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426B1 - 기둥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기둥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426B1
KR930001426B1 KR1019850700241A KR850700241A KR930001426B1 KR 930001426 B1 KR930001426 B1 KR 930001426B1 KR 1019850700241 A KR1019850700241 A KR 1019850700241A KR 850700241 A KR850700241 A KR 850700241A KR 930001426 B1 KR930001426 B1 KR 930001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member
base
wall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70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700265A (ko
Inventor
볼만 장-자크
Original Assignee
볼만 장-자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만 장-자크 filed Critical 볼만 장-자크
Priority claimed from PCT/CH1984/000193 external-priority patent/WO1985003731A1/de
Publication of KR85070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70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7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tracking pull-in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 Y10T403/32278Members rotatable about oblique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loor Finish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둥용 지지대
본 발명은 기초로부터 떨어져서 직립하는 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에는 기초에 고정될 기저부재가 설치되고, 기저벽은 중앙 앵커 보울트에 의하여 기초에 대하여 연결될 수 있는 동시에 기초에 사실상 수직인 제1회전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며, 축방향으로 인서어트 연결가능한 앵커보디를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기도 하며, 앵커보디 상에 연속하는 측벽을 설치하고, 상부에서 진입개구는 기저벽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며 진입개구를 통하여 앵커 보울트가 삽입 및 진입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환상링형 지지면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며, 상부에는 기둥용 연결대역을 가지며 연속하는 측벽의 하측 저면에는 지지면에 보충적인 환상 지지면이 형성된 취부벽을 갖는 기둥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취부벽에는 지지면에 수직으로 진행하는 제2회전축선 둘레로 회전가능케 하는 중앙구멍을 설치하고, 중앙구멍은 지지면에 대하여 수직위치를 가지며 취부벽을 기저벽에 고정시키는 스터드 보울트가 통과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므로서, 지지면사이에 견고한 축방향 클램프 이음부가 형성되게 하고, 스터드 보울트는 취부벽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기둥 지지부재의 상측대역의 진입 개구에 의하여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둥이라 함은 일측단부가 지지대에 고정되는 장방형 구조부재를 의미한다. 특히 중공형 단면을 포함하는 형태의 형재가 이에 관련이 있다. 기둥용 지지대라 함은 가장 광범위한 의미에서 수직 및 경사마루에 적용될 뿐만아니라 수직 또는 균일한 돌출벽에도 적용됨을 의미한다.
공지 형태의 기둥용 지지대(CH-PS 622845)에 의하면, 기둥 지지부재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의 하중능력이 매우 높지않는 바조네트 캐치형 연결장치에 의하여 기저부재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큰 측방능력을 피할 수 있는 비교적 경량의 장방형 구조부재만이 기둥 지지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바조네트 캐치형 연결장치는 기둥 지지부재가 중앙앵커 보울트의 삽입 또는 제거를 위해서 뿐만아니라 그 조작을 위하여 상부에서 개방되어야 하므로 생략될 수 없다.
