서는 Fe-Cr-Co를구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희토류원소와 Co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등이 있다. 이들 자석재는 착자후 자속밀도의 온도변화가 -0.03%/℃로서,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재질에 비하여 약 1/10로 작다. 이 때문에, 작동중에 넥부(1b)의 온도가 상승해도 자속밀도의 변화가 작아, 스태틱 콘버젼스 및 퓨리티의 조정량의 변화는 실용상 무시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는 보자력이 300∼800Oe이므로, 착자의 강도를 제어하기가 용이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는 자극편(14A)∼(14H)으로서는 가장 적당하다.
또, 자속밀도의 온도변화가 작은 자극편(14A)∼(14H)은 희귀금속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값이 비싸나, 각자극편(14A)∼(14H)은 체적이 작고 미소량 사용하기 때문에, 값싸게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극편(14A) ∼ (14H) 의 크기는 예를들면, 3.5mm
Figure kpo00001
× 7mm이다.
이하, 넥부장착부재(10)에 상기 자극편홀더(15)를 장착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극편홀더(15)에는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자극편(14A)∼(14H)사이의 자극편홀더(15)에 홈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넥부장착부재(10)에는 제11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5a)와 결합하는 클로(10b)가 형성되고, 또 이 클로(10b)사이, 즉 자극편(14A)∼(14H)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절연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넥부(1b)의 관벽과 자극편과의 사이에 절연부(10C)가 형성되어 있으면, 자극편이 전기적으로 접지상태가되어도, 넥부(1b)의 내벽에 인가된 고전압과 접지전위와의 사이에 전위차가 절연부(10C)에 의해 완화되어 넥부의 관벽파괴는 방지된다. 또, 클로(10b)가 탄성을 가지고 안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클로(10b)와 절연부(10C) 사이에는 축방항으로 슬릿(10b)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넥부장착부재(10)의 클로(10b)쪽으로부터 자극편홀더(15)를 압압하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극편홀더(15)의 내벽(15b)에 의해 클로(10b)가 안쪽으로 구부러지고, 클로(10b)가 홈부(15a)에 위치하면 클로(10b)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복귀하고, 자극편홀더(15)는 칼라부(10a)와 클로(10b)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넥부장착부재(10)에 고정된다. 넥부장착부재(10)의 자극편(14A)∼(14H)에 대응하는 절연부(10C)는 장착기능이 없으므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연부(10C)의 외경(d
Figure kpo00002
)은 넥부장착부재(10)의 삽입 외경(D
Figure kpo0000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연부(10C)의 직경을 작게 형성한 만큼 자극편(14A)∼(14H)을 넥부(1b)의 관벽에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넥부장착부재(10)에 있어서 자극편홀더(15)가 장착되는 쪽과 반대쪽에는 클램프설편부(10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램프설편부(10e)의 양쪽에는 슬릿(10f)이 형성되어 있어, 이 클램프설편부(10e)가 탄성을 가지도록 되어있다. 또, 이 클램프설편부(10e)는 클램프밴드(16)와 클램프볼트(17)에 의해서 넥부(1b)에 고정된다.
자극편은 자극편홀더(15)의 원주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극편의 수는 6개 이상이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래, R, G, B의 전차총이 통상의 경우보다 근접해서 배치되고, 보정량이 적을 경우에는, 시트형상의 바륨페라이트 마그네트와 본 발명의 4개의 자극편에 의해 스태택 콘버젼스 및 퓨리티 조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자극편외에 넥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미리 착자된 제조정용 마그네트링(12)을 가지고 있어, 고객의 장치에 결합시킨 후, 장치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자개의 영향하에서 스태틱 콘버젼스 및 퓨리티의 조정에 편차가 발생하였을 때, 이 재조정용 마그네트링(12)을 조정용으로서 사용한다.
