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954A -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 Google Patents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954A
KR900003954A KR1019890012070A KR890012070A KR900003954A KR 900003954 A KR900003954 A KR 900003954A KR 1019890012070 A KR1019890012070 A KR 1019890012070A KR 890012070 A KR890012070 A KR 890012070A KR 900003954 A KR900003954 A KR 90000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deflection yoke
brown tube
colo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656B1 (ko
Inventor
미치오 츠키이
쿠니오 사마다
에이이치 니시야마
다쿠미 카타사와
후미아키 요나이
히로시 요시오카
다카시 아토베
Original Assignee
미따 가쯔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3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16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69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308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69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30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84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89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3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6930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따 가쯔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미따 가쯔시게
Publication of KR90000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4Arrangements for centr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도의 편향요우크부분의 확대측면도.
제 3 도는 편향요우크의 깔때기부쪽 고정수단의 단면도.

Claims (58)

  1. 컬러브라운관의 넥크부 둘레에 배치된 적,녹,청의 전자총과, 복수개의 금속합금제의 자극편을 상기 넥크부의 외주에 밀리 설정된 간격으로 원주상에 지지하며 상기 자극편과 상기 넥크부의 관벽과의 사이에 전기절연체를 가진 자극편지지수단과, 편향요우크 장착부재가 상기 컬러브라운관의 깔때기부쪽에 장착되고 상기 깔때기부의 외벽에 거의 수직으로 3개 이상의 탭보울트가 장착되고 상기 탭보울트를 조임으로써 편향요으크를 컬러브라운관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와, 상기 편향요우크 장장부재의 상기 전자총쪽을 상기 넥크부에 고정하는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럴브라운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크부의 외준에 복수개의 자극을 가지며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링형상의 자성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쿠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네크부의 상기 자극편보다 디스플레이면에 가까운 위체에 상기 넥크부를 사이에 두고 수평축상 또는 수지축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된 2개의 자석의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크부의 상기 자극편보다 디스플레이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게 넥크부를 사이에 두고 수평축상 또는 수직축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된 2개의 자석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은 Fe-Cr-Co 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회토류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은 Fe-Cr-Co 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회토류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은 Fe-Cr-Co 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회토류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은 Fe-Cr-Co 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회토류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는 상기 자극편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는 상기 자극편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는 상기 자극편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는 상기 자극편의 항자력보다 높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탭보울트는 상기 깔때기부쪽 선단부에 탄성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켤러브라운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는 실리콘계 탄성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탭보울트는 상기 탭보울트의 조이는 쪽에 개구부를 가진 중공구조이고, 상기 중공부로 부터 상기 탄성재의 주위를 통과하는 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이는 쪽으로부터 주입된 접착제가 상기 중공부와 상기 홈을 통해서 상기 탄성재의 주위에 충전되어서 상기 탄성재의 고정을 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탭보울트는 상기 탭보울트의 조이는 쪽에 개구부를 가진 중공구조이고, 상기 중공부로 부터 상기 탄성재의 주위를 통과하는 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이는 쪽으로부터 주입된 접착제가 상기 중공부와 상기 홈을 통해서 상기 탄성재의 주위에 충전되어서 상기 탄성재의 고정을 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탭보울트는 상기 중공부로 부터 상기 댑보울트가 맞물리는 암나사쪽으로 통하는 홈을 가지고 있어, 상기 암나사쪽으로 통하는 상기 홈을 통해서 흐른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탭보울트와 상기 암나사와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탭보울트는 상기 중공부로 부터 상기 댑보울트가 맞물리는 암나사쪽으로 통하는 홈을 가지고 있어, 상기 암나사쪽으로 통하는 상기 홈을 통해서 흐른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탭보울트와 상기 암나사와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향요우쿠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와 일
    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향요으쿠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을 장착하는 자극편지지부재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를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넥크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을 장착하는 자극편지지부재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를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넥크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을 장착하는 자극편지지부재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를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넥크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을 장착하는 자극편지지부재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를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넥크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의 자극장착부의 내경이 상기 자극편지지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고정하는 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의 자극장착부의 내경이 상기 자극편지지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고정하는 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의 자극장착부의 내경이 상기 자극편지지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고정하는 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상기 자극편지지부재의 자극장착부의 내경이 상기 자극편지지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고정하는 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자극편삽입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자극편삽입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자극편삽입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지지수단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자극편삽입구멍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의 수는 6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켤러브라운관.