기초로부터 떨어져 직립하는 기둥을 고정시키며 기초에 고정될 기저부재를 갖는 다른 지지대가 이미 공지되어 있는바(FR-OS 23 15 525), 이에 의하면, 기둥 지지부재의 취부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방향 돌기는 기저부재의 대응하는 환상 요구에 결합되어 기저부재와 기둥 지지부재 사이의 정렬 끼워 맞춤을 확실하게 하는 인서어트 연결을 제공한다. 두 부재의 축방향 고정은 제2회전축선의 주변 둘레에 배치된 수개의 나사에 의하여 달성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지지대의 결점은 고정용 나사(공동너드)와 카운터-스패너는 기초를 향하여 회전되는 기저부재의 측부로부터 접근될 수 있어야하고 또 주변 구멍은 나사가 통과하도록 제공되어야 하므로 평활한 벽에 의하여 측방으로 폐쇄되는 실린더 형상의 기저부재의 설계는 불가능하고 설치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됨이 증명되었으며 또 기둥 지지부재의 회전 각도는 제한된다. 이 지지대는 높은 응력에 부적당함이 증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통상의 공구에 의하여 설치 및 조절이 가능하면서 큰 측방 응력에 노출되는 중량의 기둥, 즉 일반적으로 장방향 구조물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는데 적당한 최초에 기술한 형태의 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를 얻는데 있는바, 이에 의하여 실제로 폐쇄된 주위벽을 갖는 기초 또는 벽에 봉형 구조부재 또는 기둥을 고정하도록 통상 제공되는 지지대의 설계 및 모양을 본 지지대에 부여하는 전체적으로 치밀한 외부 구조물이 얻어지므로 기초에 설치후 개개의 부속장치는 외부로부터 볼 수도 없고 접근할 수도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2회전축선에 동심인 축방향 동적균형 인서어트 연결이 기저벽과 취부벽사이의 진입 개구의 방사상 외측에서 이루어지게 하고 또 진입개구의 주변 대역에서 중앙 스터드 보울트가 최소한 기둥 지지부재가 제거되면 상측으로부터 진입 및 조작할 수 있는 나사이음부에 의하여 기저부재에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어트 연결을 보이는 축방향으로 대칭인 단면과 비교적 큰 단면 사이의 공간은 상측으로부터 진입할 수 있는 스터드 보울트에 의하여 기저부재와 기둥 지지부재 사이에 부가적으로 견실한 연결이 얻어지게 하는데 이용된다. 이에 의하여, 개개의 지지부품은 예컨대 박스 렌치에 의하여 상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진입 및 조작가능할뿐만 아니라 특히 방사상 조립에 의하여 부속장치의 극히 치밀한 배열이 얻어진다. 방사방향으로 다음과 같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속하여 조립된다. 즉 진입개구의 칼라, 기저부재에서 스터드 보울트를 완전히 조이기 위한 나사이음, 및 예컨대 일측부재의 축방향 돌기와 타측부재의 환상요구로 구성되는 두 부재 사이에 부가적인 접합부를 형성하는 인서어트 연결.
제1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에 의하면, 스터드 보울트는 진입 개구의 주위 대역에서 나사이음에 의하여 기저부재에 고정되는 모판에 배치된다. 공지의 바조네트 캐치형 연결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떨어져 직립하는 스터드 보울트와 함께 모판은 기초에 고정되는 기저부재에 기둥 지지부재를 설치하기전에 기저부재에 고정되므로, 기둥 지지부재를 설치할때 모판은 이미 기저부재의 일체 부분을 형성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저 지지부재에 스터드 보울트의 연결 단계와 스터드 보울트에 의하여 기저 지지부재에 기둥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단계는 조립의 촉진 및 이외에 기저부재에 스터드 보울트의 개별 연결에 의하여 모든 종류의 변형에 저항하는 보다 견실한 연결의 가능성이 본질적으로 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둥 지지부재의 조립중 기저부재가 역시 하측으로부터 진입되어야 하는 FR-OS 23 13 525호에 따른 배열의 본질적인 결점은 피할 수 있게 된다.
