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272Y1 -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스프로켓 회전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스프로켓 회전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272Y1
KR930000272Y1 KR2019900021462U KR900021462U KR930000272Y1 KR 930000272 Y1 KR930000272 Y1 KR 930000272Y1 KR 2019900021462 U KR2019900021462 U KR 2019900021462U KR 900021462 U KR900021462 U KR 900021462U KR 930000272 Y1 KR930000272 Y1 KR 930000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rotation angle
tape
pneumatic cylinder
suppl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1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정연길
박영제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1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272Y1/ko

Links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스프로켓 회전각도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전자부품 칩이 실장된 테이프가 권취 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압 실린더의 로드의 단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5 : 스프로켓
8 : 라쳇트 13 : 공압실린더
13b : 핀 홀더 15 : 라체트 구동링크
20 : 유성기어 22 : 권취기어
H : 장착헤드 T : 테이프
본 고안은 테이프가 권취된 릴을 통해 공급되는 전자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프로켓의 회전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에 봉입된 전자부품은 릴에 감겨져서 부품장착 장치로 공급되고, 테이프위에 접촉되어 있는 필름형 상부 테이프는 벗겨져서 휘일에 감기고 전자부품은 장착 헤드에 흡착되며 전자부품이 빠진 테이프는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은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대우중공업 주식회사에 의해 1989년 11월 7일자로 특허출원된 제16059호에 더욱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 공급장치를 간단히 설명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전자 부품 칩(W)이 테이프(T)의 상부(T') 및 하부 테이프(T")사이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T)의 일측 테두리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피치홀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전자부품 칩은 여러가지 전자부품으로서 예를들면, IC, TR, 저항, 콘덴서, 다이오드, LED, 기타 등, 일 수도 있다. 그러나 릴에 감겨진 모든 테이프 상에는 동일한 종류의 부품만을 내장시켜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에서 예시한 부품중, TR를 공급하다가 IC를 배열 간격은 서로 상이하지만 항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도 회전하는 피치홀은 상기 두 부품의 배열 간격의 차이만큼 많거나 적거나 크게 스프로켓을 회전 시켜야만이 장착헤드의 비트에 전자부품의 칩이 올바르게 흡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각 다른 전자부품 칩이 내장된 테이프를 수용하고 있는 릴의 교환하여 다른 칩이 내장된 릴로 따꾸어 공급하게 될때 발생되는 이격거리 만큼 스프로켓을 더 많은 각도나 더 적은 각도로 회전시켜야만 한다. 결국, 필요시 스프로켓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프로켓 회전 각도 조절 장치가 요구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항시 일정한 피치를 지니는 스프로켓과 역시 일정한 거리로 배열된 피치홀과는 무관하게 스프로킷의 회전 운동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스프로킷의 회전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 상부에 작동링크(L)가 설치되어 상기 작동링크(L)를 장착헤드(H)의 상하 운동시 접속되어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링크(L)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공압밸브(11)을 작동시킨다. 상기 공압밸브(11)는 호스(12),(12')를 통해 공압 실린더(13)로 공압을 공급하며 공압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3')가 연장되로록 한다. 상기 피스톤 로드(13')의 단부(13a)에는 핀 홀더(13b)가 장착되어 있다. (제2도 참조) 상기 핀 홀더(130)에는 그 속에 스프링(5)을 수용하는 고정핀(P)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핀 홀더(13b)에 레버(14)가 재치된다. `상기 레버(14)는 다수개로 배열된 홀(14a)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선행 기술과 연동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의 일측에는 리일 지지대(2)가 설치되어 있으며, 레일 지지대(2)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릴(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T)는 가이드(4)에 안내되어 테이프의 피치홀이 스프로켓(5)에 끼워지고, 접착용 테이프(T')를 벗겨 휘일(6)에 감게된다. (제2도 참조)프레임(1)에 고정된 구동축(7)에는 스프로켓(5) 및 라체트(8)가 구동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서로 고정되어 구동축(7)이 베어링내에 삽입 설치된다. 스프로켓(5)을 일정 피치씩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판(9)이 프레임(1)과 스프로켓(5)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자부품을 흡착하기 위해 장착헤드가 하강할때 부품 공급장치의 공압밸브 구동링크(L)를 작동시키게 되면, 밸브 구동링크(L)는 공압 밸브(11)를 개방시켜 공압이 호스(12)를 통하여 공압실린더(13)를 작동시킨다. 공압실린더(13)는 레버(14)에 연결 되어 있고 이 상기 레버(14)는 권취릴 구동링크(15)와 코넥팅 링크(16)를 통해 구동판(9)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공압실린더(13)의 로드가 전진함에 따라 구동판(9)은 반시계 방항으로 회전하고 권취릴 구동링크(17)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판(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판(9)에 피봇된 구동폴(18)은 라켓트(8)의 톱니를 타고 넘게되며, 이때 라쳇트(9)의 톱니에는 역전방지용 폴(19)에 의하여 역전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권취 구동링크(17)에 피봇되어 있는 유성기어(20)는 시계 방향으로 공전하면서 피봇축(2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권취기어(22)는 기어와 피봇축(23)사이에 있는 일반향 클러치 베어링(24)에 의하여 정지된 상태이다. 이러한 동작이 모두 끝난후 장착헤드틀 전자부품을 흡착한 후 수직 상승함에 따라 공압 밸브 구동링크(L)에 의하여 열렸던 공압 밸브(11)은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공압실린더(13)가 복귀되며 이에 따라 구동판(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판에 피봇된 폴(18)은 라쳇트(8)의 골을 몰게 됨에 따라 라쳇트(8)와 스프로켓(5)은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라체트 구동링크(15)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링크 1과 스프링(25)으로 연결된 권취 구동 링크(17)도 따라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피봇축(21)에 피봇된 유성기어(20)는 피봇축과 기어 사이에 설치된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24)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 된다.
동시에 유성기어와 물려있는 권취기어(22)는 피봇축(23)에 대하여 유성기어와 맞물린채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에 의하여 스프로켓(5)에 물려있는 테이프(T)는 부품 공급장치의 앞쪽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때 라체트 구동 링크과 권취릴 구동링크(17) 사이에는 스프링(3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휘일(6)이 접착용 테이프(T')를 벗길때 접착용 테이프(T')에는 인장부하가 걸러게되고, 이에 따라 권취된 구동링크(17)는 스프링(2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휘일(6)은 회전을 중지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여 접착용 테이프(T')의 절단을 방지한다.
스프로켓(5)의 이송피치 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참조)공압 실린더(13)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피치 조절장치는 핀(26), 필 홀더(27), 스프링(28) 그리고 링(27)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핀(26)은 레버(14)상의 홀(14a)에 삽입고정되게 된다. 피치 조절시 사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이송 피치만큼 레버(14)상의 홀(14a)에 링(29)을 전환하여 핀(P)을 꽂으면, 공압 실린더(13)의 스트로크 범위가 달라짐에 따라 스프로켓의 이송 피치가 달라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테이프가 권취된 릴로 부터 공급되는 전자부품 칩을 공급함에 있어, 스프로켓의 톱니에 테이프의 피치홀의 끼워져 장착헤드의 상하 운동과 연동되게 되어 상기 스프로켓의 회전 각도를 레버에 의해 필요로하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며 전자부품의 칩의 상부에 장착헤드의 비트를 정확하게 위치되어 칩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어떠한 전자분품 칩이 내장되어 있는 릴을 교환하여 부품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장착헤드의 비트의 정확한 위치로 설정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장착헤드의 상하 운동시 연동되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스프로켓을 회전시켜 전자부품 칩을 지니는 테이프를 일정 피치로 이동시켜 장착헤드의 비트에 흡착되어 PCB상에 연속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전자부품 자동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압 실린더(13)의 로드단부(13a)에 고정되고 스프링(5)을 수용하는 고정핀(P)으로 이루어진 핀 홀더(13b)와, 상기 핀 홀더(13b)가 삽입고정 되도록 상기 고정핀(P)의 단부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홀(14a)를 포함하는 레버(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정으로 하는 스프로켓 회전 각도 조절장치.
KR2019900021462U 1990-12-28 1990-12-28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스프로켓 회전각도 조절장치 KR930000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462U KR930000272Y1 (ko) 1990-12-28 1990-12-28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스프로켓 회전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462U KR930000272Y1 (ko) 1990-12-28 1990-12-28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스프로켓 회전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272Y1 true KR930000272Y1 (ko) 1993-01-25