이하, 자극편(14A)∼(14H)의 착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브라운관(1)에 편향요크(2) 및 마그네트장치(3)를 장착한 후, 자극편(14A)∼(14H)에 필요한 보정량에 대응하는 착자를 외부의 착자기를 사용하여 행함으로써, 스태틱 콘버젼스 및 퓨리티의 조정을 행한다. 이 자극편(14A)∼(14H)의 착자상태를 제1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동도면에 있어서,(18b)(18g)(18r)은 각각 청, 녹, 적의 형광체를 여기해서 발광시키는 3개의 전자빔을 표시한다. 또한, 제14도(b) 내지 제14도(h)에 있어서는 (18b)(18g)(18r)은 (b)(g)(r)로 각각 표시하였다.
제14도(b)는 g빔은 이동시키지 않고, b빔을 +x방항, r빔을 -x방향으로 같은 양만큼 이동시킨, 소위 4극 x방향의 보정을 행할 경우의 착자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4도(c)는 g빔은 이동시키지 않고, b빔을 -y방향, r빔을 +y방향으로 이송시킨 소위 4극 y방향의 보정을 행할 경우의 착자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4도(d)는 g빔을 이동시키지 않고 b 및 r빔을 각각 +x방향으로 이동시킨 착자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4도(e)는 g밤을 이동시키지 않고 b 및 r빔을 각각 -y방향으로 이동시킨 착자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4도(f)는 b,g 및 r빔을 각각 +x방향으로 이동시킨 착자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14도(9)는 b, g및 r빔을 +y방향으로 이동시킨 착자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8개의 자극편(14A)∼(14H)를 동간격으로 대칭으로 배치하고, 각각 8개의 자극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 제14도(b) 내지 제14도(g)의 조합에 의해서 또 다른 보정을 임의로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4도(h)에 도시한 자계분포는 4극 x방향의 보정을 행하는 제14도(b)의 자계분포와, 4극 y방향의 보정을 행하는 제14도(c)의 자계분프를 조합시킨 것으로서, b빔과 r빔을 서로반대의 경사방향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8개의 자극편(14A)∼(14H)에 의해서 보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6개의 자극편으로도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즉, 3개의 전자빔(18b)(18g)(18r)을 각각 좌우방향(x방향) 및 상하방향(y방향)으로 임의의 보정량 만큼 조정하려면 6개의 자극편이 필요하다. 이 보정에는 제15도(a)에 도시한바와 같이 6개의 자극편(14A)∼(14F)을 비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실현할 수 었다.
예를들면, 제15도(b)는 4극 x방향의 보정을 할 경우(제14도(b)와 마찬가지로의 보정), 제15도(c)는 4극y방향의 보정을 할 경우(제14도(c)와 마찬가지의 보정)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6개의 자극편(14A)∼(14F)의 위치는 변함이 없이 착자량과 극성을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방향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그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자극편(14A)∼(14F)을 수직축에 대칭으로 배치해도 된다.
그런데, 제15도(a) 내지 제15도(c) 및 제16도의 경우에는 6개의 자극편(14A)∼(14F)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도면이다. 가령, 6개의 자극편(14A)∼(14F)을 제17도와 같이 등간격, 대칭적인 위치관계로 배치할 수 있으면, 부품의 정밀도, 장착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7도(c)는 6극 y방향의 보정을 할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자극의 강도의 절대치는 모두 같으므로, 형성되는 자계분포도 대칭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제15도(c)의 자계분포에 비하여 자계의 변형이 경감되어,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을 열화시키는 등의 부착용도 적다. x방향의 보정은 제1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은 4극 x방향의 보정에 의해서 가능하다.
