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786B1 -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 방식 및 장치 - Google Patents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 방식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786B1
KR920010786B1 KR1019900007445A KR900007445A KR920010786B1 KR 920010786 B1 KR920010786 B1 KR 920010786B1 KR 1019900007445 A KR1019900007445 A KR 1019900007445A KR 900007445 A KR900007445 A KR 900007445A KR 920010786 B1 KR920010786 B1 KR 92001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st
signal
color
output
gate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162A (ko
Inventor
임종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786B1/ko
Publication of KR91002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 방식 및 장치
제1도는 NTSC방송 방식의 복합 영상신호 및 색과 휘도신호 파형도.
제2도는 종래의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의 각부 파형도.
제4도는 제2도중 자동색 제어부의 구체적인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중 버어스트 검출부의 구체적인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어스트 검출부 입력신호 파형도.
제8도는 제5도중 자동색 제어부 구체적인 블럭도.
제9도는 버어스트검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7,18 : 멀티플렉서 5,6,23,24 : 절대치 변환기
3,4 : 저역 여파기 9,21,33 : 래치부
8,19,20 : 누적 가산기 10,11 : 비교기
12,13 : 쉬프트레지스터 14,15 : 앤드게이트
16 : 업/다운 카운터 40 : 색/휘도분리부
41 : 색복조부 42 :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부
43 : 버어스트 검출부 44 : 자동색 제어부
45 : 이득 조절부
본 발명은 디지탈 텔레비젼에 있어서 색신호 처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색신호의 이득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식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TSC복합 영상신호는 제1a도와 같은 휘도신호와 제1b도와 같은 색신호를 조합한 제1c도와 같은 파형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b도와 같은 색신호의 기준이 되는 것은 칼라 버어스트 신호로서 색신호의 위상과 진폭 다시말하면 색의 포화도 및 색상의 지표가 된다.
그런데 상기 색신호의 위상은 외부요인에 의해 크게 변화되지 않으나, 색신호의 진폭은 난시청 지역 또는 방해전파 등 여러 가지 외부요인에 의해 심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색신호의 진폭이 외부요인에 의해 수시로 변화할 경우 화면(텔레비젼의 스크린)에 나타나는 색은 엷어진 부분(진폭이 작은 부분)과 진해진 부분(진폭이 큰 부분)으로 인하여 같은 색이지만 그 엷고 진함에 따라 얼룩이 발생하여 시각적 방해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올바른 색처리를 위해 색처리 회로에 입력되는 색신호의 진폭은 일정하여야 하며 상기 색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주는 기술을 자동색조절(Automatic Color Control)이라 한다.
상기 자동색 조절 기술의 원리는 색신호로부터 복조된 칼라버어스트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칼라버어스트 신호의 진폭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이때 발생된 차이만큼 차기 주사선의 색신호의 진폭을 이득조절하여 색신호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디지탈텔레비전에서도 화면의 색처리를 안정되게 수행하기 위해 색신호의 진폭을 자동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색신호의 진폭을 자동조절할 수 있는 주사선적응형 자동색 조절방식을 채택하기에 이르렸다. 상기 주사선 적응형 자동색 조절방식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바 있는 “특허 89-5204”에 그 구성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문제점만 지적한다.
