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067B1 - Fsk 데이타 수신기 - Google Patents

Fsk 데이타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067B1
KR930002067B1 KR1019850002769A KR850002769A KR930002067B1 KR 930002067 B1 KR930002067 B1 KR 930002067B1 KR 1019850002769 A KR1019850002769 A KR 1019850002769A KR 850002769 A KR850002769 A KR 850002769A KR 930002067 B1 KR930002067 B1 KR 93000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voltage
band
pas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258A (ko
Inventor
보우테르 반 럼프트 헤르만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아이. 엠.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아이. 엠.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5000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6Frequency reg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FSK 데이타 수신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FSK데이타 수신기의 블럭 회로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제1도의 수신기에서의 신호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3a도 내지 제3d도는 특정 대역 필터가 사용될때의 제1도의 수신기에서의 신호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4a도 내지 제4d도는 AFC루프안에 비선형 정류기가 사용될 경우 제1도 수신기에서의 신호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5a도 내지 제5d도는 특정 대역 통과 필터와 비선형 정류기 회로가 사용될 경우 제1도의 수신기에서의 신호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특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믹서회로 3 : 전압 제어 발진기
4 : 대역 통과 필터 5 : 검출회로
6,17 : 제한기 7 : 주파수-전압 변환기
8 : 저역 통과 필터 10 : AFC제어 루프
12 : 검출기 13 : 전압원
14 : 차동증폭기 16 : 적분기
본 발명은 데이타 신호에 의해 주파수 변조되고 소정의 기준 주파수 △f을 가진 반송파 신호 fc를 가진 수신된 FSK신호와 상기 반송과 신호 주파수 fc에 대해 소정의 값 δf를 통해 주파수 시프트되고, 수신기의 대역내에 위치한 신호 주파수 fL을 가진 전압 제어 발진기에 의해 공급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믹서 스테이지와, 상기 믹서 스테이지에 접속된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믹서 스테이지에 의해 공급된 합 주파수 신호 및 차 주파수 △f±δf로부터 데이타 신호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대역 통과 필터에 접속된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회로와 전압 제어 발진기 사이에 접속된 AFC제어 루프를 포함하는 FSK데이타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신기는 영국 특허원 제813218l호(PHB 328l9)에 공개되어 있다. 이 수신기에서, 합 신호 주파수 및 차신호 주파수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후 분리된 필터에서 여파되어 차동 증폭기에 인가된다. 이 차동 증폭기는 이때 상기 전송된 데이타 신호의 고레벨의 신호가 수신되었는가 아니면 저레벨의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체크한다.
제어 루프는 기준 주파수 △f에 일치하는 신호 주파수를 가진 분리된 발진기가 접속되는 믹서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이 믹서 스테이지에 인가된 합 신호 주파수와 차신호 주파수는 하향 변형된 후, 소정의 주파수값 δf을 가진 신호 성분이 저역 통과 필터의 도움으로 얻어진다. 이 신호 성분은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도움으로 전압 제어 발진기용 제어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수신기는 집적 회로 기술에 따른 제조를 위해 많은 외부 커패시터와 이에 사응하는 다수의 접속부를 필요로 하는 최소한 세개의 샤프 필터가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AFC루프는 추가의 발진기를 포함한다. 이 수신기에서, 큰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진 제어 가능한 중간 주파수 증폭기가 요구되며, 이러한 증폭기는 다량의 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집적화를 훨씬 더 어렵게 만든다. AM잡음은 억압되지 않는다. 끝으로, 사용된 AFC루프는 적절한 검출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S/N비를 갖는 소입력 신호로 만족스럽게 작동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소입력 신호의 경우 상기 루프가 여러 주파수에 대해, 특히 잡음 신호에 대해 로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페이저(pager)와 같은 응용의 경우, 감도, 선택도 및 소비 전력에 대해 매우 엄격한 요구 조건이 부과된다. 