6개의 자극편(14A)∼(14F)으로도 보정할 수 있으나, 착자시의 자계의 대칭성을 고려하면, 8개의 자극편(14A)∼(14H)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자극편을 10개이상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는 3개의 전자빔(18b)(18g)(18r)의 6개의 자유도의 조정을 6개이상의 자극편을 사용해서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제18도(a)에 도시한 4개의 자극편(14B)(14D)(14F)(14H)과 넥부를 원주형상으로 둘러싸는 바륨페라이트 등의 시트형상 마그네트(21)와의 조합에 의해서 조정할 수도 있다. 이하, 이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8도(b)는 자극편과 시트형상마그네트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자속밀도의 온도변화가 문제가 되는 것은 보정량이 클 경우이다. 왜냐하면, 본래 보정량이 적으면, 온도에 의해 자속밀도가 변화해도 보정량의 변화하는 비율은 적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2개의 사이드 빔(r, b)을 중앙 빔(g)에 대해서 보정자계가 없는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양, 예를들면 컬러브라운관의 디스플레이면상에서 보통보다 적은 양, 즉 중앙빔(g)으로부터 1∼2mm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도록 전자총을 근접해서 배치한다. 이와 같은 설계상의 연구는 수동조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이 어긋난 양에 대한 보정자계는 온도계수가 적은 자극편(14B)(14D)(14F)(14H)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조의 불일치에 의해서 발생하는 더욱 작은 어긋난 양(예를들면 0∼0.3mm)에 대한 보정자계는 값싼 바륨페라이트등의 시트형상 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그네트링(12)이나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보정용 마그네트(9)를 병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재조정용 마그네트링(1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조상의 불일치나 혹은 설계 목적을 위하여 발생한 불일치를 조정한 후, 어떤 원인에 의해서 콘버젼스가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예를들면, 조정한 시점에서의 작동조건이 브라운관을 다른 장치와 함께 세트로 조립한 상태와 다르므로, 약간의 스태틱 콘버젼스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단 조정한 후 재조정하려면 각 자극편(14A)∼(14H)의 착자상태를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곤란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4극 2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 마그네트링(12)을 재조정용으로서 설치해 놓음으로써, 출하후에 발생하는 오차를 조정할 수 있다. 마그네트링(12)은 자극편(14A)∼(14H)이 착자될때, 그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자극편의 향자력보다 높은 향자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륨페라이트의 링을 사용하고있다.
다음에, 제2도에 도시한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용 마그네트(9)(9A, 9B)에 대해서 설명한다.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란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빔(g)에 대응하는 중앙부의 수평방향 래스터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조정하였을때, 사이드 빔(r)이 화면좌우단부에서 함께 상부로, 다른 한쪽의 사이드 빔(b)이함께 하부로 또는 그 반대로 되는 색어긋남을 말한다. 이것은 3개의 전자총이 수평축으로부터 경사져서 장착되었을 경우에 발행한다. 이것을 보정하려면, 일반적으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측상의 2개의 다른 위치(p, q)에서 r 및 b빔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2회 굽혀주면 된다. 즉, 제20도의 예에서는p 위치에서 r빔을 상부로, b빔을 하부로 굽히고, 이어서 q위치에서 r빔을 하부로, b빔을 상부로 굽혀서 빔(r, b)의 궤도를 수정한다.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용 마그네트(9)는 상기 마그네트장치(3)와 조합시켜서 활형상 미스콘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며, 제20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는, 마그네트장치(3)는 p위치에서의 r빔을 상부로, b빔을 하부로 보정하는 것을 행하며, 활형상 미스콘버젼스 보정용마그네트(9)는 q위치에서의 빔 궤적을 수정한다.
이 q위치에서의 빔궤적을 수정하기 위하여 제2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용마그네트(9A)(9B)는 같은 극성으로 착자되고, r빔과 b빔을 상하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정자계를 발생한다. 이경우, 마그네트장치(3)내의 자극편(14A)∼(14H)또는 자극편(14A)∼(14F)은 제14도(c) 또는 제15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계성분을 포함하도록 착자하면 된다.
제21도(a)에 도시한 도면에서는 활형상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용마그네트(9A)(9B)를 수평축상에 배치하는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2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축상에 배치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있다.
