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24B1 -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 Google Patents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24B1
KR930000924B1 KR1019890013698A KR890013698A KR930000924B1 KR 930000924 B1 KR930000924 B1 KR 930000924B1 KR 1019890013698 A KR1019890013698 A KR 1019890013698A KR 890013698 A KR890013698 A KR 890013698A KR 930000924 B1 KR930000924 B1 KR 93000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hydro
dihydro
oxo
quinolinecarboxylic acid
cycloprop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273A (ko
Inventor
김충섭
채정석
이태오
김재규
신양철
강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양행
연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양행, 연만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양행
Priority to KR101989001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924B1/ko
Publication of KR91000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본 발명은 항생물질로 유용한 일반식(I)의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I)에서, R1은 탄소 1~4의 저급 알킬, 2-플루오로에틸, 시클로프로필, 4-플루오로페닐 또는 2,4-디플루오로페닐이고; R2는 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일, 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2-이소퀴놀린일,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 5,6,7,8-테트라히드로-1, 7-나프티리딘-7-일, 1,2,3,4-테트라히드로-2, 6-나프티리딘-2-일 또는 2-이소인돌린일이며, X1은 수소 또는 플루오로이고 X2는 수소 또는 아미노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화합물은, 1-에틸-7-(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1-시클로프로필-7-(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7-(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2-이소퀴놀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2-이소퀴놀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1-(2,4-디플루오로페닐)-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플푸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1-(2-플루오로에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1-(3급부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7-(5,6,7,8-테트라히드로-1,7-나프티리딘-7-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7-(1,2,3,4-테트라히드로-2,6-나프티리딘-2-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7-(2-이소인돌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2-이소인돌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이다.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의 7위치에 피리딘 및 그의 유도체들이 치환된 예는 일본 공개특허 제60-112,790호, 유럽특허 제154,780호, 동 제179,239호 및 미국 특허 제4,529,725호등에 보고되어 있으며, 피페리딘 및 그의 유도체들이 치환된 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5-40,656, 동 제 60-126,284호 및 유럽특허 제153,828호등에 보고되어 있다.
한편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의 7위치에 나프티리딘이 치환된 예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89-9925호에 포괄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 해당 화합물에 대하여는 실시예로 뒷받침되어 있지 않으며 약효검색시험 데이타 또한 기재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본 발명 화합물들은 시험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지화합물인 Ciprofloxacin과 비교할 때 우수한 약효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합물들은 경구 또는 비 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용매를 사용한 약제학적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하기 일반식(Ⅱ)의 화합물과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이소퀴놀린,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 5,6,7,8-테트라히드로-1,7-나프티리딘, 1,2,3,4-테트라히드로-2,6-나프티리딘, 1,2,3,4-테트라히드로-2,7-나프티리딘, 이소인돌린등의 질소 화합물을 반응시키므로써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Ⅱ)에서 R1,X1및 X2는 일반식(I)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3는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이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용매없이 두 화합물을 반응시키거나, 혹은 비 반응성인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피리딘 또는 피콜린을 용매로 사용하여 실온 혹은 가온 조건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며 50℃~150℃가 바람직하다.
일반식(Ⅱ)의 출발물질은 공지된 선행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R1이 시클로프로필, X1,X3가 플루오로, X2가 수소인 경우는 도마칼라(J.M.Domagala)등이 발표한 문헌[J.Med.Chem.,31, 991, (1988)]의 방법에 의해서 합성하였으며, R1이 시클로프로필기, X1이 클로로 혹은 브로모, X2가 수소, X3가 플루오로인 경우는 이리구라(T.Irikura) 등이 출원한 일본특허 제61-267573호 및 산체즈(J.P.Sanchez) 등이 발표한 문헌[J.Med.Chem., 31, 983(1988)]의 방법에 의해서 합성하였고, R1이 알킬기, X1이 클로로, X2가 아미노기, X3가 플루오로, 클로로인 경우는 구니요시(M.Kuniyoshi)등이 출원한 유럽특허 제237,955호, 도마갈라의 유럽특허 제255,908호와 동인이 발표한 문헌[J.Med.Chem., 31, 503, (1988)] 및 벨프(L.J.Belf)등이 발표한 문헌[Tetrahedron, 23, 4719(1967)]에 의해서 합성하였다.