따라서, 영국에서는 148 내지 152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3cm의 길이를 가진 안테나에 대해 10μV/m의 감도, ±25KHz에서 -65dB의 강도, 6mw이하의 소비전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제거하고 특히 AFC제어 루프용의 넓은 풀-인 레인지(pull-in range)와 결합된 고감도를 가지며 집적하기 쉬운 FSK데이타 수신기의 새로운 착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서문에 기술된 FSK데이타 수신기는 그것이 중간 주파수 신호를 갖는 신호에 대해 상기 수신기의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의 에너지량을 강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AFC제어 루프가 전압 제어 발진기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의 에너지양을 강조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 적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FSK데이타 수신기는 극히 협대역 필터인 한 필터만이 제공되어야 하고, AFC루프가 넓은 풀-인레인지를 가져야 하며 집적하기가 간단하며 높은 신호대 잡음비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FSK데이타 수신기는 상기 강조 수단이 대역 통과 필터와, 검출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대역 통과 필터는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 주위에 위치한 두개의 피크를 갖고,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에 접속된 제한기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단부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의 절대값이 중간 신호 주파수를 가진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을 초과하는 특징을 가진 주파수-전압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수단의 작동은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FSK데이타 수신기는 상기 강도 수단이 상기 검출 회로와 상기 AFC제어 루프안에 배치된 비선형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가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의 절대값이 중간 신호 주파수를 가진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을 초과하는 특징을 가진 주파수-전압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을 실현하는 것은 최소한 상술된 것과 같은 정도로 간단하다.
끝으로, 상기 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 수단이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이 검출 회로가 주파수의 비선형 함수, 기준 주파수에 대해 좌우 대칭인 진폭 및 위상 특징을 가진 주파수-전압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AFC제어 루프가 상기 변환기와 상기 적분기 사이에 배치된 정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및 그 장점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실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FSK데이타 수신기는 4.5KHz의 기준 주파수 △f을 가진 150MHz의 주파수 fc를 가진 반송파 신호를 주파수 변조한 512b/s의 데이타 신호와 같은 데이타 신호에 의해 주파수 변조된 반송파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주파수 fc±△f를 가지며 데이타 신호의 논리 신호값에 의해 결정되는 FSK신호가 안테나(1)에 의하여 수신된 후 믹서회로(2)에 인가된다. 국부 발진기(3)에 의해 공급되고 주파수 fL를 가진 신호가 이 믹서 회로에 인가된다. 주파수 fL은 그것이 반송파 주파수 fc에 대해 소정의 작은 값 δf만큼 주파수 시프트되도록 선택되고, 그에 따라 수신기의 대역내에 존재하게 된다. δf는 예를들면 750HZ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합 주파수 신호와 차 주파수 신호 △f±δf 믹서 회로(2)로 형성된다. 이들 신호는 결과적으로 2δf의 주파수 만큼 상호 시프트된다. 이러한 주파수 시프트로 인하여 데데이타 신호의 논리값을 간단한 방식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들 신호가 대역 통과 필터(4)로 여파된 후 검출회로(5)에 인가된다. 이 검출회로는 제1제한기(6)와, 주파수-전압 변환기(7), 및 저역 통과 필터(8)를 포함한다. 상기 제한기(6)는 특히 AM잡음을 억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기(7)는 1958년 2월 일렉트릭 라디오 엔지니어링에서 출판된 C. G. Mayo와 J. W. Head에 의한 "포스터-실리 변별기"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포스터 실리 변별기이다. 이러한 변별기는 주파수의 선형 함수인 진폭 및 위상 특성을 갖는다. 상기 특성의 기준 주파수가 주파수 △f에서 선택될 경우, 주파수에 대한 특성 곡선상의 점은 이 기준 주파수에 대해 플러스. 마이너스 δf대칭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주파수 +δf 및 -δf에서, 기준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출력 전압이 공급된다.
이러한 출력 전압은 512b/s 데이타 신호에 대해 약 250HZ의 정지점 주파수로 저역 통과 필터(8)에 의해 여파된다. 따라서 회수된 데이타 신호가 상기 수신기의 출력(9)에 인가된다.
