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755B1 - 주물꺼내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물꺼내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755B1
KR930001755B1 KR1019880004492A KR880004492A KR930001755B1 KR 930001755 B1 KR930001755 B1 KR 930001755B1 KR 1019880004492 A KR1019880004492 A KR 1019880004492A KR 880004492 A KR880004492 A KR 880004492A KR 930001755 B1 KR930001755 B1 KR 930001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mold
water supply
support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292A (ko
Inventor
히데끼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물꺼내는 방법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주물의 사시도.
제2도는 주물의 단면도.
제3도는 주물처리시스템의 평면도.
제4도는 동시스템의 측면도.
제5도는 주물꺼내는 수단과 주형과의 관계를 표시한 일부단면으로한 정면도.
제6도는 주물과 꺼내는 갈고랑이의 관계를 표시한 일부 생략한 단면도.
제7도는 같은 관계를 표시한 평면도.
제8도는 탕도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단면으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물 2 : 제품부
3, 81, 82 : 탕도 7, 8 : 받침자리
10 : 주형(鑄型, 主型) 11 : 분할면
19 : 주조버어 21 : 주형콘베이어
22 : 꺼내는 스테이션 30 : 꺼내는 수단
45, 46 : 꺼내는 아암 45a, 46a : 꺼내는 갈고랑이
본 발명은, 틀이없는 세로분할주형을 사용한 주조분야에 있어서의 주물꺼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틀이없는 세로분할주형을 사용한 주조는, 조형, 주탕에서부터 주물꺼내기, 주조방안부(鑄造方案部)의 제거등을 연속적으로 라인화한 상태에서 행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하여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주조에 있어서의 주물을 꺼내는데 있어서는, 주탕완료주형의 이송라인의 끝에 있어서, 이 주형의 이송방향의 앞쪽으로부터 상하로 벌어진 1쌍의 꺼내는 갈고랑이를 주형내의 주물의 상하위치에 삽입하여 이 주물을 상하로부터 꺼내는 갈고랑이로 유지해서 상기 이송방향의 앞쪽으로 꺼낸다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0-115362호 공보참조). 이 방법에 있어서는, 주물에 있어서의 제품부의 아래쪽에 탕도를 배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1쌍의 꺼내는 갈고랑이중 아래쪽의 것은, 탕도의 하면부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틀이없는 세로분할주형에 있어서는, 제품부 아래쪽의 탕도의 캐비티가 세로 분할되는 면쪽에 배치한 코어와 이 코어를 둘러싼 주형(主型)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로, 이 탕도의 캐비티의 아래에 코어와 주형이 바로 접촉하는 경계부가 생기고, 용탕의 일부가 탕도의 캐비티로부터 경계부로 흘러서, 탕도의 분할면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주조버어(鑄 Burr)를 생기게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제안과 같이, 주물을 꺼낼때에 그 상하로부터 꺼내는 갈고랑이로 유지하면, 상기 주조버어의 유무내지는 돌출량이 개개의 주물에서 다르게 되어 나오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이 주물의 꺼내는 상태에서의 자세가 일정한 것으로 되지 않고, 꺼낸 다음에 공정에서 그 스테이션에서의 주물의 위치결정을 기계적으로 행하기가 어렵게 된다고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물꺼내는 방법은, 틀이엇는 세로분할되는 각 주형사이에서 제품부의 아래쪽에 탕도를 배치하여 주조된 주물을 그 주형으로부터 꺼내는데 있어서, 제품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탕도에 있어서의 받침자리에 대하여 꺼내는 수단의 꺼내는 갈고랑이를 상기 분할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그 주형의 분할면의 옆쪽으로부터 삽입하고, 주물을 상기 탕도의 받침자리에서 상기 꺼내는 갈고랑이위에 얹어 놓고, 유지하여, 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주물꺼내는 방법에 있어서는, 꺼내는 갈고랑이는 분할면을 따라서 주형의 옆쪽으로부터 삽입되기 때문에, 이 분할면을 따라서 탕도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주조버어가 있어도, 이 주조버어와 꺼내는 갈고랑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그리고, 