상기 주사선 적응형 자동색 조절방식에서의 칼라버어스트 검출방식은 실제 적용에 있어 화면에 수라인(주사선)에 걸쳐서 색진폭이 급격이 변화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상기 제2도중 자동색 제어부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데 저역 여파기를 거쳐 절대치 변환되고 누적 가산되어 래치된 칼라버어스트 값은 기준값이 비교되어 기준값보다 크면 카운트다운 동작을 하게 하고, 기준값보다 작으면 카운트업 동작을 하여 출력되는 이득제어 신호에 색신호 이득을 제어하는 동작을 한다. 이렇게 되면, 색신호 진폭은 기준값 부근에서 기준값 위와 기준값 아래를 왕복하며 계속적으로 이득제어 동작을 반복하게 되느데, 이것은 실제 매 주사선마다 색신호 진폭이 가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칼라버어스트가 버어스트구간 동안 누적되기 때문에 누적된 값과 기준값 사이에는 꽤 큰 편차가 있어서 화면에 매우 보기 흉한 색도 얼룩이 가로축으로 반복해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칼라버어스트 진폭이 작으면 이를 검출해 색신호 진폭을 크게 하고 버어스트 진폭이 크면 이를 검출해 색신호 진폭을 작게 하는 이득 제어동작과 어느 일정범위 내에서는 이득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작 및 시간적으로 히스테리시스를 주는 동작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버어스트 검출부에 입력되는 버어스트 성분은 B-Y복조 성분 뿐이었으나 복조부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B-Y 성분 뿐만 아니라 R-Y성분으로 복조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B-Y에서 검출되는 버어스트만으로 자동색 조절동작을 하게 되면 불완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조 신호로부터 검출된 색부반송파 신호를 상위 및 하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색신호의 이득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방식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로서, 디지탈 복합 영상신호를 디지탈 색신호와 휘도신호로 분리하는 색/휘도분리부(40)와, 상기 색/휘도분리부(40)로부터 디지탈 색신호(B-Y,R-Y)를 입력하여 두 개의 색차신호를 복조하는 색복조부(41)과, 버어스트게이트펄스를 발생하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 발생부(42)와, 상기 색복조부(41)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색신호(B-Y,R-Y)로부터 상기 버어스트 발생부(42)로 인가되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에 의해 컬러버어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버어스트 검출부(43)와, 상기 버어스트 검출부(43)로부터 인입되는 컬러버어스트 신호를 소정의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색신호의 진폭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이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자동색제어부(44)와, 상기 색/휘도분리부(46) 및 상기 색복조부(41)와 자동색제어부(44)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자동색 제어부(44)의 출력에 의해 상기 색/휘도분리부(40)에서 인입되는 색신호의 진폭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색복조부(41)로 출력하는 이득조절부(45)로 구성하며, 제6도는 제5도중 버어스트 검출부(43)의 구체적인 블럭도로써, 한 입력단을 접지되고 타입력단은 색복조부(41)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디지탈 색신호(B-Y,R-Y)를 각각 입력하며 버어스트 게이트펄스발생부(42)로부터 출력되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에 의해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제1 및 제 2 멀티플렉서(1,2)와, 상기 제1 및 제 2 멀티플렉서(1,2)출력을 각각 저역 필터링하는 제1 및 제 2 여과기(3,4)와, 상기 제1 및 제 2 여과기(3,4)출력을 각각 절대치 변환하는 제1 및 제 2 절대치 변환부(5,6)와, 상기 제1 및 제 2 절대치 변환부(5,6)출력을 합산하여 버어스트신호를 검출하는 제 1 가산기(7)로 구성하고, 제7도는 버어스트 검출부(43)의 입력신호 파형도로써, 제7a도는 B-Y파형이고, 제7b도는 R-Y파형이며, 제7c도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 파형이다.