제1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모판의 연결은 모판 주위의 나사가 기저부재내의 환상 진입개구의 주위 암나사와 함께 나사이음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육각형 헤드가 스터드 보울트의 기부에서 그에 동심으로 모판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스터드 보울트 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며 박스 렌치를 적용하는데 이용된다. 이에 의하여 모판은 이를 기저부재에 나사고정후 조여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진입 개구는 암나사의 내부 파라미터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또한 이 경우 비록 대수롭지는 않지만 나사이음부는 진입개구의 방사상 외측에 놓인다. 인서어트 연결부 역시 매우 적게 나사이음부의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다른 특징에 의하면, 또한 모판은 진입개구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어 나사로 구성되는 나사이음부와 관련 탭구멍에 의하여 그에 고정되는 기저부재의 내측 돌기를 중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개의 나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조립에는 확실이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몇몇 경우 진입개구내의 하나의 독특한 대형 탭구멍 대신에 진입개구의 측방으로의 수개의 소형 탭구멍이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간단한 방법은 진입 개구의 주위에서 진입개구의 직경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는 기저부재에 스터드 보울트의 수나사가 고정되는 암나사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기둥 지지부재는 다만 비교적 큰 직경을 보이는 스터드 보울트가 기둥 지지부재와 기저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되기전에 기저부재에 놓인다. 그러나 이는 두 부재가 스터드 보울트를 고정하기전에 인서어트 연결에 의하여 이미 완전히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중앙 스터드 보울트만이 두 부재의 공동으로 정렬된 진입구멍에 삽입되거나 나사고정되어야 하기때문에 조립에 어떠한 결점도 수반하지 않는다. 나사이음부는 기저부재내에, 즉 이것에 고정되는 내부 돌기에 놓이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역시 이 구조는 상측으로부터 스터드 보울트의 삽입이 가능하게 하는바, 이는 기저부재가 하측으로부터 진입할 수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익한 실시예는 또한 기저부재의 기저벽 및 기초내에 고정되는 앵커보디 사이에 제1회전축선에 동심인 축방향 동적 균형 인서어트 연결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1회전축선 둘레로 기저부재의 완전한 회전이 행해질 수 있어, 연결된 기둥과 연결된 봉형 구조부재가 정확한 정렬을 이루게 된다. 이외에, 인서어트 연결은 기초에 견고한 유지를 확실하게 한다. CH-PS 622 845호에 따른 공지의 기둥용 지지대나 FR-OS 23 13 525호에 따른 공지의 기둥용 지지대는 모두 대체적으로 원통형 지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 단면을 갖는 종래의 지지대의 치밀한 형태와 특징을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저부재와 기둥 지지부재가 실질적으로 원주 단면을 갖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특히 기저부재와 기둥 지지부재는 이들의 실린더 축선을 조절시 동일한 외부직경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두 부재를 충분히 축방향으로 정렬시키면, 이는 외견상 종래의 지지대의 특징을 나타내며, 그 부속장치는 만약 기둥이 기둥 지지부재내에 분리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면 외측으로부터 진입될 수 없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기초(31)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용 지지대의 제1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제1a도는 제1도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용 지지대의 제2실시예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용 지지대의 제3실시예이다.
제1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둥용 지지대는 중앙구멍(40)을 통과하는 앵커 보울트(12)에 의하여 기초(31)에 고정되는 환상의 평면 기저벽을 갖는 기저부재(11)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벽(13)은 기초(31)에 반듯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앵커 보울트(12)는 예컨대 자리맞춤핀 또는 강철 지지체 같은 지지체(17)(제1도에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기저벽(13)내의 중앙구멍(40)은 그 축선과 함께 기초(31)의 상면에 수직인 제1회전축선(33)을 형성하며 기저벽(13)은 앵커 보울트를 조이기전에 소정위치를 확보하도록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될 수 있다.
원주 단면을 보이고 있는 측벽(14)은 기초로부터 멀리 기저벽(13)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또 제1회전축선(33)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절단부로부터 얻어지며 기저벽(13)을 향하여 예컨대 22.5°의 각도로 진행되는 타원형의 링형 경사지지면(18)에서 종단되는 제1회전축선(33)과 평행하다.
그 상측 대역에서, 측벽(14)은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면(18)과 평행하며 제1회전축선에 대하여 우측으로 명백하게 변위되어 있는 디스크 형상의 진입개구(15)를 형성하는 내측돌기(29)를 보이고 있으며, 제2회전축선(24)을 형성하는 환상인 진입개구(15)의 중심선은 그의 반경의 대략 절반에서 기저벽과 교차한다.