더욱이, 상기 데이타 수신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가 입력 신호의 주파수 드리프트에 따라 변화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3)의 제어 입력(11)과 출력(9)사이에서 접속된 AFC제어 루프(10)를 포함한다. 이 제어 루프(10)는 검출기(12), 기준 전압원(13), 차동 증폭기(14), 적분기(16) 및 임의의 제2제한기(17)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기(12)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기준 전압원(13)에 의해 발생된 기준 전압과 함께 차동 증폭기(14)에 인가되며, 이 차동 증폭기(14)는 전류 출력(15)을 갖는다. 차동 증폭기에서, 입력 신호 사이의 전압차가 결정되어 이 차와 비례하는 출력 전류 IAFc로 변환된다. 이 출력 전류 IAFc적분기(16)에 인가된다, 적분기(16)의 출력 전압은 제2제한기(17)를 경유하여 전압 제어 발전기(3)의 제어 입력(11)에 제어 신호로서 인가된다.
제2a도에서, 차동 증폭기(14)에 의해 공급된 전류 IAFc수신된 신호의 주파수와 전압-제어 발진기(3)에 의해 발생된 신호 주파수 fL사이의 주파수 차의 함수로서 도시된다. 대역 통과 필터(4)가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 전송 특성을 갖고 제2검출기(11)가 제2c도에서 V1로 표시된 선형 전류기 특성을 가진 정류기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 도면에서, 실선은 소 입력 신호에 적용되고, 점선은 대 입력 신호에 대한 상기 실선의 편이를 도시한다.
주파수측의 제로-교차점은 주파수 변환기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 주파수 △f에 위치되어, δf가 주파수 축을 따라서 표시된다.
전류축의 제로 교차점은 원하는 주파수값 δf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고, 반송파 주파수 이상이나 이하의 전압 제어 발진기(3)(VCO)가 상기 주파수값 δf으로 동조된다. 이 실시예에서, 반송파 주파수 이상 특히, +750Hz이상의 주파수로 동조되도록 선택된다. 이 도면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발생된 전류 IAFc는 -750Hz와 +750Hz사이에 위치한 혼합된 주파수에 대해 네가티브이고, 전류 IAFc는 +750Hz와 약 1200Hz사이의 혼합된 주파수에 대한 소 신호에 대해 퍼지티브이다. 이들 전류에 응답하여 적분기(16)에 의해 발생된 전압 VAFc는 발진기의 주파수가 네가티브 제어 전압에 대해 하향 제어되고, 퍼지티브 제어 전압에대해 상향 제어되도록 전압-제어 발진기(3)를 제어한다. 그 결과, 발진기(3)의 주파수는 항상 원하는 값 δf으로 조절된다. 적분기(l6)는 어떠한 잔류 에러도 남지 않도록 보장해준다.
최대 가능 신호대 잡음비(S/N)와 최대 가능 채널 분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대역 필터(4)의 대역폭은 가능한한 낮게 선택된다. 그결과, 전송된 신호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잡음만이 대역내에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 레벨은 매우 낮아 적분기(6)에 인가된 전류 IAFc가 기준 레벨 이하이고 결과적으로 제2d도에 도시된 것처럼 네가티브가 된다. 더욱이, 제2a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것은 δf가 △f에 대해 퍼지티브 방향으로 1250Hz이상 주파수 시프트될 때 발생한다. 이 두 경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3)의 주파수는 더 높은 δf값으로 조절되고, AFC제어 루프는 최고 높은 주파수 값으로 시프트된다. 결국, 제어 루프는 그것이 상기 풀-인 레인지 밖에 존재하기 때문에 전송된 신호에 의해 더 이상 동기 인입될 수는 없다.
필터의 통과 대역을 넓히지 않고 따라서 신호대 잡음비를 감소시키지 않고서 상기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의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두개의 피크를 가진 전송 특성을 가진 대역 통과 필터(4)가 사용된다. 통과 대역 안의 이들 두 피크로 인하여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의 진폭은 특히 δf〓0근방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와 비교하여 볼때 중간 주파수를 가진 신호의 진폭보다 크다.
