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91Y1 -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91Y1
KR930000591Y1 KR2019900020925U KR900020925U KR930000591Y1 KR 930000591 Y1 KR930000591 Y1 KR 930000591Y1 KR 2019900020925 U KR2019900020925 U KR 2019900020925U KR 900020925 U KR900020925 U KR 900020925U KR 930000591 Y1 KR930000591 Y1 KR 930000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door
hinge shaft
bracket
suppor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0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91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제1도는 종래 덤프트럭 적재함의 측벽 뒷부분과 뒷문의 결합 구성도.
제2도는 덤프트럭의 적재함이 들어 올려질때 뒷문이 힌지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어 적재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B부 상세도.
제4도는 제3도의 우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 측벽 뒷부분과 뒷문의 결합 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A부 상세도.
제7도는 제6도의 우측면도.
제8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덤프트럭의 뒷문 개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벽 12 : 브라켓
14 : 힌지축 16 : 뒷문
18 : 힌지아암 20 : 적재함
22 : 하부지지대 보강브라켓 23 : 힌지축 지지대
24 : 힌지축 25 : 상부지지대
25' : 하부지지대 26 : 와셔
28 : 보조브라켓 30 : 보울트
G : 무게중심
본 고안은 덤프트럭 적재함의 뒷문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뒷문 개폐가 원활하고 적재물 배출이 용이하며 부품제작성도 향상시킨 뒷문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덤프트럭에 대한 뒷문 힌지장치는, 트럭 적재함의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을 구성하는 측벽(10)의 후단상부에 브라켓(12)이 용접되고 이 브라켓(12)에 힌지축(14)으로 결합된 뒷문(16)이 힌지아암(18)을 통해 상기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져 있었다.
즉, 제1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적재함 측벽(10)의 상부 양단에 (양쪽이 대칭이므로 좌측만을 설명한다. 이하 같다)브라켓(12)이 용접 설치되고, 이 브라켓(12)에 힌지아암(18)의 일단이 힌지축(14)을 통해서 결합되며, 힌지아암(18) 타단은 뒷문(16)에 용접 설치되어서, 적재물을 내릴때에 적재함(20)이 들어 올려지면, 상기 힌지아암(18)을 통해 힌지축(14)에 고정 설치된 뒷문(16)이 제2도에서 처럼 열리고(정확히는, 뒷문(16)은 그냥 있지만 적재함(20)이 경사지게 되면서 뒷문(16)이 개방되는 것임), 적하후에 제1도처럼 다시 적재함(20)이 원위치되면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뒷문(16)이 자중에 의해 그 측벽(10)과 맞닿게 되어져 뒷문(16)이 닫혀지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뒷문 개폐방식은 힌지축(14) 중심이 뒷문이 무게중심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되므로 열리는 각(θ)이 적게 되고, 특히 힌지아암(18)이 주강품이어서 강도 및 제작성이 좋지 않으며, 이에 따라 골재와 같은 적하시에는 물론, 적재함(20)에 조금 남은 적재물을 모두 적하시키기 위해 상기 뒷문(16)이 측벽(10)에 부딪히도록 급출발 및 급정지를 거듭함에 따라 뒷문(16)을 측벽 브라켓에 연결시켜주는 힌지아암(18)이 깨지는 등 여러 단점이 많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뒷문의 열림각을 극대화시켜서 화물적하의 효율성을 높이고, 뒷문을 측벽에 고정시키는 힌지축을 브라켓을 통해 지지해주도록 하며, 적재를 적하시의 개폐작용 및 적하물 배출이 원활히 되도록 함은 물론, 보울트로 체결되는 힌지축 지지대가 분리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정비성 및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술한다.
본 고안은 적재함(20)을 구성하는 측벽(10) 뒷부분의 상단 브라켓(12)에 하부지지대 보강 브라켓(22)과, 상, 하부지지대(25, 25')로 이루어진 힌지축 지지대(23)의 하부지지대(25')를 용접 설치하고, 상기 하부지지대(25')는 상부지지대(25)와 겹쳐져 보울트(30)로 체결되므로써 힌지축(24)을 지지해주도록 하며, 상기 힌지축(24) 일단은 뒷문(16) 상부에 용접 설치되며, 힌지축(24) 타단은 와셔(26)가 끼워진채 보조브라켓(28)으로 용접되고, 상기 보조브라켓(28) 하단은 뒷문(16)에 용접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이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은 적용부위를 정면과 측면 및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측벽(10) 상부에 용접된 브라켓(12)에 하부지지대 보강 브라켓(22)과 일체로 용접 고정된 하부지지대(25')를 용접 설치하고, 이 하부지지대(25')에 형성시킨 요(凹)홈에 힌지축(24)이 올려 끼워져 헛돌림 가능하도록 지지시키되, 힌지축(24)의 일단이 뒷문(16)에 용접된채 타단은 와셔(26) 및 보조브라켓(28)에 용접되어 있으므로 힌지축(24)이 하부지지대(25')상에 놓여지면 힌지축(24)의 와셔(26) 및 보조브라켓(28)은 하부지지대 폭 보다 좀더 밖으로 위치되어져 상기 하부지지대(25')위로 상부지지대(25)를 겹쳐서 보울트(30)로 체결하면 제6도 내지 제8도와 같은 장착이 완료된다.
즉, 본 고안을 조립할때에는 힌지축 지지대(23)의 하부지지대(25')가 측벽(10)의 브라켓(12)에 용접 설치되고, 힌지축(24)은 와셔(26)가 끼워진채 보조브라켓(28)을 통해 뒷문(16)에 용접 지지되어져서, 뒷문(16)의 힌지축(24)을 상기 하부지지대(25')에 올려 놓는 것으로 조립을 시작한다.