진입개구(15)의 주변에서, 기저부재(11)의 내측돌기(29)에는 정합 수나사를 갖는 환상 디스크형 모판(28)이 모판(28)과 기저부재(11) 사이에 나사이음부(37)를 형성하는 상측으로부터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모판(28)의 상측에서 플랜지(41)는 진입개구(15)의 상측 선단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면서 진입개구(15)에서 모판(28)의 나사 구간을 함께 제한하는 링 스텝(48)과 협동한다. 더우기, 나사붙이 모판(28)을 조이므로서, 모판(28)과 기저부재(11) 사이에서 공구에 의하여 탈착가능한 이음부가 그와 같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모판(28)의 중심으로부터 모판에 수직으로 스터드 보울트(27)가 연장되어 있고, 스터드 보울트(27)는 모판(28)과의 연결 대역에서 박스 렌치가 부착될 수 있는 다각형 헤드(39)가 돌출하여 있는 스터드 보울트(27)상으로 방사상으로 약간 둘러쌓여 있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 기둥 지지부재(16)는 기저부재(11)에 놓이므로, 스터드 보울트(27)는 제2회전축선(24)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되는, 즉 기둥 지지부재(16)의 실린더 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취부벽(23)의 중앙구멍(22)을 통하여 연장되며, 지지면(19)을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취부벽은 지지면과 직면하며 지지면(18)과 평행한다. 기저부재(11)를 향하는 측부에서, 취부벽(23)은 축방향으로 기저부재(11)의 환상요구(26)에 결합하며 제2회전축선에 대하여 동심 및 축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환상돌기(25)를 갖고 있다. 환상돌기(25) 및 환상요구(26)는 기저부재(11)와 기둥 지지부재(16)를 꼭맞게 연결하면서도 제2회전축선(24)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인서어트 연결을 이루고 있다.
워셔(49)를 놓은후 스터드 보울트(27)의 상측 선단에 너트(42)를 고정시키므로서, 취부벽(23)의 하측변부에 제공되는 링형 지지면(19)과 지지면(18)은 함께 견고하게 연결된다. 기둥 지지부재(16)와 기저부재(11)의 중심 축선이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제1도에 도시한 기둥 지지부재(16)의 회전위치에서, 취부벽(23)으로부터 기저벽(13)에 대하여 경사져 진행하며, 환상의 측벽(20)은 기둥 지지부재(16)에 연결될 기둥(45)을 놓기위한 연결대역(21)에서 끝나는 측벽(14)과 같은 높이를 이루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연결대역(21)은 기둥 지지부재(16)의 상측대역에서 너트(42)를 위한 진입개구(36)를 동시에 형성하는 요구로서 전개되어 있어 중공단면 형태로 전개된 기둥(45)은 기둥 지지부재(16)의 캐치요구(46)에 걸리는 스프링 저지구(47)에 의하여 상부로부터 삽입연결될 수 있다.
액체 수집용 출구로서 작용하는 측부구멍(43 및 44)이 기저부재(11)와 기둥 지지부재(16)의 공동의 가장 깊은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먼저, 기저부재(11)는 앵커 보울트(12)에 의하여 이미 배열된 자리맞춤핀(17)에 고정시켜 기초(31)에 고정시키므로서, 앵커 보울트(12)는 진입개구(15)을 통하여 삽입되어 진입개구(15)를 통과한 박스렌치에 의하여 조여진다.
앵커 보울트(12)를 최종적으로 조이기전에, 기둥 지지부재를 기저부재(11)에 놓은 다음, 기둥(45)의 소망각도 위치에 대하여 요구되는 회전위치에 도달되어 이 위치가 정해질때까지 상기 양 부재를 회전시킨다.
그다음, 기둥(45)을 특수공구로 스프링 저지구(47)를 분리시키므로서 다시 제거한 다음, 앵커 보울트(12)를 지지체(17)에 고정시킨다.
그후, 모판(28)을 플랜지(41)가 환상요구(26)로부터 좁은 진입개구(15)를 향하는 변위점에서 링 스텝(48)에 지지될때까지 진입개구(15)에 고정시킨다. 모판(28)을 다각형 헤드(39)에 설치한 박스렌치에 의하여 조이므로서 모판과 내측 돌기(29)사이에 나사이음부(37)가 설정되어 이 두 부분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중앙구멍(22)이 형성된 기둥 지지부재(16)를 스터드 보울트(27)에 놓으므로서, 동시에 환상돌기(25)는 환상요구(26)에 결합된다. 환상돌기(25)의 축방향 길이는 최종적으로 지지면(19)이 지지면(18)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크기이다.