주물은 탕도의 주조버어가 생성하지 않는 부분에서 꺼내는 갈고랑이에 얹어놓고, 유지되므로 꺼내는 갈고랑이에 의한 유지자세에 주조버어가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꺼내는 갈고랑이를 탕도의 주조버어가 생성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주형의 옆쪽으로부터 그 분할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삽입하여 이 주조버어가 생성하지 않는 부분에서 주물을 꺼내는 갈고랑이에 얹어 놓고 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주물을 주조버어의 유무나 대소에 영향되는 일없이 항상 안정된 자세로 꺼낼수 있고, 꺼낸 다음의 공정의 스테이션에서의 주물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는 주물(1)의 전체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주물(1)은, 엔진의 실린더 블록소재로서의 제품부(2)의 아래쪽에 이 제품부(2)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탕도(3)가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탕구(4)는 탕도(3)의 ㄷ자 형상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뻗어서 위로 세워져 있다. 또, 위어(weir)(5)는 제품부(2)의 둘레가장자리의 6개소에 형성되고, 제품부(2)의 상면에는 라이저(riser : 주물의 응고수축에 대하여 용탕의 보급의 역할을 하는 부속물)(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탕도(3)의 양단부와 2개소의 코오너부의 계 4개소에 주물(1)을 바치기 위한 받침자리(7), (8)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는 상기 주물(1)을 주조하기 위한 틀이없는 세로분할 주형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동도면에 있어서, (11)은 인접하는 주형(주형 : 主型)(10), (10)의 분할면이며, 양주형(10), (10)의 사이에 있어서, 주로 제품부(2)의 내면을 형성하는 주코어(12), 물재킷을 형성하는 재킷코어(13) 및 주코어(12)의 상단부를 꽂아 넣는 상부코어(14)를 배치하고, 제품부캐비티(15), 탕도캐비티(16), 위어캐비티(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탕도캐비티(16)에 있어서의 상기한 받침자리(7), (8)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형(10)에 캐비티면을 옆쪽으로 움푹들어가게 해서 받침자리캐비티(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주형구조의 경우, 주코어(12)는 하단부가 탕도캐비티(16)의 아래쪽으로 뻗어서 주형(10)에 직접 유지되어 있어서, 탕도캐비티(16)로부터 주형(10)과 주코어(12)가 접하는 경계부에 용탕이 새나오므로서, 탕도(3)의 안쪽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주조버어(19)가 생기게 된다.
그런데, 상기 틀이없는 세로분할주형(10)으로 주조된 주물(1)의 꺼내는 일로부터 냉각반송에 이르는 라인구성은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되어 있다.
동도면에 있어서, (21)은 일련의 틀이없는 세로분할주형(10)을 주탕해서 반송하는 주형콘베이어이며, 이 주형콘베이어(21)의 반송단에 있는 주물꺼내는 스테이션(22)에 이어서 탕구절단모래제거, 냉각반송용의 콘베이어(26)에 짐을 실어주는 각 스테이션(23)∼(25)이 순서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꺼내는 스테이션에서의 주형콘베이어(21)의 위쪽으로부터 냉각용콘베이어(26)에 이르는 프레임(27)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 프레임(27)위의 레일(28)에 주물(1)의 꺼내는 수단(30)과 탕구절단스테이션(23)으로부터 모래제거스테이션(24)을 거쳐서 짐싣는 스테이션(25)에 주물을 옮겨싣는 수단(31)이 실린더장치(32)에 의해 동시에 왕복동작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꺼내는 수단(30)과 옮겨싣는수단(31)은, 각각 레일(28)에 로울러(33), (34)를 지지시킨 대차(35), (36)를 갖추고, 옮겨싣는수단(31)으로부터 연장된 로드(37)의 렉부가 꺼내는 수단(30)의 모우터(38)에 의해서 회전하는 피니언(39)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옮겨싣는수단(31)의 앞쪽에 있어서 프레임(27)에 브래킷(40)을 개재해서 지지한 실린더장치(32)의 로드(32a)가 옮겨싣는수단(31)의 대차(36)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린더장치(32)의 로드(32a)의 진퇴에 따라서 상기 꺼내는 수단(30)과 옮겨싣는수단(31)이 동시에 이동하고, 모우터의 회전에 의해 꺼내는 수단(30)과 옮겨싣는수단(31)의 간격조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기 꺼내는 수단(30)은, 대차(35)에 대하여 승강용실린더장치(41)와 안내통(42)에 