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157Y1 - 발포재의 역류 방지 캡 - Google Patents

발포재의 역류 방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157Y1
KR930001157Y1 KR2019880022104U KR880022104U KR930001157Y1 KR 930001157 Y1 KR930001157 Y1 KR 930001157Y1 KR 2019880022104 U KR2019880022104 U KR 2019880022104U KR 880022104 U KR880022104 U KR 880022104U KR 930001157 Y1 KR930001157 Y1 KR 930001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oam
backflow prevention
return plat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724U (ko
Inventor
조경원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157Y1/ko
Publication of KR900012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포재의 역류 방지 캡
제1도는 냉장고의 후벽에 끼워지는 종래의 발포재 역류 방지 캡.
제2도는 본 고안의 발포재 역류 방지 캡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발포재 역류 방지 캡의 배면사시도.
제4도는 발포재 역류 방지 캡이 냉장고의 후판에 설치된 본 고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11 : 요홈
12 : 걸림턱 13 : 경사면
16-26 : 역류 방지판 27 : 후벽
28 : 노즐
본 고안은 냉장고의 내부에 주입되는 발포제(폴리우레탄)의 주입과 유출방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발포재 역류 방지 캡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생산라인에서 각종 부품들이 내장된 냉장고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발포하여 냉장고의 단열처리를 하게되는데 냉장고의 내부 구석구석까지 주입될 수 있도록 고압의 발포재를 주입하게 된다. 이러한 발포재를 주입하기 위한 냉장고의 후벽에 주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공에는 발포용 노즐을 삽입하고 고압으로 발포재를 주입하게 된다. 그러므로 만충상태로 주입된 발포재는 주입공에서 노즐을 뽑아내고 주입공의 내경에 발포재 역류 방지 캡을 끼우게 된다.
종래에 사용되어왔던 역류 방지 캡은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장고의 후판 주입공의 내경과 동일한 캡(10)으로 밀폐시켜 발포재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고압으로 주입된 발포재는 기포를 형성하며 팽창되어 만충상태가 되면 노즐을 뽑아냄과 동시에 발포재는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노즐의 분리와 동시에 주입공을 밀폐시켜야 발포재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노즐의 분리와 캡의 밀폐가 빠를수록 이로운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고안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역류방지 캡이 주입공의 내경에 삽입된 상태로 노즐을 삽입하여 발포재를 주입할 수 있고 노즐을 빼냄과 동시에 역류 방지판(Check-Valve)을 발포재가 팽창되어 누름으로서 발포재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발포재 역류 방지 캡을 도면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캡(10)는 플랜지 일면내측으로 연장하여 환형 요홈(11)이 형성되고 환형요홈(11) 상단에는 캡(10)의 외경보다 적은 크기의 걸림턱(12)이 형성되고, 걸림턱(12)의 상부 주연부(13)에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또한, 플랜지 일측면을 연장하는 캡(10)의 내경에는 내경부(14)가 게이트을 형성한다. 내경부(14)의 내측 끝단에는 역류 방지판(16-26)은 부채꼴 형상을 지니며, 밀폐상태의 역류 방지판(16-26)은 20-30의 기울기를 지닌다. 역류 방지판(17)은 우측모서리(17a)가 역류 방지판(18)의 좌측모서리(18b) 밑으로 중첩되어지고 역류 방지판(18)의 우측모서리(18a)는 역류 방지판(19)의 좌측모서리(19b) 밑으로 중첩된다. 상기 역류 방지판(16-26)은 다수개가 상기와 같이 연속배열되어 있으며 역류 방지판(16)의 우측모서리(16a)는 역류 방지판(17)의 좌측 모서리(17b)에 밑으로 중첩된다. 제4도는 냉장고의 후판에 설치된 역류 방지캡에 주입노즐을 삽입된 상태의 종단 측면도이며, 냉장고의 후판통공(27)에 캡(10)이 삽입되어 환형 요홈(11)상에 통공(27)의 내경이 걸려지고 캡(10)의 게이트로 노즐(28)이 삽입되고 스톱퍼(29)은 캡(10)의 플랜지에 밀착된다. 게이트에 노즐(28)이 삽입될시에는 노즐(28)의 선단부가 역류 방지판(16-26)의 내측면을 밀고 냉장고의 후판(27')속으로 삽입 설치되어 발포재를 주입하게 된다. 그러므로 발포재를 냉장고에 만충 상태로 주입한 후 캡(10)으로 부터 노즐(28)을 뽑아내면 만충상태의 발포재는 기포와 함께 팽창되어 역류 방지판(16-26)을 누름으로서 밀폐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발포재는 유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발포재 역류 방지 캡은 발포재의 주입과 밀폐를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서 청결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마무리 손질이 필요치 않아 매우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냉장고의 후판에 형성된 발포재 주입용 통공에 끼워지는 발포재 역류 방지 캡에 있어서, 캡(10)은 플랜지상면 내측을 연장하여 환형 요홈(11)이 형성되고 환형 요홈(11)의 상단에는 걸림턱(12)이 캡(10)의 플랜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걸림턱 상부주연부(13)에는 경사면을 지니고 게이트의 내경부(14) 내측 끝단에는 다수개의 역류 방지판(16-26)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역류 방지판(16-26)은 형상이 부채꼴이며 역류 방지판(17)의 우측모서리(17a)가 역류 방지판(18)의 좌측모서리(18b) 밑으로 중첩되데, 상기 역류 방지판(16-26)은 연속배열되어 있고 밀폐상태의 상기 역류 방지판(10)은 20-30의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발포재 역류 방지캡
KR2019880022104U 1988-12-30 1988-12-30 발포재의 역류 방지 캡 KR930001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104U KR930001157Y1 (ko) 1988-12-30 1988-12-30 발포재의 역류 방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104U KR930001157Y1 (ko) 1988-12-30 1988-12-30 발포재의 역류 방지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724U KR900012724U (ko) 1990-07-04
KR930001157Y1 true KR930001157Y1 (ko) 1993-03-13

