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3045A - 회전제어장치 및 이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제어장치 및 이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3045A
KR920013045A KR1019910024334A KR910024334A KR920013045A KR 920013045 A KR920013045 A KR 920013045A KR 1019910024334 A KR1019910024334 A KR 1019910024334A KR 910024334 A KR910024334 A KR 910024334A KR 920013045 A KR920013045 A KR 920013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am
transmission member
rotational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010B1 (ko
Inventor
히로아끼 나미끼
카즈히데 쿠도
Original Assignee
야마지 게이조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지 게이조,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지 게이조
Publication of KR92001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제어장치 및 이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따른 회전제어장치의 부분 단면 입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이 따른 회전제어장치의 부분 단면 입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장치의 부분 단면 입면도.

Claims (20)

  1. 회전구동원에서 발생된 회전을 제어해서 출력부에 전달하는 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원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는 제1회전전달부재와,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호전을 상기 출력부에 전달하는 제2회전전달부재와, 상기 제1및 제2회전달부재중의 한쪽을 지지하여 다른쪽 회전전달부재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이동가능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한쪽의 회전전달부재를 다른쪽의 회전전달부재와 결합시키는 트리거수단과,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지지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로부터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를 해제시키는 회전전달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제어수단은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캠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지지수단과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를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와 결합시키는 제1캠표면과, 상기 지지수단과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와 상기 제2회전 전달부재를 분리하는 제2캠 표면을 포함하는 캠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캠부재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지지수단의 미끄럼접촉위치를 상기 제1캠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캠표면으로 변환하는 제3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제2캠표면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가 그들사이에서회전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캠부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수단이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캠부재사이의 미끄럼접촉을 상기 제2캠표면으로부터 제1캠표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수단은, 상기 캠부재를 그의 회전방향을 향해서 부세시키는 회전부세수단과, 상기 회전부세수단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상기 캠부재를 정지시키는 정지수단과, 상기 정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캠부재의 정지를 해제시키는 해제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수단이 상기 정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캠부재의 정지를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캠부재는 상기 회전부제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지지수단이 미끄럼접촉위치를 상기 제2캠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캠표면으로 변환하므로써,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와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를 결합해서 그들 사이에 회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을 상기 캠부재상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지지수단상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결합가능한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지지수단을 요동시켜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돌기부로부터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 및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가 상기 출력부의 출력축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회전전달부재가 서로 맞물림가능한 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회전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요동가능한 전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1. 회전구동원에서 발생된 회전을 제어해서 출력부에 전달하는 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 요동가능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제1기어와,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을 상기 제1기어에 전달하는 전달수단과, 상기 출력부의 출력축에 접속되고, 상기 제1기어와 결합된 경우 상기 회전구동원의 회전을 상기 출력측에 전달하는 제2기어와,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미끄럼접촉하여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제1캠표면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미끄럼접촉하여 상기 제2기어로부터 상기 제1기어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제2캠표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측에 접속된 캠부재와,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캠부재사이의 미끄럼접촉부를 상기 제2캠표면으로부터 상기제1캠표면으로 이동시키는 트리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가 상기 제2기어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캠부재는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을 상기 출력출을 경유해서 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가 상기 제2기어와 결합하고 있는 위치를 향해서 상기 지지수단을 부세시키는 부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캠부재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 상기 지지수단의 미끄럼접촉위치를 상기 제1캠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캠표면으로 변환하는 제3캠표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수단은, 상기 캠부재를 그의 회전장향을 향해서 부세시키는 회전부세수단과, 상기 회전부세수단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상기 캠부재를 정지시키는 정지수단과, 상기 정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캠부재의 정지를 해제시키는 해제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수단이 상기 정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캠부재의 정지를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캠부재는 상기 회전부세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지지수단의 미끄럼 접촉위치를 상기 제2캠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캠표면으로 변환하므로써, 상기 제1기어수단과 상기 제2기어수단을 결합해서 그들 사이에 회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캠부재상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지지수단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결합 가능한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을 요동시켜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돌기부로부터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기어열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열중의 기어의1개는 상기 지지수단의 피벗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제어장치.
  18. 회전구동원에 접속되어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는 제1회전전달부재,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을 출력부에 전달하는 제2회전전달부재, 상기 제1및 제2회전전달부재중의 한쪽을 지지하여 다른쪽의 회전전달부재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이동가능한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을 이도시켜 상기 한쪽의 회전전달부재를 다룬 쪽의 회전전달부재와 결합시키는 트리거수단 및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지지수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로부터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를 해제시키는 회전전달제어수단을 구비한 회전제어수단과, 종이를 적재하기 위한 종이적재수단과, 상기 출력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종이적재수단으로부터 종이를 공급하는 회전식 종이공급수단과, 상기 회전식 종이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종이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수단으로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제어수단은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캠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지지수단과 미끄럼접촉하여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를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와 결합시키는 제1캠표면과, 상기 지지수단과 미끄럼접촉하여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와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를 분리하는 제2캠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원은 상기 회전식 종이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종이를 상기 화상 형성수단에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24334A 1990-12-26 1991-12-26 회전제어장치 및 이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950010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6679A JP2911614B2 (ja) 1990-12-26 1990-12-26 回転制御装置及び回転制御装置を有する給紙装置
JP90-406679 1990-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045A true KR920013045A (ko) 1992-07-28
KR950010010B1 KR950010010B1 (ko) 1995-09-04

