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062B1 -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062B1
KR920011062B1 KR1019900022770A KR900022770A KR920011062B1 KR 920011062 B1 KR920011062 B1 KR 920011062B1 KR 1019900022770 A KR1019900022770 A KR 1019900022770A KR 900022770 A KR900022770 A KR 900022770A KR 920011062 B1 KR920011062 B1 KR 920011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coder
converter
comparator
p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011A (ko
Inventor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0002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1062B1/ko
Publication of KR92001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1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타임 챠트.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경통제어기구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
제4a도와 (b)는 본 발명 및 종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원거리 또는 근거리일때의 파인더 촬영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원거리제어시의 피사계 촬영범위(심도)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종래의 제어 회로도.
제7도는 제6도의 타임 챠트.
제8도는 종래의 경통제어기구의 개략적인 동작 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터페이스 2 : 클록변환기
3 : 발진기 4 : 홀드제어부
5 : 디코더 6 : 메모리부
7 : A/D 변환기 8 : 검출부
9 : 비교기 10 : 모터
SW1: 스위치 PSD : 수광기
IRED : 발광기 Q1: 트랜지스터
PD1, PT1: 포토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인이 사진을 찍어줄때에 피사체는 근거리에 위치하고 그 배경은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을경우 자동초점 거리가 원거리로 인식되더라도 근거리로 제어시켜 항상 설명한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초점 거리 제어장치는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여 디코더된 값과 비교기(25)에서 제어를 행하여 자동초점 마그네트(AF Mg)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초점 경통 제어회로와 상기 자동초점 마그네트(AF Mg)동작에 의해 캠이 회전됨과 동시에 렌즈가 노출되도록 자동초점 거리로 이동제어하는 자동초점 경통 제어기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에서의 제어동작은 제7도에서와 같이 발광기(IRED)가 온됨과 동시에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피사체의 반사광이 인터페이스(21)의 수광기(PSD)에 검출되면 A/D 변환기(24)를 통한 디코더(23)의 출력신호와 수광기(PSD)의 검출신호가 비교기(25)의 제어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2)를 온시킴과 동시에 자동초점 마그네트(AF Mg)를 1회 구동시킨다.
이때 전자스위치(SW)는 0.1마이크로 초시간동안만 온되고, 이는 수광기(PSD)검출펄스가 인가될때마다 0.1마이크로초동안 온된다.
이와 동시에 자동초점 경통 제어기구부의 마그네트(AF Mg)는 제8도에서와 같이 자동초점 마그네트(AF Mg) 1회 온구동에 의해 d를 기준으로 e가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여 a를 1회전시킨다.
따라서 렌즈 경통이 전진하는 상태로 노출되어 자동초점 거리를 제어하게 되며, 수광기(PSD)검출신호가 계속 인가되면 자동초점 마그네트(AF Mg)의 온에 의해 렌즈 경통이 반복하여 올라가게 되어 자동초점 거리를 맞추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장치는 발광기(IRED)가 무한대 거리를 축거하면 수광기(PSD)의 검출 반사광이 전혀 없으므로서 렌즈가 그대로 있게 되어 무한대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타인이 사진을 찍어 줄때에 제4a도와 같은 상태로 촬영하면 카메라는 무한대거리로 인식하여 피사체는 흐리게 촬영되고 뒷배경만 선명하게 촬영되어 자동초점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실수에 의한 자동초점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무한대 촬영 또는 근거리촬영을 선택하는 스위치와 홀드제어 및 해제기능을 기재하여 그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는 수광기에 피사체의 반사광이 검출되지 않아도 근거리 촬영 상태로 자동초점 거리를 고정시켜 항상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한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소정의 빛을 