마그네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한다.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넥부(1b)에 마그네트장치(3)의 자극편 홀더(22)가 클램프밴드(16)와 고정나사(17)에 의해서 지지되어서 고정된다. 자극편홀더(22)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자극편 삽입구멍(22a)이 형성된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자극편 삽입구멍(22a)에는 희토류코발트나 Fe-Cr-Co합금 등의 금속합금제의 자극편(14)이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제23도에는 제22도의 XXII-XXII선의 단면도이다. 착자패턴은 제14도(a) 내지 제14도(h)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외부의 착자기에 의해서 착자된다. 제15도 내지 제18도의 착자패턴에 따라서 4개이상의 자극편이 선택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마그네트링(12)이나 시트형상의 마그네트(21)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극편홀더(15)와 넥부장착부재(10)를 별개로 구성하였으나,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넥부장착부재(10)와 요크장착부재(2a)도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24도는 자극편홀더(22)를 편향요크(2)의 후부에 요크장착부재와 일체화해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42)

  1. 컬러브라운관(1)의 넥부(1b)둘레에 배치된 적, 녹, 청의 전자층과, 복수개의 금속합금제의 자극편(14A∼14H)을 상기 넥부(1b)의 외주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원주상에 지지하며 상기 자극편(14A∼14H)과 상기 넥부(1b)의 관벽과의 사이에 전기절연체를 가진 자극편지지수단과, 편향요크장착부재(2a)상의 상기 컬러브라운관(1)의 깔때기부(1a)쪽에 장착되고 상기 깔때기부(1a)의 외벽에 거의 수직으로 3개이상의 탭볼트(5)를 장착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탭볼트(5)를 조임으로써 편향요크(2)를 컬러브라운관(1)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4)와, 상기 편향요크장착부재(2a)의 상기 전자층쪽을 상기 넥부(1b)에 고정하는 수단과, 상기 넥부(1b)의 외주에 복수개의 자극을 가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링형상의 자성체(12)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부(1b)의 상기 자극편(14A∼14H)보다 디스플레이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넥부(1b)를 사이에 두고 수평축상 또는 수직축 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된 2개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용마그네트(9A, 9B)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희토류 원소와Co의 화합물의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제, F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은 Fe-Cr-Co를 주성분으로하는 자석재, 희토류원소와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하는 자석제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12)는 상기 자극편(14A∼14H)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12)는 상기 자극편(14A∼14H)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12)는 상기 자극편(14A∼14H)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12)는 상기 자극편(14A∼14H)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볼트(5)는 상기 깔때기부(1a)쪽 선단부에 탄성재(6)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6)는 실리콘계 탄성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1. 제9항에 었어서, 상기 탭볼트(5)는 상기 탭볼트(5)의 조이는 쪽에 개구부(59)를 가진 중공 구조(5b)이고, 상기 중공부(5b)로부터 상기 탄성재(6)의 주위를 통과하는 홈(5d, 5h)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이는쪽으로부터 주입된 접착제가 상기 중공부(5b)와 상기 홈(5d, 5h)을 통해서 상기 탄성재(6)의 주위에 충전되어서 상기 탄성재(6)의 고정을 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탭볼트(5)는 상기 탭볼트(5)의 조이는 쪽에 개구부(59)를 가진 중공 구조(5b)이고, 상기 중공부(5b)로부터 상기 탄성재(6)의 주위를 통과하는 홈(5d, 5h)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이는쪽으로부터 주입된 접착제가 상기 중공부(5b)와 상기 홈(5d, 5h)을 통해서 상기 탄성재(6)의 주위에 충전되어서 상기 탄성재(6)의 고정을 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탭볼트(5)는 상기 중공부(5b)로부터 상기 탭볼트(5)가 맞물리는 암나사(4k)쪽으로 통하는 홈(5h)을 가지고 있어, 상기 암나사(4k)쪽으로 통하는 상기 홈(5h)을 통해서 흐른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탭볼트(5)와 상기 암나사(4k)와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탭볼트(5)는 상기 중공부(5b)로부터 상기 탭볼트(5)가 맞물리는 암나사(4k)쪽으로 통하는 홈(5h)을 가지고 있어, 상기 암나사(4k)쪽으로 통하는 홈(5h)을 통해서 흐른 상기 접착제에의해 상기 탭볼트(5)와 상기 암나사(4k)와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편향요크장착부재(2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편향요우크장착부재(2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14A∼14H)을 장착하는 자극편지지부재(15)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15)를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를 넥부(1b)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14A∼14H)을 장착하는 자극편지지부재(15)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15)를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를 상기 넥부(1b)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15)의 