7-위치의 치환체인 질소 화합물 역시 공지된 문헌 및 간단한 화학적 변형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예로서 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이소퀴놀린 및 이것의 7-알킬아미노 유도체는 아자오(J.F.Ajao) 등이 발표한 문헌[J.Heterocyclic Chem., 22, 329(1985)]의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의 합성은 공지의 방법[Chem.Pham.Bull., 19, 1857(1971)]에 의해 4-아미노피리딘과 글리세린으로부터 Skraup 반응에서 1,6-나프티리딘을 합성하고 이것을 공지된 문헌[Chem.Pham.Bull., 32, 995(1984)과 동지, 322522(1984)]의 방법에 의해 선택적으로 한쪽환의 환원에 의해서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으며, 5,6,7,8-테트라히드로-1,7-나프티리딘의 경우는 3-아미노-2-피리돈을 출발물질로 하여 1,6-나프티리딘 유도체와 같은 방법에 의해 8-히드록시-1,7-나프티리딘을 합성하고 공지된 문헌의 방법으로 8-위치의 히드록시기의 제거 및 한쪽환의 선택적인 환원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J.Chem.Soc., 4985(1952), J.Org.Chem., 28, 1753(1963), J.Chem.Soc., 377(1967)] 또한 1,2,3,4-테트라히드로-2,6- 혹은 2,7-나프티리딘의 경우도 공지된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J.Heterocyclic Chem., 18, 1349(1981), 7,419(1970)]. 이소인돌린은 프탈이미드를 디보란으로 환원시켜 합성하였다(R.E.Gawley et, al., J.Org.Chem., 53(22), 5381(1988)).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활성을 나타내며 항균력시험은 액체 희석법을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은 뮐러 힌톤 한천배지에서 배양한 시험균주를 뮐러 힌톤 액체 배지에 2×105CFU/ml의 농도로 현탁시킨 후 본 발명의 화합물을 뮐러 힌톤 액체배지에 녹여 희석한 것과 같은 양을 혼합하여 배양관에 분주한 다음 37℃에서 18시간 배양하여 시험 균주의 성장이 저해된 최소 농도를 최소 발육저지 농도(MIC)로 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항균력시험 결과는 표와 같다.
Figure kpo00003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에틸-7-(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7-클로로-1-에틸-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3g),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6.0g) 및 피리딘(20ml)의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감압농축한 후 남은 잔사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클로로포름으로 정제하여 미백색의 목적물(1.5g,37%)을 얻는다.
융 점:219~221℃
NMR(CF3COOD)δ,ppm:1.60(t,3H), 3.38(t, 2H), 4.38(t,2H), 4.8(q,2H), 5.19(s,2H), 7.25~7.45(m,4H)
IR(KBr)cm-1: 1728, 1627
[실시예 2]
1-시클로프로필-7-(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2-이소퀴놀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150mg), 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이소퀴놀린(300mg)과 피리딘 (5ml)의 혼합물을 70℃에서 반응시킨 후 냉각한다. 생성되는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한다. 고체를 메탄올로 정제하여 미황색 목적물(100mg,46%)을 얻는다.
융 점: 284~286℃
NMR(CF3COOD)δ,ppm:9.30(s,1H), 8.15(d, 1H), 7.38(m,3H), 4.95(s, 2H), 4.50(m,1H), 3.95(t,2H), 3.28(t,2H), 1.45(m,4H)
IR(KBr)cm-1:3459, 1624
[실시예 3]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2-이소퀴놀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0.2g)과 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이소퀴놀린(0.3g)을 피리딘 5ml에 가하고 110℃에서 1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용액을 냉각시키고 생성되는 결정을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한다. 이 결정을 클로로포름-메탄올용매에서 재결정하여 황색의 표제의 화합물(200mg,50%)을 얻었다.