  4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의 수는 6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켤러브라운관.
  4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의 수는 6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켤러브라운관.
  4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의 수는 6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켤러브라운관.
  43. 컬러브라운관의 넥크루 둘레에 배치된 적, 녹, 청의 전자총과, 복수개의 금속합금제의 자극편을 상기 넥크부의 외주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원주상에 지지하며, 상기 자극편과 상기 넥크부의 관벽과의 사이에 전기절연체를 가진 자극지지수단과, 편향요우크 장착부재가 상기 컬러브라운관의 깔때기부쪽에 장착되고 상기 깔때기부의 욍벽에 거의 수직으로 3개이상의 탭보울트가 장착되고 상기 탭보울트를 조임으로써 편향요우크를 컬르브라운관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어댑터와, 상기 편향요우크 장착부재의 상기 전자총쪽을 상기 넥크부에 고정하는 수단과, 상기 자극편지지수단과 다른 위치의 상기 넥크부 위주에 원주형상으로 감긴 시이트형상의 마그네트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크부의 외주에 복수개의 자극을 가진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링형상의 자성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크부의 상기 자극편보다 디스플레이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넥크부를 사이에 두고 수평축상 또는 수직축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된 2개의 자석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6. 제44항에 있어서, 컬러브라운관은 또한 상기 넥크부의 상기 자극편보다 디스플레이면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넥크부를 사이에 두고 수평축상 또는 수직축상에 배치되고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된 2개의 자석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회토류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회토류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회토류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은 Fe-Cr-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회토류원소와 Co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Al-Ni-Co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재, Fe-Mn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석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는 상기 자극편의 항자력보다 놓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는 상기 자극편의 항자력보다 놓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3.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는 상기 자극편의 항자력보다 놓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자성체는 상기 자극편의 항자력보다 놓은 항자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의 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의 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의 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5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편의 수는 4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참고사항: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12070A 1988-08-24 1989-08-24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KR930002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08311A JP2871698B2 (ja) 1988-08-24 1988-08-24 偏向ヨーク付きカラーブラウン管
JP63-208310 1988-08-24
JP63208310A JP2746932B2 (ja) 1988-08-24 1988-08-24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63-208308 1988-08-24
JP88-208307 1988-08-24
JP20830888A JP2746931B2 (ja) 1988-08-24 1988-08-24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20830988A JP2708488B2 (ja) 1988-08-24 1988-08-24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63208312A JP2748976B2 (ja) 1988-08-24 1988-08-24 偏向ヨーク固定構造
JP63-208312 1988-08-24
JP88-208312 1988-08-24
JP88-208309 1988-08-24
JP88-208311 1988-08-24
JP63-208311 1988-08-24
JP63208307A JP2746930B2 (ja) 1988-08-24 1988-08-24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63-208307 1988-08-24
JP88-208310 1988-08-24
JP63-208309 1988-08-24
JP88-208308 198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954A true KR900003954A (ko) 1990-03-27
KR930002656B1 KR930002656B1 (ko) 1993-04-07

Family

ID=2755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070A KR930002656B1 (ko) 1988-08-24 1989-08-24 편향요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28898A (ko)
KR (1) KR930002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74473T3 (es) * 1989-12-08 1995-09-16 Thomson Tubes & Displays Conjunto de yugo de deflexion para tubo de rayos catodicos y revestimiento para el mismo.