이때, 상술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하부지지대(23)에 힌지축(24)이 놓여지는 부분은 힌지축(24)의 외경과 같은 형상의 반원을 이루는 요홈이 형성되어져 힌지축(24)의 헛돌림이 가능하게 되며, 이 힌지축(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지지대(25')와 대칭 형상의 상부지지대(25)를 겹쳐서 보울트(30)로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적재함(20)이 올려지지 아니한 상태, 즉 측벽(10)이 올려지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제5도에서처럼, 측벽(10) 후단이 수직면에 대해 경사져 있고, 그 경사방향은 힌지축(24)쪽으로 경사져 있게 되므로, 뒷문(16)의 자중(무게중심)에 의해서 상기 뒷문(16)은 측벽(10)의 경사면에 겹쳐진 상태, 즉 뒷문(16)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적재함을 적재물을 적하시키기 위해 적재함 앞부분이 들어 올려지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가 되는 뒷문이, 제9도처럼 열림각(θ)을 이루면서 열려져 적재물이 바닥으로 쏟아지게 된다.
이때, 뒷문(16)은 그 무게중심(G)이 힌지축(14)의 중심과 일치되므로 열림각(θ)이 적재함의 경사각과 거의 같게 열려지고, 이때문에 종래와 같이 적재함의 앞부분이 얼마간 들어 올려져도 뒷문이 열려지지 않던 단점(즉, 열림각(θ)이 0인 상태)이 해소되어져 하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각 브라켓(12, 22, 28)이나 기타 힌지축(24) 등이 단조형이 가능한 일반 제관물로 형성시켜서 주강품을 사용할때의 쉽게 균열이 생기게 되는 단점도 해소되게 하며, 이러한 힌지축(24)의 타단에는 와셔(26)가 끼워진채 보조브라켓(28)이 용접 설치되고, 이 보조브라켓(28)의 하단은 뒷문에 용접되어져서 보조브라켓(28)이 힌지축(24)의 자유단을 지지해 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조브라켓(28)은 힌지축(24)을 비롯한 주변부품의 보강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힌지축(24)은 보울트(30)를 풀어서 상부지지대(25)를 하부지지대(23)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상부지지대(25)등의 파손시 부분적인 교체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사용함에 따라, 열림각(θ)이 커지게 되며 적재물 배출이 용이해지고, 힌지축의 중심을 뒷문의 무게 중심(G)과 일치시켜서 뒷문 개폐 시기가 적재함 상승시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고 각 부품을 주강품대신 일반제관물로 형성시켜서 원가절감의 효과도 꾀할 수 있으며, 뒷문 개폐동작이 원활하지 않든지 힌지축 등을 교환할때에는 보울트를 풀어서 상부지지대만 탈거시키면 힌지축이 노출되어져 위로 빼 올리면 뒷문을 떼어낼 수 있게 되어 교체시의 작업성도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적재함(20)의 측벽(10) 후단에는 측벽이 이루는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을 이루는 브라켓(12)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2)에는 하부지지대 보강브라켓(22)와 힌지축 지지대(23)가 용접 설치되는 한편, 뒷문(16)에는 힌지축(24)의 일단이 고정되어서 상기 힌지축(24)이 힌지축 지지대(23)에 힌지 고정되도록 된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 지지대(23)는 상부지지대(25)와 하부지지대(25')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부지지대(25')만이 보강브라켓(22)에 고정되며 상부지지대(25)는 별도의 보울트(30)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4)과 뒷문(16)의 측면부 사이에는 보조브라켓(28)이 설치되되, 상기 보조브라켓(28)은 상부가 힌지축(24)의 자유단을 지지하며, 하부는 뒷문(16)의 측면부에 용접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KR2019900020925U 1990-12-26 1990-12-26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KR930000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925U KR930000591Y1 (ko) 1990-12-26 1990-12-26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925U KR930000591Y1 (ko) 1990-12-26 1990-12-26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591Y1 true KR930000591Y1 (ko) 1993-02-10

Family

ID=1930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925U KR930000591Y1 (ko) 1990-12-26 1990-12-26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5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3390C (en) Apparatus for rotation of tailgate assembly
RU2725022C1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зова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KR930000591Y1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뒷문 장착구조
US5249843A (en) No-bounce tailgate assembly
JP5329885B2 (ja) テールゲートのロック装置及びテールゲート構造
JP7477233B1 (ja) ダンプ車両の荷箱の後部扉開閉装置
JP3374982B2 (ja) 車輌のリアドア開閉装置
JPS5937252B2 (ja) ダンプトラツクの荷台後部扉跳上げ装置
KR100218496B1 (ko) 덤프트럭용 적재함
US6109676A (en) Bumper corner for a wheel loader engine end frame
JP2520979Y2 (ja) コンバイン
JP2727057B2 (ja) 車輌のリアドア開閉装置
KR19980067679U (ko) 상용차의 적재함
JPS6311023Y2 (ko)
US3279844A (en) Extension insert and tail gate operator for dump trucks
JP6781088B2 (ja) 荷箱及びそれを備えたダンプトラック
JPS6326332Y2 (ko)
JPS6033685B2 (ja) ダンプトラツク
KR100204139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JPS6325981B2 (ko)
KR200200659Y1 (ko) 차량용 덤프장치
SU1449391A1 (ru) Кузов самосва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 перевозки легковесных грузов
KR200145901Y1 (ko) 덤프트럭용 후방게이트의 힌지구조
SU1641668A1 (ru) Кузов самосва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 перевозки легковесных грузов
KR0124024Y1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테일 게이트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