융 점:253~255℃
NMR(DMSO+CF3COOD)δ,ppm:1.1(m,4H), 3.0(t,2H), 3.6(t,2H), 4.0(m, 1H), 4.6(s,2H), 7.2-7.4(m,3H), 8.5(s,1H)
IR(KBr)cm-1:3464, 3343, 1720, 1627
[실시예 4]
1-시클로프로필-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7-클로로-1-시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1.0g),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2.0g) 및 피리딘(28ml)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환류한다. 감압농축하여 남은 잔사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고 0℃에서 30분간 교반하면 갈색 고체가 생성된다. 이것을 여과하여 메탄올-디클로로메탄 용매에 녹인 다음 불용물을 여과하여 버리고, 여액을 감압농축하면 미백색 결정이 석출된다. 이것을 다시 메탄올-디클로로메탄 용매에서 재결정하여 백색의 목적물(0.43g,31%)을 얻는다.
융 점:255℃(분해)
NMR(CF3COOD)δ,ppm:1.45(m,2H), 1.75(m,2H), 3.65(m,2H), 4.18(m, 3H), 5.10(s,2H), 8.02(d,1H), 8.02(t,1H), 8.30(d,1H), 8.56(d,1H), 8.70(d,1H), 9.34(s,1H)
IR(KBr)cm-1:1735,1625
[실시예 5]
1-(4-플루오로페닐)-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4-플루오로페닐)-7-클로로-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1.1g),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1.76g) 및 피리딘(28ml) 혼합물을 48시간동안 가열 환류시킨다. 냉각한후 감압농축하여 피리딘을 제거하고 남은잔사에 에틸에테르로 처리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에틸에테르로 세척한 후 메탄올-디클로로메탄 용매에 녹인 다음 서서히 감압농축하면 고체가 석출된다.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여 미백색의 목적물(0.57g,39%)을 얻는다.
융 점:251~252℃
NMR(CF3COOD)δ,ppm:3.59(t,2H), 4.00(t,2H), 4.80(s,2H), 6.91(d,1H), 7.48-7.79(m,4H), 8.00(t,1H), 8.38(d,1H), 8.40(d,1H), 8.68(d,1H), 9.22(s, 1H)
IR(KBr)cm-1:1718, 1625
[실시예 6]
1-(2,4-디플루오로페닐)-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2,4-디플루오로페닐)-7-클로로-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0.7g),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1.0g) 및 피리딘(25ml) 혼합물을 48시간 환류시킨다. 냉각한 후 감압농축하여 피리딘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생성되는 고체를 제거하고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고체를 얻는다. 이 고체를 에탄올로 세척한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정제하여 미황색의 목적물(104mg,10%)를 얻는다.
융 점:240~241℃
NMR(CF3COOD)δ,ppm:3.50(t,2H), 3.98(t,2H), 4.80(s,2H), 6.80(s,1H), 7.38(m,2H), 7.72(m,1H), 7.95(t,1H), 8.32(dd,2H), 8.68(d,1H), 9.19(s,1H)
IR(KBr)cm-1:1718, 1625
[실시예 7]
1-(2-플루오로에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2-플루오로에틸)-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0.5g)과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0.7g)을 피리딘 (5ml)에 녹이고 110℃에서 3시간 교반한다. 반응액을 진공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잔사를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로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0.43g,62%)을 백색결정으로 얻었다.
융 점:241℃
NMR(CF3COOD)δ,ppm : 3.65(t,2H), 4.10(t,2H), 4.95(m,1H), 5.10(s, 2H), 5.15(m,1H), 5.30(m,1H), 5.40(m,1H), 8.00(t,1H), 8.30(d,1H), 8.50(d, 1H), 8.70(d,1H), 9.30(s,2H)
IR(KBr)cm-1:1717, 1627
[실시예 8]
1-t-부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t-부틸-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200mg),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360mg) 및 피리딘(6ml)의 혼합물을 50℃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감압농축하여 피리딘을 제거한 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이고 물로 수회 세척한 후 유기층을 망초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한다. 남은 잔사에 에틸에테르로 처리하여 미황색 목적물(78mg,27%)를 얻는다.
융 점:248~250℃
NMR(CF3COOD)δ,ppm:1.80(s,9H), 3.16(t,2H), 3.71(t,2H), 4.54(s,2H), 7.12(q,1H), 7.38(d,1H), 7.95(d,1H), 8.43(d,1H), 9.03(s,1H)
IR(KBr)cm-1:3411, 1723, 1602
[실시예 9]
1-시클로프로필-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카르복실산(800mg),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1.42g) 및 피리딘(10ml) 혼합물 50℃에서 5시간 교반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남은 잔사에 에틸에테르로 처리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후 에탄올로 세척하고, 디클로로메탄-에탄올 용매에서 재결정하여 백색의 목적물(630mg,54%)를 얻는다.