삽입한 안내로드(43), (43)로 승강가능하게 매어달린승강대(44)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이 승강대(44)의 양옆부분에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1쌍의 대향하는 꺼내는 아암(45), (46)이 주형(10)의 분할면(11)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각각 개폐용실린더장치(47), (48)에 의해서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승강대(44)의 하면에는 주형(10)의 상면에 미리 형성된 검출구멍(49)의 측벽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분할면(11)의 위치를 검출하는 분할면센서(50)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모우터(38)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꺼내는 아암(45), (46)은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각 병설된 2개의 꺼내는 갈고랑이(45a), (45a), (46a), (46a)을 갖추고, 주형(10)의 분할면(11)의 옆쪽으로부터 탕도(3)의 주조버어(19)가 생성하지 않는 부분, 즉 받침자리(7), (7), (8), (8)의 아래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면센서(50)가 분할면(11)을 검출하는 위치에서 상기 모우터(38)를 정지시키면, 각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이 상기 탕도(3)의 받침자리(7), (8)의 위치의 바로 옆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옮겨싣는수단(31)은, 각각 승강용실린더장치(52), (53)와 상하게 8개의 안내로울러(54), (55)에 의해서 중심내기를 행하도록한 안내로도(56), (57)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한 제1과 제2의 승강대(58), (59)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승강대(58)에는 상기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의 개폐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개폐하는 1쌍의 제1클램프아암(61), (61)이 또, 제2승강대(59)에는 상기 꺼내는 클릭(45a), (46a)과 동일방향에 있어서 개폐하는 1쌍의 제2클램프아암(62), (62)이 각각 개폐용의 실린더장치(63), (64)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과 제2클램프아암(62), (62)는 그 한쪽의 것이 탕도(3)의 양끝부분의 받침자리(7), (7)를, 또 다른쪽의 것이 탕도(3)의 코오너부의 받침자리(8), (8)를 받고, 제1클램프아암(61), (61)은 그 한쪽의 것이 탕도(3)의 한쪽편의 끝부분받침자리(7)와 코오너부 받침자리(8)를 받고, 다른쪽의 것이 다른쪽편의 끝부분 받침자리(7)와 코오너부 받침자리(8)를 받게 된다.
탕구절단스테이션(23)에는 주물(1)을 탕도(3)의 받침자리(7), (8)로 받치는 고정받침(65), (65)가 설치되고, 모래제거스테이션(24)에는 주물(1)을 마찬가지로 받침자리(7), (8)로 받치는 로울러방식의 가동받침(66), (66)이 설치되어 있다. 받침자리(7), (8)에서의 받침위치에 관해서는, 꺼내는 갈고량이(45a), (46a), 제1 및 제2의 클램프아암(61), (62)은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받침자리(7), (8)의 바깥쪽부분(7a), (8a)을 받치고, 고정받침(65) 및 가동받침(66)은 받침자리(7), (8)의 안쪽부분(7b), (8b)을 받치도록 되어 있다.
탕구절단스테이션(23)에는 주물(1)을 클램프해서 탕구(4)를 때려서 절단하는 절단수단(도시생략)이 설치되고, 모래제거스테이션에서는 가동받침(66), (66)을 회전시켜서 주물(1)에 진동을 주어 코어모래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고정받침(65), (65)과 가동받침(66), (66)은, 모두 그 받침부분의 상부가 바깥쪽으로 경사하여 벌어져 있어서, 이 경사부에 의해서 주물(1)을 받침부분에 안내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짐싣는 스테이션(25)은, 모래제거스테이션(24)쪽의 팔레트에 옮겨싣는 위치(25a)와, 냉각용콘베이어(26)쪽의 싣는 위치(25b)를 구비하고 있다. 팔레트에 옮겨싣는 위치(25a)에는, 주물(1)을 재치하는 팔레트(67)를 얹어놓는 회전테이블(68)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팔레트(67)는 4개의 주물받침(69)이 중심에 관련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끝부분의 2개소에 핀(70), (70)이 돌출설치되어 있었고, 양쪽에 로울러(7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테이블(68)에는 팔레트(67)를 상기 로울러(71)에 있어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레일(72), (72)이 설치되어 있다.
