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053Y1 - 가스보일러의 필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의 필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053Y1
KR930001053Y1 KR2019900015561U KR900015561U KR930001053Y1 KR 930001053 Y1 KR930001053 Y1 KR 930001053Y1 KR 2019900015561 U KR2019900015561 U KR 2019900015561U KR 900015561 U KR900015561 U KR 900015561U KR 930001053 Y1 KR930001053 Y1 KR 930001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pipe
drain valv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162U (ko
Inventor
이황의
김석구
시게루 오기소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5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053Y1/ko
Publication of KR920008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보일러의 필터 세척장치
제1도는 보일러의 배관상태를 예시한 개략도.
제2도는 필터가 내장된 상태를 예시한 개략도.
제3도는 필터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제4도는 필터가 설치된 상태의 배수밸브를 절단한 정면도.
제5도는 필터에 부착된 오물제거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6도는 필터에 부착된 오물을 자동 제거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일 실시예.
제7도는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관 2 : 배수밸브
3 : 필터 4 : 고정캡
4b : 경사벽 4c : 걸림턱
5 : 이동캡 33 : 난방회수관
47 : 바이패스관
본 고안은 가보일러에서 순환수로의 기능을 갖는 배관파이프에 설치되어 순환수 중에 섞여있는 먼지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하는 필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펌프 순환압력에 의해 필터에 묻은 먼지등의 이물질을 바이패스되어 되돌아 오는 물의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즉, 가스보일러를 가동시 순환수가 배관파이프 내부를 순환하게 되므로 배관파이프의 적당위치에 필터를 설치하여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시킨 순환수를 배관파이프내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난방효율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가스보일러의 배관파이프에는 필터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그 이유로서는 필터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쌍히게 되면,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배관파이프내 순환되는 순환수의 원만한 순환을 기대할 수 없게 되므로 필터를 자주 세척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반 사용자들은 필터의 세척작업이 어려워 이를 전문가에게 의뢰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스보일러의 배관파이프에 설치되는 필터를 가스보일러의 순환수로 자동 세척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그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될 가스보일러의 실시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가스보일러는 케이스(C)의 내부에 보일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난방이나 급탕을 위하여 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의 연소부(20), 난방순환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30), 온수와 냉수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통로를 갖고 있는 2차 열교환기(40)의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부(20)에는 1차 열교환기(21)의 하부로 위치한 버너군(22)이 1차 열교환기(21)를 통과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연소부(20)의 하부에는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송풍기(23)가 설치되며, 이 연소부(20)의 상부로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부(24)가 케이스(C)의 상부를 통과하여 노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30)에는 물탱크(30)내의 수량을 검지하기 위한 플로우스위치(31)와, 넘치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관(32)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 물탱크(30)는 온돌바닥을 회전한 난방수를 회수하는 기능을 가지는 난방회수관(33)과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난방회수관(33)은 상기한 1차 열교환기(2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34)과 연결되어 있고, 물공급관(34)의 하부방향에는 물의 순환을 조정하기 위한 순환펌프(3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2차 열교환기(40)에는 상기 1차 열교환기(21)로부터 유입되는 온수를 안내하는 온수관(41)과 수도라인을 통해 물을 방출하는 것으로 동결방지히터(42')가 부착된 온수방출관(42), 가스보일러의 외부로 부터 찬물을 유입하는 것으로서, 수류의 유무들 검지하는 수류스위치(43')가 설치된 직수유입관(43) 및 상기 난방회수관(33)에 연결되어 2차 열교환기(40)를 순환한 물이 환수되도록 하는 보조관(46) 이 설치되는 데, 이때 상기물 공급관(34)은 상방변(44)을 통하여 온수관(41)과 반방을 위한 물이 통과되는 난방온수 공급관(45)에 연결되어 진다.
또한, 1차 열교환기(21)를 통과하는 물공급관(34)에는 잔화방지 바이메탈(34')과 출탕온도를 측정하는 더어미스터(34")가 물의 흐름에 대하여 상류로 부터 각각 설치되고, 상기 난방회수관(33)과 직수유입관(43)사이에는 물탱크(30)의 물이 부족할 때 물을 보충해 주기 위한 수도물 보급변(48)이 설치되며, 외부적인 상황에 의해 난방온수관(45)으로 물이 흐르지 못하게 될 때 비등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패스관(47)은 상기 난방회수관(33)과 난방온수 공급관(45)사이에 연결된다.