제8도는 제5도중 자동색제어부(44)의 구체적인 블럭도로써, 버어스트검출부(43)로부터 검출된 버어스트신호를 누적하여 가산하는 제 1 누적 가산기(8)와,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발생부(42)로부터 출력되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의 폴링에지(folling ede)에 동기되어 상기 제 1 누적 가산기(8)출력을 래치하는 제 1 래치부(9)와, 상기 제 1 래치부(9)로부터 출력되는 버어스트 적분신호를 소정의 상위 기준값 혹은 하위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1 및 제 2 비교기(10,11)와, 상기 비교기의 지연시간에 맞게 지연된 버어스트게이트펄스의 폴링에지에 동기되어 상기 제1 및 제 2 비교기(10,11)출력을 각각 소정비트 쉬프트시켜 출력하는 제1 및 제 2 쉬프트레지스터(12,13)와, 상기 제1 및 제 2 쉬프트레지스터(12,13)출력을 각각 논리조합하는 제1 및 제 2 앤드게이트(14,15)와, 상기 각 쉬프트레지스터(12,13) 및 앤드게이트(14,15)지연시간에 맞게 소정 지연된 버어스트게이트펄스의 폴링에지에 동기되어 상기 제 1 앤드게이트(14)출력을 다운 카운트하거나 상기 상기 제 2 앤드게이트(15)출력을 업타운트하여 이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업/다운 카운터(16)로 구성되며, 제9도는 버어스트검출부(43)의 다른 실시예로써, 한 입력단은 접지되고 타입력단은 색복조부(41)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디지탈 색신호(B-Y,R-Y)를 각각 입력하며 버어스트게이트펄스 발생부(42)로부터 출력되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에 의해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제3 및 제 4 멀티플랙서(17,18)와, 상기 제3 및 제 4 멀티플렉서(17,18)출력을 각각 누적가산하는 제2 및 제 3 누적가산기(19,20)와, 상기 버어스트 게이트펄스의 폴링에지에 동기되어 상기 제2 및 제 3 누적 가산기(19,20)출력을 래치하는 제 2 및 제 3 래치부(21,22)와, 상기 제 3 및 제 4 절대치 변환부(23,24)출력을 합산하여 버어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가산기(25)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에 의거 본 발명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색/휘도 분리부(40)에서 분리된 색신호(C)를 이득조절부(45)에서 조절하고 이를 색복조하면 B-Y와 R-Y신호성분이 검출된다. 이때 상기 B-Y와 R-Y신호성분에는 제7a도 및 제7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버어스트신호가 잔류되어 있다.
그러므로 버어스트검출부(41)에서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 발생부(42)로부터 제7c도와 같은 버어스트게이트 펄스 발생시 상기 색복조부(41)로부터 출력된 B-Y신호에 있는 버어스트성분과 R-Y신호에 있는 버어스트를 각각 검출하여 자동색 제어부(44)로 인가하고, 상기 자동색제어부(44)에서는 상기 각 R-Y,B-Y신호로부터 검출된 버어스트를 소정 이득 조절하여 이득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이득조절부(45)에 입력되는 색신호에 곱해져 이득 조절을 행하는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자동색 조절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B-Y성분과 R-Y성분에서 각각 버어스트성분을 검출하여 전체버어스트성분을 구하는 동작을 두가지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 및 제 2 멀티플랙서(1,2)가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구간 동안 각각 입력되는 B-Y와 R-Y신호중에서 버어스트 신호를 검출하면 제1 및 제 2 저역 여파기(3,4)에서 이를 저역 여파시켜 잡음을 제거하고 제1 및 제 2 절대치변환부(5,6)에서 각각 절대치 변환한다. 이때 제 1 가산기(7)에서 상기 두절대치 변환부(5,6)출력을 더하여 버어스트신호를 검출한다.
반면에 제9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제3 및 제 4 멀티플렉서(17,18)에서 버어스트게이트펄스 구간 동안 B-Y, R-Y신호로부터 검출한 버어스트 신호를 절대치 변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및 제 3 누적 가산기(19,20)로 입력하여 누적가산을 행한 후 버어스트 게이트펄스에 동기시켜 제2 및 제 3 래치부(21,22)에 각각 래치시킨 다음 절대치 변환토록 하여 버어스트 검출시 잡음의 영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8도를 참조하여 자동색제어부의 상세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버어스트 검출부(43)에서 검출된 버어스트신호를 제 1 누적가산기(8)에서 버어스트게이트펄스 구간 동안 계속 누적가산하여 제 1 래치부(9)에 래치하여 버어스트 적분신호를 얻는다. 상기 버어스트 적분신호는 각각 제1 및 제 2 비교기(10,11)에서 각각 상위 기준값 혹은 하위 기준값과 비교된다.