싣는 위치(25b)는 냉각용콘베이어(26)에 대하여 주물(1)을 팔레트(67)와 함께 싣는 위치이다. 즉, 냉각용콘베이어(26)는 행거방식으로서, 상기 옮겨싣는수단(31)에 의한 주물(1)의 옮겨싣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반송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행거(74), (74)에 상기 회전테이블(68)의 레일(72), (72)과 접속가능한 2개의 레일(75), (75)가 고정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싣는위치(25b)의 배후부에는 고정레일(76), (76)이 설치되어 있어서, 행거(74)의 레일(75), (75)과 고정레일(76), (76)과 고정레일(76), (76)과의 사이에서 팔레트 바꾸어 넣기용의 대차(77)가 바꾸어 넣기용실린더장치(78)로 왕복동작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바꾸어넣기용대차(77)에는 팔레트(67)를 상기 핀(70), (70)에 있어서 클램프하는 1쌍의 클램프아암(79), (79)이 실린더장치(80)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팔레트(67)는 클램프아암(79)으로 클램프된 상태에서 교체용실린더장치(78)가 작동하므로서 행거(74)와 회전테이블(68)과의 사이에서 출입을 하게 된다. 또한, 행거(74)의 아래에는 모래받이(7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수단에 의해 주물(1)의 꺼내는 방법 및 그 주물(1)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주형콘베이어(21)로 주탕한 주형(10)을 꺼내는 스테이션(22)에 반송하는 한편, 프레임(27)상의 실린더장치(32)의 작동에 의해 꺼내는 수단(30)을 꺼내는 스테이션(22)에 보낸다. 그리고, 승강대(44)를 하강시켜서 분할면센서(50)를 주형(10)의 검출구멍(49)에 삽입하고, 분할면(11)이 검출될때까지 모우터(38)를 구동해서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그리하여, 대향하는 꺼내는 클릭(45a), (46a)에 분할면(11)의 옆쪽으로부터 분할면(11)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폐쇄동작을 시켜, 이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을 탕도(3)에 있어서의 주조버어(19)가 생기지 않는 받침자리(7), (8)의 바깥쪽부분(7a), (8a)에 대해서 삽입하여 주물(1)을 받침자리(7), (8)에 얹어놓고 유지하고, 주물(1)을 위쪽 내지는 앞쪽으로 잡아당겨서 주형(10)으로부터 꺼낸다.
상기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의 삽입은, 받침자리(7), (8)에 대해서 분할면(11)에 따른 방향에서 이루어지므로, 탕도(3)의 안쪽가장자리에 주조버어(19)가 있어서 꺼내는 클립(45a), (46a)이 주조버어(19)와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 주물(1)은 꺼내는 상태에 있어서 주조버어(19)가 없는 받침자리(7), (8)에서 얹혀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꺼내는 자세는 항상 일정한 것으로 된다.
상기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으로 꺼낸 주물(1)은 탕구스테이션(23)으로 보내어, 받침자리(7), (8)의 안쪽부분(7b), (8b)에 있어서 고정받침(65), (65)에 지지시킨다. 이 경우,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의 받침위치와 고정받침(65), (65)의 받침위치가 다르므로,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로부터 고정받침(65), (65)에는 인도가 원활하게 되는 동시에, 주물(1)은 고정받침(65), (65)에 대한 지지자세가 주조버어(19)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것으로 된다.
다음에, 탕구절단스테이션(23)으로부터 주물(1)을 제1클램프아암(61)으로 들어올려서 모래제거스테이션(24)의 가동받침(66)으로 옮겨, 코어모래를 제거한다. 그리고, 제2클램프아암(62)으로 모래제거스테이션(24)으로부터 주물(1)을 들어올려서 회전테이블(68)위의 팔레트(67)에 얹어 놓는다.