EP0556695B1 (de) * 1992-02-20 1999-04-14 Deutsche Thomson-Brandt Gmbh Ablenkschaltung für einen Fernsehempfänger mit symmetrischer Ablenkung
US5696425A (en) * 1993-12-16 1997-12-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unting a deflection yoke and support structure therefor
WO1995017072A1 (en) * 1993-12-16 1995-06-2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unting a deflection yoke and support structure therefor
EP0690470B1 (fr) * 1994-07-01 1998-02-04 THOMSON TUBES & DISPLAYS S.A. Système de déviation de faisceaux électroniques pour tube à rayons cathodiques
EP0747923A1 (en) * 1995-06-09 1996-12-11 VIDEOCOLOR S.p.A. Deflection yoke locking arrangement
DE19617309B4 (de) * 1996-04-30 2006-09-28 Samtel Electron Devices Gmbh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Abbildungsschärfe einer Elektronenstrahlröhre
US5821842A (en) * 1996-05-10 1998-10-13 Videocolor, S.P.A. Deflection yoke locking arrangement
US5869923A (en) * 1996-12-04 1999-02-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RT with neck-gripping beam-correcting ferrite-ring assembly
JP2004288464A (ja) * 2003-03-20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5831A (en) * 1972-01-14 1973-04-03 Rca Corp Magnetic beam adjusting arrangements
JPS5282324U (ko) * 1975-12-17 1977-06-20
JPS5540688Y2 (ko) * 1975-12-24 1980-09-22
FI59503C (fi) * 1976-04-19 1981-08-10 Hitachi Ltd Anordning vid faergbildroer
JPS5314462A (en) * 1976-07-26 1978-02-09 Nikko Eng Waste water float separator
US4162470A (en) * 1977-07-26 1979-07-24 Rca Corporation Magnet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atically converged cathode ray tube and product thereof
US4138628A (en) * 1977-07-26 1979-02-06 Rca Corporation Magnetizing method for use with a cathode ray tube
NL7711974A (nl) * 1977-11-01 1979-05-03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polymeriseren van alkenen-1.
JPS55154046A (en) * 1979-05-17 1980-12-01 Sanyo Electric Co Ltd Convergence device
US4519456A (en) * 1982-12-10 1985-05-28 Hughes Tool Company Continuous flow perforation washing tool and method
JPS61140031A (ja) * 1984-12-13 1986-06-27 Tdk Corp 電磁偏向歪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656B1 (ko) 1993-04-07
US5028898A (en) 199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954A (ko) 편향요우크가 부착된 컬러브라운관
KR970077046A (ko) 음극선관
KR830006806A (ko)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표시시스템
NO782438L (no) Magnetiseringsanordning for anvendelse ved statisk konvergering av tre in-line elektronstraaler i et katodestraaleroer for en fargefjernsynsmottaker
FI67007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instaellning av foergrenhet av ett in-line-faergtelevisionbildroer
GB1436925A (en) Colour picture tubes containing an in-line type electron gun assembly
KR910001856A (ko) 트위스트 교정 장치를 구비한 칼라 표시관
GB670021A (en) Improvements in beam centering devices for cathode ray tubes
US4618843A (en) Electron beam deflection yoke
US3088046A (en) Color convergence assembly
US2900544A (en) Compensation means for cathode ray tubes
GB1077412A (en) Cathode-ray tube beam controlling device
US3230415A (en) Electromagnetic focussing device for cathode ray tubes
KR880003386A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TW317961U (en) Color crt display apparatus
US5861711A (en) Deflection yoke mounting device of the spray
JP2746931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KR860003643A (ko) 칼라 표시관 제조방법 및 장치
KR820001110B1 (ko) 색순도 보정용 자화장치
JP2746930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用マグネット装置
JPH0217904B2 (ko)
JPS5682553A (en) Deflector for cathode ray tube
KR950015526A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431261B1 (ko) 편향요크
KR900008160Y1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ferrite core)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