Family

ID=1928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104U KR930001157Y1 (ko) 1988-12-30 1988-12-30 발포재의 역류 방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59A (ko) * 2001-12-28 2003-07-04 최진민 가정용 가스보일러 판형열교환기의 배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59A (ko) * 2001-12-28 2003-07-04 최진민 가정용 가스보일러 판형열교환기의 배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724U (ko)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361B1 (ko) 스웝 가능한 루어-원추형 밸브
US6602223B2 (en) Elastic and sliding valvular joint, suitable to work in pre-filled syringes
JP4643562B2 (ja) アンプル
KR930001157Y1 (ko) 발포재의 역류 방지 캡
KR870000151A (ko) 사출성형용 밸브노즐
US6622759B2 (en) Balloon neck fitting
KR940007278Y1 (ko) 타이어 공기주입기
US20020013556A1 (en) Swabbable luer-activated valve
US3330446A (en) Spray-heads
PT90476B (pt) Processo para a fabricacao de um recipienteou tubo equipado com uma bomba, ferramentas correspondentes e recipiente ou tubo obtido
CN212372569U (zh) 耐高压径向密封橡胶注射结构
US2606071A (en) Spray cap
KR19990016491U (ko) 사출 성형시 공기압이 배출되는 금형 구조
JP2007050627A (ja) 射出成形用型構造
KR950010154Y1 (ko) 액체용기의 용액분출 장치
JPS5812906Y2 (ja) 薬液注入管構造
CA1100388A (en) Locking ring for pressure vessel
KR0185441B1 (ko) 가스주입노즐
KR850004408A (ko) 철파이프 내면의 합성수지 코팅방법
KR0114425Y1 (ko) 냉장고 캐비넷의 우레탄 홀캡 구조
KR100629089B1 (ko) 타이어의 공기주입장치
KR910000494Y1 (ko) 밀폐벽의 뚫음기능을 가진 약액압출용기마개의 구조
KR830002822Y1 (ko) 수액 역류 방지구
KR910003541Y1 (ko) 다용도 공기압축 펌프
JP3780053B2 (ja) ガス射出成形用ガス注入ピン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