즉 제 1 비교기(10)에서는 상위 기준값과 상기 버어스트적분신호를 비교하여 만일 상기 버어스트 적분신호가 상위 기준값보다 클 경우 “1”를 출력한다(출력 상태의 임의 값임). 이렇게 출력된 비교값은 n비트의 제 1 쉬프트레지스터(12)에 입력되어 매 버어스트게이트펄스마다 쉬프트되고, 그 각각의 출력들이 제 1 앤드게이트(14)에서 논리 조합되어 업/다운 카운터(16)의 다운모드단(Dawn)으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쉬프트레지스터(12)의 n비트출력이 모두 1이 될 경우 상기 업/다운 카운터(16)는 다운카운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 2 비교기(11)에서는 상기 버어스트적분값이 하위기준값과 비교되어 하위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1”을 출력한다(임의 출력상태임). 이렇게 출력된 비교값 역시 제 2 쉬프트레지스트(13)에 입력되어 매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마다 쉬프트되고 그 각각의 출력이 제 2 앤드게이트(15)에서 논리조합되어 상기 업/다운카운터(16)의 다운모드단(DP)으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쉬프트레지스터(13)의 게이트출력이 모두 “1”이 될 경우 상기 업/다운 카운터(16)는 업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다. 만일, 버어스트 적분값이 상위 기준값과 하위 기준값 사이에 존재할 때는 상기 두 비교기(11,12)는 모두 “0”을 출력하여 상기 업/다운카운터(16)는 아무 동작도 하지 않게 되어 이득제어신호를 일정값이 계속 출력된다.
그러므로 하위기준값 이하의 버어스트 신호는 상기 업/다운 카운터(16)를 업카운팅시켜 이득을 므게 해준다. 그 결과 버어스트 신호를 하위 기준값과 상위 기준값 사이로 집어넣고 이득을 일정한 값으로 고정시킨다. 역시 상위 기준값 이상의 버어스트 신호는 상기 업/다운 카운터(16)를 다운 카운팅시켜 이득을 작게 하므로써 버어스트 신호를 상위 기준값과 하위 기준값의 사이에 고정시켜 이득을 일정하게 만들어 준다. 또한 순간적으로 한 주사선에서 색신호 진폭이 커지는 경우 n비트의 쉬프트레지스터를 통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갖게 되므로 안정된 자동색 조절동작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색신호를 색부반송파의 크기를 검사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므로써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디자탈 텔레비젼의 색신호 조절방식에 있어서, 색복조신호(B-Y,R-Y)신호를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에 동기시켜 저역여파 및 절대치 변환하여 각 버어스트 성분을 검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버어스트 성분을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구간 동안 계속 누적 가산하여 버어스트 적분신호를 발생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버어스트 적분신호를 각각 소정의 상위 및 하위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각 비교결과를 매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발생시 마다 쉬프트하고 소정 비트의 상기 쉬프팅 출력을 논리조합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각 논리조합 값에 따라 상기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를 업 혹은 다운 카운팅하여 발생된 이득제어 신호를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색신호에 곱함으로써 색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증·감 혹은 고정시키는 제 5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방식.
  2. 색복조부(41)와 버어스트게이트펄스 발생부(42)를 구비한 디지탈 텔레비젼의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장치에 있어서, 한 입력단은 접지되고 타 입력단은 상기 색복조부(41)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디지탈 색신호(B-Y,R-Y)를 각각 입력하며 버어스트 게이트펄스발생부(42)로부터 출력되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에 의해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제1 및 제 2 멀티플렉서(1,2)와, 상기 제1 및 제 2 멀티플렉서(1,2)를 각각 저역 필터링하는 제1 및 제 2 여파기(3,4)와, 상기 제1 및 제 2 여파기(3,4)출력을 각각 절대치 변환하는 제1 및 제 2 절대치 변환부(5,6)와, 상기 제1 및 제 2 절대치 변환부(5,6)출력을 합산하여 버어스트신호를 검출하는 제 1 가산기(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어스트검출회로.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멀티플렉서(1,2)와 제1 및 제 2 절대치 변환부(5,6)사이에 각각 상기 제3 및 제 4 멀티플렉서(17,18)출력을 각각 누적가산하는 제2 및 제 3 누적가산기(19,20)와, 상기 버어스트 게이트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제2 및 제 3 누적가산기(19,20)출력을 래치하는 제2 및 제 3 래치부(21,22)를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어스트 검출회로.