융 점:218~219℃
NMR(CF3COOD)δ,ppm : 1.1~1.4(m,4H), 3.20(t,2H), 3.75(t,2H), 4.0(m, 1H), 4.65(s,1H), 7.14(q,1H), 7.4(d,1H), 7.88(dd,1H), 8.46(d,1H), 8.74(s,1H)
IR(KBr)cm-1:1733, 1624
[실시예 10]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600mg)과 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1g)을 피리딘(10ml)에 현탁후 80℃에서 2시간 교반한다. 반응액을 0℃로 냉각하고 여과한다. 여과한 고체를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재결정하여 표제의 화합물(450mg,54%)을 얻는다.
융 점:250℃<
NMR(CF3COOD)δ,ppm:1.45(m,4H), 3.60(t,2H), 4.38(m,1H), 8.00(m, 1H), 8.45(m,1H), 8.70(m,1H), 9.20(s,1H)
IR(KBr)cm-1:1719, 1631
[실시예 11]
1-시클로프로필-7-(5,6,7,8-테트라히드로-1,7-나프티리딘-7-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0.45g)과 5,6,7,8-테트라히드로-1,7-나프티리딘(0.72g)을 피리딘 (12ml)에 녹이고 80℃에서 3시간 교반한다. 진공농축하여 피리딘을 제거하고 잔사에 메탄올을 가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0.46g,73%)을 백색 결정으로 얻는다.
융 점:>230℃
NMR(CDCL3)δ,ppm:1.30(m,4H), 3.10(t,2H), 3.70(t,2H), 4.00(m,1H), 4.70(s,2H), 7.18(q,1H), 7.54(d,1H), 7.94(dd,1H), 8.44(d,1H), 8.86(s,1H), 14.6(s,1H)
IR(KBr)cm-1:1728, 1621
[실시예 12]
1-시클로프로필-7-(1,2,3,4-테트라히드로-2,6-나프티리딘-2-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0.12g)과 1,2,3,4-테트라히드로-2,6-나프티리딘(0.2g)을 피리딘(5ml)에 녹이고 70℃에서 1시간 교반한다.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제거하고 잔사를 메탄올과 에테르 처리하여 표제화합물(0.04g,26%)을 미황색 결정으로 얻는다.
융 점:186℃
NMR(CDCl3)δ,ppm:1.30(m,4H), 3.10(t,2H), 3.70(t,2H), 4.00(m,1H), 4.61(s,2H), 7.02(d,1H), 7.13(dd,1H), 8.41(d,1H), 8.43(s,1H), 8.79(s,1H)
IR(KBr)cm-1:1732, 1620
[실시예 13]
1-시클로프로필-7-(2-이소인돌린일)-6,8-디플루오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0.45g)과 이소인돌린(1g)을 피리딘(10ml)에 녹이고 90℃에서 2시간 교반한다. 반응액을 0℃까지 냉각후 여과하여 백색의 결정을 얻는다. 이 결정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 혼합 용매로 재결정하여 순수한 목적화합물(0.5g,82%)을 얻는다.
융 점:274℃
NMR(CDCl3+CF3COOD)δ,ppm:1.40(m,4H), 4.38(m,1H), 5.40(s,4H), 7.39(m,4H), 7.98(d,1H), 9.10(s,1H)
IR(KBr)cm-1:1718, 1624
[실시예 14]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2-이소인돌린일)-6,8-디플루오로-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2-이소인돌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6,7,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0.5g)과 이소인돌린(0.7g)을 피리딘 10ml에 녹이고 100℃에서 5시간 교반한다. 0℃까지 냉각하고 생성된 결정을 여과한다. 이 결정을 클로로포름으로 재결정하여 표제의 화합물(0.4g,60%)을 얻었다.
융 점:263℃<
NMR(CF3COOD)δ,ppm:1.30(m,4H), 4.18(t,1H), 5.30(m,4H), 7.38(m, 4H), 8.90(s,1H)
IR(KBr)cm-1:1712, 1643

Claims (14)

  1. 항생물질로 유용한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 또는 염기염.