자극편장착부의 내경(d0)이 상기 자극편지지부재(15)의 상기 지지부재(10)와 접촉고정되는 면의 내경(D0)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15)의 자극편장착부의 내경(d0)이 상기 자극편지지부재(15)의 상기 지지부재(10)와 접촉고정되는 면의 내경(D0)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자극편삽입구멍(22a)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자극편삽입구멍(22a)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는 상기 편향요크장착부재(2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는 상기 편향요크장착부재(2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의 수는 6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의 수는 6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7. 컬러브라운관(1)의 넥부(1b)둘레에 배치된 적, 녹, 청의 전자총과, 복수개의 금속합금제의 자극편(14A∼14H)을 상기 넥부(1b)의 외주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원주상에 지지하며 상기 자극편과 상기 넥부의 관벽과의 사이에 전기절연체를 가진 자극편지지수단(15)과, 편향요우크장착부재(2a)상의 상기 컬러브라운관(1)의 깔때기부(1a)쪽에 장착되고, 상기 깔때기부(1a)의 외벽에 거의 수직으로 3개이상의 탭볼트(5)를장착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탭볼트(5)를 조임으로써 편향요크(2)를 컬러브라운관(1)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4)와, 상기 편향요크장착부재(2a)의 상기 전자충쪽을 상기 넥부(1b)에 고정하는 수단과, 상기 자극편지지수단과 다른 위치에서, 상기 넥부(1b)외주에 원주형상으로 감긴 시트형상의 마그네트(21)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부(1b)의 외주에 복수개의 자극을 가진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링형상의 자성체(12)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부(1b)의 상기 자극편보다 디스 플레이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넥부를 사이에 두고 수평축상 또는 수직축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된 2개의 미스콘버젼스보정용 마그네트(9A, 9B)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부(1b)의 상기 자극편보다 디스플레이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넥부를 사이에 두고 수평축상 또는 수직축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된 2개의 미스콘버젼스보정용 마그네트(9A,9B)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희토류 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하는 자석재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희토튜 원소와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구성분으로하는 자석재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희토류 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르하는 자석재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희토류 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하는 자석재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12)는 상기 자극편(14A∼14H)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12)는 상기 자극편(14A∼14H)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12)는 상기 자극편(14A∼14H)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12)는 상기 자극편(14A∼14H)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의 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의 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의 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14A∼14H)의 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KR1019890012070A 1988-08-24 1989-08-24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KR930002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08310 1988-08-24
JP88-208308 1988-08-24
JP63208310A JP2746932B2 (ja) 1988-08-24 1988-08-24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88-208311 1988-08-24
JP88-208307 1988-08-24
JP88-208309 1988-08-24
JP20830988A JP2708488B2 (ja) 1988-08-24 1988-08-24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20830888A JP2746931B2 (ja) 1988-08-24 1988-08-24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63208307A JP2746930B2 (ja) 1988-08-24 1988-08-24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63-208312 1988-08-24
JP63-208307 1988-08-24
JP63208311A JP2871698B2 (ja) 1988-08-24 1988-08-24 偏向ヨーク付きカラーブラウン管
JP63-208308 1988-08-24
JP63-208311 1988-08-24
JP88-208312 1988-08-24
JP63-208309 1988-08-24
JP63208312A JP2748976B2 (ja) 1988-08-24 1988-08-24 偏向ヨーク固定構造
JP63-208310 198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954A KR900003954A (ko) 1990-03-27
KR930002656B1 true KR930002656B1 (ko) 1993-04-07

Family

ID=2755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070A KR930002656B1 (ko) 1988-08-24 1989-08-24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28898A (ko)