그 다음, 와셔(49)를 개재한후, 너트(42)를 진입개구(36)를 통하여 취부벽(23)을 지나 상향돌출하는 스터드 보울트(27)의 선단에서 고정하여 조인다.
이 단계에서, 기둥의 안전한 연결에 적당한 기둥 지지대가 설정되는바, 이 경우 기둥(45)만이 삽입되어야 하며 스프링 저지구(47)는 캐치 요구(46)에 걸린다. 스프링 저지구(47)는 단지 특수 공구에 의하여 외부로 부터 탈착가능하므로, 기둥(45)은 부재(11 및 16)에 의하여 형성된 지지대에 강탈당하지 않게 연결된다.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 보울트(12)는 지지체(17)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으나 기초(31)에 주조된 앵커 보디(32)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앵커 보디는 부재(11 및 16)와 같은 금속 주물로 할 수 있으며, 앵커 보울트(12)에 나사고정하기 위한 암나사를 갖는 중앙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서, 앵커보디(32)는 기초(31)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앵커 보울트(12)에 동심인 환상요구(34)를 보이고 있으며, 기저벽(13)의 하측면이 앵커보디(32)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기저부재(11)의 기저벽(13)의 저면에 위치되는 축방향 환상돌기(35)가 환상요구에 알맞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저부재(11)는 두 단계(13, 35)로 기초(31)에 보다 확실하게 유지되는 이외에, 제1회전축선(33) 둘레로 보다 명확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달리, 진입개구(36)는 판(55)에 의하여 상부가 밀폐되며, 상기 판(55)은 그 저면에 환상돌기를 갖고 있고, 상기 환상돌기는 내측으로부터 외측까지 동심이며, 또한 상기 판은 내측돌기를 통하여 환상요구에 결합되며 나사(56)에 의하여 이부 클램프 칼라를 통하여 기둥 지지부재(16)의 상측에 고정된다. 파선으로만 도시된 임의의 단면을 갖는 기둥(45)은 예컨대 용접에 의하여 판에 부착된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 스터드 보울트(27)의 모판(28')은 링형 내측돌기(29)의 상측에 중첩되어 있으며, 내측 주면(29')은 제2회전축선(24)에 대하여 동심이며 앵커 보울트(12)를 위한 진입개구(15)를 형성한다.
내측 돌기(29)는 제2회전축선(24)에 평행하게 일정각도거리로 진행하며 모판(28')의 중첩대역의 간극구멍(50)과 정렬되어 있는 탭 구멍(38)을 제공하고 있다. 헤드가 형성된 나사(30)는 이들 간극구멍을 통과하여 탭 구멍(38)에 나사고정되어, 나사 또는 용접에 의하여 모판(28')에 배치되는 스터드 보울트(27)가 기저부재(11)에 단단히 부착되는 나사이음부(37') 외측에 방사상으로 위치되어 링 스텝 형태의 매우 큰 반경을 또한 갖는 환상요구(26)와 협동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경우, 진입개구(15), 나사이음부(37') 및 인서어트 연결부(25, 26)는 서로 명확히 방사상으로 변위된다.
조립은 제1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행해진다. 즉 기둥 지지부재(16)와 함께 기저부재(11)를 적당한 각도위치로 놓고 위치를 정한다. 그 다음, 스터드 보울트(27)와 함께 모판(28')을 나사(30)에 의하여 기저부재(11)에 고정시키고, 기둥 지지부재(16)를 스터드 보울트(27)에 놓고 너트(42)에 의하여 기저부재(11)에 부착시킨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진입개구(15)의 주변에서 기저부재(11)의 환상 내측돌기(29)에는 나사가 설치되어 있다. 방사상 외측에는 암나사, 기저부재(11)의 축방향 환상돌기(25) 및 기둥 지지부재(16)의 환상요구(26)가 설치되어 있다. 환상돌기(25)와 환상요구(26)는 링스텝(51)을 가로질러 각각 지지면(18) 및 지지면(19)까지 방사상 외측으로 지나가고 있다.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기둥 지지부재(16)의 취부벽(23)은 상술한 변형 형태보다 직경이 훨씬 큰 중앙구멍(22)을 갖고 있다. 중앙의 테이퍼 구멍(22)의 직경은 이와 함께 축방향으로 정렬된 진입구멍(15)의 직경속으로 연속된다.