이들 신호는 견고한 제한기(6)로 제한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제한기는 비교적 작은 진폭을 가진 신호를 희생하여 최대 진폭을 가진 신호를 얻는 성질을 갖는다. 이것이 발생하는 비율을 소위 "포획비"라고 한다. 이것은 제한기(6)를 통과한 후 대역의 중심 (δf〓0)에서의 주파수 성분에 대해 통과 대역의 단부에 위치한 주파수 성분 수의 비가 상기 제한기에 인가된 신호의 비에 대해 증가됨을 의미한다.
주파수-전압 변환기(7)에서, 대역의 중심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는 상기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보다 훨씬 작은 진폭을 가진 전압으로 변환된다. 검출기(12)로 정류된 후, 특정 대역 통과 필터(4), 제한기(6)및 주파수-전압 변환기(7)의 결합 작용으로 인해, 상기 적분기(16)에 인가된 전류 IAFC의 평균값이 균일한 전송 특성을 가진 대역 통과 필터에 대한 평균값에 관하여 증가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대역 통과 필터는 두개의 서로 다르게 조절된 살렌 및 키 필터(sallen and keyfillter)의 종속-배치에 의해 실현되며, 그것의 전송 특성이 제6도에 도시된다. 이 도면은 전송 특성의 두 피크 사이의 최하한점이 4.5KHz의 선택된 △f에 위치해 있고, 이와 관련하여 선택된 750Hz의 δf의 피크는 3.75KHz 와 5.25KHz에서 선택됨을 보여준다. 4.5KHz에서의 레벨과 3.75KHz 및 5.25KHz에서의 레벨의 차는 각각 약 3dB이다. 이 필터의 도움으로 얻어지고 적분기(16)에 인가된 전류 IAFC의 비교적 높은 평균값이, 발진기 주파수가 수신된 신호와 혼합된 신호가 대역 밖에 위치하게 하는 값을 갖는 경우, 즉 대략 1200Hz보다 큰 값을 갖는 δf의 경우와 입력 신호가 전혀 존재하지 않고 단지 백색 잡음만이 수신되는 경우에 대해 모두 제3a도와 제3b도에 도시된다.
이들 도면은 신호의 평균값이, 적분기(16)에 인가된 전류 IAFC가 상기 두 경우 모두에 대해 0레벨 이상에 위치하는 정도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결국, 적분기(l6)는 발진기의 주파수가 하향 조절되는 것에 응답하여 퍼지티브 제어 전압 VAFC을 발진기(3)에 인가한다.
입력 신호가 전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발진기는 원하는 δf값, 이 경우에는 +750Hz, 으로 제어될 것이며, 잔여 에러없이 유지될 것이다. 입력 신호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발진기의 주파수는 발진기가 클리핑하는 정도로 하향 제어되며, 그에 따라 전송 주파수와 VCO 주파수 사이에 오프셋이 발생할때, 예컨대 드리프트로 인해 원하는 신호가 항상 필터의 통과 대역내에 위치하게 된다. AFC루프의 풀-인 레인지는 원칙적으로 특정 대역 통과 필터(4)를 이용하므로써 수신기의 신호대 잡음 레벨이 감소되지 않고서 무한대로 상향 확대된다.
발진기(3)가 -750Hz에 있는 불안정 셋팅점의 주파수를 네가티브 방향으로 통과하는 제어 범위를 가질때,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제한기(17)는 필요 불가결할 것이다. 이 제한기(17)는 적분기(16)에 의해 발생된 제어 전압 VAFC을 발진기(3)와 수신될 신호 사이의 최대 주파수 오프셋이 -750Hz보다 결코 커질 수없는 값으로 제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AFC루프의 완전한 작동이 감도 손실없이 모든 환경에서 보장된다.