방사시키는 발광기(IRED)와, 상기 발광기(IRED)에서 방사된 피사체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기(PSD)와, 상기 수광기(PSD)에서 검출된 신호를 인가받아 디코더(5)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탈화시키는 인터페이스(1)와, 발진기(3)에서 발진된 소정의 주파수를 인터페이스(1)와, 디코더(5) 및 A/D 변환기(7)가 구동하는 신호로 분주시키는 클록변환기(2)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7)와, 상기 A/D 변환기(7)의 디지탈 신호와 인터페이스(1)에서 출력되는 신호 상태를 판독하여 구형파 펄스로 디코딩시키는 디코더(5)와, 상기 디코더(5)의 출력신호중에서 하이 펄스에서만 동작하여 비교기(9)의 비반전 입력단의 기준전압을 제어시키는 전자스위치(MS)와, 상기 디코더(5)를 통한 A/D 변환 신호와 수광기(PSD)에서 검출된 출력신호를 비교시키는 비교기(9)와, 상기 비교기(9)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자동초점 경통 구동제어회로에 있어서, 무한대 촬영 또는 근거리 촬영을 선택하는 스위치(SW1)와, 상기 스위치(SW1)의 입력상태를 감지하여 무한대 촬영 또는 근거리 촬영을 모드에 대응하는 축거를 행하거나 또는 무한대시에 근거리로 인식시키는 홀드제어부(4: 해제 기능포함)와, 상기 A/D 변환기(7)를 통한 검출부(8)의 검출신호와 디코더(5)에서 비교하기 위한 기본적인 8개의 펄스데이타를 저장시키는 메모리(6)와, 상기 비교기(9)의 비반전입력단에 인가되는 디코더(5)의 출력신호를 비교기(9)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간을 체배시키는 전자스위치군(MS)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와, 상기 모터(10)가 회전될때 그와 연동되는 슬라이드 기어를 감시하여 메모리부(6)에 저장된 데이타와 일치될때 모터(10) 및 트랜지스터(Q1)를 오프시키는 검출부(8)를 개재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타인에게 사진을 찍어 달라는 부탁을 할때에 무한대 촬영 또는 근거리 촬영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SW1)를 누르면 스위치 인터페이스(1)를 통한 발광기(IRED)에서는 소정의 비임이 출력되는데, 이때 발광기(IRED)에서 방사된 피사체의 반사광이 수광기(PSD)에 검출되지 않더라도 홀드제어부(4)에 의해 근거리 펄스 즉 2.7미터 촬영 자동초점 위치 제어펄스가 디코더(5)에서 인출된다.
물론 이때에는 사진을 찍는 촬영자가 제4a도와 같은 상태로 촬영하는 경우에는 2.7미터에 맞도록 근거리 제어를 하지만, 무한대가 아니고 제4b도와 같이 피사체가 근거리로 검출하는 경우에는 수광기(PSD)의 출력펄스에 의해 자동초점 근거리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디코더(5)에서의 출력펄스를 제2f도와 같이 A/D 변환기(7)에서 순차적으로 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홀드제어부(4)에 의해 구형파 펄스로 부호화시킨 다음 비교기(9)로 제어될때에 ‘하이’,‘로우’주기의 타이밍이 결정된다. 이때 비교기(9)에 인가되는 디코더(5)의 출력신호의 타임 주기는 클록변환기(2)에서 인가되는 주파수에 따라 다르나 통상 0.1마이크로초 정도로 매우 짧고, 이것은 직접 비교기(9)가 인식할 수 없으므로 비교기(9)의 입력단에 연결시킨 다수의 전자스위치(MS)에 의해 약 10배로 체배시킨 타임 주기로 인가된다.
따라서, 디코더(5)에서의 구형파 출력펄스가 비교기(9)를 통해 트랜지스터(Q1)를 온/오프 반복시키게 되며, 트랜지스터(Q1)의 온기간에는 렌즈 경통 구동용 모터(10)가 구동된다.
즉, 트랜지스터(Q1)의 턴온 동작으로 모터(10)가 회전되면 제3도에서와 같이 모터(10)의 축기어(g1)와 맞물리는 제1기어(g1)가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제2기어(g3) 및 슬라이드 축기어(g4)를 연동하여 구동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드 축기어(g4)가 구동됨에 따라 상단의 슬라이드기어(g5)에 의해 렌즈 경통이 구동되어 렌즈는 전방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4개의 날개가 돌출된 슬리트(SL)가 회전하여 날개와 날개 사이의 뚫린 부위가 검출부(8)에 통과할때마다 검출부(8)는 하나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시켜 A/D 변환기(7)에 인가시킨다.
이때 렌즈가 전진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검출부(8)에서 발생된 구형파 펄스는 A/D 변환기(7)를 통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디코더(5)에 인가되는데, 이때 메모리부(6)에 저장된 8개의 신호데이타와 비교하여 저장된 데이타를 구형파 펄스가 발생될때마다 하나씩 감산하는 방법으로 최종 8개의 구형파 펄스가 발생되면 메모리부(6)에 저장된 8개의 신호가 ø가 됨과 동시에 전자스위치(MS)를 통한 비교기(9)의 출력은 제2g도와 같이 ‘로우’상태로 전환되며, 트랜지스터(Q1)의 출력 또한 제2h도와 같이 ‘로우’상태로 전환되어 모터(10)구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8)는 슬리트(SL)의 날개가 통과할 수 있도록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슬리트(SL)의 날개가 통과하는 상하단에 포토다이오드(PD1) 및 포토트랜지스터(PT1)를 설치하여 슬리트(SL)가 회전되면 메모리부(6)에 저장된 데이타와 비교하는 기준 구형파 펄스를 얻도록한 것이다.