테이퍼진 스터드 보울트(27)는 취부벽(23)에 결합된다. 스터드 보울트(27)에 고정되는 육각형 헤드(53)는 상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통과한 공구에 의하여 조이는데 쓰인다.
이 실시예의 경우, 조립은 앵커 보울트(12)에 의하여 기저부재(11)를 정렬 및 고정시키는 각도조절 및 위치를 정한후, 기둥 지지부재(16)를 설치한후, 나사연결부(37")를 형성하기 위한 스터드 보울트(27)를 내측돌기(29)에 나사고정하여 함께 고정시켜, 부재(11 및 16)의 두 면(18 및 19)을 서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행한다.
마지막으로, 기둥(45)을 진입개구(36)속으로 밀어넣고 적당한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Claims (9)

  1. 기초에 고정될 기저부재 또는 앵커보디를 설치하고, 기저벽을 중앙 앵커 보울트 또는 연결 보울트에 의하여 기초에 대하여 연결될 수 있는 동시에 기초에 사실상 수직인 제2회전축선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기저벽 상에 연속하는 측벽을 설치하고, 상부에서 진입개구는 기저벽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진행하며 진입개구를 통하여 앵커 보울트가 삽입 및 진입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환상 링형 지지면에 의하여 둘러싸여지게 하고, 상부에는 기둥용 연결대역을 가지며 연속하는 측벽의 하측저면에는 지지면에 보충적인 링형 지지면이 형성된 취부벽을 갖는 기둥 지지부재를 설치하되, 취부벽에는 지지면에 수직으로 진행하는 제2회전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중앙구멍을 설치하고, 중앙구멍은 지지면에 대하여 수직위치를 가지며 취부벽을 기저벽에 고정시키는 스터드 보울트가 통과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므로서, 지지면 사이에 견고한 축방향 클램프 이음부가 형성되게 하고, 스터드 보울트는 취부벽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기둥 지지부재의 상측대역의 진입개구를 통하여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시켜서된, 기초로부터 떨어져서 직립하는 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에 있어서, 기저벽(13)과 취부벽(23)사이의 진입개구(15)의 방사상 외측에서 축방향 동적균형 인서어트 연결부(25, 26)를 제2회전축선(24)에 대하여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시키고, 상측으로부터 진입 및 조작할 수 있는 중앙 스터드 보울트(27)를 진입개구의 주위대역의 인서어트 연결부(25, 26)의 방사상 내측에서 나사이음부(37, 37', 37")에 의하여 기저부재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스터드 보울트(27)를 진입개구의 주위대역에서 나사이음부(37, 37')에 의하여 기저부재(11)에 연결되는 모판(28, 28')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모판(28)에는 기저부재(11)내측의 환상 진입개구(15)의 주위에서 기저부재(11)의 환상내측돌기(29)에 위치하는 암나사와 함께 나사이음부(37)를 형성하는 나사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4. 제2항에 있어서, 모판(28')을 기저부재(11)의 진입개구(15)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내측돌기(29')에 중첩시켜 나사(30)와 관련 탭구멍(38)으로 구성되는 나사이음부(37')에 의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환상 진입개구(15)이 주위의 암나사를 기저부재(11)의 내측에서 진입개구(15)의 직경에 해당하는 확대직경을 갖는 스터드 보울트(27)의 수나사가 나사이음부(37")를 형성하도록 고정되는 기저부재(11)의 환상 내측돌기에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저부재(11)의 기저벽(13)과 기초(31)에 고정되는 앵커보디(32) 사이에 제1회전축선(33)에 동심인 동적 균형 축방향 인서어트 연결부(34, 35)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저부재(11)와 기둥 지지부재(16)는 원주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8. 제7항에 있어서, 기저부재(11)와 기둥 지지부재(16)는 이들의 실린더 축선을 정렬시킬때 동일한 외측직경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링형 지지면(18)과 기저벽(13)은 회전축선(33)과 정렬된 위치사이로 기둥 지지부재(16)의 실린더 축선의 연속조절이 40-50°이하의 각도, 특히 45°각도까지 가능하도록 20-25°의 각도, 특히 22.5°의 각도로 둘러싸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용 지지대.