상기 꺼내기, 탕구절단, 모래제거 및 짐싣는 각 스테이션(22)∼(25)간의 주물(1)의 옮겨싣는 프레임(27)위의 실린더장치(32)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행하며, 또, 회전테이블(68)은 주물(1)이 팔레트(67)에 얹어 놓여질때마다 90도 회전시키게 된다. 팔레트(67)은, 4개의 주물(1)이 얹어 놓여지면, 교체용실린더장치(78)에 의해서 행거(74)에 옮겨 실어서 냉각반송을 행한다. 그리하여, 다음의 행거(74)에 의해서 이송되어오는 빈팔레트(67)를 회전테이블(68)로 옮겨 실어서, 모래제거끝난 주물(1)을 받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탕도(3)에 받침자리(7), (8)를 부설(付設)하였으나,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탕도(81)의 단면형상을 편평하게 하여, 주조버어(19)가 생성하지 않는 비교적 넓은 받침면(81a)을 형성하고, 이 받침면(81a)을 이용해서 주물의 꺼내기 내지는 옮겨싣기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물이 1종류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형상이 다른 주물을 순차적으로 주조해갈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제7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받침자리의 바깥가장자리 형상을 앞에서의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해서 탕도(82)를 구성하므로서, 꺼내는 수단(30), 옮겨싣는수단(31), 고정받침(65), 가동받침(66)등의 겸용이 가능해진다.

Claims (2)

  1. 틀이없는 세로분할되는 각 주형(10), (10) 사이에서 제품부(2)의 아래쪽에 탕도(3)를 배치하여 주조된 주물(1)을 그 주형(10)으로부터 꺼내는데 있어서, 제품부(2)의 아래쪽에 설치된 탕도(3)에 있어서의 받침자리(7), (8), (81a)에 대해서 꺼내는 수단(30)은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를 상기 분할면(11)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그 주형(10)의 분할면(11)의 옆쪽으로부터 삽입하고, 주물(1)을 상기 탕도(3)의 받침자리(7), (8), (81a)에서 상기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에 얹어놓고, 유지하여, 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 꺼내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주물(1)의 제품부(2)가 실린더블록 소재이고, 제품부아래쪽의 탕도(3)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탕도(3)의 양단부와 양코오너부에 있어서 주물(1)을 상대하는 1쌍의 꺼내는 갈고랑이(45a), (46a)에 얹어놓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꺼내는 방법.
KR1019880004492A 1987-04-21 1988-04-20 주물꺼내는 방법 KR930001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98043A JPS63264265A (ja) 1987-04-21 1987-04-21 鋳物の取出し方法
JP98043 1987-04-21
JP62-98043 1987-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292A KR880012292A (ko) 1988-11-26
KR930001755B1 true KR930001755B1 (ko) 1993-03-13

Family

ID=1420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492A KR930001755B1 (ko) 1987-04-21 1988-04-20 주물꺼내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64265A (ko)
KR (1) KR930001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079B1 (ko) * 2002-06-11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 블럭용 버어의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7365B2 (ja) * 1979-09-11 1983-10-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JPS5847365U (ja) * 1981-09-28 1983-03-30 新東工業株式会社 縦型鋳型における鋳造品と鋳物砂の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9502B2 (ko) 1992-11-06
KR880012292A (ko) 1988-11-26
JPS63264265A (ja) 198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9467A (en) Mold handling system
EP0090490A1 (en) A plant for the production of castings in a stepwise advanced casting mould consisting of identical, flaskless mould parts
KR930001755B1 (ko) 주물꺼내는 방법
KR100929159B1 (ko) 금형 순환식 다중 주조방법 및 그 장치
US3762462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positioning the leader of an ingot in a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US45225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utting burr sticking to lower surface of slab
JP2635589B2 (ja) 鋳物の製造方法
JP3304071B2 (ja) 鋳型の解枠方法およびその設備
JPH03460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鋳造装置
US5159867A (en) Core collecting tray provided with an in-built clipping system and adjustable cross travel allowing the core to be centered with the manipulator shaft
JP2633250B2 (ja) 鋳物の混流生産方法
JPH03461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鋳造装置
JPH0780628A (ja) 鋳造方法および装置
JP2599932B2 (ja) 鋳物の製造方法
WO1991012104A1 (en) Vertical pour casting process
JPS63268557A (ja) 鋳物の方案部除去方法
JP2615119B2 (ja) 鋳物取出し装置
US4655273A (en) Process of and ingot mould casting arrangement for casting a melt
JPH0234268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鋳造方法およびその鋳造装置
US1802823A (en)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H0829397B2 (ja) 交互金型移動傾倒式竪型鋳造装置
JPS6397357A (ja) 交互金型交換式竪型鋳造装置
JPH04305358A (ja) 堰折り装置
JPH04253548A (ja) 砂型の湯口形成装置
JPH05277707A (ja) 鋳物及び鋳物の吊掛け支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