상기의 구조중에서 난방회수관(33)과 같은 순환수로의 배수밸브(2)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3)는 상술한 바와같이 순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필터(3)의 초기 설정시에는 필터(3)의 제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보일러의 가동시간이 길어지게 됨에 따라 순환수의 이물질 제거량이 늘어나게 되어 필터(3)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누적되는 경우 배관파이프내를 순환하는 순환수의 순환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므로써, 필터(3)의 기능이 매우 저하되어 보일러의 난방효율이 매우 미약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는 사용자가 필터(3)를 자주 세척시켜 필터(3)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시켜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일러의 배관파이프에 설치되는 필터(3)를 순환수로서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세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일러의 난방효율을 향상 양호하게 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조와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일측부에 환수관(1)과 연결되게 하고, 보급수단(49)과 난방회수관(33)이 접속된 배수밸브(2)의 내측으로 필터(3)을 장설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필터(3)의 외측면으로 상기 배수밸브(2)에 트여지게 바이패스관(47)을 연결하여 이물질에 의해 막혀진 배수밸브(2)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관(47)을 통해 수압이 내부로 유입토록 한다.
상기 배수밸브(2)의 하부 내측나선부(2a)와 고정캡(4)의 외측 나선부(4a)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캡(4)의 내측나선부(4d)를 형성하여 이동캡(5)의 후단 돌기부(5e)의 회동으로 외측 나선부(5d)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캡(5)이 전후진 가능케 하며, 이동캡(5)의 선단부로 O링(5a)이 고정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후단에 통공(5c)을 뚫어 내측공간부(5f)와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배수밸브(2)의 후단부가 개폐가능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e는 고정캡(4)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터고정용 돌기. 4f는 고정캡(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O링으로 배수밸브(2)와 고정캡(4) 사이로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고, 5g는 이동캡(5)의 종간부에 설치되어 고정캡(4)과 이동캡(5)의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비하기 위한 O링이다.
상기 구조로 된 본 고안은 보일러의 작동으로 1차 열교환기(21)를 통해 가열된 물은 삼방변(44)를 통해 난방온수 공급관(45)를 거쳐 난방라인(도시없음)으로 공급된다.
난방라인을 흐르던 물은 난방회수관(33)을 통하여 배수밸브(2)를 유입된 후, 이 유입된 물은 배수밸브(2)내에 설치된 필터(3)에 의하여 순수한 물만 통과되어 환수관(1)으로 이동되어 물탱크(30)로 공급된 후, 다시 열교환기로 환수되지만, 먼지등의 이물질은 필터(3)의 내측부에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가스보일러의 가동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필터(3)에 걸려진 이물질은 점차적으로 쌓이게 되므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필터(3)에 많은 량의 이물질이 누적되어 필터(3)의 기능이 저하되어 순환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에는 필터(3)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청소를 하였으므로, 전문가가 아니면 그 작업이 난이한 관계로 인하여 일반소비자들을 전문가에게 의뢰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고, 또는 보수를 수행하지 못한 경우에는 보일러의 난방효율이 저하된 상태로 보일러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배수밸브(2)의 측부에 보급수관(49)과 바이패스관(47)을 연결하여, 환수관(1)측의 출구에 먼지등의 이물질이 쌓여 난방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난방라인으로 흘러들어가야할 난방수의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관(47)을 통하여 배수밸브(2)내로 흘러들어와 필터(3)의 측면으로 유입되어 필터(3)내부에 쌓인 먼지등의 이물질을 배수밸브(2)의 하측으로 밀어내어 자동으로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난방수의 흐름이 원활치 못할 경우 난방수 일부가 바이패스관(47)을 통하여 배수밸브(2)내로 흘러들어오는 이유는, 필터(3)가 막히게 되는 것에 의해 환수된 물이 직수유입관(43)쪽으로 흐르지 못하게 되고, 보일러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35)의 강제 순환에 의해 1차 열교환기(21)의 출구측에 설치된 삼방변(44)을 거쳐 난방온수 공급관(45)으로 강제 공급되는 난방수의 일부가 상기 이 난방온수 공급관(45)의 중간에 연결된 바이패스관(47)으로 작용되어 배수밸브(2)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3)내부에 쌓였던 이물질은 상기 바이패스관(47)의 분사압력에 의해 배수밸브(2)의 내부에서 이동되어, 보급수관(49)의 입구측에 쌓이게 되므로, 다시 순환수는 필터(3)의 청소된 부위, 즉 바이패스관(47)의 출구위치에 해당되는 부위를 통과하여, 보급수관(49)으로 이동되는 흐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어서, 향상 보일러의 난방효율을 양호하게 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관(47)은 배수밸브(2)에 중심방향의 외측으로 접속되어 필터(3)의 외주면과 직각되게 수압을 작용토록 하는 방법과,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배수밸브(2)의 편심위치에 상기 바이패스관(47)을 접속시켜 필터(3)의 접선방향으로 부터 수압이 작용토록 하므로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토록 하는바, 후자와 같이 편심위치에 바이패스관(47)을 설치하는 것이 와류현상에 의해 필터(3)에, 부착된 이물질을 완전하게 세척하는 결과를 갖게 되어 보다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다가 바이패스관(47)의 수압에 의해서도 세척이 안될 정도록 이물질이 누적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배수밸브(2)내의 필터(3)를 간간한 방법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소비자들에게 펀의를 제공하는 바, 그 청소방법은 제3도에서 도시한다.