Family

ID=1851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334A KR950010010B1 (ko) 1990-12-26 1991-12-26 회전제어장치 및 이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35381A (ko)
EP (1) EP0492619B1 (ko)
JP (1) JP2911614B2 (ko)
KR (1) KR950010010B1 (ko)
DE (1) DE6911084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2572B2 (ja) 1995-07-10 2002-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124885A (en) * 1996-12-20 2000-09-26 Eastman Kodak Company Film gate and scanner, and method of scanning using the scanner
US6578840B1 (en) 1997-11-07 2003-06-1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US6464414B1 (en) 2000-03-21 2002-10-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 media sensor adjustment mechanism
JP3943942B2 (ja) * 2002-01-31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64091B1 (ko) * 2002-12-18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러치 장치
JP4612829B2 (ja) * 2003-12-24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55295B2 (en) * 2005-08-08 2008-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ip pressure
JP4968919B2 (ja) * 2007-06-0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シート材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8400A (en) * 1976-01-20 1977-07-23 Glory Kogyo Kk Leaf delivering machine
JPS5374433A (en) * 1976-12-14 1978-07-01 Ricoh Co Ltd Sheet transport device
US4354759A (en) * 1981-05-01 1982-10-19 Pitney Bowes Inc. Copy paper feed mechanism
US4586813A (en) * 1983-09-19 1986-05-0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5019840A (en) * 1984-03-30 1991-05-28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with improved sheet feeding
JPH03182474A (ja) * 1989-12-11 1991-08-08 Minolta Camera Co Ltd 循環式自動原稿給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92619B1 (en) 1995-06-28
DE69110847T2 (de) 1995-12-07
JPH04224320A (ja) 1992-08-13
JP2911614B2 (ja) 1999-06-23
DE69110847D1 (de) 1995-08-03
EP0492619A1 (en) 1992-07-01
KR950010010B1 (ko) 1995-09-04
US5235381A (en) 199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9969A (ko)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도어 제어 장치
KR940002066A (ko) 프린터의 급지장치
KR920013045A (ko) 회전제어장치 및 이 회전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940001964B1 (ko) 자동 급지 장치
US5735212A (en) Cylinder cleaning apparatus
KR870010957A (ko) 용지이송장치
CA1264058A (en) Intermittent drive for a paper supply roller
EP0326168B1 (en) Switching mechanism of paper holding roller of a printer
US3966136A (en) Rewind apparatus
GB1057274A (en) Improvements in ground-tamping apparatus incorporating a device for altering the direction of vibration
US6170348B1 (en) Swing arm transmission for driving sheet feed mechanism of a printing device media input tray
JPS55132456A (en) One rotation clutch device
MX174194B (es) Accesorio programador/cronomedidor con accionador bidireccional
GB71026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ns for reeling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JP2651772B2 (ja) 分割位置決め機構
JPS5935481Y2 (ja) 用紙案内装置
JPS5632159A (en) Paper feeding device for copying machine
US1383338A (en) Automatic scraper control for rotogravure-printing presses
JPH1159941A (ja) Frr給紙方式の給紙装置
JPH0520037Y2 (ko)
JPS60200324A (ja) 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H06156832A (ja) 用紙給送装置
JPH0336132A (ja) レジストレーション機構
JPH09104545A (ja) 紙送りローラの駆動装置
JPH01192582A (ja) 紙押えレバー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