Family

ID=1930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1462U KR930000272Y1 (ko) 1990-12-28 1990-12-28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스프로켓 회전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2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239Y1 (ko) 릴상태의 전자부품 자동공급 장치
US6877541B2 (en) Tape feeder for chip mounters
US4952113A (en) Chip feeder for chip mounter
US4943342A (en) Component feeding device for circuit board mounting apparatus
EP0423599B1 (en) Cover-tape peeling apparatus for a tape feeder
US6474527B2 (en) Multiple-pitch tape feeder with multiple peel positions
JPS63177593A (ja) 部品供給装置
WO1998032316A1 (fr) Procede et appareil d'alimentation en composants
KR930000272Y1 (ko)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스프로켓 회전각도 조절장치
KR10103411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311071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20110023982A (ko) 테이프 피더
KR10051596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3566831B2 (ja) 電子部品の供給装置
JPH05190244A (ja) コネクタ端末処理プレス機のためのコネクタ給送装置
KR920002936Y1 (ko) 전자부품자동 공급 장치
KR930000273Y1 (ko) 개량된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
JP3559296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US7216790B2 (en) Component feeding apparatus
JPH071838Y2 (ja)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用テープフィーダ
JP3983389B2 (ja) 間欠送り装置
JP3620931B2 (ja) テープ送出装置
JPH0439231Y2 (ko)
KR100308754B1 (ko) 표면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비닐 회수장치
JPH06244587A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