    Figure kpo00004
    상기 일반식(I)에서 R1은 탄소수 1~4의 저급알킬, 2-플루오로에틸, 시클로프로필, 4-플루오로페닐 또는 2,4-디플루오로페닐이고, R2는 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일, 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2-이소퀴놀린일, 1,2,3,4-테트라히드로-7-메틸아미노-2-이소퀴놀린일,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 5,6,7,8-테트라히드로-1,7-나프티리딘-7-일, 1,2,3,4-테트라히드로-2-6-나프티리딘-2-일, 1,2,3,4-테트라히드로-2,7-나프티리딘-2-일 또는 2-이소인돌린일이며, X1은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메톡시이고, X2는 수소 또는 아미노이다.
  2. 제1항에서 1-에틸-7-(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3. 제1항에서 1-시클로프로필-7-(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4. 제1항에서 1-시클로프로필-7-(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2-이소퀴놀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5. 제1항에서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1,2,3,4-테트라히드로-7-아미노-2-이소퀴놀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6. 제1항에서 1-(2,4-디플루오로페닐)-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7. 제1항에서 1-(2-플루오로에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8. 제1항에서 1-(3급부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9. 제1항에서 1-시클로포로필-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0. 제1항에서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5,6,7,8-테트라히드로-1,6-나프티리딘-6-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1. 제1항에서 1-시클로프로필-7-(5,6,7,8-테트라히드로-1,7-나프티리딘-7-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2. 제1항에서 1-시클로프로필-7-(1,2,3,4-테트라히드로-2,6-나프티리딘-2-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3. 제1항에서 1-시클로프로필-7-(2-이소인돌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14. 제1항에서 1-시클로프로필-5-아미노-7-(2-이소인돌린일)-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이다.
KR1019890013698A 1989-09-23 1989-09-23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KR93000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3698A KR930000924B1 (ko) 1989-09-23 1989-09-23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3698A KR930000924B1 (ko) 1989-09-23 1989-09-23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273A KR910006273A (ko) 1991-04-29
KR930000924B1 true KR930000924B1 (ko) 1993-02-11

Family

ID=1929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698A KR930000924B1 (ko) 1989-09-23 1989-09-23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9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273A (ko) 199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930B2 (ja) 7−イソインドリニル−キノロン誘導体および7−イソインドリニル−ナフチリドン誘導体
JPH05213947A (ja) 7−アザイソインドリニル−キノロン−及びナフチ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
JPH05239051A (ja) 7−イソインドリニル−キノロン−および−ナフチ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
JPS61243077A (ja) 抗菌剤
US5688965A (en) Azabicyclic compounds useful as an intermediate for the preparation of pyidone carboxylic acid compound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5393758A (en) Substituted azetidinylpyridone naphthyridi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application as medical products
JP2807277B2 (ja) スピロ化合物
KR100371883B1 (ko) 퀴놀론-및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유도체
JP2799222B2 (ja) 7―(3―アミノ―および3―アミノメチル―1―ピロリジニル)―3―キノロンカルボン酸および―ナフチリドンカルボン酸の調製
KR930000924B1 (ko) 신규 1,4-디히드로-4-옥소퀴놀린 유도체
WO1993013090A1 (en) Novel quinol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AU705938B2 (en) Pyridazino quinoline compounds
JP2989871B2 (ja) 三環式化合物
JP3026162B2 (ja) スピロ化合物
JPS6270370A (ja)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00472A (ja) 新規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01159B1 (ko) 신규 1,8-나프티리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32527B1 (ko) 피리돈카르본산유도체또는이것의염및그제조방법
KR100254626B1 (ko) 1,3-디아미노 사이클릭아민 치환 퀴놀론,니프티리딘 및 벤조옥사진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40008420B1 (ko) 신규한 퀴놀론계 화합물과 그 제조 방법
KR940008419B1 (ko) 신규한 퀴놀린계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KR100359151B1 (ko) 2환성 아미노기로 치환된 피리돈카르복실산 유도체, 그의 에스테르 및 그의 염 및 이들의 중간체인 2환성 아민
JPH0859656A (ja) キノロン−及びナフチ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
JPS6272686A (ja) キノリン誘導体
JPH08253480A (ja) 1,6−ナフチ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