KR (1) KR930002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1229B1 (en) * 1989-12-08 1995-05-03 THOMSON TUBES & DISPLAYS SA Deflection yoke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and liner for the same
EP0884757B1 (de) * 1992-02-20 2003-05-0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Ablenkeinheit für die Bildröhre in einem Fernsehempfänger
AU5953294A (en) * 1993-12-16 1995-07-0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unting a deflection yoke and support structure therefor
US5696425A (en) * 1993-12-16 1997-12-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unting a deflection yoke and support structure therefor
EP0690470B1 (fr) * 1994-07-01 1998-02-04 THOMSON TUBES & DISPLAYS S.A. Système de déviation de faisceaux électroniques pour tube à rayons cathodiques
EP0747923A1 (en) * 1995-06-09 1996-12-11 VIDEOCOLOR S.p.A. Deflection yoke locking arrangement
DE19617309B4 (de) * 1996-04-30 2006-09-28 Samtel Electron Devices Gmbh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Abbildungsschärfe einer Elektronenstrahlröhre
US5821842A (en) * 1996-05-10 1998-10-13 Videocolor, S.P.A. Deflection yoke locking arrangement
US5869923A (en) * 1996-12-04 1999-02-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RT with neck-gripping beam-correcting ferrite-ring assembly
JP2004288464A (ja) * 2003-03-20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5831A (en) * 1972-01-14 1973-04-03 Rca Corp Magnetic beam adjusting arrangements
JPS5282324U (ko) * 1975-12-17 1977-06-20
JPS5540688Y2 (ko) * 1975-12-24 1980-09-22
US4095260A (en) * 1976-04-19 1978-06-13 Hitachi, Ltd. Color picture tube device
JPS5314462A (en) * 1976-07-26 1978-02-09 Nikko Eng Waste water float separator
US4138628A (en) * 1977-07-26 1979-02-06 Rca Corporation Magnetizing method for use with a cathode ray tube
US4162470A (en) * 1977-07-26 1979-07-24 Rca Corporation Magnet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atically converged cathode ray tube and product thereof
NL7711974A (nl) * 1977-11-01 1979-05-03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polymeriseren van alkenen-1.
JPS55154046A (en) * 1979-05-17 1980-12-01 Sanyo Electric Co Ltd Convergence device
US4519456A (en) * 1982-12-10 1985-05-28 Hughes Tool Company Continuous flow perforation washing tool and method
JPS61140031A (ja) * 1984-12-13 1986-06-27 Tdk Corp 電磁偏向歪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954A (ko) 1990-03-27
US5028898A (en) 199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656B1 (ko)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US4310819A (en) Magnetic beam adjusting arrangement
US5227692A (en) Magnet assembly for correcting CRT misconvergence
US4050041A (en) Static/purity device for in-line gun
US4295110A (en) Adjusting device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3354336A (en) Ring magnetized across thickness with two diametrically opposed and oppositely oriented groups of magnetic pole pairs
JP2871698B2 (ja) 偏向ヨーク付きカラーブラウン管
US3525962A (en) Magnetic cap for color kinescope
US2954494A (en) Cathode-ray beam correction structure
US3363127A (en) Permanent magnet beam control apparatus for a color television cathoderay tube
KR100465275B1 (ko) 편향 요크 장치
US7038368B2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having a pair of bar shaped magnet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due to the rotational shift of the electron beams
JP2746931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KR0131921Y1 (ko) 칼라 음극선관의 퓨리티 컨버전스 마그네트
JP3984605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820001110B1 (ko) 색순도 보정용 자화장치
JP2746930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EP0843333A2 (en) Color cathode ray tube provided with a beam convergence adjustment device
JPS6042445Y2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
JP2708488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KR200152062Y1 (ko) 세퍼레이터
KR200365166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17620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USRE27698E (en) Le roy
JPH09330671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