상기의 방법이 적용된 후 AFC루프의 풀-인 레인지의 폭은 제5a도와 제5d도에서 L로 표시된다. 한편,이 풀-인 레인지는 제3a도, 제3d도, 제4a도 및 제4b도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특정 대역 통과 필터(4)를 이용하는 대신, 잡음을 수신할 때 적분기(16)에 인가된 전류 IAFC의 평균값의 증가는 다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특히 검출기(l2)안에서 제곱 특성을 갖는 정류기 대신 비선형 정류 특성을 갖는 정류기를 사용함으로써 대안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제4c도에서 V2로 도시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주파수-전압 변환기(7)는 δf〓0로부터 신호 주파수로 선형적으로 증감되는 진폭을 가진 신호를 발생한다. 이들 신호가 검출기(12)에서 제곱 특성에 따라 정류됨에 따라 큰 진폭을 가진신호의 진폭이 작은 진폭을 가진 신호보다 선취권을 부여받는다. 그 결과, 적분기(16)에 인가된 전류 IAFC는 입력 신호가 수신될때는 주파수 δf의 함수로서 제4a도에 도시된 값을 갖고, 백색 잡음만이 수신될때는 제5d도에 도시된 특성을 갖는다. 보다 더 높은 신호 주파수에 대해 주파수-전압 변환기(7)와 검출기(12)의 결합 작동으로 인한 장점을 부여함으로써, 신호대 잡음비를 저하시키지 않고서 전류 IAFC의 평균값이 또다시 증가된다. 백색 잡음 수신시 신호값은 결국 또다시 0레벨 이상으로 배치되고, 퍼지티브 δf에 대한 풀-인 레인지는 원칙적으로 또다시
Figure kpo00001
증가된다.
제곱 특성 대신에 더 높은 차수의 정류 특성을 가진 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의 효과가 더욱 증가된다.
한편, 대안적으로 선형 특성을 가진 정류기를 사용할 수 있고, 균일한 전송 특성을 가진 대역 통과 필터와 함께, 예를들면 기준 주파수 △f주위에서 좌우 반전되는 제곱 특성과 같은 비선형 특성을 가진 주파수-전압 변환기(7)를 사용할 수 있다. 제4a도 및 제4d도에 도시된 결과는 또한 제곱 특성을 가진 주파수-전압 변환기(7)를 사용하여 얻어진다.
특정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주어진 세트와, 주파수-전압 변환기의 비선형 특성과, 검출기(12)의 비선형정류 특성의 모든 조합이 적용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제5a도 및 제5d도는 특정 대역 통과 필더(4) (제5b도)와 검출기(12)의 제곱 정류 특성(제5c도)을 가진 수신기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결합 작동에 의해 얻어진 적분기(16)에 인가된 전류 IAFC의 더 높은 평균값이 f=0 근방에서 잡음 레벨이 증가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 도면에 명백히 도시된다. 한편, 잡음 레벨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이와 같이 잡음 레벨이 증가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잡음에 대해 IAFC큰 퍼지티브 전류값의 이점은 특히 수신기의 스위치 온 후 AFC루프의 세팅 시간이 더 짧아진다는 것이다.
얻어진 추가된 시간은 한편 대역 통과 필터의 대역폭을 다소 감소시킴으로써 수신기의 감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수신기가 단 하나의 단일 필터만을 갖는다는 사실 때문에, 이 수신기는 집적 회로 기술로 쉽게 제조될 수있다.