제3도는 상기 이동캡(5)의 후단돌기부(5e)를 회동시켜 고정캡(4)과 이동캡(5)의 나사결합 상태가 약간의 거리가 유지토록 하면 바이패스관(47)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으로 인하여 필터(3)의 내축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3)의 내측에서 떨어지게 하여 이물질과 함께 고정캡(4)과 이동캠(5)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이동캡(5)의 통공(5c)과 내측공칸부(5f)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 상태로도 필터(3)의 내측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미약할 경우에는 수도물 보급변(48)을 열어 수압이 높은 수도물을 공급시키면, 필터(3)의 내측부에 붙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더욱 더 양호하게 될수 있으며, 이때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과정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와 동일하다.
또한, 이물질이 장기간 동안 필터(3)의 내측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압으로 제거시키기 어려운 경우도 있는데 이경우에는 첨부도면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고정캡(4)자체를 배수밸브(2)와 이완시켜 필터(3)를 교체하거나, 브러쉬등으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중 이물질 제거를 수행하는 필터(3)에 막힘 현상이 다시 발생되면, 상기와 같은 원리로 강제순환되는 난방수가 막혀진 부위를 청소하게 되어 그 흐름이 정상적으로 흐르게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것이며, 이 자동 정소작업이 이루어 지지않는 경우에만 필터(3)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가스보일러의 난방수가 환수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필터의 내측부에 고정되는 경우 펌프압력에 의해 바이패스관을 통해 자동 세척되며 바이패스관의 수압이 낮을 경우 이를 누구나 손쉽게 간단한 방법으로 필터에 부착된 이 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으므로, 난방수의 순환이 항시 양호하게 되어 난방효율이 높아지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그 일측부에 환수관(1)과 연결되게 하고, 보급수관(49)과 난방회수관(33)이 접속된 배수밸브(2)의 내측으로 필터(3)을 장설시킨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필터(3)의 외측면으로 상기 배수밸브(2)에 트여지게 바이패스관(47)을 연결하여 이물질에 의해 막혀진 배수밸브(2)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관(47)을 통해 수압이 내부로 유입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필터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47)은 배수밸브(2)의 중심으로 부터 편심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필터세척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3)는 배수밸브(2)의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캡(4)과 이동캡(5)의 착탈에 의해 배수밸브(2)의 내부로 부터 분해가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필터세척장치.
KR2019900015561U 1990-10-11 1990-10-11 가스보일러의 필터 세척장치 KR930001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561U KR930001053Y1 (ko) 1990-10-11 1990-10-11 가스보일러의 필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561U KR930001053Y1 (ko) 1990-10-11 1990-10-11 가스보일러의 필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162U KR920008162U (ko) 1992-05-20
KR930001053Y1 true KR930001053Y1 (ko) 1993-03-08

Family

ID=1930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561U KR930001053Y1 (ko) 1990-10-11 1990-10-11 가스보일러의 필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0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636B1 (ko) * 2002-08-13 2004-05-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 수전자변의 필터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162U (ko) 199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969B1 (ko) 스팀을 이용한 필터세척 폐열회수 시스템
JP2006162121A (ja) 潜熱回収型温水暖房装置及び風呂給湯装置
JP3868269B2 (ja) 燃焼装置
KR930001053Y1 (ko) 가스보일러의 필터 세척장치
KR102041286B1 (ko) 수처리 시스템
JP5656423B2 (ja) 潜熱回収式加熱装置のドレン排水システム
JP5123405B2 (ja) ドレン排出装置および給湯器
JP5080896B2 (ja) 給湯装置
KR100505186B1 (ko) 폐수열 회수장치
KR100260506B1 (ko) 기수분리기가 부착된 개방식 가스 보일러
KR100772518B1 (ko) 세척기 폐열 재활용 장치
JP3741797B2 (ja) 食器洗浄機の給湯装置
JP2004019967A (ja) 電気温水器
JPH0556908A (ja) 浴槽の自動洗浄装置
KR0153695B1 (ko) 가스보일러의 물탱크 청소방법
JP2013210115A (ja) 給湯装置
JP2841159B2 (ja) 熱交換装置
JP2980370B2 (ja) 浴槽洗浄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7330648A (ja) 食器洗い機付き厨房装置
JP3651937B2 (ja) 自動風呂釜の自動運転制御装置
JP2011064430A (ja) ドレン排水装置
KR0127256Y1 (ko) 가스보일러의 난방수 이물질 제거장치
JP2652305B2 (ja) 風呂装置
CN117814634A (zh) 一种带蒸功能的烹饪设备的水路系统
JPH05126491A (ja) 套管式熱交換器のための洗浄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