KR1019850700241A 1984-02-16 1984-12-10 기둥용 지지대 KR930001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746/84-8 1984-02-16
CH74684 1984-02-16
EP84112151A EP0152530B1 (de) 1984-02-16 1984-10-10 Bödenbefestigungsvorrichtung
DE84112151.0 1984-10-10
PCT/CH1984/000193 WO1985003731A1 (en) 1984-02-16 1984-12-10 Ground secu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265A KR850700265A (ko) 1985-12-26
KR930001426B1 true KR930001426B1 (ko) 1993-02-27

Family

ID=419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700241A KR930001426B1 (ko) 1984-02-16 1984-12-10 기둥용 지지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152530B1 (ko)
JP (1) JPS61501274A (ko)
KR (1) KR930001426B1 (ko)
CA (1) CA1237568A (ko)
DE (1) DE3475416D1 (ko)
IN (1) IN161404B (ko)
ZA (1) ZA8511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1087A1 (de) * 1985-08-30 1987-03-05 Bollmann Jean Jacques Bodenbefestigungsvorrichtung
FI922465A0 (fi) * 1992-05-29 1992-05-29 Aulis Koivisto Instaellbar led.
DE102008000382A1 (de) * 2008-02-22 2009-09-03 Ed. Züblin Ag Richtungskorrekturelement zum Ausgleich von Schiefstellungen von Gründungen bei Windenergieanlagen und Verfahren zur Richtungskorrektur
CN102182245B (zh) * 2011-04-02 2012-07-04 浙江大学 石油储罐网壳顶支座
CN113585788B (zh) * 2021-08-06 2022-12-06 深圳市金鑫华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防护栏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314A (en) * 1900-04-11 1900-08-21 New York Zool Soc Fence.
GB511249A (en) * 1938-11-17 1939-08-15 Donald James Learmont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chorages for posts and the like
US3289369A (en) * 1964-08-11 1966-12-06 Spring City Foundry Company Light standard base hold down
CH622845A5 (en) * 1978-08-03 1981-04-30 Bollmann Jean Jacques Anchoring device for structural members, in particular on sloping gr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265A (ko) 1985-12-26
EP0152530A1 (de) 1985-08-28
CA1237568A (en) 1988-06-07
ZA851122B (en) 1985-10-30
IN161404B (ko) 1987-11-28
DE3475416D1 (en) 1989-01-05
JPH0451612B2 (ko) 1992-08-19
EP0152530B1 (de) 1988-11-30
JPS61501274A (ja) 198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526A (en) Ground securing device
US4662139A (en) Base support for pole
KR930001426B1 (ko) 기둥용 지지대
US4198798A (en) Anchor bolt sleeve
JPH0122419B2 (ko)
JPH07173872A (ja) アンカーボルト取付孔用調整金具及びその調整工法
KR20190098408A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EP015406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ace frame connector elements
JPH07443B2 (ja) 車両におけるサスペンションストラットの取付構造
WO2014111541A1 (en) Modular inset light container
JPH0445690B2 (ko)
JP2926542B2 (ja) マンホール用蓋受枠の高さ調整装置
EA03778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ения животных
JPS6346499Y2 (ko)
JP2002243093A (ja) 機器据付けレベル調整用治具
JPH10317493A (ja) 鋼管柱の柱脚構造
JPS6123086Y2 (ko)
JPH0332593Y2 (ko)
JPS6246010Y2 (ko)
JPH0849306A (ja) アンカーボルト定着装置
JPH07292772A (ja) アンカーボルト取付孔用調整金具
JPS5919052Y2 (ja) ねじ鉄筋用圧着継手
JP2003306932A (ja) 杭の接続構造
JPS5914592Y2 (ja) コンクリ−ト型枠の締付用セパレ−タ
JPH05360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