Claims (7)

  1. 데이타 신호에 의해 주파수 변조되고 소정의 기준 주파수 △f을 가진 반송파 신호 fc를 가진 수신된 FSK신호와 소정의 값 δf을 통해 주파수 시프트되고 상기 반송파 신호 주파수 fc에 대해 수신기의 대역내에 위치된 신호 주파수 fL를 가진 전압 제어 발진기에 의해 공급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믹서스테이지(2)와, 상기 믹서 스테이지에 접속된 대역 통과 필터(4)와, 상기 믹서 스테이지에 의해 공급된 합 주파수 신호 및 차 주파수 신호 △f±δf로부터 데이타 신호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대역 통과 필터에 접속된 검출 회로(5), 및 상기 검출 회로(5)와 전압 제어 발진기(3) 사이에 접속된 AFC제어 루프(10)를 포함하는 FSK데이타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FSK데이타 수신기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갖는 신호에 대해 수신기의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의 에너지 양을 강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AFC제어 루프는 전압제어 발진기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과 대역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의 에너지 량을 강조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 적분기(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데이타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 수단이 대역 통과 필터(4)와 검출 회로(5)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 통과 필터가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 주변에 위치한 두 피크를 가지며, 상기 검출회로는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의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의 절대값이 중간 신호 주파수를 가진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을 초과하게 하는 특성을 가진 주파수-전압 변환기(7)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4)에 접속된 제한기(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데이타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 수단이 AFC제어 루프에 배열된 검출 회로(5)와 비선형 검출기(12)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단부 근처에 위치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의 절대값이 중간 신호 주파수를 가진 신호에 대한 출력 전압을 초과하는 특성을 가지는 주파수-전압 변환기(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데이타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 수단이 검출회로(5)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는 주파수의 비선형 함수인 진폭 및 위상 특성을 가진 주파수-전압 변환기(7)를 포함하고, 상기 특성이 기준 주파수에 대해 좌우대칭이며, 상기 AFC제어 루프(10)가 상기 변환기(7)와 적분기(16)사이에 배열된 정류기(12)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데이타 수신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기(7)가 주파수에 대한 선형 함수이고 기준 주파수가 주파수 △f에 위치하는 진폭 및 위상 특성을 가지며, 상기 AFC제어 루프가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기와 적분기 사이에 포함된 정류기(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데이타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FC제어 루프(10)가 기준 전압원과, 적분기(16)에 연결된 전류 출력을 가진차동 증폭기(14)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전압원(13)과 정류기(12)가 상기 차동 증폭기의 입력에 접속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데이타 수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FC 제어 루프가 적분기(16)와 전압 제어 발진기(13)사이에 접속된 제2제한기(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SK데이타 수신기.
KR1019850002769A 1984-04-27 1985-04-24 Fsk 데이타 수신기 KR930002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401347 1984-04-27
NL8401347A NL8401347A (nl) 1984-04-27 1984-04-27 Een fsk data ontv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258A KR850008258A (ko) 1985-12-13
KR930002067B1 true KR930002067B1 (ko) 1993-03-22

Family

ID=1984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769A KR930002067B1 (ko) 1984-04-27 1985-04-24 Fsk 데이타 수신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69094A (ko)
EP (1) EP0161024B1 (ko)
JP (1) JPS60236346A (ko)
KR (1) KR930002067B1 (ko)
AU (1) AU573495B2 (ko)
DE (1) DE3576776D1 (ko)
HK (1) HK87491A (ko)
NL (1) NL8401347A (ko)
SG (1) SG87990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8330A (en) * 1984-04-30 1985-11-06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n afc system for a direct modulation fm data receiver
GB8625416D0 (en) * 1986-10-23 1987-02-04 Plessey Co Plc Optical fsk demodulator
CA2014916C (en) * 1989-04-20 1994-11-08 Yoichiro Minami Direct conversion receiver with dithering local carrier frequency for detecting transmitted carrier frequency
JP2752733B2 (ja) * 1989-10-25 1998-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変調波受信装置
JP2550701B2 (ja) * 1989-04-20 1996-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Fsk受信機
GB2232852B (en) * 1989-05-31 1993-10-27 Technophone Ltd Offset correction
JP2513329B2 (ja) * 1989-10-25 1996-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変調波受信装置