또한, 8개의 펄스길이는 제5도에서와 같이 촬영 렌즈가 초기 위치에서 8개의 펄스가 출력되면 렌즈가 이동된 거리(d)만큼 이동되어 2.7미터 촬영 거리에 위치하게 되며, 그 위치에서 피사계 심도의 초점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2.7미터에 초점이 설정되어도 1.6 내지 7.5미터 사이에 있는 피사체는 필름면에 1/28미리미터의 구멍(A)내에 초점이 맺히게 되어 1.6 내지 7.5미터까지는 동일하게 핀트가 맞은 것처럼 선명하게 촬영이 이루어지며, 또한 촬영자의 실수에 의해 제4a도와 같은 구동이 되어도 스위치(SW1)를 온한 상태에서는 무한대로 초점되었다해도 근거리 2.7미터로 촬영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소정의 빛을 방사시키는 발광기(IRED)와, 상기 발광기(IRED)에서 방사된 피사체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기(PSD)와, 상기 수광기(PSD)에서 검출된 신호를 인가받아 디코더(5)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탈화시키는 인터페이스(1)와, 발진기(3)에서 발진된 소정의 주파수를 인터페이스(1)와, 디코더(5) 및 A/D 변환기(7)가 구동하는 신호로 분주시키는 클록변환기(2)와, 검출부(8)의 펄스를 입력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7)와, 상기 A/D 변환기(7)의 디지탈 신호와 인터페이스(1)에서 출력되는 신호상태를 판독하여 구형파 펄스로 디코딩시키는 디코더(5)와, 상기 디코더(5)의 출력신호중에서 하이 펄스에서만 동작하여 비교기(9)의 비반전입력단의 기준전압을 제어시키는 전자스위치(MS)와, 상기 디코더(5)를 통한 A/D 변환 신호와 수광기(PSD)에서 검출된 출력신호를 비교시키는 비교기(9)와, 상기 비교기(9)의 출력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자동초점 경통 구동 제어회로에 있어서, 무한대 촬영 또는 근거리 촬영을 선택하는 스위치(SW1)와, 상기 스위치(SW1)의 입력상태를 감지하여 무한대 촬영 또는 근거리 촬영모드에 대응하는 축거리를 행하거나 또는 무한대시에 근거리로 인식시키는 홀드제어부(4)와, 상기 A/D 변환기(7)를 통한 검출부(8)의 검출신호와 디코더(5)에서 비교하기 위한 기본적인 8개의 펄스데이타를 저장시키는 메모리(6)와, 상기 비교기(9)의 비반전입력단에 인가되는 디코더(5)의 출력신호를 비교기(9)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간을 체배시키는 전자스위치군(MS)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촬영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와, 상기 모터(10)가 회전될때 그와 연동되는 슬라이드기어(g5)의 슬리트(SL)를 감시하여 발생된 펄스와 메모리부(6)에 저장된 데이타와 일치될때 트랜지스터(Q1) 및 모터(10)를 오프시키는 검출부(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8)는 포토커플러(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KR1019900022770A 1990-12-31 1990-12-31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KR920011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770A KR920011062B1 (ko) 1990-12-31 1990-12-31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770A KR920011062B1 (ko) 1990-12-31 1990-12-31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011A KR920013011A (ko) 1992-07-28
KR920011062B1 true KR920011062B1 (ko) 1992-12-26

Family

ID=1930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770A KR920011062B1 (ko) 1990-12-31 1990-12-31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10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011A (ko) 199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5585A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US4291961A (en) Apparatus for endoscopic photography
US4411505A (en) Camera
US4482235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camera
US5845155A (en) Multipoint autofocusing system
JPH065351B2 (ja) カメラの制御装置
KR920011062B1 (ko)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근거리 제어장치
US4425031A (en) Automatic focus adjusting apparatus for camera
JPS5445127A (en) Focus detector by photo sensor alley
US4527880A (en) Flash device and/or photographic apparatus usable with the same
USRE35963E (en) Automatic focusing camera
US4816858A (en) Automatic focusing cameras
JP3279323B2 (ja) カメラの測距装置
US5878289A (en) Camera having automatic focusing system
KR100340943B1 (ko) 초점 오차 보정 기능을 가지는 줌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JPH087315B2 (ja) レンズ装置のための制御装置
JP2528116B2 (ja) 自動露出カメラ
JP2802785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方法
KR920011061B1 (ko) 센서에 의한 카메라 초점 조절장치
JP2003262903A (ja) カメラ
JPH09126755A (ja) 距離測定装置
JPH07104156B2 (ja) 距離測定装置
JP2825684B2 (ja) カメラ
JP3152946B2 (ja) 移動位置検出装置
JP3015099B2 (ja) 測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