  4. 버어스트게이트펄스 발생부(42)와 버어스트검출부(43)를 구비한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어스트검출부(43)로부터 검출된 버어스트신호를 누적하여 가산하는 제 1 누적 가산기(8)와, 상기 버어스트게이트펄스 발생부(42)로부터 출력되는 버어스트게이트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제 1 누적 가산기(8)출력을 래치하는 제 1 래치부(9)와, 상기 제 1 래치부(9)로부터 출력되는 버어스트 적분신호를 소정의 상위 기준값 혹은 하위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1 및 제 2 비교기(10,11)와, 상기 버어스트게이트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기(10,11)출력을 각각 소정비트 쉬프트시켜 출력하는 제1 및 제 2 쉬프트레지스터(12,13)와, 상기 제1 및 제 2 쉬프트레지스터(12,13)출력을 각각 논리조합하는 제1 및 제 2 앤드게이트(14,15)와, 상기 버어스트게이트펄스에 동기되어 상기 제 1 앤드게이트(14)출력을 다운 카운트하거나 상기 제 2 앤드게이트(15)출력을 업타운트하여 이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업/다운카운터(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색조절회로.
KR1019900007445A 1990-05-23 1990-05-23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 방식 및 장치 KR92001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445A KR920010786B1 (ko) 1990-05-23 1990-05-23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 방식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445A KR920010786B1 (ko) 1990-05-23 1990-05-23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 방식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162A KR910021162A (ko) 1991-12-20
KR920010786B1 true KR920010786B1 (ko) 1992-12-17

Family

ID=1929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445A KR920010786B1 (ko) 1990-05-23 1990-05-23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 방식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7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162A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1478A (en) Multistandard decoder for video signals and video signal decoding method
US5155582A (en) Dot crawling interference elimination device and color subcarrier vertical correlation detection device
EP0716539B1 (en) Adaptive synchronizing signal separator
KR920005022B1 (ko) 보간 신호 생성 회로
US5394193A (en) Pattern-adaptive digital comb filter for separation of a luminance and a color signal
KR0137197B1 (ko)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질 열화방지회로
CA1271255A (en) Noise reducer using magnitude of noise and non-linear signal processing
KR20010041361A (ko)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
KR100779125B1 (ko) 3라인 상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및 yc 분리 장치 및그 방법
KR920010786B1 (ko) 히스테리시스형 자동색 조절 방식 및 장치
US5400082A (en) Device for reducing noise in a composite video signal
US4734758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US7634037B2 (en) Digital phase-locked loop circuit and a method thereof
US6310924B1 (en) Digital demodulator
KR920001108B1 (ko) 디지탈 텔리비젼에 있어서 주사선 적응형 자동색 조절방식
KR0129528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KR0119489Y1 (ko) 칼라 킬러 검출 장치
JP2626746B2 (ja) カラー映像信号処理回路
JP2567879B2 (ja) 画像の垂直エッジ検出回路
JPH07177381A (ja) デジタルクランプ回路
KR920004124B1 (ko) 복합영상신호의 인터리이브 관계 검출회로
KR970001901Y1 (ko)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딜레이타임 자동 조절회로
KR100232592B1 (ko) 영상소프트의 어스펙트비 판별장치
KR930008185B1 (ko) 복합영상신호에서 라인간 상관도를 이용하는 색신호 분리방법 및 회로
JP3149899B2 (ja) 画像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