US5414736A (en) * 1991-08-12 1995-05-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SK data receiving system
US5491715A (en) * 1993-06-28 1996-02-13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Automatic antenna tuning method and circuit
US5533062A (en) * 1994-10-03 1996-07-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tracking and demodulation
US5566213A (en) * 1995-03-09 1996-10-15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ing device with improved symbol decoding and automatic frequency control
DE19614979C2 (de) 1995-04-20 2001-05-17 Fujitsu Ltd Hochfrequenz-Sende-Empfangs-Vorrichtung zur Datenkommunikation
US5852636A (en) * 1997-08-08 1998-12-22 Serge Mathieu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dulation of FSK carrier in a very narrow band
JP3070733B2 (ja) * 1997-12-12 2000-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周波数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11313117A (ja) * 1998-02-27 1999-11-09 Kokusai Electric Co Ltd 周波数制御方法及び直交検波回路及びfsk受信機
JP2006033590A (ja) * 2004-07-20 2006-02-02 Alps Electric Co Ltd Fsk信号受信機
JP2006033584A (ja) * 2004-07-20 2006-02-02 Alps Electric Co Ltd Fsk検波回路
JP5020760B2 (ja) * 2007-09-27 2012-09-05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受信周波数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2470A (en) * 1943-06-17 1949-02-22 Rca Corp Telegraphy receiver with automatic frequency control
US2715677A (en) * 1951-07-06 1955-08-16 Richard R Turner Radiotelegraph system
GB1106913A (en) * 1966-01-12 1968-03-20 Marconi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equency modulated receivers
GB2032737A (en) * 1978-10-24 1980-05-08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Radio receiver for tone modulated signals
US4291275A (en) * 1979-06-13 1981-09-22 Rca Corporation Frequency demodulation system
GB2101821B (en) * 1981-07-16 1984-11-14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Radio receiver for frequency shift keyed signals
GB2109201B (en) * 1981-10-26 1985-03-27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Direct modulation fm receiver
DE3324311A1 (de) * 1983-07-06 1985-01-17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Decoder fuer ein frequenzgetastetes signal, insbesondere ein fsk-bildschirmtext-signal
GB2158330A (en) * 1984-04-30 1985-11-06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n afc system for a direct modulation fm data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76776D1 (de) 1990-04-26
US4669094A (en) 1987-05-26
EP0161024B1 (en) 1990-03-21
JPS60236346A (ja) 1985-11-25
SG87990G (en) 1990-12-21
KR850008258A (ko) 1985-12-13
HK87491A (en) 1991-11-15
EP0161024A1 (en) 1985-11-13
AU4164785A (en) 1985-10-31
AU573495B2 (en) 1988-06-09
NL8401347A (nl) 198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067B1 (ko) Fsk 데이타 수신기
US4672636A (en) AFC circuit for direct modulation FM data receivers
KR100355684B1 (ko) 직접변환수신기
US3525945A (en) System for reconstituting a carrier reference signal using a switchable phase lock loop
EP0643476A1 (en) Direct conversion receiver
JPS5881363A (ja) 直接変調周波数変調デ−タ受信機
US4090138A (en) FSK Transmitter having frequency band-limitation
US4656431A (en) Digital frequency discriminator
US5051703A (en) FM demodulator with tracking filter
WO1991011854A1 (en) Amplitude locked loop circuits
EP0135301A1 (en) Demodulation circuit from FM signals and demodulation system therefor
KR940001963B1 (ko) Fm 스테레오 수신기
US2170202A (en) Receiver for frequency-modulated waves
US6985541B1 (en) FM demodulator for a low IF receiver
US4371980A (en) Self aligning band-pass filtering system
EP0099703A2 (en) An envelope detector
US4536871A (en) Signal detector apparatus
JP3368936B2 (ja) ダイレクトコンバージョンfsk受信機
JPH02182045A (ja) スペクトラム拡散受信装置
SU1091355A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елени двух сигналов с угловой модул цией
JPH0380607A (ja) 衛星放送受信機
SU162644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нхронного детектировани фазоманипулированных сигналов
JPS63155932A (ja) 干渉波抽出回路
JPH0127301Y2 (ko)
DE2443286C3 (de) Nachrichtenübertragungssystem für digitale, insbesondere binäre Signale mittels Frequenzsprungmod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